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주국 경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주국 경찰은 1932년 만주국 수립 이후 설치되어 치안 유지 및 행정을 담당한 기관이다. 1932년 경무사 설치를 시작으로, 수도경찰청, 치안부, 경무총국 등으로 조직이 개편되었다. 중앙 조직은 경무과, 경비과, 특무과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지방에는 경무청, 경찰국, 경무처, 경무과 등이 설치되었다. 해상경찰대는 밀수 단속과 해상 안전 유지를 담당했으며, 일본 해군의 영향을 받았다. 1939년에는 경찰 강령이 제정되었고, 만주국 경찰관의 계급 체계가 존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만주국 - 관동군
관동군은 일본 제국이 만주 지역 침략과 지배를 위해 설치한 군대로, 만주사변을 일으키고 만주국을 세우는 등 중국 침략의 선봉 역할을 했으며, 731 부대를 운영하며 전쟁 범죄를 저질렀고, 1945년 소련의 만주 침공으로 패망했다. - 만주국 - 만주국 황제
만주국 황제는 1934년 푸이가 즉위하며 시작된 만주국의 국가 원수 칭호로, 푸이는 막강한 권한을 행사하며 만주국 멸망까지 황제 지위를 유지했고, 일본의 괴뢰국 이미지를 희석하기 위한 정치적 수단으로 황제의 권한이 강조되었으며, 청나라 황실과 단절된 푸이만의 왕조임을 명시했다.
만주국 경찰 |
---|
2. 연혁
과거 만주를 지배했던 봉천 군벌은 독자적인 경찰 제도를 운영했으나, 경찰관의 자질 문제로 인해 주민들의 불만이 높았다. 만주국이 성립된 후, 일본의 지도 아래 새로운 만주국 경찰 제도가 수립되었다.
중앙 정부에는 경무사(警務司)를 설치하여 만주국 전체의 경찰 업무를 총괄하도록 했다. 지방 행정 단위인 각 성(省)에는 경무청(警務廳)을 두었다. 수도인 신징 특별시(新京特別市)에는 수도경찰청(首都警察廳)을 설치했으며, 주요 도시인 펑톈 시(奉天市)와 하얼빈 시(哈爾濱市)에는 경찰국(警察局)을 두었다. 그 외 안둥 시(安東市), 푸순 시(撫順市), 안산 시(鞍山市), 지린시, 무단장 시(牡丹江市), 치치하얼(齊齊哈爾), 진주 시(錦州市), 자무쓰 시(佳木斯市), 잉커우 시(營口市)에는 경무처(警務處)를, 기타 시(市), 현(縣), 기(旗)에는 경무과(警務科)를 설치하여 지역 치안을 담당하게 했다. 또한, 밀수 단속 등을 위해 해상경찰대도 별도로 설치되었다.
- 1932년 3월: 만주국 민정부에 경무사를 설치하고, 각 성(省)에 경무청을 설치했다.
- 1932년 6월: 신징에 수도경찰청을 설치했다.
- 1934년 3월: 만주국이 제정(帝政)으로 전환하면서 푸이가 황제로 즉위했다.
- 1937년 7월: 경무사가 만주국 치안부 소속으로 이관되었다.
- 1937년 12월: 일본에 대한 치외법권이 철폐되었다.
- 1939년 12월: 경찰 강령이 제정되었다.
- 1943년 4월: 기존의 치안부를 폐지하고 경무총국(警務總局)을 신설했다.
- 1945년 8월: 소련의 만주 침공과 일본의 패망으로 만주국이 해체되면서 만주국 경찰도 해산되었다.
3. 조직
과거 만주를 지배했던 봉천 군벌 역시 독자적인 경찰 제도를 운영했으나, 경찰관의 자질 문제로 인해 주민들의 불만이 높았다.
만주국 성립 이후, 일본의 지도 아래 새로운 만주국 경찰 제도가 구축되었다. 중앙 정부에는 경무사(警務司)를 설치하여 만주국 전체 경찰을 총괄하도록 하였다.
지방 조직으로는 각 성(省)에 경무청(警務廳)을 두었으며, 수도인 신징 특별시에는 수도경찰청(首都警察廳), 주요 도시에는 경찰국(警察局) 또는 경무처(警務處), 그 외 시·현·기에는 경무과(警務科)를 설치하여 지역 치안을 담당하게 했다.
또한 해상 치안을 담당하는 별도의 조직으로 해상경찰대가 설치되었다.
3. 1. 중앙 조직
만주국 경찰의 중앙 조직은 시기에 따라 변화하였다. 1940년(강덕 7년)에는 경무사 체제로 운영되었으며, 참사관실을 비롯하여 경무, 경비, 특무, 보안, 형사, 교양 등 여러 과로 구성되었다. 이후 1943년(강덕 10년)에는 경무총국으로 조직이 개편되었고, 경찰 본부, 해운국, 항공대, 경비선대, 훈련대 및 무선 전신소 등 다양한 부속 기관을 두어 기능이 확장되었다.3. 1. 1. 경무사 (1940년 기준)
1940년 (강덕 7년) 당시 만주국 경무사의 조직 구조는 다음과 같다.- 참사관실
- 경무과
- * 총무고, 인사고, 경리고, 기획고
- 경비과
- * 경비고, 방공고, 통신고, 총기고
- 특무과
- * 특무고, 사상고, 검열고
- 보안과
- * 보안고, 교통고, 경제보안고
- 형사과
- * 형사고, 방범고
- 교양과
- * 교양고, 교재고
- 병사은상실
3. 1. 2. 경무총국 (1943년 기준)
1943년(강덕 10년) 시점의 경무총국 조직은 다음과 같다.- 관방
- * 참사관실, 총무과, 경리과, 교양과, 병사은상실
- 경무처
- * 경비과, 방공과, 통신과, 보안과, 형사과, 경제보안과
- 특무처
- * 특무과, 특고과, 외사과
- 경찰 본부
- * 경찰, 보안, 교육, 인사, 밀정, 관리 및 행정
- 해운국
- * 선박 행정, 기계 행정
- 항공대
- 경비선대
- 훈련대
- 코로섬 무선 전신소
- 대동 무선 전신소
- 쇼가와 무선 전신국
3. 2. 지방 조직
만주국 성립 후, 일본의 영향 아래 새로운 경찰 제도가 마련되었다. 중앙 정부에는 경무사(警務司)를 두어 경찰 전체를 통괄하게 했으며, 지방의 경찰 조직은 각 행정 구역의 규모와 중요도에 따라 다르게 설치되었다.각 성(省)에는 '''경무청'''(警務廳)을 설치하여 해당 지역의 경찰 업무를 총괄하도록 하였다. 주요 도시 및 행정 구역별 경찰 조직은 아래와 같이 구성되었다.
행정 구역 | 관할 지역 | 조직 명칭 |
---|---|---|
신징 특별시 | 수도경찰청 | ||
펑톈 시, 하얼빈 시 | 경찰국 | ||
안둥 시, 푸순 시, 안산 시, 지린 시, 무단장 시, 치치하얼 시, 진저우 시, 자무스 시, 잉커우 시 | 경무처 | ||
기타 시, 현(縣), 기(旗) | 상기 외 지역 | 경무과 |
이 외에 해상에서의 치안 유지를 위해 별도로 해상 경찰대가 설치되어 운영되었다.
3. 3. 해상경찰대
만주국 성립 이후, 일본의 지도 아래 새로운 '''만주국 경찰''' 제도가 구축되었다. 중앙 정부에는 '''경무사'''가 설치되어 전국 경찰을 통괄했으며, 지방에는 각 성에 '''경무청''' 등이 설치되었다. 이와 함께 해상에서의 치안 유지를 위해 '''해상경찰대'''가 별도로 설치되었다.만주국 수립 이전 만주 지역을 지배하던 봉천 군벌의 해군력인 동북 함대는 만주 사변 발발 후 난징 국민 정부로 넘어가면서 발해와 황해의 해상 치안 공백이 발생했다. 이에 만주국 정부는 일본 제국 해군의 협조를 받아 해상 경찰 기관 설립을 추진하여 '해안 경비 경찰 부대'를 창설했다.
1932년, 해안 경비 경찰은 "특수 경찰력 장교 제도"에 따라 '해안 경찰'로 개칭되었다. 1937년에는 이 제도가 폐지되고 새로운 '해상 경찰'로 재편되었다. 1938년에는 신규 선박 건조 및 구매를 포함한 계획 1단계가 수립되었고, 본부는 잉커우 시에 설치되었다. 같은 해, 해상 경찰은 해안 현으로 이관되었다.
해상경찰대의 주요 임무는 밀수 단속과 해상 안전 유지였으나, 창설 초기부터 일본 제국 해군이 깊이 관여하여 장교 훈련을 담당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반에는 일본 해군이 물품 수송 비용을 부담했으며, 해상 경찰관의 절반은 일본 제국 해군에서 파견된 일본인이 차지할 정도로 일본의 영향력이 강했다.
3. 3. 1. 해상경찰대 조직 (1943년 기준)
1943년(강덕 10년) 기준 만주국 해상경찰대의 조직 구조는 다음과 같다.조직 | 세부 내용 |
---|---|
경찰 본부 | 경찰, 보안, 교육, 인사, 밀정, 관리 및 행정 담당 |
해운국 | 선박 행정, 기계 행정 담당 |
항공대 | |
경비선대 | |
훈련대 | |
코로섬 무선 전신소 | |
대동 무선 전신소 | |
쇼가와 무선 전신국 |
4. 만주국 경찰관 계급
wikitext
5. 경찰 강령
1939년 12월, 만주국 경찰은 모든 경찰관의 행동 규범이자 정신적 지주로서 다음과 같은 '경찰 강령'을 제정하였다.
- 경찰관은 왕도(王道) 구현의 선구자가 되어야 한다.
- 경찰관은 민족협화(民族協和)의 중핵이 되어야 한다.
- 경찰관은 의용(義勇)을 숭상하고 정의를 옹호해야 한다.
- 경찰관은 규율을 존중하고 융화 단결해야 한다.
- 경찰관은 성실을 근본으로 삼고 책임을 완수해야 한다.
- 경찰관은 청렴결백을 숭상하고 공평무사해야 한다.
- 경찰관은 수양에 힘쓰고 인격을 도야해야 한다.
6. 제복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