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벨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벨탑은 성경 창세기에 등장하는 이야기로, 인류가 하늘에 닿는 탑을 쌓으려다 신의 노여움을 사 언어가 혼란스러워져 흩어졌다는 내용이다. 이 이야기는 '혼돈'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바벨'에서 유래되었으며, 바빌론의 지구라트에서 영감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바벨탑 이야기는 언어의 기원, 인간의 교만, 신과 인간의 관계를 다루며, 다양한 문화권에서 유사한 신화로 나타난다. 또한 문학, 예술, 영화,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소재로 활용되며, 현대 사회의 분열과 소통의 어려움을 비유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바벨은 히브리어로 '혼돈'이라는 뜻으로 성경에 나타나 있다. 그러나 bab(문)와 el(신)의 합성어라는 견해도 있다.[9]
바벨탑 이야기는 구약성서 「창세기」 11장에 등장한다. 이 이야기는 노아 이야기 다음에, 아브라함 이야기 이전에 위치한다.[73]
아담과 이브의 에덴동산 이야기에서도 신과 인간 사이의 경쟁이라는 주제가 나타난다.[16] 요세푸스는 님롯이 신에 대한 오만한 반항으로 바벨탑 건설을 명령했다고 설명한다.
성경 학자들은 창세기를 역사적 사건에 대한 기록이 아니라 신화적인 것으로 본다.[23] 창세기는 역사화된 신화로 시작하여 신화화된 역사로 끝나는 것으로 묘사된다.[24]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벨탑 이야기는 그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다. 창세기 다른 곳에서는 바벨(칠십인역: Βαβυλών)이 메소포타미아 남부에 위치한 님롯 왕국의 일부를 이루었다고 명시되어 있다.[25] 요세푸스를 비롯한 많은 자료에서 바벨탑 건설을 님롯과 연관시켰지만,[38] 성경은 님롯이 탑 건설을 명령했다고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창세기 11:9는 바벨이라는 이름의 히브리어 버전을 히브리어로 "혼란시키거나 혼동시키다"라는 뜻의 동사 ''balal''에 기인한다고 설명한다.[26] 요세푸스는 마찬가지로 그 이름이 "혼란"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바벨(בבל)''에서 유래했다고 설명했다.[27]
2. 어원
창세기나 성경의 다른 곳에는 "바벨탑"이라는 표현이 나타나지 않는다. 항상 "그 성과 그 탑" 또는 단순히 "그 성"으로 나온다. 바빌론의 히브리어 이름인 바벨의 어원은 불확실하다. 원래 아카드어 이름은 ''Bāb-ilim''으로, "하나님의 문"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형태와 해석은 이름의 이전 형태인 ''Babilla''에 적용된 아카드어 어원설명에서 유래한 것으로 생각되며, ''Babilla''의 의미는 알 수 없고 아마도 셈어족이 아닌 기원일 것이다.[9][10]
창세기의 이야기에 따르면, 야훼가 인류의 공통 언어를 혼란스럽게 만든 후, 히브리어 동사 bālal|바랄he(뒤섞다 또는 혼란시키다라는 뜻)에서 "바벨"이라는 이름을 받았다.[11]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 따르면, 이것은 바빌론과 "혼란시키다"라는 히브리어 단어가 발음이 비슷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말장난을 반영한다.[7]
3. 성경의 기록
창세기 11장 1-9절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וַיְהִי כָל-הָאָרֶץ, שָׂפָה אֶחָת, וּדְבָרִים, אֲחָדִים|와예히 콜-하아레츠, 사파 에하트, 우데바림, 아하딤|온 세상이 한 가지 말을 쓰고 있었다. 물론 낱말도 같았다.he
וַיְהִי, בְּנָסְעָם מִקֶּדֶם; וַיִּמְצְאוּ בִקְעָה בְּאֶרֶץ שִׁנְעָר, וַיֵּשְׁבוּ שָׁם|와예히, 베나스암 미케뎀; 와임체우 비크아 베에레츠 신아르, 와예쉐부 샴|사람들은 동쪽으로 옮아 오다가 시날 지방 한 들판에 이르러 거기 자리를 잡고는 의논하였다.he
וַיֹּאמְרוּ אִישׁ אֶל-רֵעֵהוּ, הָבָה נִלְבְּנָה לְבֵנִים, וְנִשְׂרְפָה, לִשְׂרֵפָה; וַתְּהִי לָהֶם הַלְּבֵנָה, לְאָבֶן, וְהַחֵמָר, הָיָה לָהֶם לַחֹמֶר|와요메루 이쉬 엘-레에후, 하바 닐베나 레베님, 베니스레파, 리스레파; 와테히 라헴 할레베나, 레아벤, 베하헤마르, 하야 라헴 라호메르| "어서 벽돌을 빚어 불에 단단히 구워내자." 이리하여 사람들은 돌 대신에 벽돌을 쓰고, 흙 대신에 역청을 쓰게 되었다.he
וַיֹּאמְרוּ הָבָה נִבְנֶה-לָּנוּ עִיר, וּמִגְדָּל וְרֹאשׁוֹ בַשָּׁמַיִם, וְנַעֲשֶׂה-לָּנוּ, שֵׁם: פֶּן-נָפוּץ, עַל-פְּנֵי כָל-הָאָרֶץ|와요메루 하바 니브네-라누 이르, 우미그달 베로쇼 밧샤마임, 베나아세-라누, 쉠: 펜-나푸츠, 알-페네 콜-하아레츠| 또 사람들은 의논하였다. "어서 도시를 세우고 그 가운데 꼭대기가 하늘에 닿게 탑을 쌓아 우리 이름을 날려 사방으로 흩어지지 않도록 하자."he
וַיֵּרֶד יְהוָה, לִרְאֹת אֶת-הָעִיר וְאֶת-הַמִּגְדָּל, אֲשֶׁר בָּנוּ, בְּנֵי הָאָדָם|와예레드 야훼, 리르오트 에트-하이르 베에트-하미그달, 아쉐르 바누, 베네 하아담|야훼께서 땅에 내려 오시어 사람들이 이렇게 세운 도시와 탑을 보시고 생각하셨다.he
וַיֹּאמֶר יְהוָה, הֵן עַם אֶחָד וְשָׂפָה אַחַת לְכֻלָּם, וְזֶה, הַחִלָּם לַעֲשׂוֹת; וְעַתָּה לֹא-יִבָּצֵר מֵהֶם, כֹּל אֲשֶׁר יָזְמוּ לַעֲשׂוֹת|와요메르 야훼, 헨 암 에하드 베사파 아하트 레쿨람, 베제, 하힐람 라아소트; 베아타 로-이바체르 메헴, 콜 아쉐르 야제무 라아소트| "사람들이 한 종족이라 말이 같아서 안 되겠구나. 이것은 사람들이 하려는 일의 시작에 지나지 않겠지. 앞으로 하려고만 하면 못할 일이 없겠구나.he
הָבָה, נֵרְדָה, וְנָבְלָה שָׁם, שְׂפָתָם--אֲשֶׁר לֹא יִשְׁמְעוּ, אִישׁ שְׂפַת רֵעֵהוּ|하바, 네르다, 베나벨라 샴, 세파탐--아쉐르 로 이쉬메우, 이쉬 세파트 레에후| 당장 땅에 내려 가서 사람들이 쓰는 말을 뒤섞어 놓아 서로 알아듣지 못하게 해야겠다."he
וַיָּפֶץ יְהוָה אֹתָם מִשָּׁם, עַל-פְּנֵי כָל-הָאָרֶץ; וַיַּחְדְּלוּ, לִבְנֹת הָעִיר|와야페츠 야훼 오탐 미샴, 알-페네 콜-하아레츠; 와야흐델루, 리브노트 하이르| 야훼께서는 사람들을 거기에서 온 땅으로 흩으셨다.he
עַל-כֵּן קָרָא שְׁמָהּ, בָּבֶל, כִּי-שָׁם בָּלַל יְהוָה, שְׂפַת כָּל-הָאָרֶץ; וּמִשָּׁם הֱפִיצָם יְהוָה, עַל-פְּנֵי כָּל-הָאָרֶץ|알-켄 카라 쉐마, 바벨, 키-샴 발랄 야훼, 세파트 콜-하아레츠; 우미샴 헤피참 야훼, 알-페네 콜-하아레츠| 그리하여 사람들은 도시를 세우던 일을 그만두었다. 야훼께서 온 세상의 말을 거기에서 뒤섞어 놓아 사람들을 흩으셨다고 해서 그 도시의 이름을 바벨이라고 불렀다.he[74]
외경의 「유빌레서」에 따르면, 하나님은 노아의 아들들에게 세계 각지에 땅을 주고 거기에 살도록 명령하였다. 그러나 사람들은 하늘에 닿는 탑을 짓고, 셈[75]을 높이 올리고, 인간들이 각지에 흩어지는 것을 막으려고 생각했다. 하나님은 강림하여 이 탑을 보고 "인간은 언어가 같기 때문에 이러한 일을 시작했다. 사람들의 언어를 혼란스럽게 하고, 서로 통하지 않는 다른 언어를 사용하도록 하자"라고 말씀하셨다. 이 때문에 인간들은 혼란에 빠지고 탑 건설을 중단하고 전 세계로 흩어졌다.[76]
4. 분석
이러한 고전적인 해석에 대해, 이야기에서 언급된 문화적·언어적 동질성이라는 명시적인 동기에 중점을 둔 현대적인 비판이 제기되었다(1절, 4절, 6절). 이들은 하나님의 행동을 교만에 대한 벌이 아니라 문화적 차이의 원인으로 보고, 바벨을 문명의 요람으로 제시한다.[17]
바벨탑 이야기는 “인류가 탑을 쌓아 신에게 도전했기에, 신이 탑을 무너뜨렸다”는 해석이 널리 퍼져 있으나, 『창세기』는 탑 짓기를 그만두었다고 기술한다.
플라비우스 요세푸스는 『유대고대사』에서 바벨탑 이야기를 인류가 대홍수를 일으킨 신에게 복수하고자 탑을 쌓은 것으로 해석하며, 신은 홍수가 인류에게 지혜를 주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다시 홍수를 일으키는 대신 다른 방법을 택했다고 한다.[77]
랍비 전승에서는 님롯 왕이 신에게 도전하는 목적으로 칼을 들고 하늘을 위협하는 형상을 탑 꼭대기에 세웠다고 한다.
바벨탑 이야기는 세계에 다양한 언어가 존재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이야기로 알려져 있으며, “돌 대신 벽돌을, 회반죽 대신 아스팔트를” 사용했다는 기록은 고대 기술 혁신과 인류의 과학 기술 과신에 대한 신의 경고를 보여준다는 해석도 있다.
4. 1. 장르
바벨탑은 다양한 언어의 기원을 설명하는 기원 신화의 한 유형이다.[12] 신은 인간이 탑을 쌓아 신성을 모독했다고 판단하여 여러 언어를 만들어 인류가 서로 이해하지 못하게 하였다.
4. 2. 주제
플라비우스 요세푸스는 그의 저서 『유대고대사』에서 바벨탑 이야기를 인류가 대홍수를 일으킨 신에게 복수하고자 탑을 쌓은 것으로 해석한다. 요세푸스에 따르면, 신은 홍수가 인류에게 지혜를 주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다시 홍수를 일으키는 대신 다른 방법을 택했다.[77]
랍비 전승에 따르면, 님롯 왕은 신에게 도전하기 위해 칼을 들고 하늘을 위협하는 형상을 탑 꼭대기에 세웠다고 한다.
바벨탑 이야기는 세계에 다양한 언어가 존재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이야기로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돌 대신 벽돌을, 회반죽 대신 아스팔트를" 사용했다는 기록은 고대 시대의 기술 혁신을 보여주는 동시에, 인류가 과학 기술을 과신하는 것에 대한 신의 경고를 담고 있다는 해석도 존재한다.
4. 3. 높이
בָּבֶל|바벨he의 창세기에는 바벨탑의 높이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지만, "꼭대기가 하늘에 닿았다"는 표현은 엄청난 높이를 암시하는 관용구로 해석된다. 유빌레기서는 바벨탑의 높이를 5,433규빗 2손가락, 즉 2484m로 언급하는데, 이는 부르즈 할리파 높이의 약 3배인 약 2.6km에 해당한다.[18]
외경인 바룩 제3서에서는 "분쟁의 탑"이 463규빗, 즉 211.8m에 달했다고 언급하는데, 이는 1889년 에펠탑 (324m)이 건설되기 전까지 인류 역사상 건설된 어떤 구조물보다 높았다.[19]
그레고리우스 투르는 이전 역사가 오로시우스의 글을 인용하며, 바벨탑은 "매우 평평한 평원에 정사각형으로 세워졌다. 역청으로 접합한 구운 벽돌로 만든 벽의 너비는 50규빗(23m), 높이는 200규빗(91.5m), 둘레는 470스타디온(82.72km)이었다."라고 적었다. 각 면에는 25개의 문이 있어 총 100개의 문이 있었으며, 이 문들은 청동으로 주조되었다.[18]
조반니 빌라니가 전하는 중세 시대 기록에 따르면, "바벨탑은 둘레가 80마일(130km)이었고, 높이는 이미 4,000보(약 5.92km)였으며, 두께는 1,000보였고, 각 보는 우리의 3피트에 해당한다."라고 한다.[20] 14세기 여행가 존 만데빌 또한 바벨탑에 대한 기록을 남겼는데, 현지 주민들의 말에 따르면 높이가 64퍼롱(약 13km)였다고 한다.
17세기 역사가 버스티건은 이시도루스를 인용하여 바벨탑의 높이가 5,164보(약 7.6km)였다고 말하고, 요세푸스를 인용하여 바벨탑은 높이보다 폭이 더 넓었으며 탑이라기보다는 산에 가까웠다고 말한다.
J.E. 고든 교수는 그의 저서 "구조: 왜 물건은 떨어지지 않는가"에서 "벽돌과 돌의 무게는 입방피트당 약 120파운드(입방미터당 2,000kg)이며, 이러한 재료의 압축 강도는 제곱인치당 6,000파운드 또는 40메가파스칼보다 훨씬 더 좋다. 간단한 산술 계산에 따르면 평행한 벽을 가진 탑은 바닥의 벽돌이 부서지기 전에 2.1km 높이까지 건설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벽을 위쪽으로 갈수록 가늘게 하면... 시나르 사람들이 산소 부족으로 호흡 곤란을 겪기 전에 벽돌 벽이 자체 무게에 짓눌리기 전까지 충분히 높이 건설될 수 있었을 것이다."라고 적었다.
5. 역사적 배경
5. 1. 메소포타미아 문명과의 연관성

바벨탑 이야기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지역, 특히 바빌론의 지구라트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에테멘안키(수메르어: "하늘과 땅의 기초 사원")는 바빌론에 있는 마르두크 신에게 봉헌된 지구라트로, 바벨탑 이야기의 모티브가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29][30][31]
에테멘안키는 기원전 6세기 신바빌로니아 왕조의 통치자 네부카드네자르 2세와 나보폴라사르에 의해 재건되었지만, 알렉산더 대왕 시대에는 이미 낡아서 무너진 상태였다. 알렉산더 대왕은 탑의 기와를 다른 곳으로 옮겼지만, 그의 죽음으로 재건이 중단되었고, 그의 후계자 안티오쿠스 1세 소테르 시대에 파괴되었다.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는 그의 저서 '''역사'''에서 이 지구라트를 "제우스 벨루스의 사원"이라고 불렀다.[28]
바빌론 유수 기간 동안 유대인들이 에테멘안키를 보고 바벨탑 이야기를 창작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29]
수메르 신화에는 바벨탑과 유사한 이야기인 ''엔메르카르와 아랏타의 군주''가 있다.[32] 이 이야기에서 우르크의 엔메르카르는 에리두에 거대한 지구라트를 건설하고, 엔키 신에게 여러 지역의 언어를 통일하도록 간청한다.[33]
5. 2. 님롯과의 관계
성경에는 님롯이 탑 건설을 직접 명령했다는 구체적인 언급은 없다.[38] 그러나 여러 자료에서 님롯을 탑 건설과 연관시킨다.[38] 1세기 로마-유대인 저술가 요세푸스는 님롯을 신에 대한 반항을 선동한 폭군으로 묘사하며, 탑 건설을 그의 주도로 기록했다.[27]
요세푸스의 저서 ''유대고대사''(서기 94년경)에 따르면, 님롯은 사람들을 하나님에게서 돌아서게 하려 했던 폭군이었다. 그는 사람들에게 행복이 하나님 덕분이 아니라 자신의 용기 덕분이라고 믿도록 설득했다. 또한, 사람들을 하나님에 대한 두려움에서 벗어나게 하려면 자신의 권력에 의존하게 만드는 수밖에 없다고 생각하여 점차 정부를 폭정으로 바꾸었다고 한다. 요세푸스는 님롯이 바벨탑 건설을 주도했으며, 하나님은 홍수로도 경건해지지 않은 사람들의 언어를 혼란스럽게 하여 서로 이해하지 못하게 만들었다고 기록했다.[77]
6. 다양한 문화 속 바벨탑 이야기
수메르 신화에는 바벨탑과 유사한 이야기인 ''엔메르카르와 아랏타의 군주''가 있다.[32] 엔메르카르가 에리두에 거대한 지구라트를 건설하고 아랏타로부터 귀중한 자재를 요구하면서, 엔키에게 여러 지역의 언어를 통일시켜 달라고 간청하는 내용이다.[33] 기원전 8세기 신아시리아 제국 시대의 아시리아 신화도 성경 이야기와 유사한 점이 많다.
그리스 신화의 기간토마키아는 거인들이 하늘에 닿기 위해 산을 쌓는다는 점에서 바벨탑 이야기와 유사하다.[28]
이 외에도 네팔과 인도 북부 타루족에게도 비슷한 이야기가 전해지며,[56] 데이비드 리빙스턴은 응가미 호 근처 사람들이 탑 건설자들의 머리가 "비계가 무너지면서" 깨졌다는 전승을 가지고 있었다고 기록했다.[57] 제임스 조지 프레이저 경은 여러 문화권에서 바벨탑과 유사한 이야기를 찾아볼 수 있다고 언급했다.[52]
6. 1. 이슬람 전통
《꾸란》에는 바벨탑 이야기가 직접 언급되지는 않지만, 유사한 이야기가 모세 시대 이집트를 배경으로 등장한다. 파라오가 하만에게 하늘에 올라 모세의 신과 맞설 수 있도록 돌(혹은 진흙) 탑을 지으라고 명령하는 내용이다.[36]《꾸란》 2장 102절에는 바빌(Babil)이라는 이름이 언급되는데, 두 천사 하룻과 마룻이 바빌론 사람들에게 마법을 가르쳤고, 마법은 죄이며 그들에게 마법을 가르치는 것은 신앙의 시험이라고 경고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37]
야쿠트 알하마위의 저서와 《알리산 알아랍》에는 탑에 대한 언급 없이 바빌에 관한 이야기가 더 자세히 나온다. 인류가 바람에 휩쓸려 "바빌"이라고 불린 평야로 몰려들었고, 신에 의해 각기 다른 언어를 부여받은 후 같은 방식으로 흩어졌다는 것이다. 9세기 무슬림 신학자 알타바리의 《예언자와 왕들의 역사》에는 님로드가 바빌에 탑을 짓고, 신이 그것을 파괴하며, 이전에는 시리아어였던 인류의 언어가 72개 언어로 혼란스럽게 된다는 내용이 나온다. 13세기 무슬림 역사가 아부 알피다는 같은 이야기를 전하며, 족장 에벨(아브라함의 조상)은 탑 건설에 참여하지 않았기 때문에 원래의 언어, 이 경우 히브리어를 유지할 수 있었다고 덧붙인다.[38]
야히야 에머릭에 따르면, 이슬람 전통 내에는 바벨탑의 성서적 서술과 유사한 변형이 존재하지만, 신이 언어를 기반으로 인류를 분리했다는 중심 주제는 이슬람과는 거리가 멀다.[39] 이슬람 신앙에서는 신이 여러 나라를 창조한 것은 서로 알도록 하기 위한 것이지 분리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6. 2. 몰몬경
몰몬경에서 야렛이라는 사람과 그의 가족은 "큰 탑" 시대에 그들의 언어가 혼란스럽지 않도록 하나님께 간구한다.[40] 그들의 기도 덕분에 하나님은 그들의 언어를 보존하시고 그들을 님롯 골짜기로 인도하신다. 거기서 그들은 바다를 건너 아메리카로 이동한다.[40]몰몬경 원문에는 바벨탑에 대한 언급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LDS Church)의 일부 지도자들은 1981년 몰몬경 서문에서처럼 "큰 탑"이 바벨탑이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에터서의 연대기는 기원전 21세기 수메르의 탑 사원 신화인 엔메르카르와 아랏타의 군주의 여신 이난나 신화와 더욱 밀접하게 일치한다.[41] 교회 변증가들 또한 이러한 연관성을 지지하며 바벨탑의 실재성을 주장한다. "오늘날 홍수와 바벨탑의 이야기를 허구로 여기는 사람들이 많지만, 후기 성도들은 그 실재성을 확신합니다."[42] 어느 경우든 교회는 고대 수메르/아시리아/바빌로니아 지역에 건설된 적어도 하나의 "큰 탑"의 사실성을 확고히 믿고 있다.
6. 3. 기타 문헌
유빌레기서는 바벨탑에 대해 가장 상세한 기록 중 하나를 담고 있는데, 그 내용에 따르면 탑의 높이는 5433 큐빗과 2 손바닥이었다고 한다.[34]플라비우스 요세푸스는 그의 저서 ''유대고대사''(서기 94년경)에서 히브리어 성경에 나오는 바벨탑에 대해 언급하며, 바벨탑을 쌓도록 한 인물이 님롯이었다고 기록했다. 그는 님롯이 사람들을 하나님에게서 돌아서게 하려 했던 폭군이었다고 묘사했다. 요세푸스는 하나님이 사람들의 언어를 혼란스럽게 하여 서로 이해하지 못하게 하셨다고 기록했다.[38]
바룩의 세 번째 계시록(또는 3 바룩, 2세기경)은 위경 중 하나로, 바벨탑 건설을 선동한 자들이 사후 세계에서 벌을 받는 모습을 묘사한다. 이 기록에서 바룩은 "하나님께 반항하는 탑을 건설한 자들"의 영혼이 머무는 곳을 보게 되며, 개의 형상을 한 자들이 탑 건설을 조언했다고 묘사한다.[16]
탈무드 문헌은 바벨탑 건설의 다른 원인과 건설자들의 의도에 대한 여러 가지 다른 설명을 제공한다. 한 미드라시에 따르면, 바벨탑 건설자들은 하느님과 싸우려는 듯이 보이게 하는 탑을 건설하려 했다고 한다.[38] 또 다른 미드라쉬적 설명에 따르면, 탑 건설자의 3분의 1은 반악마적 존재로 변형되어 추방되었다고 한다.[35]
꾸란에는 성서의 바벨탑 이야기와 유사한 이야기가 있다. 다만, 모세 시대 이집트를 배경으로 하며, 파라오가 하만에게 하늘에 오르고 모세의 신과 맞설 수 있도록 탑을 짓도록 명령하는 내용이다.[36]
몰몬경에서 야렛이라는 사람과 그의 가족은 “큰 탑” 시대에 그들의 언어가 혼란스럽지 않도록 하나님께 간구한다. 그들의 기도 덕분에 하나님은 그들의 언어를 보존하시고 그들을 님롯 골짜기로 인도하신다.[40]
영지주의 전승에서, 셈의 역어에 기록된 바에 따르면, 바벨탑으로 해석되는 탑은 악마들에 의해 대홍수와 함께 만들어졌다고 한다.[43]
6. 4. 그리스 신화
그리스 신화의 기간토마키아는 거인들이 하늘에 닿기 위해 산을 쌓는다는 점에서 바벨탑 이야기와 유사성을 보인다.[28]6. 5. 기타 문화권
그리스 신화의 기간토마키아는 거인족이 산을 쌓아 하늘의 신들에게 도전했지만 주피터의 번개에 의해 실패한 이야기이다.[51] 라틴 아메리카에도 바벨탑과 유사한 여러 전승이 존재한다. 도미니크 수도사 디에고 두란은 아즈텍 제국 정복 직후 출루라 대피라미드에 대해, 거인들이 하늘에 닿는 탑을 세우자 신이 분노하여 탑을 파괴하고 사람들을 흩었다는 이야기를 기록했다.[52] 페르난도 데 알바 코르테스 이크스틀릴쇼치틀이 기록한 톨텍족 이야기는 대홍수 후 사람들이 두 번째 홍수에 대비해 탑을 세웠으나 언어가 혼란스러워져 흩어졌다고 전한다.[53] 토호노 오오담족 신화에서는 몬테주마가 하늘에 닿는 집을 지으려다 위대한 영혼의 벼락에 의해 파괴되었다고 한다.[54][55]네팔과 인도 북부 타루족에게도 비슷한 이야기가 전해진다.[56] 데이비드 리빙스턴은 응가미 호 근처 사람들이 탑 건설자들의 머리가 "비계가 무너지면서" 깨졌다는 전승을 가지고 있었다고 기록했다.[57] 제임스 조지 프레이저 경은 저서에서 로지 신화, 아샨티족, 콩고족, 탄자니아, 카르비족, 쿠키족, 카렌족, 아드미럴티 제도 등에서 바벨탑과 유사한 이야기를 찾아볼 수 있다고 언급했다.[52]
7. 언어학적 관점
오랫동안 역사언어학은 단일 원시 언어의 개념과 씨름해 왔다. 중세 시대부터 17세기까지 아담의 언어의 살아있는 후손을 확인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세계의 다양한 언어가 바벨탑에서 유래했다는 문자 그대로의 믿음은 의사언어학이며, 언어의 기원과 역사에 대한 알려진 사실과는 모순된다.[44]
성경의 창세기 11장 1절[45]에 나오는 바벨탑 이야기에서는 지구상의 모든 사람들이 같은 언어를 사용했다고 말하지만, 이는 창세기 10장 5절[46]에 묘사된 노아 홍수 이후의 세계에 대한 성경적 묘사와 일치하지 않는다. 거기에는 셈, 함, 야벳의 자손들이 각기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여러 나라를 이루었다고 나와 있다.[3]
또한 전 세계적으로 하나의 원래 언어가 여러 언어로 나뉘는 신의 혼란을 묘사하는 여러 전통이 있지만, 바벨탑은 없다.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헤르메스가 언어를 혼란스럽게 만들어 제우스가 그의 왕좌를 포로네우스에게 넘겨주게 된 이야기 외에도, 제임스 프레이저는 특히 케냐의 와사니아족, 아삼의 카차 나가족, 오스트레일리아의 인카운터 베이 주민, 캘리포니아의 마이두족, 알래스카의 틀링깃족, 과테말라의 키체 마야족 사이에서 그러한 이야기들을 언급한다.[47] 에스토니아의 "언어의 요리" 신화[48]도 비교되었다.
중세 시대에는 히브리어가 하나님이 아담에게 낙원에서 말씀하신 언어이자 아담이 입법자로 사용한 언어(아담 언어)로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의 여러 학자들에 의해 널리 여겨졌다.
단테 알리기에리는 그의 ''속세의 언어에 관하여''(1302~1305)에서 이 주제를 다룬다. 그는 아담 언어가 신성한 기원을 가지고 있으므로 불변한다고 주장한다.[49] 그러나 그의 ''신곡''(약 1308~1320)에서는 단테가 그의 견해를 바꿔 아담 언어를 아담의 산물로 본다.[49] 이것은 아담 언어가 더 이상 불변의 것으로 간주될 수 없다는 결과를 가져왔고, 따라서 히브리어는 낙원의 언어와 동일시될 수 없게 되었다. 단테는 (''천국편'' XXVI) 히브리어가 아담 언어에서 파생되었다고 결론짓는다. 특히, 학문적 전통에서 하나님의 주요 히브리어 이름인 ''엘''은 단테가 ''I''라고 제시하는 다른 아담 언어의 하나님 이름에서 유래해야 한다.[49]
인도유럽어족이 받아들여지기 전에, 이 언어들은 일부 저자들에 의해 "야페트어"로 간주되었다. 르네상스 유럽에서는 바벨탑 건설에 참여하지 않았기 때문에 부패되지 않았다고 여겨지는 추정되는 야페트어에 대한 히브리어의 우선순위가 주장되었다. 아담 언어의 살아있는 후손에 대한 후보에는 게일어(''아우라이셉트 나 넨에세'' 참조), 토스카나어(조반니 바티스타 겔리, 1542, 피에로 프란체스코 지암불라리, 1564), 네덜란드어(고로피우스 베카누스, 1569, 아브라함 밀리우스, 1612), 스웨덴어(올라우스 루드벡, 1675), 독일어(게오르크 필리프 하르스도르퍼, 1641, 쇼텔, 1641) 등이 포함된다. 스웨덴 의사 안드레아스 켐페는 1688년에 풍자적인 논문을 썼는데, 그는 유럽 민족주의자들이 그들의 모국어를 아담 언어로 주장하려는 경쟁을 비웃었다. 스웨덴인 올라우스 루드벡이 스웨덴어를 인류의 원래 언어라고 발표하려는 시도를 풍자하면서, 켐페는 아담이 덴마크어를 사용하고, 하나님은 스웨덴어를 사용하고, 뱀은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신랄한 패러디를 썼다.[50]
히브리어의 우선순위는 18세기 후반 현대 언어학이 등장할 때까지 일부 저자들에 의해 여전히 옹호되었는데, 예를 들어 Pierre Besnier|피에르 베스니에프랑스어(1648~1705)의 ''언어의 재통합을 위한 철학적 에세이, 또는 하나의 숙달로 모든 것을 아는 기술''(1675)과 Gottfried Hensel|고트프리트 헨젤de(1687~1767)의 ''전체 언어학 개요''(1741)에서 그러했다.
바벨탑 사건 이후 흩어진 언어의 수에 대한 중세 역사 기록은 여러 가지가 있다. 창세기 10장에 나오는 노아의 자손(후손) 명단을 세어보면, 야벳의 후손 15명, 함의 후손 30명, 셈의 후손 27명으로 총 72명이 나오는데, 이 수치는 바벨탑 사건으로 인해 생겨난 72개 언어의 수로 받아들여졌다. 다만, 이 언어 목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였다. (칠십인역 성경에는 마소라 본문에는 없는 엘리사와 가이난이라는 두 명의 이름이 추가로 나오기 때문에, 미슈나와 같은 초기 랍비 전승에서는 "70개 언어"라고 언급한다.)
72개(때로는 73개) 언어에 대한 가장 초기 자료 중 일부는 2세기 기독교 작가인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 (『스트로마타』 I, 21)와 로마의 히폴리토스 (『시편 주해』 9)의 저서에 나온다. 이는 수리아어 책 『보물의 동굴』(약 350년), 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의 『파나리온』(약 375년), 그리고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약 410년) 16.6에서 반복해서 언급된다. 히폴리토스(약 234년)에게 귀속되는 연대기에는 이들 언어를 사용했다고 믿어지는 72개 민족을 열거하려는 초기 시도 중 하나가 담겨 있다.
이시도루스는 그의 『어원론』(약 600년)에서 72라는 수를 언급하지만, 성경에서 가져온 이름 목록에서 요단의 아들들을 제외하고 아브라함과 롯의 아들들을 대신 넣어 총 56개 정도의 이름만을 제시한다. 그런 다음 그는 롬바르드족과 프랑크족과 같이 당대 알려진 몇몇 민족의 목록을 추가한다. 이 목록은 후대의 기록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는데, 이 기록들에서는 롬바르드족과 프랑크족을 야벳의 손자들의 이름을 딴 후손으로 여기고 있다. 예를 들어 『브리토니아 역사』(약 833년), 알 마수디의 『금의 초원』(약 947년), 알 바크리의 『도로와 왕국에 관한 책』(1068년), 11세기의 『레보어 가바라 에렌』, 그리고 미드라시 편찬물인 『요시폰』(약 950년), 『예라멜 연대기』, 『세페르 하야샤르』 등이 있다.
바벨에서 흩어진 72개(혹은 70개) 언어를 언급하는 다른 자료로는, 루크레트 모쿠 키아라의 올드 아일랜드어 시 『어머니 없는 개』(약 600년), 아일랜드 수도원 저작 『에세의 아우라이셉트』, 페르시아 역사가 무함마드 이븐 자리르 알 타바리의 『예언자와 왕들의 역사』(약 915년), 앵글로색슨 대화 『솔로몬과 사투르누스』, 러시아의 『원초 연대기』(약 1113년), 유대교 카발라 저서 『바히르』(1174년),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산문 에다』(약 1200년), 수리아어 『벌의 책』(약 1221년), 『훈족과 헝가리인의 행적』(약 1284년; 셈 22, 함 31, 야벳 17, 총 70개 언어 언급), 조반니 빌라니의 1300년 기록, 그리고 랍비의 『미드라시 하가돌』(14세기) 등이 있다. 빌라니는 "그것은 대홍수 후 700년에 시작되었고, 세상 시작부터 바벨탑의 혼란까지 2,354년이 걸렸다. 그리고 우리는 그들이 107년 동안 그것을 짓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 시대 사람들은 오래 살았다"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훈족과 헝가리인의 행적』에 따르면, 그 사업은 대홍수 후 200년 만에 시작되었다.
72개 언어라는 전통은 후대까지 이어졌다. 1576년 조제 드 아코스타의 논문 『인도인의 구원을 위한 노력에 관하여』와 한 세기 후 안토니우 비에이라의 『주현절 설교』에서도 페루와 브라질에만 있는 수백 개의 서로 다른 언어가 이 '혀의 수'를 훨씬 능가한다는 것에 놀라움을 표현했다.
8. 문학 및 예술 작품에서의 등장
브뤼헐은 바벨탑을 주제로 두 종류의 그림을 그렸다. 1563년 작품인 "대바벨"(114×155cm)과 1565년 작품인 "소바벨"(60×75cm)인데, 일반적으로 "대바벨"이 더 유명하다. "소바벨"에 작게 그려진 약 1400명의 사람을 신장 170cm로 계산하면 탑의 높이는 약 510m가 된다.[78]
바벨탑을 주제로 그림을 그린 화가들은 다음과 같다.
| 화가 | 작품명 | 제작 연도 | 비고 |
|---|---|---|---|
| 피터르 브뤼헐 | 바벨탑 (대바벨) | 1563년 | 미술사 박물관 소장 |
| 피터르 브뤼헐 | 바벨탑 (소바벨) | 1565년 | 보이만스 반뵈닝언 미술관 소장 |
| 루카스 판 발켄보르흐(Lucas van Valckenborch) | 바벨탑 | 1594년 | |
| 요스 드 몽페르(Joos de Momper) | 바벨탑 | 1595~1605년 | |
| 아타나시우스 키르허(Athanasius Kircher) | 바벨탑 | 1679년 | |
| 귀스타브 도레(Gustave Doré) | 언어의 혼란 | 1865년 |
문학 작품에서 바벨탑은 다음과 같이 등장한다.
- 단테의 신곡에서 언급된다.
- 더글러스 애덤스의 소설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에는 어떤 언어든 해독할 수 있는 바벨 피쉬(Babel Fish)라는 작은 물고기가 등장한다.[58] 야후!(Yahoo!)는 이를 바탕으로 온라인 번역 서비스인 "야후! 바벨피시(Yahoo! Babel Fish)"를 만들었다.
- A. S. 바이엇의 소설 《바벨탑》(Babel Tower)(1996)은 "언어를 공유할 수 있는지, 아니면 그것이 환상으로 밝혀진다면, 서로 대화하는 개인들이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다룬다.[62]
영화 및 게임에서 바벨탑은 다음과 같이 등장한다.
- 프리츠 랑의 1927년 영화 메트로폴리스는 회상 장면에서 탑 설계자와 건설 노동자 간의 의사소통 부재라는 주제를 다룬다. 짧은 장면은 탑 건설을 찬양하는 데 사용된 단어가 설계자에게는 전혀 다른 억압적인 의미를 지녔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참을 수 없는 노동 환경 때문에 노동자들이 설계자에게 반기를 들면서 탑의 파괴로 이어졌다. 탑의 모습은 브뤼헐의 1563년 그림 바벨탑을 본떠 만들어졌다.[58]
- 바벨의 탑 (게임) - 1986년에 남코가 발매한 게임이다.
- 바벨의 메달 타워 - 2016년에 세가가 발매한 메달 게임이다.
- 비디오 게임 페르시아의 왕자: 두 개의 왕좌에서 게임의 마지막 단계와 최종 보스 싸움은 탑에서 이루어진다.
- 웹 기반 게임 포지 오브 엠파이어스에서 바벨탑은 사용 가능한 "위대한 건물"이다.
- 비디오 게임 시리즈 둠에서 바벨탑은 여러 번 등장한다. 1993년 원작 둠에서 레벨 "E2M8"은 "바벨탑"이라고 명명되고 그곳에서 일어난다. 둠 이터널의 캠페인 레벨 "네크라볼"에는 바벨탑이 포함되어 있지만, 성경적인 목적 대신 인간 영혼의 고통을 처리하는 라인으로 기능한다. 게임 내에서는 "시타델"이라고 불리지만, 둠 이터널의 컨셉 아트(The Art of Doom Eternal 아트북 및 Steam 트레이딩 카드)에서는 "바벨탑"이라고 언급한다.
- 닌텐도의 게임큐브용으로 발매된 거인 도신에서 섬 주민들이 만들 수 있는 최종 기념물은 바벨탑[68]이라고 불리며, 이는 섬을 가라앉게 하기 시작한다. 그 주인공인 거인 도신은 섬을 구하기 위해 자신을 희생한다.
- 2023년 비디오 게임 세나르의 노래는 바벨탑에서 크게 영감을 받았다.[69]
- 1990년 일본 TV 애니메이션 나디아: 해저 유적의 비밀에서 바벨탑은 아틀란티스인들이 성간 통신 장치로 사용한다.[65] 나중에 시리즈에서 네오 아틀란티스인들은 바벨탑을 재건하고 그 통신 광선을 대량 살상 무기로 사용한다. 원래 탑과 재건된 탑 모두 화가 피터르 브뤼헐의 그림 바벨탑과 비슷하다.
기타
- 타로 카드에서 가장 불길한 카드로 여겨지는 XVI 탑은, 같은 "탑"이라는 인공 구조물, 탑이 파괴되는 묘사, 탑에서 떨어지는 인간(인간의 오만에 대한 천벌이라는 해석)으로부터 바벨탑이 모티브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79]
8. 1. 문학
- 더글러스 애덤스의 소설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에는 어떤 언어든 해독할 수 있는 바벨 피쉬(Babel Fish)라는 작은 물고기가 등장한다.[58] 야후!(Yahoo!)는 이를 바탕으로 온라인 번역 서비스인 "야후! 바벨피시(Yahoo! Babel Fish)"를 만들었다.
- A. S. 바이엇의 소설 《바벨탑》(Babel Tower)(1996)은 "언어를 공유할 수 있는지, 아니면 그것이 환상으로 밝혀진다면, 서로 대화하는 개인들이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다룬다.[62]
- 단테의 신곡에서도 바벨탑이 언급된다.
8. 2. 회화
피터르 브뤼헐은 바벨탑을 주제로 두 종류의 그림을 그렸다. 하나는 1563년 작품인 "대바벨"(114×155cm)이고, 다른 하나는 1565년 작품인 "소바벨"(60×75cm)이다. 일반적으로 "대바벨"이 더 유명하다. "소바벨"에 작게 그려진 약 1400명의 사람을 신장 170cm로 계산하면 탑의 높이는 약 510m가 된다.[78]바벨탑을 주제로 그림을 그린 화가들은 다음과 같다.
| 화가 | 작품명 | 제작 연도 | 비고 |
|---|---|---|---|
| 피터르 브뤼헐 | 바벨탑 (대바벨) | 1563년 | 미술사 박물관 소장 |
| 피터르 브뤼헐 | 바벨탑 (소바벨) | 1565년 | 보이만스 반뵈닝언 미술관 소장 |
| 루카스 판 발켄보르흐(Lucas van Valckenborch) | 바벨탑 | 1594년 | |
| 요스 드 몽페르(Joos de Momper) | 바벨탑 | 1595~1605년 | |
| 아타나시우스 키르허(Athanasius Kircher) | 바벨탑 | 1679년 | |
| 귀스타브 도레(Gustave Doré) | 언어의 혼란 | 1865년 |
8. 3. 영화 및 게임
- 프리츠 랑의 1927년 영화 메트로폴리스는 회상 장면에서 탑 설계자와 건설 노동자 간의 의사소통 부재라는 주제를 다룬다. 짧은 장면은 탑 건설을 찬양하는 데 사용된 단어가 설계자에게는 전혀 다른 억압적인 의미를 지녔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참을 수 없는 노동 환경 때문에 노동자들이 설계자에게 반기를 들면서 탑의 파괴로 이어졌다. 탑의 모습은 브뤼헐의 1563년 그림 바벨탑을 본떠 만들어졌다.[58]
- 바벨의 탑 (게임) - 1986년에 남코가 발매한 게임이다.
- 바벨의 메달 타워 - 2016년에 세가가 발매한 메달 게임이다.
- 비디오 게임 페르시아의 왕자: 두 개의 왕좌에서 게임의 마지막 단계와 최종 보스 싸움은 탑에서 이루어진다.
- 웹 기반 게임 포지 오브 엠파이어스에서 바벨탑은 사용 가능한 "위대한 건물"이다.
- 비디오 게임 시리즈 둠에서 바벨탑은 여러 번 등장한다. 1993년 원작 둠에서 레벨 "E2M8"은 "바벨탑"이라고 명명되고 그곳에서 일어난다. 둠 이터널의 캠페인 레벨 "네크라볼"에는 바벨탑이 포함되어 있지만, 성경적인 목적 대신 인간 영혼의 고통을 처리하는 라인으로 기능한다. 게임 내에서는 "시타델"이라고 불리지만, 둠 이터널의 컨셉 아트(The Art of Doom Eternal 아트북 및 Steam 트레이딩 카드)에서는 "바벨탑"이라고 언급한다.
- 닌텐도의 게임큐브용으로 발매된 거인 도신에서 섬 주민들이 만들 수 있는 최종 기념물은 바벨탑[68]이라고 불리며, 이는 섬을 가라앉게 하기 시작한다. 그 주인공인 거인 도신은 섬을 구하기 위해 자신을 희생한다.
- 2023년 비디오 게임 세나르의 노래는 바벨탑에서 크게 영감을 받았다.[69]
- 1990년 일본 TV 애니메이션 나디아: 해저 유적의 비밀에서 바벨탑은 아틀란티스인들이 성간 통신 장치로 사용한다.[65] 나중에 시리즈에서 네오 아틀란티스인들은 바벨탑을 재건하고 그 통신 광선을 대량 살상 무기로 사용한다. 원래 탑과 재건된 탑 모두 화가 피터르 브뤼헐의 그림 바벨탑과 비슷하다.
8. 4. 기타
타로 카드에서 가장 불길한 카드로 여겨지는 XVI 탑은, 같은 "탑"이라는 인공 구조물, 탑이 파괴되는 묘사, 탑에서 떨어지는 인간(인간의 오만에 대한 천벌이라는 해석)으로부터 바벨탑이 모티브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79]참조
[1]
문서
11:1–9
[2]
서적
The Oxford Guide To People And Places of the Bibl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12-22
[3]
서적
The Jewish Study Bibl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Hebrew Myths: The Book of Genesis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5]
서적
Tree of Souls: The Mythology of Judaism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Tower of Babel Story, Summary, Meaning, & Facts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9-04
[7]
웹사이트
Tower of Babel Story, Summary, Meaning, & Facts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9-05
[8]
간행물
The 'Babel of Tongues': A Sumerian Version
[9]
서적
From Creation to Babel: Studies in Genesis 1–11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4
[10]
서적
Geschichte Mesopotamiens. Von den Sumerern bis zu Alexander dem Großen
Beck
[11]
서적
The Dictionary of the Bible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1995
[12]
서적
A Brief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the Hebrew Bible in its Context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13]
성경
Genesis 10:5
[14]
서적
Genesis 1–11; Volume 1
Taylor & Francis
2001
[15]
간행물
The Tower of Babel and the Origin of the World's Cultures
https://www.jstor.or[...]
2007-03-01
[16]
서적
Understanding the Bible: A Reader's Introduction
Mayfield
1985
[17]
간행물
The Tower of Babel and the Origin of the World's Cultures
2007
[18]
간행물
The Length of Eratosthenes' Stade
https://www.jstor.or[...]
[19]
서적
History of the Franks
http://sourcebooks.f[...]
[20]
웹사이트
Selections from Giovanni's Chronicle in English
http://www.elfinspel[...]
[21]
서적
Who Wrote the Bible?
Simon & Schuster
1997
[22]
서적
Abraham in History and Tradition
Echo Point Books & Media
1975
[23]
서적
The Jewish Study Bible
Oxford University Press
[24]
간행물
In the Beginning: Myth and History in Genesis and Exodus
1990
[25]
성경
Genesis 10:10
[26]
성경
Genesis 11:9
[27]
서적
Antiquities
[28]
웹사이트
Herodotus, the Histories, Book 1, chapter 179
https://www.perseus.[...]
[29]
서적
Understanding the Bible
McGraw-Hill
[30]
성경
Genesis 11:1-9
[31]
서적
Asimov's Guide to the Bible, vol.1: The Old Testament
Avon Books
[32]
간행물
The 'Babel of Tongues': A Sumerian Version
[33]
문서
Enmerkar and the lord of Aratta: composite text.
http://etcsl.orinst.[...]
[34]
서적
The Biblical Antiquities of Philo
http://www.sacred-te[...]
SPCK
1917
[35]
서적
Legends of the Jews, Volume 1
http://classiclit.ab[...]
1909
[36]
서적
Quran
Amana Publishers
1996
[37]
웹사이트
Surat Al-Baqarah [2:102] – The Noble Qur'an – القرآن الكريم
http://quran.com/2/1[...]
Quran.com
2013-11-07
[38]
백과사전
Babel, Tower of
http://www.jewishenc[...]
Funk & Wagnalls
1906
[39]
서적
The Complete Idiot's Guide to Understanding Islam
https://books.google[...]
Alpha
2002
[40]
문서
Ether
[41]
간행물
A Companion to Your Study of the Book of Mormon
http://www.ldsces.or[...]
Church Educational System
1996
[42]
간행물
The Flood and the Tower of Babel
https://www.churchof[...]
1998-01
[43]
서적
The Gnostic Bible
https://books.google[...]
Shambhala
2022-02-14
[44]
서적
Tower of Babel: The Evidence against the New Creationism
https://books.google[...]
Bradford Books
2000
[45]
성경
[46]
성경
[47]
서적
Folk-lore in the Old Testament: Studies in Comparative Religion, Legend and Law
https://archive.org/[...]
Macmillan
1919
[48]
서적
Reisen in die 'Ostseeprovinzen'
[49]
서적
Linguistic Theories in Dante and the Humanists
Brill
1993
[50]
서적
The Languages of Paradise: Race, Religion, and Philology in the Nineteenth Century
Harvard University Press
1992
[51]
웹사이트
Metamorphoses (Kline) 1, the Ovid Collection, Univ. Of Virginia E-Text Center
https://ovid.lib.vir[...]
[52]
서적
Folk-lore in the Old Testament: Studies in Comparative Religion, Legend and Law
https://archive.org/[...]
Macmillan
1919
[53]
웹사이트
Fernando de Alva Ixtlilxóchitl
http://letras-urugua[...]
2018-10-24
[54]
서적
[55]
서적
History of Arizona, Volume VII
http://southwest.lib[...]
2014-03-05
[56]
서적
Report on the Census of Bengal
https://archive.org/[...]
Bengal Secretariat Press
1872
[57]
서적
Missionary Travels and Researches in South Africa
https://archive.org/[...]
Harper & Brothers
1858
[58]
서적
Blade Runner
https://archive.org/[...]
British Film Institute
1997
[59]
서적
Religious and Poetic Experience in the Thought of Michael Oakeshott
https://books.google[...]
Andrews UK Limited
2016
[60]
서적
Anti-Theory in Ethics and Moral Conservatism
https://archive.org/[...]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18-05-25
[61]
서적
Michael Oakeshott on Religion, Aesthetics, and Politic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2006
[62]
뉴스
Ach, Sie waren nicht in Oxford? Antonia S. Byatts Roman "Der Turm zu Babel"
2004-11-25
[63]
뉴스
Ted Chiang's Soulful Science Fiction
https://www.newyorke[...]
2017
[64]
뉴스
Bible ki Kahaniyan: Another religious saga on the small screen
https://www.indiatod[...]
1989-11-15
[65]
웹사이트
Nadia & Reality
http://www.thesecret[...]
2019-06-13
[66]
잡지
Le chat du rabbin Tome 7 : La tour de Bab-El-Oued – Joann Sfar
https://www.benzinem[...]
2017-12-15
[67]
뉴스
Why the Past 10 Years of American Life Have Been Uniquely Stupid
https://www.theatlan[...]
2022-04-11
[68]
서적
Kyojin no Doshin 1: Koushiki Gaidobukku (Doshin the Giant 1: Official Guide book) for 64DD version
Nintendo Co., Ltd.
2000
[69]
웹사이트
Chants of Sennaar review – a puzzling linguistic marvel
https://www.eurogame[...]
2023-09-12
[70]
서적
新キリスト教辞典
いのちのことば社
1991-09
[71]
서적
聖書の考古学 ノアの箱舟とバベルの塔
みすず書房
1958-05
[72]
서적
広辞苑-第四版-
岩波書店
[73]
문서
シュメール 언급
[74]
서적
創世記
講談社
1980-00-00 # 정확한 날짜 정보 부족으로 1980년으로 설정 (첫 출판년도)
[75]
문서
헤브라이어 명칭 설명
[76]
서적
聖書外典偽典 第4巻 -旧約聖書偽典Ⅱ-
教文館
1975-00-00 # 정확한 날짜 정보 부족으로 1975년으로 설정
[77]
서적
ユダヤ古代誌〈1~2〉
山本書店
1982-00-00 # 정확한 날짜 정보 부족으로 1982년으로 설정
[78]
뉴스
「バベルの塔」現代日本に出現したら 芸大チーム試算
http://www.asahi.com[...]
朝日新聞デジタル
2017-04-21
[79]
서적
タロット大全-歴史から図像まで
紀伊國屋書店
[80]
서적
Understanding the Bible
McGraw-Hill
[81]
웹인용
다큐프라임 - 위대한 바빌론 2부, 바벨탑 (사본 영상: 성서 속 바벨탑을 찾아서!! 이라크로 떠나는 여정)
https://www.youtube.[...]
2013-01-29
[82]
문서
HYGINUS, FABULAE § 143 PHORONEUS
[83]
문서
Berossus und die babylonisch-hellenistische Literatu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