맨위로가기

림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림프는 고대 로마 신 '림파'의 이름에서 유래된 용어로, 혈장과 유사한 체액이다. 림프는 단백질과 과도한 조직액을 혈류로 되돌리고, 세균과 암세포를 림프절로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림프는 림프관을 통해 순환하며, 림프계는 림프관과 림프 형성에 관여하는 장기를 포함한다. 림프계의 조직병리학적 검사는 질병 상태 평가에 사용되며, 림프는 조직 배양 배지로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림프계 - 림프병
    림프병은 림프계에 발생하는 다양한 질환을 포괄하는 용어로, 림프종, 림프절염, 림프관염, 림프부종, 림프구증가증 등을 포함하며 림프계 기능 이상을 초래한다.
  • 림프계 - 편도
    편도는 인두, 이관, 구개, 설 편도로 구성된 림프 조직으로, 구강과 비강에서 흡입된 이물질에 대한 면역 반응을 수행하며, 편도 비대증이나 염증 시 편도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다.
  • 해부학에 관한 - 신경
    신경은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를 연결하는 신경섬유 다발 조직으로, 삼중막 구조로 둘러싸여 있고, 구심성, 원심성, 혼합 신경 등으로 분류되며, 활동전위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고 손상 시 재생될 수 있지만 완전한 회복은 어려울 수 있다.
  • 해부학에 관한 - 부신
    부신은 신장 위에 위치한 내분비 기관으로, 부신피질과 부신수질로 나뉘어 알도스테론, 코르티솔, 아드레날린 등을 생성하여 혈압, 대사, 스트레스 반응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에 관여하며, 기능 이상 시 특정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림프
림프 정보
이름림프
라틴어lympha
영어lymph
특징
설명간질액에서 형성되는 액체
형성간질액에서 유래
관련 체계
관련 체계림프계
이미지 및 설명
간질액(그림에서는 'tissue fluid'로 표시)에서 림프가 형성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그림.
어원
라틴어lympha (물)

2. 어원

"림프"라는 단어는 신선한 물의 고대 로마 신인 림파(Lympha)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3. 구조 및 성분

가슴림프관 손상 환자에게서 얻은 사람의 림프


림프는 혈장과 비슷한 성분을 가지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림프는 혈장이 한 번 더 여과된 상태로, 백혈구, 특히 림프구를 많이 포함하고 있다. 이는 림프가 혈액에서 적혈구를 뺀 것과 비슷하며, 신체 각 기관을 통해 작용하면서 혈액보다 영양소는 적고 노폐물은 더 많다.[17]

소화계에서 만들어지는 림프는 유미(乳糜)라고 불리는데, 킬로미크론이라는 성분이 주를 이룬다. 또한, 장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는 긴사슬 트라이글리세라이드, 인지질,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릴 에스터 등의 지방 성분이 많아 우윳빛을 띤다.[17]

세포 사이를 흐르는 세포간질액(간질림프)과 림프관 속을 흐르는 림프액(관내림프)은 농도는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같은 것이다. 넓은 의미의 림프액은 세포간질액과 림프관 내 림프액을 모두 포함하며, 좁은 의미의 림프액은 림프관 속 림프액만을 가리킨다.

교질삼투압은 혈관 내가 약 28mmHg, 혈관 밖이 약 8mmHg로, 이러한 압력 차이 때문에 세포간질액 속 수분은 정맥으로 돌아간다. 이때 전해질과 혈액가스도 함께 이동하며, 근육의 움직임에 의해 분자량이 큰 단백질이나 바이러스 등의 이물질은 림프관으로 흡수되어 관내림프가 된다.

모세혈관의 투과성이 높아지면 림프 생성이 촉진된다. 림프절에서 림프의 흐름은 유입 림프관→변연동→중간동→수질동→유출 림프관 순서이다.

림프 본간은 우측 림프 본간과 흉관, 두 가지 경로가 있다. 우측 림프 본간은 오른쪽 상반신의 림프를 모으는 1~3cm의 림프 본간으로, 내경정맥과 쇄골하정맥이 합류하는 우측 정맥각에서 정맥과 합쳐진다. 흉관은 왼쪽 상반신과 하반신의 림프를 모으는 총길이 35~40cm의 림프 본간이다. 좌우 장 림프 본간과 요 림프 본간이 제2요추 앞에서 합쳐져 유미조(乳糜槽)를 형성하고, 이것이 위로 올라가 흉강으로 들어가면서 흉관이 된다.

긁힌 상처 등에서 림프액이 스며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약간 끈적끈적하고 철과 같은 냄새가 나는 것이 특징이다.

3. 1. 림프구

림프의 주요 세포 성분은 림프구이지만, 말초 림프관에는 림프구가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고, 림프절을 거칠수록 그 양이 증가한다.[1] 림프관 하류에서 출혈이 있으면 림프 내에 적혈구가 포함될 수 있다(혈액 흡수).[1] 소화관에서 온 림프는 지방구를 포함하고 있어 유백색을 띠는데, 이를 유미(乳糜)라고 부른다.[1] 림프는 림프 조직에서 전신으로 림프구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1]

3. 2. 응고인자

림프에는 응고인자프로트롬빈이 포함되어 있어 체외에서 응고되지만, 혈소판이 없기 때문에 혈액에 비해 응고 능력은 낮다.

4. 형성

혈액에서 간질액이 형성되는 과정. 스탈링힘이 표시되어 있다. 몸쪽에서는 정수압이 더 커서 액체를 바깥으로 내보내며, 먼쪽에서는 교질삼투압이 더 커서 액체가 안으로 들어온다.


혈액은 영양소와 중요한 대사물질조직세포에 공급하고, 세포가 생산한 노폐물을 모은다. 이 교환은 직접 일어나지 않고, 혈액과 조직 사이에 위치하며 세포 사이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간질액을 통해 이루어진다.[18] 물과 용질은 모세혈관 벽 사이의 공간인 세포틈새를 통해 확산되어 간질액을 통과한다. 따라서 혈액과 간질액은 서로 동적 평형 상태에 있다.[18]

간질액은 모세혈관의 세동맥 쪽 끝에서 형성되는데, 이는 정맥과 비교했을 때 이 지점의 압력이 높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간질액은 세정맥 쪽으로 돌아오며, 나머지(최대 10%)는 림프가 되어 림프모세관으로 들어간다.[19] 따라서 처음 만들어질 때의 림프는 간질액과 동일한 조성의 물과 같이 투명한 액체이다. 그러나 림프절을 따라 림프가 흘러가면 혈액과 접촉하게 되어 더 많은 세포(특히 림프구)와 단백질이 림프에 축적된다.[20]

5. 기능



림프는 혈장과 비슷한 성분을 가지지만, 백혈구, 특히 림프구가 많이 들어있다. 림프는 혈액에서 적혈구를 뺀 것과 비슷하며, 신체 각 기관을 통해 작용하면서 혈액보다 영양소는 적고 노폐물은 더 많다.[17] 소화계에서 만들어진 유미킬로미크론을 많이 포함하고, 지방 성분 때문에 우윳빛을 띤다.[17]

혈액은 영양소대사물질조직세포에 공급하고, 세포가 만든 노폐물을 모은다. 이 교환은 간질액을 통해 이루어지며, 혈액과 간질액은 세포틈새를 통해 확산되어 서로 동적 평형 상태를 유지한다.[18]

간질액은 모세혈관의 세동맥 쪽 끝에서 형성되며, 대부분 세정맥 쪽으로 돌아가고 일부(최대 10%)는 림프가 되어 림프모세관으로 들어간다.[19] 림프는 간질액과 같은 조성을 가지지만, 림프절을 지나면서 림프구와 단백질이 더 많이 축적된다.[20]

림프는 단백질과 과도한 조직액을 혈류로 되돌리고, 세균을 흡수하여 림프절로 운반하여 파괴하며, 전이 암세포도 림프를 통해 운반될 수 있다. 또한 림프는 소화계에서 흡수된 지방을 킬로미크론 형태로 혈액으로 운반한다.

5. 1. 순환

림프계는 심혈관계와 달리 폐쇄되어 있지 않으며, 중심 펌프가 없다. 사람이나 다른 포유류에는 림프계의 중심 펌프가 존재하지 않는다. 림프의 이동은 연동운동(평활근 조직의 수축과 이완으로 인해 림프가 추진력을 얻음), 판막, 근처 골격근의 수축과 동맥맥박에 의해 느리고 산발적으로 발생한다.[22][23]

간질에서 림프관으로 들어오는 림프는 판막이 존재하기 때문에 거꾸로 흐르지 않는다. 판막이 없다면 림프가 역류하며 림프부종이 생길 수 있다.[24]

가슴림프관(흉관)에서 림프의 흐름은 휴식 중인 사람에서 평균적으로 시간당 100ml 정도이다. 다른 림프관의 시간당 ~25ml 정도의 림프 흐름을 더하면 하루에 인체를 흐르는 림프의 총 용적은 4~5L 정도이다. 운동 중에는 림프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림프가 흐르지 않으면 휴식 중인 사람이 24시간 이내에 사망할 것으로 추정된다.[26]

5. 2. 림프계

림프계는 림프의 운반에 관여하는 맥관(림프관)과 림프 형성에 관여하는 장기를 합쳐 부르는 말이다. 림프계는 림프절, 흉선, 비장 등의 주요 기관으로 구성되며, 면역 체계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5. 2. 1. 림프 본간

림프 본간은 우측 림프 본간과 흉관 두 가지 경로가 있다. 우측 림프 본간은 우측 상반신의 림프를 모으는 1~3cm의 림프 본간으로, 내경정맥과 쇄골하정맥이 합류하는 우측 정맥각에서 정맥에 합류한다. 흉관은 좌측 상반신과 하반신의 림프를 모으는 총길이 35~40cm의 림프 본간이다. 좌우 장 림프 본간과 요 림프 본간이 제2요추 앞에서 합쳐져 유미조(乳糜槽)가 만들어지고, 이 유미조가 흉강으로 들어가면서 흉관이 된다.[1]

6. 임상적 의의

림프계의 조직병리학적 검사는 다른 장기계 및 임상병리학의 병리학적 변화와 함께 질병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면역계 분석의 선별 도구로 사용된다.[12] 림프계의 조직학적 평가는 면역 기능을 직접 측정하지는 않지만, 화학적 생체지표의 확인과 결합하여 질병이 있는 면역계의 근본적인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13]

7. 성장 배지

1907년 동물학자 로스 그랜빌 해리슨은 응고된 림프 배지에서 개구리 신경 세포 돌기의 성장을 보여주었다. 1913년 E. 스타인하르트, C. 이스라엘리, R. A. 램버트는 림프에서 배양된 기니피그 각막조직 배양 조각에서 우두 바이러스를 배양했다.[14]

참조

[1] Merriam-Webster lymph 2010-05-29
[2] 웹사이트 Fluid Physiology: 2.1 Fluid Compartments http://www.anaesthes[...]
[3] 웹사이트 The Lymphatic System http://theodora.com/[...] 2012-10-12
[4] 서적 Gray's anatomy Longman
[5] 서적 Applied Anatomy & Physiology for Manual Therapists https://books.google[...] Wolters Kluwer Health
[6] 저널 Interstitial fluid lipoproteins http://www.jlr.org/c[...] 2008-07-07
[7] 웹사이트 Definition of lymphatics http://www.medterms.[...] MedicineNet.com 2008-07-06
[8] 저널 Lymphatic regulation in nonmammalian vertebrates https://journals.phy[...] 2013-07-01
[9] 저널 Structural and functional analysis of the newt lymphatic system 2023-04-27
[10] 저널 Lymphatic vessels in cancer metastasis: bridging the gaps
[11] 서적 Guyton and Hall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Saunders
[12] 저널 Enhanced histopathology of the immune system 2011-11-16
[13] 서적 Immunotoxicity Testing
[14] 논문 Studies on the cultivation of the virus of vaccinia
[15] 웹사이트 リンパを淋巴と書くのはなぜ?|Web医事新報|日本医事新報社 https://www.jmedj.co[...] 2023-09-12
[16] 웹인용 Lymph – Definition and More from the Free Merriam-Webster Dictionary http://www.merriam-w[...] www.merriam-webster.com 2010-05-29
[17] 서적 Chylothorax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2
[18] 웹인용 The Lymphatic System http://theodora.com/[...] 2012-10-12
[19] 서적 Gray's anatomy Longman
[20] 저널 Interstitial fluid lipoproteins http://www.jlr.org/c[...] 2008-07-07
[21] 웹사이트 Definition of lymphatics http://www.medterms.[...] MedicineNet.com 2008-07-06
[22] 저널 Lymphatic regulation in nonmammalian vertebrates https://journals.phy[...] 2013-07-01
[23] 저널 Lymphatic vessels in cancer metastasis: bridging the gaps
[24] 저널 Flow control in our vessels: vascular valves make sure there is no way back https://doi.org/10.1[...] 2013-03-01
[25] 서적 Pathophysiology of Edema Formation https://www.ncbi.nlm[...] Morgan & Claypool Life Sciences 2010
[26] 서적 Guyton and Hall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Saund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