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포크라테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포크라테스는 이집트 신화의 호루스를 그리스-로마 문화에서 변형한 신으로, 어린 호루스를 의미하며 침묵과 비밀을 상징한다. 호루스는 매일 솟아오르는 태양, 겨울 태양의 힘, 초기 식물의 이미지를 의인화한 존재로 묘사되며, 손가락을 입에 댄 모습은 '아이'를 나타내는 상형 문자를 오해한 데서 비롯되었다. 하포크라테스는 종종 이시스와 세라피스와 연관되었으며, 로마 제국 전역에서 테라코타 조각상으로 숭배되었다. 현대 오컬트에서는 영지주의와 연결되어 해석되며, 장미는 하포크라테스의 문화적 상징으로 기밀성을 나타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집트의 헬레니즘 신 - 세라피스
세라피스는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에 이집트와 그리스 종교 통합의 일환으로 탄생한 신으로, 오시리스와 아피스 신앙의 융합체이며 풍요와 부활을 상징하는 종교적 요소들을 결합한 그리스풍의 인간 모습으로 숭배받았으나 로마 제국에 전파된 후 기독교 확산과 함께 쇠퇴했다. - 이집트의 헬레니즘 신 - 이시스
이시스는 고대 이집트 신화의 여신으로, 오시리스의 아내이자 호루스의 어머니이며, 오시리스의 죽음과 부활 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헌신적인 아내이자 어머니, 강력한 마법사이자 지혜의 여신으로 숭배받았다. - 호루스 - 나르메르 팔레트
나르메르 팔레트는 나르메르 왕의 권력을 상징하는 의식용 방패 모양 팔레트로, 양면에 상이집트와 하이집트의 통합 등 다양한 도상이 묘사되어 역사적 의미와 예술적 가치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대중 문화와 학계에서 활용된다. - 호루스 - 히에라콘폴리스
- 태양의 남신 - 아폴론
아폴론은 그리스·로마 신화에서 빛, 음악, 예술, 치유, 궁술, 예언 등 다양한 영역을 관장하는 중요한 신으로, 제우스와 레토의 아들이며 포이보스라고도 불린다. - 태양의 남신 - 호루스
호루스는 매의 머리를 가진 고대 이집트 신화의 하늘의 신으로, 아버지 오시리스의 복수를 위해 세트와 싸워 이집트의 통치자가 되었으며, 그의 눈은 보호와 왕권을 상징하고 파라오는 그의 화신으로 여겨졌다.
하포크라테스 |
---|
2. 호루스
이집트 신화에서 호루스는 이시스와 오시리스의 아들이었다. 오시리스는 이집트 최초의 신성한 파라오였으며, 그의 형제 세트에게 살해당해 미라가 되어 지하 세계의 신이 되었다. 그리스인들은 오시리스를 그들의 지하 세계의 신 하데스와 융합하여 알렉산드리아적인 혼합주의인 세라피스를 만들어냈다.[11]
이집트인들은 성인이 된 호루스를 매일 어둠을 이기는 승리한 태양신으로 여겼다. 그는 종종 황새 머리를 하고 있는데, 황새가 지구 위로 높이 날아 호루스에게 제물을 바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호루스는 세트와 싸워 승리하고 이집트의 지배자가 되었다. 그 후, 이집트의 파라오들은 승리한 호루스의 환생으로 여겨졌다.
기원 전후에는 고대 로마를 포함하여 신비 신앙이 유행하면서 이시스나 세라피스와 함께 호루스 신앙도 널리 퍼져나갔다.
2. 1. 악어 위의 호루스
이집트 신전의 안뜰에는 악어 위에 서 있는 어린 호루스(Heru-pa-Khered)를 그린 석비가 있었고, 뻗은 손에는 뱀을 들고 있었다. Heru-pa-Khered는 치유와 축복의 힘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졌으며, 그 석비 아래에 물이 고여 그 물에 몸을 담그는 의식이 행해졌다.[18]3. 하포크라테스
헬레니즘 시대에 알렉산드로스 대왕에 의해 이집트가 정복된 후, 이집트어의 Har-pa-khered(Heru-pa-khered, 아이의 호루스 라는 뜻)를 그리스어로 하포크라테스라고 불렀다. 고대 이집트의 호루스는 갓 태어난 태양, 즉 매일 떠오르는 아침해를 의미하였다.
하포크라테스는 아이의 호루스이며, 매일 뜨는 태양과 같이 원초적인 생명력을 인격화한 신으로 여겨진다. 이집트에서 그려지는 아이의 호루스(하포크라테스)상은 손가락을 입에 물고있는 알몸의 소년이다. 손가락을 입에 물고 있는 것은 상형문자(신성문자)에 있어서 '아이(子)'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리스나 로마에서 '침묵'을 의미하는 포즈와는 무관계했다. 그리스나 로마의 시인은 이것을 오해해서 하포크라테스를 침묵과 비밀의 신으로 여겼다. 오해를 낳는 계기가 된 것은 마르쿠스 테렌티우스 바로의 ''De lingua latina''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오비디우스는 이시스를 다음과 같이 묘사하고 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염가의 테라코타로 제작된 하포크라테스 상이 개인의 제단용으로 만들어져 로마 제국 각지에서 발견되고 있어서, 하포크라테스 상의 모습을 알고 있는 것으로 여길 수 있지만, 기독교 신자로서 에우헤메로스적[21] 신화 해석을 마르쿠스 테렌티우스 바로와는 다르게 설명하고 있다.
중세에 유행한 마르티아누스 카펠라(Martianus Capella)의 저작중에서 손가락을 입에 문 소년에 대한 언급은 있지만, 그의 이름이 하포크라테스인 것으로 적혀있진 않다. 그 때문에 그 소년은 큐피드라고 해석[23]하는 주장이 있다. 실제 고대 로마에서 하포크라테스와 같은 큐피트 상이 이미 존재하고 있었다.
플루타르코스에 의하면, 하포크라테스는 이시스의 두 번째 아들로서 선천적으로 다리가 부자연스러웠다라고 한다. 그와 동시에 아이의 호루스는 아이들과 그 모친의 특별한 수호신이며, 독사에 물렸을 때에 라가 고쳐 준 것으로부터 수난뒤의 희망의 상징으로 여겨졌다.[24]
4. 현대 오컬트에서의 사용
현대 오컬트에서는 하포크라테스를 영지주의(그노시스)와 연결시키고 있다. 알레이스터 크로울리의 저서에 그러한 기술이 존재한다. 현대 오컬트주의자들은 그의 이미지를 전시하는데, 이는 현재 헤르메스주의 영지주의와 느슨하게 연결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하포크라테스는 나일강의 연꽃 위에 앉아 있는 푸른 알 속의 아기이다." 그는 '침묵의 신'으로 불릴 수 있으며, 높은 자아를 나타내며 성스러운 수호 천사와 유사한 존재로, 알레이스터 크로울리가 그의 저서 ''마법 (책 4)''에서 자주 다루었다.
많은 디스코디아주의자들은 하포 마르크스가 하포크라테스의 현대적인 아바타였다고 여긴다. 이 때문에 디스코디아주의자들은 고전적인 침묵의 신이라는 속성 외에도, 하포크라테스를 트릭스터 신 또는 유머의 신으로 종종 호출한다.
5. 문화적 사용
장미는 하포크라테스와 상징적으로 강하게 연관되어 있는데, 손님을 맞이하는 방(식당, 응접실 등)의 천장 가장자리에 칠해져 있거나 회반죽으로 붙여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방 안에서 논의된 주제는 방 밖이나 다른 외부인에게 언급하거나 반복해서는 안 된다는 표시였다. 마찬가지로, 기밀성을 상징하기 위해 고해소 위에 장미를 놓기도 했다.[9]
6. 고고학적 발견
2018년, 고고학자들은 크림 반도의 고대 그리스 도시 티리타카에서 기원전 1세기에 제작된, 신과 두 명의 사티로스, 거위가 묘사된 뼈 조각상을 발견했다.[10] 후기 고대 시대 킨다 왕국의 수도였던 카르야트 알-파우(사우디아라비아)에서도 하포크라테스 조각상이 발견되었다.[10]
7. 20세기 대중문화 속 하포크라테스
1920년대부터 1950년대에 걸쳐 활약한 마르크스 형제 중 한 명인 그루초는 하포 마르크스의 이름이 하포크라테스에서 유래했다고 농담 삼아 말했다. 실제로는 하프를 연주했기 때문에 하포라고 불렀다.[17]
참조
[1]
문서
KAI 52
Kanaanäische und Aramäische Inschriften
[2]
웹사이트
Collections Online {{!}} British Museum
https://www.britishm[...]
2021-10-11
[3]
문서
De Lingua Latina
[4]
기타
Metamorphoses
http://etext.lib.vir[...]
[5]
서적
The City of God
[6]
논문
Spolia from the Baths of Caracalla in Sta. Maria in Trastevere
https://repository.b[...]
2014-08-14
[7]
서적
Egyptian Mythology: A Guide to the Gods, Goddesses, and Traditions of Ancient Egyp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8]
서적
Prime Chaos
Chaos International Press
[9]
웹사이트
Definition of Sub-rosa by Merriam-Webster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Incorporated
2017-11-04
[10]
웹사이트
Heracles, Harpocrates statues unveiled in Greece
https://www.egypttod[...]
2019-03-27
[11]
문서
ギリシア人はセトをテューポーンまたはカオスに比定した
[12]
문서
interpretatio romana による
[13]
기타
変身物語
http://etext.lib.vir[...]
[14]
서적
神の国
[15]
논문
Spolia from the Baths of Caracalla in Sta. Maria in Trastevere
1986-09
[16]
서적
Egyptian Myt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US
[17]
서적
Harpo Speaks!
Limelight Editions
[18]
문서
다양한 종교나 신 혹은 교의 등의 일부가 혼동되거나 동일시 되는 현상
[19]
문서
interpretatio romana
[20]
기타
변신이야기
http://etext.lib.vir[...]
[21]
문서
시칠리아 출신의 신화학자 에우헤메로스가 주장한 신화 해석의 방법으로서, 신들의 기원은 고대의 영웅들을 모델로 해서 등장한 것이라고 생각해 초자연적인 존재를 역사적 실존인물과 결부시켜 해석하려는 해석법을 말한다.
[22]
서적
신국론
[23]
논문
Spolia from the Baths of Caracalla in Sta. Maria in Trastevere
1986-09
[24]
서적
Egyptian Myt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US
[25]
서적
Harpo Speaks!
Limelight Editi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