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긴다나오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긴다나오족은 필리핀 민다나오섬 서부 평원에서 수렵과 농경에 종사하며 살아온 민족이다. 15세기 초 이슬람교를 받아들여 마긴다나오 왕국과 부아얀 왕국을 세워 민다나오섬 일대를 지배했다. 스페인, 미국, 필리핀 정부에 저항하며 오랜 투쟁 역사를 가졌으며, 1990년대 후반에는 모로 이슬람 해방 전선의 주요 구성원이 되기도 했다. 마긴다나오어와 필리피노어, 영어를 사용하며, 전통적인 춤과 음악, 문학을 통해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민족 - 아티족
    아티족은 필리핀 군도, 특히 파나이섬과 보라카이섬에 거주하는 네그리토계 원주민으로, 비사야족보다 먼저 정착하여 이나티어를 사용하며 애니미즘 신앙을 가지고 수렵 채집 생활을 했으나, 현재는 농업 등에 종사하며 아티-아티한 축제를 통해 문화를 기념하고, 토지 소유권 문제와 차별 속에서 필리핀 정부의 보호를 받고 있다.
  • 필리핀의 민족 - 네그리토
    네그리토는 동남아시아와 안다만 제도에 거주하며 검은 피부와 작은 키를 공유하는 여러 민족 집단을 지칭하는 용어로, 유전적으로는 동아시아계와 파푸아계의 경계에 위치한 여러 분리된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수렵채집 생활을 해왔으나 현재 어려움을 겪고 있다.
마긴다나오족
기본 정보
S.K 페스티벌의 마긴다나오 여자들.
S.K 페스티벌의 마긴다나오 여자들.
민족명마긴다나오족
현지 민족명마긴다나운
현지 민족명 (아랍 문자)مڬندنون
총 인구 (2020년)2,021,099명 (필리핀 인구의 1.9%)
주요 거주 지역필리핀
방사모로 자치구, 소크사르젠, 잠보앙가 반도, 다바오 지역, 마닐라, 세부
주요 거주 지역 (세부 지역)마긴다나오델노르테 주 및 마긴다나오델수르 주
주요 거주 지역 인구1,101,885명
주요 거주 지역 (세부 지역)술탄쿠다라트 주
주요 거주 지역 인구243,445명
주요 거주 지역 (세부 지역)노스 코타바토 주
주요 거주 지역 인구214,015명
주요 거주 지역 (세부 지역)사우스 코타바토 주
주요 거주 지역 인구41,721명
주요 거주 지역 (세부 지역)사랑가니 주
주요 거주 지역 인구41,516명
주요 거주 지역 (세부 지역)잠보앙가델수르 주
주요 거주 지역 인구41,255명
주요 거주 지역 (세부 지역)헤네랄산토스
주요 거주 지역 인구40,073명
주요 거주 지역 (세부 지역)마닐라
주요 거주 지역 인구38,861명
주요 거주 지역 (세부 지역)잠보앙가시부가이 주
주요 거주 지역 인구12,910명
주요 거주 지역 (세부 지역)부키드논 주
주요 거주 지역 인구10,709명
주요 거주 지역 (세부 지역)다바오 시
주요 거주 지역 인구8,258명
주요 거주 지역 (세부 지역)잠보앙가델노르테 주
주요 거주 지역 인구4,030명
주요 거주 지역 (세부 지역)리살 주
주요 거주 지역 인구3,168명
주요 거주 지역 (세부 지역)카비테 주
주요 거주 지역 인구2,816명
주요 거주 지역 (세부 지역)다바오델노르테 주
주요 거주 지역 인구2,658명
사용 언어주요 언어
마긴다나오어
추가 언어
필리핀어
영어
종교수니파 이슬람
관련 민족마라나오족, 이라눈족, 칼라간족, 루마드
사마-바자우족, 다른 모로족 민족, 비사야족
다른 필리핀인, 말레이인
다른 오스트로네시아인

2. 역사

15세기믈라카 술탄국의 샤리프 카분스완이 조호르에서 민다나오섬에 와 이슬람 국가를 건설하면서 마긴다나오족은 이슬람교로 개종했다.[19][20] 이후 마긴다나오 왕국과 부아얀 왕국을 세워 민다나오섬 거의 전역을 지배했다. 16세기 후반 스페인필리핀을 식민지로 삼자 저항했고, 미국 식민 통치와 필리핀 정부에도 저항했다.

1990년대 후반 모로 이슬람 해방 전선의 최대 구성원으로 반정부 성향을 강화했으나, 2000년대 필리핀군의 공세로 평화협상이 진행되었다.[21] 오랜 저항으로 총기 취급에 익숙한 이들이 많아 정적 간 무력 항쟁 등 민다나오섬 치안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21]

2. 1. 기원 및 형성

예로부터 마긴다나오족은 민다나오섬 서부 평원에서 수렵, 농경 등에 종사했다. 15세기믈라카 술탄국의 사람으로 조호르에서 온 설교자 샤리프 카분스완이 민다나오섬에 들어와 민다나오 최초의 이슬람 국가를 건설하면서 마긴다나오족도 종속되어 이슬람교로 개종이 진행되었다.[19][20] 이후 마긴다나오족은 마긴다나오 왕국과 부아얀 왕국을 세우고 민다나오섬의 거의 전역을 지배했다. 16세기 후반 스페인필리핀을 식민지로 삼자 저항했고, 이후 미국이 필리핀을 식민 통치할 때와 필리핀 정부(마닐라)에 대해서도 저항을 계속했다.

마긴다나오족과 테두라이족의 조상들은 최초의 무슬림 선교사들이 도착하기 전, 맘알루와 타부나와이 형제를 포함하여 코타바토 저지대에서 함께 살았다.[19][20] 샤리프 카분스완이 이슬람을 전파하러 왔을 때, 동생 타부나와이는 신앙을 받아들였으나 형 맘알루는 옛 신념을 고수하며 거부했다. 상반된 신앙 사이의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형제는 맘알루가 산에 정착하고 타부나와이는 풀랑기를 따라 저지대에 머물도록 협정을 맺었다. 각자 추종자들과 함께였다. 분리된 후, 시간이 지나면서 타부나와이가 이끄는 저지대 무슬림은 마긴다나오족이 되었고, 맘알루의 고원 애니미스트들은 테두라이족이 되었다. 그 후 형제는 강을 건너는 마법의 배를 사용하여 서로에게 물건을 보내며 분리되었음에도 관계를 유지했다. 이 배는 형제의 명령에 따라 스스로 운행될 수 있었다. 두 그룹은 그 이후로 역사적으로 대체로 평화로운 관계를 유지해 왔다.[19][20]

2. 2. 마긴다나오 술탄국 시대

15세기믈라카 술탄국의 사람으로 조호르에서 온 설교자 샤리프 카분스완이 민다나오섬에 들어와 민다나오 최초의 이슬람 국가를 건설하면서, 예로부터 민다나오 서부 평원에서 수렵, 농경 등에 종사하던 마긴다나오 족도 이슬람교로 개종하게 되었다. 이후 마긴다나오 족은 마긴다나오 왕국과 부아얀 왕국을 세우고 민다나오섬 거의 전역을 지배했다.

마긴다나오 술탄국의 왕실 깃발


1521년 마긴다나오 술탄국의 지도


16세기 초, 아랍-말레이인 설교자인 샤리프 무하마드 카붕수완은 말라카 왕실 출신으로, 현재 말라방에 도착하여 이슬람교 신앙과 관습을 소개하고, 지역 공주와 결혼하여 코타바토를 수도로 하는 술탄국을 건국했다. 이 지역의 또 다른 권력 중심지인 부아이안 술탄국은 현재 다투 피앙에 위치해 있으며, 초기 아랍 선교사들로 거슬러 올라가는 더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비록 이슬람교 신앙을 심을 수는 없었지만, 더 정교한 정치 체제를 도입했다. 부아이안에서는 이슬람교로의 전환이 더 오래 걸렸다. 스페인 연대기에는 당시 민다나오에서 코타바토가 아닌 부아이안이 가장 중요한 정착지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16세기 후반 스페인이 필리핀을 식민지로 삼자 마긴다나오 족은 저항에 나섰다.

2. 3. 스페인 식민지 시대

예로부터 마긴다나오족은 민다나오 서부 평원에서 사냥, 농사 등에 종사하고 있었지만, 15세기 초 믈라카 술탄국의 샤리프 카분스완이 민다나오섬에 들어와 최초의 이슬람 국가를 건설하면서 이슬람교로 개종하게 되었다. 이후 마긴다나오 왕국과 부아얀 왕국을 세우고 민다나오섬 거의 전역을 지배했다. 16세기 후반 스페인이 필리핀을 식민지로 삼으려 하자 저항에 나섰다.

술탄 쿠다라트 기념비가 있는 탄타완 공원. 그는 마긴다나오 술탄국의 가장 강력한 통치자 중 한 명으로,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스페인 침략에 성공적으로 맞서 싸웠고 17세기에 민다나오에서 자신이 통제하는 영토에서 기독교의 확산을 막았다.


1579년, 프란시스코 데 산데 총독이 파견한 원정대는 마긴다나오 정복에 실패했다. 1596년, 스페인 정부는 에스테반 로드리게스 데 피게로아 대위에게 민다나오 식민지화 독점권을 부여했지만, 그는 부얀에서 패배하고 부하옌족의 매복 공격으로 사망했다. 그의 군대는 삼보앙가 근처로 후퇴했다. 1606년 부얀의 다투 시롱안이 패배한 후 마긴다나오-코타바토 세력이 부상했다. 1607년부터 1635년까지 코타바토를 중심으로 새로운 군사 동맹이 결성되었다. 1630년대에 이르러 코타바토는 해안 세력이 되었다.

17세기 초, 마긴다나오, 마라나오, 타우수그 등 무슬림 집단으로 구성된 가장 큰 동맹이 술탄 쿠다라트에 의해 결성되었으며, 그의 영토는 다바오 만에서 삼보앙가 반도의 다피탄까지 확장되었다. 스페인이 파견한 여러 원정대는 패배를 겪었다. 1635년, 후안 데 차베스 대위가 삼보앙가를 점령하고 요새를 건설하자, 쿠다라트의 제독 다투 타갈이 비사야스 마을을 습격했지만 패배했다. 1637년, 후르타도 데 코르쿠에라 총독이 직접 쿠다라트에 대항하는 원정을 이끌어 라미탄과 일리안에서 그의 군대를 물리쳤다. 1663년 스페인군이 철수하면서 쿠다라트는 군대를 재결집할 기회를 얻었다.

1663년부터 1718년까지 마긴다나오의 영향력은 서쪽으로는 삼보앙가, 북쪽으로는 카가얀 데 오로, 남쪽으로는 사란가니, 동쪽으로는 다바오까지 확장되었다. 1719년, 스페인군은 삼보앙가에 필라르 요새를 건설하여 통제력을 재확립했다. 1730년대에는 내전과 내부 분열로 마긴다나오 술탄국이 약화되었다. 포위된 왕세자가 스페인의 도움을 요청하면서 술탄국의 위신은 더욱 훼손되었다. 코타바토 세력은 스페인의 지원에 점점 더 의존하게 되었고, 이러한 타협이 깊어지면서 몰락했다.

부얀의 세력이 다시 나타나는 것을 두려워한 술탄 쿠다라트 2세는 결국 코타바토를 스페인에 양도하고 자신에게는 1000USD, 아들에게는 800USD의 연금을 받았다. 다투 우토 휘하의 부얀은 1860년대에 마긴다나오의 세력이 되었다. 1887년, 에밀리오 테레로 장군은 우토에 대항하는 원정을 이끌었지만, 코타바토의 요새를 파괴했을 뿐 스페인 주권을 강요할 수는 없었다. 1891년, 발레리아노 웨일러 총독이 직접 마긴다나오와 마라나오에 대항하는 캠페인을 이끌었다. 몇 달 후, 웨일러는 풀랑기 해안과 일라눈 해안 사이에 있는 파랑-파랑에 요새를 건설하여 우토에게 무기 수송을 효과적으로 중단시켰고, 우토는 1902년에 패배한 채 사망했다.

2. 4. 미국 식민지 시대

필리핀-미국 전쟁 동안, 미국은 1899년 존 C. 베이츠 준장과 졸로의 술탄 자말룰 키람 2세가 서명한 키람-베이츠 조약에 명시된 바와 같이, 무슬림 지역에 대한 불간섭 정책을 채택했다. 이 협정은 상호 불가침 조약으로, 미국은 술탄과 다른 족장들의 권위를 인정해야 했으며, 그들은 해적 행위와 기독교인에 대한 범죄에 대항하기로 동의했다.[3] 그러나 무슬림들은 미국에 필리핀 제도를 양도한 파리 조약에 자신들의 땅도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알지 못했다.[3]

필리핀-미국 전쟁 이후, 미국은 새로 형성된 "모로 지방"에 대한 직접 통치를 확립했는데, 이 지방은 잠보앙가, 라나오, 코타바토, 다바오, 술루의 5개 구역으로 구성되었다.[3] 정치, 사회, 경제적 변화가 도입되었다. 여기에는 지방 및 구역 기관의 설립, 공립 학교 시스템 및 미국식 사법 시스템의 도입, 세둘라의 부과, 식민 정부의 장려에 따른 기독교인의 무슬림 지역 이주, 노예 제도의 폐지가 포함되었다.[3] 코타바토의 다투 알리는 노예제 폐지 법안을 준수하기를 거부하고 미국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으나, 1905년 10월, 그는 부하들과 함께 살해되었다.[3] 1913년 12월 15일, 민다나오 및 술루 부는 모로 지방을 대체했다.[3] 필리핀 사회로의 무슬림 통합을 장려하기 위한 개혁을 도입하는 "매력 정책"이 도입되었다.[3]

코타바토 시, 민다나오 (1913)에서 춤을 추는 마긴다나오 소녀들.


1916년, 입법 권한을 필리핀 상원과 하원에 이양하는 존스 법이 통과된 후, 일부다처제가 불법화되었다.[4] 그러나 무슬림에게는 새로운 제한 사항을 준수할 시간을 주었다.[4] "대리 식민주의"는 1919년 공공 토지법에 의해 합법화되어 무슬림의 푸사카 (상속 재산) 법을 무효화했다.[4] 이 법은 또한 국가에 토지 소유권을 부여할 권리를 부여했다.[4] 무슬림들이 "더 진보된" 기독교 필리핀인들로부터 "배우고" 주류 필리핀 사회에 더 쉽게 통합될 것이라고 생각했다.[4]

1920년 2월, 필리핀 상원과 하원은 민다나오 및 술루 부를 폐지하고 그 책임을 내무부 산하 비기독교 부족국으로 이관하는 법률 제2878호를 통과시켰다.[5] 무슬림들의 불만은 권력이 기독교화된 필리핀인들에게 이동하면서 커졌다. 군사적으로 우월한 미국인들의 통치를 받는 것과 전통적인 적이었던 기독교 필리핀인들에게 통치를 받는 것은 다른 문제였다.[5] 1921년과 1924년, 무슬림 지도자들은 민다나오와 술루가 미국에 의해 직접 통치될 것을 요청하는 청원을 보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5] 고립된 무력 저항 사례는 신속하게 진압되었다.[5] 코타바토에서 키다파완의 다투 암방은 미국과 기독교 필리핀인에 대항하는 지하드(성전)를 선동하려 했으나, 지방 주지사가 정부군을 동원하면서 이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5]

무력 저항의 무용함을 깨달은 일부 무슬림들은 상황을 최대한 활용하려 했다.[6] 1934년, 술루의 아롤라스 툴라위, 코타바토의 다투 메난당 팡과 다투 블라 신수아트, 그리고 라나오의 술탄 알라오야 알론토가 1935년 제헌 의회에 선출되었다.[6] 1935년에는 2명의 무슬림만이 국회에 선출되었다.[6]

연방 기간 동안에는 무슬림들이 이전 미국 행정부 하에서 누렸던 특권을 종식시키려고 했다.[6] 민다나오 행정법에 명시된 일부 국가 법률에 대한 무슬림 면제, 그리고 모로 위원회에 명시된 무슬림의 전통적인 이슬람 법원을 사용할 권리는 종료되었다.[6] 비기독교 부족국은 민다나오 및 술루 위원장 사무실로 대체되었으며, 이 사무실의 주요 목표는 무슬림이 아닌 연방을 위해 민다나오의 완전한 경제적 잠재력을 활용하는 것이었다.[6] 이러한 "개발" 노력은 1936년부터 1941년까지 라나오를 중심으로 다양한 무장 봉기로 나타난 불만을 초래했다.[6] 무슬림들은 일반적으로 이슬람과 그들의 생활 방식을 위협하는 모든 것에 반감을 가진다.[6] Che Man(1990:56)은 그들이 반미국적이지도, 반필리핀적이지도 않았지만, 단순히 그들의 전통적인 생활 방식에 대한 모든 형태의 외국 침해에 반대했다고 믿는다.[6]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무슬림들은 일반적으로 미국 연방 정부보다 덜 관대하고 그들에게 더 가혹했던 일본에 대항하는 싸움을 지지했다.[6]

2. 5. 필리핀 독립 이후

독립 이후, 무슬림들을 새로운 정치 질서에 통합하려는 노력은 완강한 저항에 직면했다. 기독교 필리핀인보다 더 긴 이슬람교도 문화 역사를 가진 무슬림들이 자신들의 정체성을 포기할 가능성은 낮았다. 이 갈등은 1965년 무슬림 병사들이 사바 침공을 거부했다는 이유로 제거된 "자비다 학살" 사건으로 악화되었다.[21] 이 사건은 무슬림 독립 운동(MIM), 안사르 엘-이슬람, 이슬람 군대 및 기구 연합 등 다양한 분리주의 운동의 부상을 촉진했다. 1969년, 모로 민족 해방 전선(MNLF)은 교육받은 젊은 무슬림 그룹에 의해 방사 모로 공화국이라는 개념으로 창설되었다. 이 그룹의 지도자인 누르 미수아리는 이전 운동들을 봉건적이고 억압적인 것으로 간주하고, 무슬림의 상황과 필리핀 전반의 상황을 분석하기 위해 마르크스주의적 틀을 사용했다. 1976년, 필리핀 정부와 MNLF 간의 트리폴리 협상으로 트리폴리 협정이 체결되었고, 이 협정은 민다나오에 자치 지역을 설치하는 것을 규정했다. 1977년에 협상이 재개되었고, 13개 주에 자치를 창설하는 대통령령 공포, 임시 정부 창설, 그리고 정부 행정을 결정하기 위한 자치 지역 내 국민투표 실시 등에 합의했다. 누르 미수아리는 임시 정부 의장으로 초청받았지만 거절했다. 국민투표는 무슬림들이 보이콧했다. 협상은 결렬되었고, 전투는 계속되었다.[21]

코라손 아키노가 대통령이 되자, 민다나오와 코르디예라에 자치 지역을 창설하는 것을 규정한 새로운 헌법이 비준되었다. 1989년 8월 1일, 공화국 법 673호, 즉 민다나오 유기법에 따라 마긴다나오, 라나오델수르, 술루, 타위타위를 포함하는 무슬림 민다나오 자치 지역(ARMM)이 창설되었다.[21]

1990년대 후반에는 모로 이슬람 해방 전선의 최대 구성원이 되어 반정부 성향을 강화했지만, 2000년대에 들어 필리핀군의 공세가 강해지면서 평화가 진전되었다.[21]

오랜 저항의 역사에서, 총기 등의 취급에 익숙한 자도 여전히 많고, 정적끼리 대규모 무력 항쟁이 벌어지는 등, 민다나오 섬의 치안 악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21]

3. 언어

마긴다나오어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마긴다나오족의 모국어이다.[22] 이 외에도, 대부분은 다양한 수준으로 필리피노어와 영어를 구사할 수 있다. 아랍어마드라사에서 교육받은 마긴다나오족 사이에서 사용되는데, 이는 대부분의 마긴다나오족의 종교인 이슬람교의 종교 언어이기 때문이다.

소크사르겐과 민다나오의 나머지 지역에 거주하는 마긴다나오족은 힐리가이논어 (전자의 주요 비사야어)를 말하고 이해할 수 있으며, 어느 정도까지는 세부아노어일로카노어도 모국어와 함께 구사할 수 있는데, 이는 20세기 이후 루손과 비사야에서 남쪽으로의 이주로 인해 민다나오 (특히 소크사르겐)가 문화의 용광로이기 때문이다.

영어마긴다나오어
당신의 이름은 무엇입니까?Ngin i ngala nengka?
내 이름은 무하마드입니다.Muhhamad i Ngala ku
어떻게 지내세요?Ngin i betad engka?
저는 괜찮아요.Mapia aku, [bun]
아흐마드는 어디에 있습니까?Endaw si Ahmad?
그는 집에 있습니다.Lu sekanin sa waley
감사합니다.Sukran
‘~에 머물고 있다’ 또는 ‘~에 산다’Pegkaleben aku sa/Pedtana aku sa
저는 집에 있습니다.Sia aku sa walay.
배가 고파요.Kagutem aku.
그는 학교에 있습니다.San sekanin, sa Pengagian.
물고기Seda
다리Lisen
Lima
사람Tau


4. 문화

마긴다나오족은 시각 예술, 공연 예술,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풍부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

금속 세공 기술이 뛰어나 의례용 검인 크리스 등을 제작했으며, 사가얀 춤은 영웅 반투간 왕자의 전투와 승리를 묘사한다. 쿨리탕과 아궁을 이용한 음악도 유명하다.[1]

문학은 민속 언어와 민속 이야기로 나뉜다. 민속 언어는 수수께끼와 서정시로, 민속 이야기는 이슬람 전통과 민속 전통으로 나뉜다. 이슬람 전통에는 꾸란, 계보 이야기 ''tarsila'', 관습법 ''Luwaran'', 하디스, 종교 이야기 ''quiza''가 있다. 민속 전통은 민담 ''tudtul''과 서사시 ''Raja Indarapatra'', ''Darangen'', ''Raja Madaya''로 구성된다.

코로날 남코타바토에서 열린 T'nalak 축제에서 공연되는 마긴다나오 춤

4. 1. 시각 예술

마긴다나오족은 시각 예술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역사적으로 그들은 금속 세공인으로 명성이 높았으며, 물결 모양의 칼날을 가진 의례용 검인 크리스와 기타 무기, 그리고 징을 제작했다.[1] 마긴다나오족은 사가얀 춤으로 널리 알려졌는데, 이 춤은 그들의 영웅인 반투간 왕자가 무기를 착용하고, 전투를 벌이고, 그 후 승리하는 과정을 극적으로 묘사한다.[1] 사나운 전사들을 묘사하는 공연자들은 한 손에는 조개 껍질 소리를 내는 방패를, 다른 손에는 양날 검을 들고 주인을 방어하기 위해 구르는 동작을 시도한다.[1] 또한 그들은 쿨리탕과 아궁을 이용한 Binalig a Mamayog와 Sinulog a Bagu와 같은 훌륭한 음악으로도 유명하다.[1]

4. 2. 공연 예술

마긴다나오족은 남부 필리핀의 무슬림과 비무슬림 집단에서 모두 발견되는 특정 종류의 징 음악인 쿨린탕 음악을 중심으로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전통 쿠티야피를 연주하는 남성


2000년대 후반 마긴다나오와 소크사르겐을 중심으로 방사모로 팝(B-팝; 모로팝이라고도 함)으로 알려진 언더그라운드 팝 음악 씬이 등장하여 이 지역의 지역 라디오 청취자와 팬들을 확보했을 뿐만 아니라, 유튜브를 통해 마긴다나오 디아스포라들 사이에서도 세계적인 추종자를 얻었다.[24] 주목할 만한 B-팝 아티스트로는 "모로 노래의 왕"으로 불리는 다투 코메이니 캄사 반수안, 탬택스, 존슨 앰파투안, "방사모로 팝의 여왕"으로 불리며 "질투"라는 곡으로 알려진 샤이라 등이 있다. 이들은 클럽보다는 바랑가이 농구 코트, 주택가, 생일 파티나 결혼식, 심지어 숲속 마을과 같은 외딴 지역에서 공연을 한다.[24] 이들의 가사는 주로 마긴다나오어와 타갈로그어로 쓰여진다.[24]

4. 3. 문학

마긴다나오족의 문학은 민속 언어와 민속 이야기로 나눌 수 있다. 민속 언어는 수수께끼(''antuka/pantuka/paakenala'')와 서정시(''bayok'')로 표현되며, 이야기는 이슬람 전통과 민속 전통으로 구분된다.

이슬람 전통에는 꾸란, 계보 이야기인 ''tarsila'', 관습법을 구현한 ''Luwaran'', 무함마드의 언행인 하디스, 종교 이야기인 ''quiza''가 있다. 민속 전통은 민담(''tudtul'')과 서사시 ''Raja Indarapatra'', ''Darangen'', ''Raja Madaya''로 구성된다.
수수께끼마긴다나오족에게 수수께끼는 집단 내 우정을 증진시키고 기본적인 교육 도구 역할을 한다. 수수께끼는 이미지와 주제로 구성되며, 이미지는 비교, 묘사, 말장난 또는 퍼즐, 이야기의 네 가지 유형이 있다. 마긴다나오족은 환경의 다양한 측면을 뒷받침하는 기본적인 통일성을 믿으며, 이는 수수께끼에서 종종 상반되는 이미지와 주제를 사용하는 데 반영된다.[1]

수수께끼 풀이는 한 명의 수수께끼 내는 사람과 여러 사람의 참여로 이루어진다. 수수께끼 내는 사람은 수수께끼를 준비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조롱(''dtapulung'')을 받는다. 마긴다나오족은 수수께끼 내는 사람의 원래 텍스트에 내용을 추가하거나 빼는 사람을 형편없는 수수께끼 내는 사람으로 간주한다. 수수께끼 풀이는 작업이나 오락 등 집단 활동이 진행되는 동안 언제 어디서든 할 수 있다.

답의 모호성은 바랑가이(기본적인 정치 단위)에서 존경받는 노인이나 누군가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수수께끼는 다양한 논리적으로 가능한 해결책을 제시하여 기본적인 교육의 형태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Sia den, inia den.' (여기에 있고, 저기에 있다.)"라는 수수께끼에는 "바람"이 한 가지 답이고, "요람"과 같은 다른 가능한 답도 있다.[1]

수수께끼는 마긴다나오족의 세계관을 나타내기도 한다. 예를 들어, "숲 속의 식인종, 머리만 먹는다"라는 수수께끼에 대한 답은 "모자"이다. 식인종과 모자는 공통점이 없지만, "머리만 먹는"과 같은 은유를 사용하여 조화를 이룬다.[1]

수수께끼와 관련된 믿음으로는 악령의 참여를 초대하지 않도록 밤에는 수수께끼를 내지 말아야 한다는 것과 ''nipai''(뱀)라는 단어를 피해야 한다는 것이 있다. 만약 뱀이라는 단어 사용을 피할 수 없다면, "큰 벌레"와 같은 완곡한 표현을 사용한다.[1]
마긴다나오족의 시는 ''ida-ida'' ''a rata''(합창으로 불리는 어린이 노래) 또는 ''tubud-tubud''(짧은 연애시)와 같은 형태로 표현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빠르게 날아가는, 빠른 것은

: 매를 잡으려 노력한다

: 그러나 그는 그와 같을 수 없다

: 그는 너무 작기 때문이다

: 슬픔, 나에게 슬픔

: 사랑하는 사람을 생각하는 걱정

: 그리고 나는 내 감정이 우세하도록 할 수 없고, 내 사랑을 표현할 수 없다

: 왜냐하면 내가 그것을 드러내고 싶을 때마다

: 그것을 막는다.

은유적인 언어로 구성된 바요크는 신중하고 완곡한 표현이 필요할 때 사용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2]

: 말하는 살랑쿠나이

: 당신을 믿기는 어렵다,

: 거짓 잎이 돋아날 수 있다

: 수다스러운 던-던을 좋아한다

: 당신을 믿기는 어렵다

: 속이는 싹이 나타날 수 있다

: 내가 [시작할 때] 어루만지면

: 바다에서

: 당신은 나에게서 들을 것이다

: 내 사랑, 내게 가까이.
민담 (Tudtul)'''Tudtul'''(민담)은 단순한 사건을 다루는 짧은 이야기이다.

  • ''라그야 쿠다라트'': 룸의 라그야(라자) 맘팔라이의 두 자녀, 라그야 쿠다라트와 푸텔리(공주) 시티 쿠말라가 바람에 날려가는 모험을 이야기한다. 푸텔리 쿠말라는 숲으로 날아가 카바얀(나이든 미혼 여성)을 만나 입양되고, 카바얀은 이전에 수메드센 사 알룽안이라는 왕자를 입양했다. 쿠말라와 수메드센은 같은 집에서 살지만 서로에게 말을 걸지 않는다. 나중에 쿠말라는 떠나고 수메드센이 함께 간다. 그들은 룸으로 가는 길을 찾고, 수메드센은 쿠말라와 결혼한다. 한편, 라그야 쿠다라트는 카불라와난으로 날아가 다른 카바얀을 만나 함께 살고, 시파(발목으로 차는 등나무 공) 게임을 하는 소리를 듣고 게임에 참여한다. 그는 실수로 시파가 공주 앞에 떨어지게 하고, 공주와 결혼하게 된다. 결혼 후 쿠다라트는 향수를 느껴 룸으로 돌아가고, 일주일 후 처가에서 살기 위해 카불라와난으로 돌아간다.[3]
  • ''파트-이-마타'': 파트-이-마타와 다투 사 풀루라는 두 형제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파트-이-마타는 네 개의 눈을 가지고 있으며 여성에게 잔혹하여 결혼하고 못생겨지면 돌려보낸다. 카발루칸 사람들은 그의 잔혹함을 참을 수 없어 다투 사 풀루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다투 사 풀루는 파트-이-마타를 죽이기로 결심하고 우리를 만든다. 파트-이-마타는 우리를 요구하고, 다투는 형제의 소원을 들어준다. 파트-이-마타와 그의 추종자들이 우리에 들어가자 다투는 문을 닫으라고 명령한다. 속았다는 것을 깨달은 파트-이-마타는 강에 던져지기 전에 "우리는 항상 적이 될 것이고 영원히 화해하지 않을 것이다. 나는 죽겠지만 당신이 강에서 보트를 타고 갈 때마다 내 영혼이 뒤집히기를 바랍니다"라고 말한다.[4]

서사시마긴다나오 서사시는 이슬람 이전 시대부터 불려졌으며, 나중에 이슬람의 요소가 통합되었다.

  • ''라자 인다라파트라'': 다양한 등장인물을 다루며, 그들 중 많은 사람이 초자연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 라자 인다라파트라와 라자 술라이만이라는 두 형제가 끔찍한 생물로부터 민다나오를 구하는 이야기와 술탄 나비와 그의 사촌의 결합에서 유래한 라자 인다라파트라의 탄생을 다룬다.[5]
  • ''라자 마다야'': 언어, 은유, 이야기 속의 물체 등 많은 요소가 마긴다나오적이다. 아이가 없는 술탄 디틴데겐이 아이를 위해 기도하며 용에게 줄 것을 약속하고, 그의 소원이 이루어진 후 용이 나타나 인탄 티하야 공주를 데려가려고 하자 라자 마다야가 그녀를 구하러 온다.[6]

살실라스 (Tarsilas)''살실라스'' 또는 ''타르실라스''는 가문의 혈통을 추적하는 가보이며, 귀족 계보를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타르실라는 마긴다나오 최초의 무리를 라방간으로 이끄는 다투 굼바의 모험을 이야기한다. 그는 지역 공주 바이-알리바바이와 결혼하여 다투 사 라방간이라는 칭호를 얻었다. 그 외 다투로는 다투 마울로나 타우프 콘시와 다투 카나오 술탄 마푸티가 있다.[7]
루와란 (Luwaran)''루와란''은 살인, 절도, 간통, 상속 및 무역을 다루는 암호화된 아닷 법률 모음이다. 이 법은 계급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며, 이후 현대 이슬람 법학의 기초가 되었다.[8]
하디스하디스는 이슬람 학자들이 수집, 편집, 인증한 무함마드의 말과 행동이다. 하디스는 이슬람 법과 법학의 출처 중 하나이며, 꾸란의 특정 내용을 설명하고 명확히 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사용되는 언어는 아랍어이다.
퀴자 (Quiza)종교적인 ''퀴자''는 아랍어로 쓰여진 이야기로, 이맘이 아이들에게 이슬람교를 가르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즈라-왈-미라지"는 무슬림이 하루에 다섯 번 기도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무함마드는 천사 디아바-라일에게 깨어난 후 부라크를 타고 예루살렘의 마스지드 엘-아그사로 이동하여 하늘로 인도하는 밝은 빛을 본다. 일곱 번째 층에서 그는 하나님의 목소리를 듣고 천국과 지옥을 본다. 내려오는 길에 그는 모세로부터 기도의 수를 하루 50번에서 5번으로 줄여달라고 하나님께 요청하라는 지시를 받고, 그의 요청은 받아들여진다.

5. 현대 사회

마긴다나오족은 현대 사회에서도 정치, 경제, 문화,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필리핀 사회에 기여하고 있다. 상세한 내용은 주요 인물 섹션을 참고하라.

5. 1. 주요 인물

이름설명
다투 샤리프 자이날 아베딘아랍계와 마귄다나오족 혼혈로, 하부 부아얀의 다투의 딸과 결혼하여 최초의 시 시장이 된 영향력 있는 인물이다.
살리파다 펜다툰필리핀 변호사, 군 장교, 정치인으로, 모로족 필리핀 무슬림 중 최초로 이 직책을 맡았다.
다투 바고1800년부터 1850년 사망할 때까지 다바오 만의 다투였으며, 마귄다나오 술탄국의 봉신이었다.
무라드 이브라힘방사모로 자치 지역의 첫 번째이자 임시 수석 장관이다.
다투 피앙피앙 왕가의 창시자이다.
살라마트 하시姆모로 이슬람 해방 전선의 창립자이다.
무슬리민 세마전 코타바토 시 시장이자 모로 민족 해방 전선의 멤버이다.
모하게르 이크발모로 이슬람 해방 전선 멤버의 가명이다.
팍스 망구다다투전 술탄 쿠다라트 주지사이자, 전 술탄 쿠다라트 제1선거구 하원 의원(타쿠롱 포함)이었다.
샤리파 아킬무티아 응 필리피나스 2018 및 미스 아시아 태평양 인터내셔널 2018의 필리핀 모델이자 수상자이다.
칼리파 난도방사모로 자치 지역의 Walī이다.
에스마엘 망구다다투전 마귄다나오 주 주지사이자, 현재 마귄다나오 제2선거구의 필리핀 하원 의원이다.
팍스 알리 망구다다투술탄 쿠다라트 주지사인 필리핀 정치인이다.
마리암 망구다다투마귄다나오 델 수르의 최고 경영자였던 필리핀 여성 정치인이다.
나구이프 시나림보내무부 및 지방 정부 부(방사모로) 장관을 역임하는 필리핀 변호사이자 정치인이다.
모나 술라이만1962년 아시안 게임과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필리핀 육상 선수이다.
잘디 암파투안무슬림 민다나오 자치 지역의 다섯 번째 주지사였다.
안달 암파투안 주니어전 다투 운사이, 마귄다나오 시장이었다.
곰바이 피앙마귄다나오 지도자 다투 피앙의 아들이다.
사마온 술라이만국가 생존 보물상(필리핀)을 수상한 필리핀 음악가이다.
자카리아 칸다오무슬림 민다나오 자치 지역의 초대 주지사를 지낸 필리핀 정치인이다.
잠자민 암파투안필리핀 경력 관료이다.
다투 아미르 바라기르마귄다나오 술탄국의 25대 술탄이다.
종 마달리데이더 클래시(시즌 1) 참가자이다.
멜라니오 울라마원주민 문제부(방사모로) 장관을 역임하고 방사모로 과도기 의회 의원인 필리핀 정치인, 조상 지도자, 평화 옹호자이다.
바이 마리암 망구다다투마귄다나오 출신의 필리핀 여성 정치인이다.
이나 암볼로토자유당(필리핀)의 기치 아래 출마한 2016년 필리핀 총선 상원 후보였다.
사라 발라바간고용주를 흉기로 찔러 살해한 후 아랍 에미리트에서 구금된 전 가정부.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감형 후 석방되어 필리핀으로 돌아와 가수 겸 연예인으로 활동했다. 2003년부터 기독교로 개종했다. 그녀의 이야기는 영화로 만들어졌다. (1997년).
샤이라"셀로스"라는 곡으로 유명해진 필리핀 가수이다.


참조

[1] 웹사이트 Ethnicity in the Philippines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3-07-04
[2] 웹사이트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01-01
[3] 웹사이트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01-01
[4] 웹사이트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01-01
[5] 웹사이트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01-01
[6] 웹사이트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01-01
[7] 웹사이트 201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01-01
[8] 웹사이트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01-01
[9] 웹사이트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01-01
[10] 웹사이트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01-01
[11] 웹사이트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01-01
[12] 웹사이트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01-01
[13] 웹사이트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01-01
[14] 웹사이트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01-01
[15] 웹사이트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01-01
[16] 웹사이트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01-01
[17] 서적 Bondage and the Environment in the Indian Ocean World Springer 2018-01-01
[18] 간행물 Some Implications of the Okir Motif in Lanao and Sulu Art https://pdfs.semanti[...] 1968-01-01
[19] 서적 Studies in Moro History, Law, and Religion. http://worldcat.org/[...] Project Gutenberg
[20] 웹사이트 The origin of the Tedurays https://iag.org.ph/n[...] 2022-10-28
[21] 웹사이트 Maguindanao http://litera1no4.tr[...]
[22] 웹사이트 A grammar of the Maguindanao tongue according to the manner of speaking it in the interior and on the south coast of the island of Mindanao https://archive.org/[...] Washington, Govt. print. off.
[23] 웹사이트 "'B-Pop excellence': TikTok dubs trending singer Shaira the 'Queen of Bangsamoro Pop'" https://interaksyon.[...] 2024-03-15
[24] 간행물 FROM REBEL SONGS TO MORO SONGS: POPULAR MUSIC AND MUSLIM FILIPINO PROTEST https://journals.upd[...] 2010-04-12
[25] 뉴스 フィリピン・ムスリム関係史 http://ph-inside.com[...] フィリピンインサイドニュース 2002-01-01
[26] 뉴스 フィリピン動向分析レポート(2000年フィリピン)-エストラーダ政権崩壊の過程 http://d-arch.ide.go[...] JETRO 2000-01-01
[27] 뉴스 知事選届け出の一行21人殺害、フィリピン https://www.afpbb.co[...] フランス通信社 2009-1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