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대 (성경 인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대는 성경에 등장하는 인물로, 일반적으로 이란의 메디아인과 동일시된다. 플라비우스 요세푸스를 비롯한 많은 작가들은 마대를 메디아인의 조상으로 여겼으며, 하마단은 마대와 관련된 도시로 알려져 있다. 쿠르드족, 발루치족, 아제르바이잔인 역시 마대에서 기원했다는 전통을 가지고 있다. 희년서에 따르면 마대는 셈의 후손들 사이에서 살기를 원하여 메디아를 얻었으며, 그의 딸 밀카는 가이난과 결혼했다.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는 메두스와 메데이아가 메디아인의 조상으로 여겨졌으며, 기독교 학자들은 히브리어 '마다이'와 그리스어 '메도스'를 연결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디아 - 엑바타나
엑바타나는 고대 메디아 왕국의 수도로서, 여러 제국을 거치며 동서 문명 교류에 기여했고, 현재 하마단 지역에 위치하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역사적인 도시이다. - 메디아 - 마기
마기는 아베스타어에서 유래하여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며, 조로아스터교, 기독교, 헬레니즘, 동양 등 여러 문화권에서 제사장, 동방 박사, 마법사, 초자연적 존재 등을 지칭하는 단어이다. - 야벳 - 하이크
하이크는 아르메니아 민족의 시조로, 폭군 벨과의 싸움에서 승리하여 아르메니아인들의 자유를 지킨 전설적인 영웅으로, 그의 이름은 아르메니아와 아르메니아인을 뜻하는 말의 어원으로 여겨지며 아르메니아 문화와 정체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야벳 - 곡과 마곡
곡과 마곡은 성경에 등장하는 종말론적 인물 및 지명으로, 이스라엘을 공격하거나 사탄의 유혹으로 전쟁을 일으키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민족과 동일시되어 종교적 전승에서 종말론적 적대 세력으로 해석된다. - 희년서 - 사탄
사탄은 원래 "적대자"를 뜻하는 히브리어 단어였으나,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등에서 악마, 유혹자, 또는 인간 내면의 부정적인 면모를 상징하는 존재로 다양하게 해석되며 문화 예술 분야에서도 악의 상징으로 묘사된다. - 희년서 - 바벨탑
바벨탑은 창세기에 등장하는 인간이 하늘에 닿기 위해 건설하려다 신의 방해로 실패하고 언어가 나뉘게 되었다는 설화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유사한 형태로 나타나며 여러 외경과 문헌에서 기록을 찾아볼 수 있고 이후 다양한 매체에서 영감을 주어 소통의 중요성과 다양성의 가치를 상징하는 소재로 활용된다.
마대 (성경 인물) | |
---|---|
성경 인물 정보 | |
이름 | 마대 |
원어 이름 | מָדַי (마다이) |
로마자 표기 | Madai |
그리스어 이름 | Μηδος (메도스) |
그리스어 로마자 표기 | Mēdos |
성경 속 역할 | 야벳의 아들 |
민족의 조상 | 메디아인 |
2. 관련 민족
성경 인물 마대는 역사적으로 여러 민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가장 대표적으로는 후대의 기록에 등장하는 이란의 메디아인과 동일시되며[1], 쿠르드족, 발루치족 등 일부 이란계 민족은 자신들이 마대의 후손이라는 전통을 가지고 있다.[1] 또한 최근 연구에서는 미탄니,[2] 마티에네, 만나이와 같은 고대 민족과의 연관성도 제기되고 있다.
2. 1. 메디아인과 이란계 민족
성서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마대를 후대 기록에 등장하는 이란의 메디아인과 동일시한다. 요세푸스를 비롯한 후대의 작가들은 메디아인을 마대의 자손으로 보았으며, 이 메디아인들은 아시리아와 히브리어 자료에서도 '마대'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이란의 도시 하마단은 마대와 관련이 있는 지역으로 여겨진다.
쿠르드족, 발루치족, 그리고 튀르크화 이전의 아제르바이잔인은 자신들이 마대의 후손이라는 전통을 가지고 있다.[1]
2. 2. 기타 민족
최근 일부 학자들은 미탄니,[2] 마티에네, 그리고 만나이와 같은 다양한 초기 민족과의 연관성을 제안하기도 했다.3. 희년서(Book of Jubilees)
유빌리서 (10:35-36)에 따르면, 마대는 셈의 딸과 결혼하였다. 그는 자신이 할당받은 유산인 흑해 너머의 땅(겉으로는 영국 제도에 해당)보다는 셈의 후손들 사이에서 살기를 원했다. 그래서 처남인 엘람, 앗수르, 아르박삿에게 간청하여 마침내 자신의 이름에서 유래한 땅인 메디아를 받았다.[3]
또한 ''유빌리서''의 다른 구절(8:5)은 마대의 딸 밀카(멜카|멜카arc)가 가이난과 결혼했다고 기록한다. 가이난은 창세기의 70인역과 루카 복음서 (3:36)에도 언급되는 아브라함의 조상이다.
4. 메도스와 메데이아와의 관계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메도스''(Μηδοςgrc)와 그의 어머니 메데이아는 메디아인의 조상으로 여겨졌다. 기독교 학자들은 적어도 세비야의 이시도르 시대(서기 600년경)부터 히브리어 ''마다이''와 그리스어 ''메도스''를 연결하는 것을 제안해 왔다.
참조
[1]
서적
The Kurds of Iraq: Ethnonationalism and National Identity in Iraqi Kurdistan
2011
[2]
서적
Empire of Thebes, Or Ages in Chaos Revisited
2006
[3]
서적
The Dead Sea Genesis Apocryphon: A New Text and Translation with Introduction and Special Treatment of Columns 13-17
https://books.google[...]
2009-10-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