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쓰도노 모토후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쓰도노 모토후사는 헤이안 시대 후기의 공가 귀족으로, 섭정, 관백, 태정대신 등을 역임했다. 호겐 원년에 관직에 진출하여 좌근위소장, 중납언 등을 거쳐 내대신, 우대신, 좌대신을 역임하며 고위 관료로 성장했다. 형인 고노에 모토자네의 사후 섭정이 되었으며, 로쿠조 천황, 다카쿠라 천황을 보좌하며 섭정을 맡았다. 다이라노 키요모리와의 갈등으로 관백에서 해임되어 다자이곤노소치로 좌천되었으나, 이후 미나모토노 요시나카와 연계하여 권력을 되찾으려 했다. 조정의 행사와 의식에 참여하며 유식고실에 정통한 지식을 후세에 전했고, 8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쓰도노가 - 후지와라노 이시 (마쓰도노 모토후사의 딸)
    후지와라노 이시는 섭정 마쓰도노 모토후사의 딸로 미나모토노 요시나카와 정략결혼 후 비극적인 삶을 살았으며 미나모토노 미치치카의 측실이 되어 도겐을 낳았으나, 실존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는 인물이다.
  • 1145년 출생 - 쇼시 내친왕 (1145년)
    쇼시 내친왕은 토바인과 카스가노츠보네 사이에서 태어나 타카쿠라 천황의 카모 사이인으로 점정되었으나 사임하고, 렌게죠인을 창건하여 죠에 법친왕을 유자로 삼았으며, 다이고제에서 살다가 사망했다.
  • 1145년 출생 - 안티오키아의 마리아
    안티오키아의 마리아는 안티오키아 공국의 공주이자 비잔티움 제국의 황후로서, 마누엘 1세 콤네노스와의 결혼 후 아들 알렉시우스 2세 콤네노스를 낳았으며, 남편 사후 섭정으로 활동하다 권력 투쟁 중 안드로니코스 1세 콤네노스에 의해 살해된 비극적인 인물이다.
  • 1231년 사망 - 안토니오 디 파도바
    안토니오 디 파도바는 13세기 포르투갈에서 태어난 프란치스코회 수사이자 가톨릭 성인, 교회학자로, 웅변과 성경 지식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잃어버린 물건을 찾는 이들의 수호성인으로 알려져 있다.
  • 1231년 사망 - 쓰치미카도 천황
    고토바 천황의 아들이자 제83대 천황인 쓰치미카도 천황은 고토바 상황의 인세이 하에서 재위하다 준토쿠 천황에게 양위 후 조큐의 난에 연루되어 유배되었으나, 고사가 천황을 낳아 그의 혈통이 황위 계승을 이어나갔다.
마쓰도노 모토후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후지와라노 모토후사 상
후지와라노 모토후사 상 (후지와라노 고신 그림, 《덴시 셋칸 미에이》에서, 궁내청 소장)
씨명후지와라 북가미도류, 마쓰도노 가문
이름마쓰도노 모토후사 (松殿 基房)
다른 이름주산인 (中山院)
보다이인 (菩提院) (법호)
시대헤이안 시대 말기 - 가마쿠라 시대 전기
출생덴요 원년 (1144년)/규안 원년 (1145년)
사망간기 2년 12월 28일 (1231년 2월 1일)
관위종1위
섭정
관백
태정대신
주군고시라카와 천황
니조 천황
로쿠조 천황
다카쿠라 천황
안토쿠 천황
가계
아버지후지와라노 다다미치
어머니미나모토노 구니자네의 딸, 미나모토노 도시코
형제자매에신
가쿠추
후지와라노 기요코
고노에 모토자네
후지와라노 무네코
구조 가네자네
존추
도엔
신엔
후지와라노 가네후사
지엔
사이추
양 형제자매후지와라노 데이시
배우자산조 기미노리의 딸 (정실)
후지와라노 다다코 (후지와라노 다다마사의 딸)
호리카와노 쓰보네 (후지와라노 유키마사의 딸)
도쿠다이지 기미야스의 딸
민부다이부 이에자네의 딸
니조인노 뎃지노 쓰보네 도쿠고
후지와라노 이시 (후지와라노 이쓰네의 딸) (첩)
자녀후지와라노 다카타다
후지와라노 이에후사
후지와라노 이시
모로이에
닌케이
교이
짓손
쇼엔
다다후사
사이슈
후지와라노 주시
가네히로
도코
쇼손
존요
존초
료칸
이치조 다카요시의 부인
하치조인뇨보 니시노오카타
경력
전임자 (후지와라 씨장자)고노에 모토자네
후임자 (후지와라 씨장자)고노에 모토미치
임기 (후지와라 씨장자)1166년 ~ 1179년
전임자 (마쓰도노 가문 당주)(후지와라노 다다미치)
후임자 (마쓰도노 가문 당주)마쓰도노 모로이에
대수 (마쓰도노 가문 당주)1
전임자 (섭정)고노에 모토자네
후임자 (섭정)공백 (고노에 모토미치)
임기 (섭정)1166년 ~ 1172년
대수 (섭정)15
전임자 (관백)공백 (고노에 모토자네)
후임자 (관백)고노에 모토미치
임기 (관백)1173년 ~ 1179년
대수 (관백)21
전임자 (태정대신)후지와라노 다다마사
후임자 (태정대신)공백 (후지와라노 모로나가)
임기 (태정대신)1171년
대수 (태정대신)25

2. 생애

호겐 원년(1156년) 8월, 후지와라노 타다미치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원복과 동시에 정오위하에 서임되었고, 다음 달에 좌근위소장에 임명되었다. 이듬해 8월에는 종삼위권중납언이 되었다. 이후 내대신, 우대신, 좌대신 등 고관을 역임했고, 형 고노에 모토자네가 요절하자 모토미치가 어려서 그 뒤를 이어 섭정이 되었다.[3]

1166년부터 1168년까지 로쿠조 천황의 섭정을, 1168년부터 1172년까지 다카쿠라 천황의 섭정을, 1172년부터 1179년까지는 다카쿠라 천황의 관백을 맡았다. 가오 2년(1170년) 12월에는 태정대신을 겸임하기도 했다.

고시라카와인의 주선으로 다이라노 모리코와의 혼담이 있었으나, 다이라노 키요모리의 반대로 무산되었다.[3] 지쇼 3년(1179년) 2월, 모토후사의 아내인 하나야마인 타다마사의 딸이 도키히토 친왕의 양모가 되었다. 이는 고노에 모토자네의 아내 모리코가 다카쿠라 천황의 양모가 된 선례를 따른 것이자, 모토후사와 헤이케의 연계를 꾀한 고시라카와인의 의향이었지만, 키요모리는 모토후사가 모토미치로부터 셋칸가 당주의 지위를 빼앗으려 한다고 보고 반발했다. 같은 해 11월, 키요모리는 군사를 이끌고 후쿠하라쿄에서 상경하여 쿠데타를 일으켰다. 키요모리의 분노는 먼저 모토후사에게 향했고, 관백에서 해임된 후 다자이곤노소치로 좌천되었다. 모토후사는 비젠국으로 유배되었다가, 1180년에 사면되어 교토로 돌아왔다.

미나모토노 요시나카가 고시라카와 법황을 유폐시키자, 마쓰도노 모토후사는 자신의 딸(이시라고 여겨짐)을 요시나카의 정실로 보내 그와 연계했다.[3] 같은 해 11월, 요시나카의 세력을 배경으로 모토미치를 섭정에서 물러나게 하고, 아들 모로이에를 내대신으로 삼아 섭정에 앉히는 데 성공했다.[3] 그러나 1184년 1월, 요시나카가 미나모토노 요시츠네 등에게 토벌되면서 모로이에는 곧바로 파면되었고, 모토미치가 섭정으로 복귀했다.

이후 모토후사는 정계에서 은퇴했다.[3] 조정 행사·의식에 원로로서 참여했을 뿐이었지만, 공사·고실에 통달하여 박식하였기에 후세까지 중요하게 여겨졌다. 칸키 2년(1230년) 12월 28일, 8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법호는 주산원 또는 보제인이다.

2. 1. 초기 생애와 관직 진출

호겐 원년(1156년) 8월, 후지와라노 타다미치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원복과 동시에 정오위하에 서임되었고, 다음 달에 좌근위소장에 임명되었다. 이듬해 8월에는 종삼위권중납언이 되었다. 이후 내대신, 우대신, 좌대신 등 고관을 역임했고, 형 고노에 모토자네가 요절하자 모토미치가 어려서 그 뒤를 이어 섭정이 되었다.[3]

2. 2. 섭정 및 관백 재임

1166년부터 1168년까지 로쿠조 천황의 섭정을 맡았다.[3] 1168년부터 1172년까지 다카쿠라 천황의 섭정을 맡았고, 1172년부터 1179년까지는 다카쿠라 천황의 관백을 맡았다. 가오 2년(1170년) 12월에는 태정대신을 겸임하기도 했다.

지쇼 3년(1179년) 2월, 모토후사의 아내인 하나야마인 타다마사의 딸이 토키히토 친왕의 양모가 되었다. 이는 고노에 모토자네의 아내 다이라노 모리코가 다카쿠라 천황의 양모였던 선례를 따른 것이자, 모토후사와 헤이케의 연계를 꾀한 고시라카와인의 의향이었다. 그러나 다이라노 키요모리는 모토후사가 모토미치로부터 셋칸가 당주 지위를 빼앗으려 한다고 보고 반발했다.

2. 3. 다이라노 키요모리와의 갈등

고시라카와인의 주선으로 다이라노 모리코와의 혼담이 있었으나, 다이라노 키요모리의 반대로 무산되었다.[3] 지쇼 3년(1179년) 2월, 모토후사의 아내인 하나야마인 타다마사의 딸이 도키히토 친왕의 양모가 되었다. 이는 고노에 모토자네의 아내인 모리코도 다카쿠라 천황의 양모가 된 선례를 따른 것이자, 모토후사와 헤이케의 연계를 꾀한 고시라카와인의 의향이었지만, 키요모리는 모토후사가 모토미치로부터 셋칸가 당주의 지위를 빼앗으려 한다고 보고 반발했다. 같은 해 11월, 키요모리는 군사를 이끌고 후쿠하라쿄에서 상경하여 쿠데타를 일으켰다. 키요모리의 분노는 먼저 모토후사에게 향했고, 관백에서 해임된 후 다자이곤노소치로 좌천되었다. 모토후사는 비젠국으로 유배되었다가, 1180년에 사면되어 교토로 돌아왔다.

2. 4. 미나모토노 요시나카와의 연계

미나모토노 요시나카가 고시라카와 법황을 유폐시키자, 마쓰도노 모토후사는 자신의 딸(이시라고 여겨짐)을 요시나카의 정실로 보내 그와 연계했다.[3] 같은 해 11월, 요시나카의 세력을 배경으로 섭정이었던 모토미치를 물러나게 하고, 아들 모로이에를 내대신으로 삼아 섭정에 앉히는 데 성공했다.[3] 그러나 1184년 1월, 요시나카가 미나모토노 요시츠네 등에게 토벌되면서 모로이에는 곧바로 파면되었고, 모토미치가 섭정으로 복귀했다. 이후 모토후사는 정계에서 은퇴했다.

2. 5. 요시나카 몰락 이후

1184년 1월, 미나모토노 요시나카가 미나모토노 요시츠네 등에 의해 토벌되자, 아들 모로이에는 곧바로 섭정에서 파면되었고, 모토미치가 섭정으로 복귀했다. 이후, 모토후사는 정계에서 은퇴했다.[3]

그 후에는 조정에서의 행사·의식에 원로로서 참여했을 뿐이었지만, 공사·고실에 통달하여 박식하였기에 후세까지 중요하게 여겨졌다. 칸키 2년(1230년) 12월 28일, 8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법호는 주산원 또는 보제인이다.

3. 유직고실(有職故実)

아버지 후지와라노 타다미치로부터 구조류와 미도류의 유직고실을 직접 전수받았다. 이복형 고노에 모토자네가 요절하면서 구조류, 미도류 구전(口伝)의 유일한 계승자가 되었다. 처가인 산조가(三条家)와 가잔인가(花山院家)를 통해 쓰치미카도류(土御門流)와 가덴류(花伝流)의 고실(故実)에 대한 지식도 습득했다. 그의 유직고실 학설은 "마쓰도노 관백설" 등으로 불리며, 후대 섭관가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무라카미 겐지(村上源氏)나 간인류(閑院流)가 받들었던 쓰치미카도류와 가덴류의 작법을 비판하고, 섭관가가 공가 사회를 주도해야 한다는 가의식(家意識) 형성에 기여했다.[3]

4. 덴카노 노리아이 사건(殿下乗合事件)

전하 승합 사건

5. 연보

호겐 원년(1156년) 8월, 원복과 동시에 정오위하에 서임되었고, 다음 달에 좌근위소장에 임명되었다. 다음 해 8월에는 종삼위권중납언이 되었다. 그 후에도 내대신, 우대신, 좌대신과 같은 고관을 역임했고, 형 고노에 모토자네가 요절하자, 모토자네의 유아 모토미치가 어려서 후임으로 섭정에 보임되었다. 닌안 3년(1168년) 2월, 로쿠조 천황은 황태자 노리히토(다카쿠라 천황)에게 양위했지만, 다카쿠라도 어린 나이였기 때문에 계속 섭정을 맡았다. 가오 2년(1170년) 12월에는 태정대신을 겸임했고, 다카쿠라 천황의 원복에 즈음하여 가관역을 맡았다. 조안 2년(1172년) 12월에는 관백으로 전임했다.[3]

지쇼 3년(1179년) 쿠데타로 인해 관백을 해임당하고, 다자이곤노소치로 좌천되었다. 그 도중에 출가한 것으로 비젠국으로의 배류로 감면되었다. 지쇼 4년(1180년) 12월에 이르러 겨우 죄를 용서받고 교토로 귀환했다.

칸키 2년(1230년) 12월 28일, 8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법호는 주산원, 또는 보제인이다.

모든 날짜는 구력 (괄호 안에 해당 연도에 해당하는 서기 연도를 표시).

해당 연도날짜내용
호겐 원년 (1156년)8월 29일원복, 정5위하
9월 8일좌근위권소장 임명
9월 17일좌근위권중장 임명
11월 28일종4위하
호겐 2년 (1157년)1월 24일종4위상, 겸 하리마권수
6월 25일정4위하
8월 3일금색 허가
8월 9일종3위, 좌근위권중장 여전
8월 19일권중납언 임명, 좌근위권중장 여전
8월 21일정3위
호겐 3년 (1158년)3월 1일종2위
호겐 4년 (1159년)1월 2일정2위
개원하여 헤이지 원년12월 2일귤씨시정
에이랴쿠 원년 (1160년)2월 28일권대납언 임명
8월 11일내대신에 임명
8월 14일좌근위대장
오호 원년 (1161년)9월 13일우대신 임명
9월 15일좌근위대장 여전
조칸 2년 (1164년)윤10월 23일좌대신 임명
윤10월 26일좌근위대장 여전
에이만 2년 (1166년)7월 27일섭정 선하, 후지씨장자
8월 17일사직 좌근위대장
개원하여 지안 원년11월 4일사직 좌대신
지안 2년 (1167년)2월 11일종1위
가오 2년 (1170년)12월 14일태정대신 임명
쇼안 원년 (1171년)4월 22일사직 태정대신
쇼안 2년 (1172년)12월 27일섭정 그만둠, 관백 선하, 병행 준섭정
지쇼 3년 (1179년)11월 17일해관
11월 18일강등 다자이권수
11월 21일출가 (법명: 선관), 배소 비젠국
지쇼 4년 (1180년)12월 2일귀락, 사가에 은거
칸키 2년 (1230년)12월 28일훙거 (향년 87세)


6. 계보

구 분내용
아버지후지와라 타다미치
어머니미나모토 토시코 (미나모토 쿠니노부의 딸)
정실산조 키미노리의 딸
자녀


7. 관련 작품


  • 1956년 다이에이에서 제작한 영화 신·헤이케 이야기 요시나카를 둘러싼 세 명의 여자(야나기 에이지로 분)에 등장했다.
  • NHK 대하드라마에서는 1972년 신·헤이케 이야기(아라시 케이시 분), 1979년 풀이 타오르다(쿠온 토시조 분), 1993년-1994년 불타오르다(테라즈미 켄 분), 2005년 요시츠네(나카마루 신쇼 분), 2012년 타이라노 키요모리(호소카와 시게키 분)에 등장했다.

참조

[1] 서적 Dogen's Formative Years: An Historical and Annotated Translation of the Hokyo-ki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0-16
[2] 서적 A Blade of Grass: Japanese Poetry and Aesthetics in Dōgen Zen https://books.google[...] P. Lang 1989
[3] 간행물 藤原師長の政治史的位置-頼長流の復権と貴族社会-
[3] 서적 中世摂関家の家と権力 校倉書房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