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망상장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망상 장애는 반대되는 증거에도 불구하고 비정상적이고 고집스러운 믿음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 질환이다. 이러한 믿음은 환자의 삶에 과도한 영향을 미치며, 피해 망상, 과대 망상, 색정 망상, 질투 망상, 신체형 망상 등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난다. 진단은 DSM-5 기준에 따라 이루어지며, 다른 질환을 배제하고 증상의 지속 기간, 기능 손상 정도 등을 평가한다. 치료는 환자의 통찰력 부족으로 인해 어려울 수 있으며, 개별 정신 요법과 약물 치료, 필요시 사회적 기술 훈련 등이 활용된다. 망상 장애는 유전적, 생화학적, 환경적 요인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발생하며, 중년 이후에 발병하는 경향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망상장애 - 망상성 기생충 감염
    망상성 기생충 감염은 기생충, 벌레 등 유기체에 감염되었다고 굳게 믿는 망상 장애로, 일차성과 이차성으로 나뉘며, 모겔론스병과 같은 형태로 나타나고, 항정신병 약물과 인지 행동 치료로 치료하며, 의료진과의 신뢰 구축이 중요하다.
  • 망상장애 - 과대망상
    과대망상은 자존감, 권력, 지식, 정체성 등에 대한 과장된 믿음을 특징으로 하는 망상으로, 망상 장애의 한 유형이며 조현병, 양극성 장애 등에서 나타날 수 있고, 긍정적인 기능을 수행하여 자존감을 유지하거나 높이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 정신병리학 - 망상
    망상은 비합리적이고 비현실적인 내용을 확고하게 믿는 정신 질환의 증상으로, 뇌 기능 장애, 심리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이 원인이 되어 조현병, 망상장애 등에서 나타나며, 정신 상태 검사를 통해 진단하고 항정신병 약물, 인지 행동 치료 등으로 치료한다.
  • 정신병리학 - 불안
    불안은 미래의 위협에 대한 반응으로,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여러 유형으로 분류되고, 불안 장애는 과도한 불안 반응을 특징으로 하며, 치료 방법이 존재한다.
  • 정신증 - 망상
    망상은 비합리적이고 비현실적인 내용을 확고하게 믿는 정신 질환의 증상으로, 뇌 기능 장애, 심리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이 원인이 되어 조현병, 망상장애 등에서 나타나며, 정신 상태 검사를 통해 진단하고 항정신병 약물, 인지 행동 치료 등으로 치료한다.
  • 정신증 - 편집증
    편집증은 근거 없는 의심과 불신을 특징으로 하며 타인의 행동을 위협적으로 인식하는 정신 상태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여 항정신병 약물, 인지 행동 치료 등으로 치료한다.
망상장애
질병 정보
테오도르 제리코의 그림 - 군사령부의 망상을 가진 남자. 과대 망상은 망상 장애에서 흔히 나타남.
테오도르 제리코가 그린, 권력과 군사령부에 대한 과대망상을 가진 노인을 묘사한 그림. 과대망상은 망상 장애에서 흔히 나타남.
일반 정보
이름망상성 장애
동의어망상성 정신병
편집증
발병 연령18–90세 (평균 약 40세)
유형색정형
과대형
질투형
피해형
신체형
혼합형
미지정형
원인유전적 요인 및 환경적 요인
위험 요인가족력
만성 스트레스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
약물 남용
감별 진단편집성 성격 장애
조울증
정신 분열증
물질 유발 정신병
빈도일반 인구의 0.02-0.1%
증상 및 진단
증상반대되는 증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강한 거짓 믿음
감별진단편집성 인격장애, 조울증, 정신분열증, 물질 유발 정신병
치료 및 예후
ICD
MeSH
MeSH IDD010259
eMedicine
eMedicineSubjarticle
eMedicineTopic292991

2. 징후 및 증상

다음은 망상 증세를 가리키는 특징들이다.[43][17]


  • 반대되는 증거가 제시되어도, 환자는 비정상적인 고집이나 힘으로 자신의 생각이나 믿음을 강하게 드러낸다.
  • 이러한 생각은 환자의 삶에 지나치게 큰 영향을 미치며, 때로는 삶의 방식이 이해하기 어려울 정도로 바뀌기도 한다.
  • 신념이 매우 확고함에도 불구하고, 관련된 질문을 받으면 침묵하거나 의심하는 태도를 보이기도 한다.
  • 유머 감각이 부족하며, 특히 자신의 신념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서는 과도하게 예민하게 반응한다.
  • 구심성 (centrality) 혹은 중심성이라는 특징이 나타난다. 즉, 기이하거나 이상한 일들이 자신에게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낮음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의문 없이 이를 사실로 받아들인다.
  • 자신의 신념에 반대하려는 시도에 대해 비정상적으로 강력한 감정적 반응을 보이며, 극도의 예민함, 짜증, 호전성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의견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는다.
  • 환자가 가진 신념은 객관적으로 볼 때 일어날 가능성이 희박하며, 환자의 사회적, 문화적, 종교적 배경과도 동떨어진 경우가 많다.
  • 환자는 자신의 생각에 감정적으로 지나치게 몰두하며, 이러한 몰두가 정신의 다른 중요한 요소들을 압도하게 된다.
  • 망상이 현실에서 실제로 나타날 경우, 이는 비정상적이거나 평소 성격에 맞지 않는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행동은 환자의 망상적 신념의 관점에서 보면 이해 가능할 수도 있다.
  • 환자를 잘 아는 주변 사람들이 보기에 환자의 신념과 행동이 평소의 모습과 다르고 이상하게 느껴진다.


망상 장애의 추가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43][17]

  • 망상 장애는 다른 정신 질환이나 신체적 상태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 아닌, 1차성 장애(primary disorder)이다.
  • 환자가 매우 끈질기게 집착하는 특정 망상이 꾸준히 나타나는 안정적인 장애이다.
  • 질병의 경과는 만성적이며, 많은 경우 평생 지속되기도 한다.
  • 망상은 나름의 논리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내적으로 일관성을 유지한다.
  • 망상 체계 안에서는 논리가 왜곡될 수 있지만, 망상 자체가 환자의 일반적인 논리적 사고 능력을 크게 해치지는 않는다. 또한 일상생활에서의 전반적인 행동에 큰 장애를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 만약 행동 장애가 나타난다면, 이는 망상적 신념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 자기언급(self-reference)의 경향이 두드러진다. 다른 사람들에게는 별 의미 없는 사건이나 상황에 대해 개인적으로 큰 의미를 부여하며, 망상과 관련된 주변 환경에 대해 매우 긴장된 태도를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증상은 진실을 부정당하고 가스라이팅을 당하는 사람이 스스로를 망상적이라고 오인하게 되는 경우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

망상 장애에서 나타나는 망상은 내용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39][40]

  • '''피해망상'''(persecutory)[39]: 뚜렷한 증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속고 있다, 괴롭힘을 당하고 있다, 독이 든 음식을 먹고 있다는 등 피해를 받고 있다고 믿는 망상이다. 실제로 피해를 겪고 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 '''피애형''' (erotomanic)[39]: 에로토마니아(피애망상)가 나타나는 경우로, 아무런 근거 없이 특정 인물(주로 유명인이나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이 자신을 열렬히 사랑하고 있다고 믿으며, 그 대상에게 접근하려고 시도한다. 증상이 심해지면 스토커 행위로 이어질 수도 있다.
  • '''과대망상''' (grandiose)[39]: 자신의 재능이나 중요성, 지식, 힘 등을 실제보다 훨씬 부풀려 믿는 망상이다. 특별한 능력이나 업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위대한 인물이라고 생각하거나, 신과 특별한 관계가 있다고 믿기도 한다. 망상 장애 외에도 양극성 장애의 조증 삽화나 자기애성 성격 장애 등에서도 유사한 모습이 나타날 수 있다.
  • '''질투형''' (jealous)[39]: 자신의 배우자나 연인이 부정 행위를 저지르고 있다는 잘못된 믿음에 사로잡히는 질투 망상이다. 사소한 정황이나 근거 없는 의심을 바탕으로 망상이 점차 확고해진다.
  • '''신체형''' (somatic)[39]: 자신의 신체 기능이나 감각과 관련된 망상이다. 예를 들어 몸에서 심한 악취가 난다고 믿거나, 피부 아래에 벌레가 기어 다닌다고 느끼거나, 신체 일부가 기형이라고 생각하는 등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신체적 문제나 질병이 있다고 확신한다. 강박 장애나 신체 변형 장애와 감별 진단이 필요하다.
  • '''혼합형''' (mixed)[39]: 위에 언급된 여러 유형의 망상이 동시에 나타나지만, 어느 한 가지 유형이 뚜렷하게 우세하지는 않은 경우이다.
  • '''특정 불가능형''' (unspecified)[39]: 망상의 내용이 위에서 설명한 특정 유형으로 분류하기 어려운 경우이다.

3. 진단

망상장애 진단은 주로 미국정신의학회(APA)의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 기준을 따른다. 과거 DSM-Ⅳ-TR 기준과 현재 사용되는 DSM-5 기준 모두 망상장애의 핵심 특징을 정의하고 있다.[44][39][41]

진단의 핵심은 현실에서 일어날 법한 내용의 기괴하지 않은 망상(예: 누군가 자신을 미행한다거나, 배우자가 부정하다는 믿음 등)이 1개월 이상 지속되는 것이다.[44][39][41] 중요한 점은 조현병의 진단 기준을 충족한 적이 없어야 하며, 망상이나 그로 인한 판단 장애의 영향을 제외하면 전반적인 기능 수준이 심각하게 손상되지 않고 행동 역시 눈에 띄게 이상하거나 기괴하지 않다는 것이다.[44][39][41] 망상과 관련된 환촉이나 환미 같은 환각이 나타날 수는 있으나, 조현병에서처럼 두드러지지는 않는다.[44][39][41] 만약 우울 삽화와 같은 기분 장애 증상이 동반된다면, 그 기간이 전체 망상 기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아야 한다.[44][39][41] 또한, 약물 남용이나 특정 약물,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해 증상이 발생한 것이 아니어야 한다.[44][39][41]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다른 가능한 원인들을 배제하는 감별 진단 과정이 필수적이다. 약물 유발 상태, 치매, 감염, 대사 장애, 내분비 질환과 같은 의학적 상태는 물론, 조현병이나 기분 장애 등 다른 정신 질환과의 구별이 필요하다.[8]

진단 과정에서는 환자와의 면담을 통해 생활 상황과 병력을 자세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임상의는 정확한 정보 수집을 위해 이전 의무 기록을 검토하며, 망상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환자의 직계 가족과 면담을 시도하기도 한다. 정신 상태 검사는 환자의 현재 정신 상태를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망상적 사고를 식별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심리 설문지로 Peters Delusion Inventory(PDI) 등이 있지만, 주로 임상 현장보다는 연구 목적으로 활용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망상의 내용이 현실에서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비기괴 망상일 경우, 사실 확인 등을 통해 그것이 망상임을 뒷받침할 충분한 근거를 확보하는 과정이 진단에 중요하다.[22]

망상장애는 망상의 주된 내용에 따라 색정형, 과대형, 질투형, 피해형, 신체형 등으로 유형을 분류할 수 있으며[44], 자세한 진단 기준과 감별 진단 내용은 관련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DSM-5 진단 기준

미국정신의학회(APA)의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5판(DSM-5)에서는 망상장애 진단을 위해 다음 기준들을 모두 충족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39][41]

: A.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망상이 1개월 이상 지속된다.

: B. 조현병의 진단 기준 A를 충족한 적이 없다. (주의: 망상과 관련된 주제의 환각(특히 환촉이나 환미)이 나타날 수는 있다.)

: C. 명백한 망상이나 그 파급 효과를 제외하면, 전반적인 기능 수준이 현저하게 손상되지 않으며, 행동이 눈에 띄게 이상하거나 기괴하지 않다.

: D. 기분 삽화(mood episode)가 망상 기간과 동시에 나타났다면, 전체 삽화 기간 중 기분 삽화의 총 기간은 짧다.

: E. 장애가 물질(예: 남용 약물, 치료 약물)의 생리적 효과나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어야 한다.

망상장애에서의 망상은 주로 현실에서 일어날 수 있는 내용을 다룬다(기괴하지 않은 망상). 예를 들어, 누군가 자신을 미행하거나 독살하려 한다고 믿는 것, 멀리 있는 타인이 자신을 사랑한다고 믿는 것, 배우자나 연인이 부정을 저지르고 있다고 믿는 것, 자신이 특정 질병에 걸렸다고 믿는 것 등이 해당된다.

진단 시 망상의 주된 내용에 따라 다음과 같이 유형을 세분화할 수 있다.[44]

  • '''색정형'''(색정광): 주로 사회적으로 높은 지위에 있는 다른 사람이 자신과 사랑에 빠졌다고 믿는 망상.
  • '''과대형'''(과대망상): 자신의 가치, 힘, 지식, 정체성 등이 비정상적으로 뛰어나다고 믿거나, 신격화된 인물 또는 유명인과 특별한 관계라고 믿는 망상.
  • '''질투형'''(부정망상): 자신의 연인이나 배우자가 불충실하다고 강하게 믿는 망상.
  • '''피해형'''(피해망상): 자신이나 가까운 사람이 악의적인 의도를 가진 타인으로부터 부당하게 대우받거나 피해를 입고 있다고 믿는 망상. 이는 망상장애에서 가장 흔한 유형이다.
  • '''신체형'''(신체형통증장애): 신체 기능이나 감각과 관련된 망상으로, 자신이 심각한 신체적 결함이나 질병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 경우.
  • '''혼재형''': 위에 언급된 여러 유형의 특징이 나타나지만, 어느 한 가지 유형이 뚜렷하게 우세하지 않은 경우.
  • '''불특정형''': 주된 망상이 위 유형들로 명확하게 분류되지 않거나 특정할 수 없는 경우.


망상장애는 편집성 성격 장애나 분열형 성격 장애와 유사한 측면이 있을 수 있으나, 이들 성격 장애에서는 망상장애에서 보이는 것과 같은 명확하고 확고한 망상이 나타나지는 않는다. 또한, 이들 성격 장애는 진단 기준상 정신병적 장애가 아님을 조건으로 한다.

3. 2. 감별 진단

감별 진단 과정에서는 먼저 약물 사용이나 치매, 감염, 대사 장애, 내분비 질환과 같은 다른 의학적 상태가 망상의 원인이 아닌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8]

이후 다른 정신 질환과의 구별이 필요하다. 망상 장애는 조현병과 달리 망상이 기괴하지 않고(즉, 현실에서 일어날 법한 상황과 관련됨) 환각은 없거나 미미하며, 망상의 영향을 제외하면 전반적인 기능 수준이 심각하게 손상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8][44] 또한, 기분 장애 증상이 나타나더라도 망상이 지속되는 기간에 비해 그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아야 한다.[8][44] 편집성 성격 장애나 분열형 성격 장애와 유사해 보일 수 있지만, 이들 성격 장애는 확고한 망상보다는 막연한 망상적 생각을 가지는 경향이 있으며, 진단 기준상 정신병적 장애가 아니어야 한다.

진단을 위해서는 환자와의 면담을 통해 생활 환경과 병력을 파악하고, 이전 의무 기록을 검토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필요한 경우, 망상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환자의 직계 가족과 면담하기도 한다. 정신 상태 검사는 환자의 현재 정신 상태를 평가하는 데 활용된다. 망상적 사고를 식별하기 위한 심리 설문지로 Peters Delusion Inventory(PDI)가 있으나, 이는 주로 연구 목적으로 사용된다.

특히 현실에서 일어날 법한 내용을 다루는 비기괴 망상의 경우, 사실 확인 등을 통해 그것이 실제로 망상임을 뒷받침할 충분한 근거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Psych Central[22]은 이러한 상황이 사실이거나 가능할 수 있지만, 망상 장애를 가진 사람은 사실 확인 등을 통해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된다고 설명한다.

미국정신의학회(APA)의 DSM-5에 따른 망상 장애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39][41]

:A. 하나 이상의 망상이 1개월 이상 존재한다.

:B. 조현병의 진단 기준 A를 충족한 적이 없다. (주의: 망상과 관련된 환촉이나 환미가 망상 장애에서 나타날 수는 있다.)

:C. 망상이나 그 영향으로 인한 경우를 제외하면, 기능 수준이 심각하게 손상되지 않으며, 행동이 눈에 띄게 이상하거나 기괴하지 않다.

:D. 기분 삽화가 망상과 동시에 발생했다면, 총 지속 기간이 망상 기간에 비해 짧다.

:E. 장애가 물질(예: 남용 약물, 치료 약물)의 생리적 효과나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며, 다른 정신 질환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망상 장애는 주요 망상의 주제에 따라 다음과 같은 아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44]

  • 색정형(색정증): 다른 사람(주로 사회적으로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이 자신과 사랑에 빠졌다고 믿는 망상.
  • 과대형(과대망상): 자신이 대단한 가치, 힘, 지식, 정체성을 가졌거나 신격화된 인물 또는 유명인과 특별한 관계라고 믿는 망상.
  • 질투형(부정망상): 자신의 배우자나 연인이 부정하다고 믿는 망상.
  • 피해형(피해망상): 누군가가 자신이나 가까운 사람에게 악의적으로 해를 가하려 한다고 믿는 망상.
  • 신체형(신체형통증장애): 자신에게 신체적 결함이나 질병이 있다고 믿는 망상.
  • 혼재형: 위의 여러 유형의 특징을 보이지만, 어느 한 가지 특징이 두드러지지 않는 경우.
  • 불특정형: 특정 유형으로 분류하기 어려운 망상.

4. 분류

미국정신의학회(APA)의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과 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 질병 분류(ICD) 등 주요 정신질환 분류 체계에서는 망상의 주된 내용에 따라 망상장애를 여러 하위 유형으로 분류한다.[15][16] DSM-Ⅳ-TR에서는 망상장애의 진단 기준으로 현실에서 일어날 법한 기괴하지 않은 망상이 최소 1개월 이상 지속되고, 조현병의 진단 기준을 충족한 적이 없으며, 망상의 영향 외에는 전반적인 기능 수준이 심하게 손상되지 않고, 기분 삽화가 동반되더라도 전체 망상 기간에 비해 짧아야 한다는 점 등을 제시한다.[44]

DSM에서는 망상장애의 주요 아형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며, 각 유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해당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16][44]


  • '''색정형 (Erotomanic type)''': 특정 인물(주로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이 자신을 사랑한다고 믿는 망상. (세부 내용)
  • '''과대형 (Grandiose type)''': 자신의 가치, 능력, 지식, 정체성 등이 비정상적으로 뛰어나다고 믿거나, 유명인과 특별한 관계가 있다고 믿는 망상. (세부 내용)
  • '''질투형 (Jealous type)''': 자신의 배우자나 연인이 부정하다는 근거 없는 믿음을 갖는 망상. (세부 내용)
  • '''피해형 (Persecutory type)''': 누군가 자신이나 가까운 사람에게 악의적인 행동을 하고 있다고 믿는 망상. 가장 흔한 유형 중 하나이다. (세부 내용)
  • '''신체형 (Somatic type)''': 자신에게 신체적 결함이나 질병이 있다고 믿는 망상. (세부 내용)
  • '''혼합형 (Mixed type)''': 위 유형 중 두 가지 이상의 특징을 보이지만, 어느 한 가지 특징도 뚜렷하게 우세하지 않은 경우. (세부 내용)
  • '''불특정형 (Unspecified type)''': 위의 특정 유형으로 분류하기 어려운 망상. (세부 내용)


국제 질병 분류(ICD)에서도 망상 장애를 정신 질환 및 이상 행동 장애의 범주로 분류하고 있다.[15]

4. 1. 피해망상

피해망상(Persecutory type)은 망상장애의 한 유형으로, 본인 또는 자신과 가까운 사람이 악의적인 의도를 가진 대상으로부터 부당한 대우를 받고 있다고 강하게 믿는 망상을 특징으로 한다.[44][16] 이는 망상장애의 여러 하위 유형 중 비교적 흔하게 나타나는 편이다.[16]

미국정신의학회(APA)의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에서는 피해망상을 가진 사람이 구체적인 증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속고 있거나, 독살 위협을 받거나, 미행 또는 감시를 당하거나, 비방을 당하거나, 괴롭힘을 당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피해를 겪고 있다고 믿는다고 설명한다.[16][39] 이러한 믿음은 매우 확고하여, 때로는 망상의 내용과 관련된 환촉(幻觸)이나 환미(幻味)를 경험하기도 한다.[44]

피해망상을 겪는 사람은 자신의 믿음을 바탕으로 부당함에 맞서 '정의'를 실현하고자 보고서를 작성하거나 법적 조치를 취하는 등의 행동을 보일 수 있으며, 심한 경우 방어적인 행동이나 폭력적인 반응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16] 하지만 망상의 내용이 실제 피해 사실에 근거할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으므로, 주변에서는 신중하게 상황을 파악하고 대처할 필요가 있다.[39]

4. 2. 과대망상

과대형 망상(과대망상)은 미국정신의학회(APA)의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에서 분류하는 망상 장애의 한 유형이다.[44][16] 이는 자신의 가치, 힘, 지식, 정체성 등이 실제보다 매우 뛰어나다고 믿거나, 자신이 신격화된 인물 또는 유명인과 특별한 관계에 있다고 믿는 망상이다.[44] 때로는 자신이 실제 유명인이며, 세상에 알려진 그 유명인은 사기꾼이나 자신을 모방한 사람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16] 증상적으로는 객관적인 증거나 실적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재능이나 중요성을 과신하는 태도를 보인다.[39] 이러한 과대망상은 망상장애뿐만 아니라 양극성 장애나 자기애성 성격 장애와 같은 다른 정신질환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39]

4. 3. 색정망상 (에로토마니아)

색정망상(色情妄想, Erotomania) 또는 피애망상(被愛妄想)은 망상장애의 한 유형으로, 미국정신의학회의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에서는 '색정형(erotomanic type)'[44][16] 또는 '피애형(erotomanic)'[39]으로 분류한다.

핵심 증상은 다른 사람, 특히 사회적으로 지위가 높거나 유명한 사람이 자신과 깊은 사랑에 빠졌다고 강하게 믿는 것이다.[44][16] 이러한 믿음은 객관적인 근거가 부족하거나 전혀 없다.[39] 환자는 망상의 대상이 되는 인물에게 편지, 전화, 선물 공세 등 강박적으로 연락을 시도하거나 접근하려 할 수 있으며,[16] 심한 경우에는 법을 어기거나 스토커 행위로 이어지기도 한다.[16][39]

4. 4. 질투망상

질투형 망상은 자신의 배우자나 연인이 부정 행위를 저지르고 있다고 근거 없이 믿는 망상을 의미한다.[39][40] 미국정신의학회(APA)의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Ⅳ-TR)에서는 이를 망상장애의 한 유형인 '질투형(jealous type)'으로 분류하며, 연인이 부정하다는 망상으로 정의한다.[44] 다른 분류에서도 배우자나 연인이 부정 행위를 하고 있다는 질투 망상이 나타나는 경우를 질투형 망상으로 설명한다.[39]

4. 5. 신체망상

미국정신의학회(APA)의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에 따르면, 신체형 망상(somatic type)은 자신에게 신체적 결함이나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가 있다고 믿는 망상을 의미한다.[44][16] 예를 들어, 실제로는 그렇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기생충에 감염되었다거나, 몸에서 심한 악취가 난다고 믿거나, 자신의 외모가 흉측하여 다른 사람에게 불쾌감을 준다고 생각하는 경우 등이 해당한다.[39][40] 이러한 증상은 강박 장애나 신체 변형 장애와 유사한 측면이 있어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감별이 필요하다.[39]

4. 6. 혼합형

망상장애의 아형 중 하나로, 두 가지 이상의 망상 유형(예: 색정 망상, 과대 망상, 질투 망상, 피해 망상, 신체 망상)의 특징을 동시에 보이지만, 어느 한 가지 유형이 특별히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한다.[44][16][39] 즉, 여러 종류의 망상이 복합적으로 존재하지만 특정 주제의 망상이 지배적이지 않을 때 진단된다.[16][39] 이는 미국정신의학회(APA)의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 등 주요 정신질환 진단 기준에서 사용되는 분류이다.[44][16]

4. 7. 불특정형

망상장애의 하위 유형 중 하나로, 다른 특정 유형(예: 색정형, 과대형, 질투형, 피해형, 신체형, 혼재형)의 범주에 명확하게 들어맞지 않거나 특정할 수 없는 망상을 보이는 경우를 말한다.[44][16][39] 미국정신의학회(APA)의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 등 주요 정신질환 분류 체계에서 사용되는 분류이다.[44][16]

5. 원인

망상장애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생화학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45][8] 일부 환자는 뇌에서 메시지를 주고받는 화학 물질인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을 겪을 수 있다.[46][18]

가족력이 관련 있는 것으로 보이며, 다음과 같은 요인들도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8][19][20]


  • 이민 (특히 피해망상과 관련된 경우)
  • 약물 남용
  • 과도한 스트레스
  • 결혼 상태 (남성의 경우 독신, 여성의 경우 과부)
  • 취업 상태
  •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


최근에는 망상장애를 조현병과 같은 스펙트럼에 속하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다만 망상장애는 조현병에 비해 증상이나 기능 장애의 심각도가 덜하다는 주요한 차이가 있다.[47][21]

6. 역학

망상장애의 위험 요인으로는 가족력, 심한 스트레스,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 약물 남용, 이민, 결혼, 취직, 남성 독신, 사별한 여성 등이 있다.[48][49]

임상적으로 망상장애는 실제 진단되는 경우가 드문 질병이다. 이는 환자들이 통찰력 부족으로 정신과적 평가를 피하는 경향이 있고, 증상의 특성상 사회적 기능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아 환자 본인이나 주변 사람들이 병을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으로 추정된다.[50][7][30] 이러한 이유로 실제 유병률보다 과소평가될 수 있다.[7][30]

망상장애의 유병률은 인구 10만 명당 약 24~30명이며, 매년 인구 10만 명당 0.7~3.0명의 새로운 환자가 보고된다.[7][30] 정신 건강 입원 시설 입원 환자 중 망상장애 환자는 1~2%를 차지하고,[7][30] 망상 장애로 인한 첫 입원 발생률은 0.001~0.003%로 더 낮다.[31]

발병 또는 진단은 주로 중년 이후인 30~40대 이후에 이루어지는 경우가 흔하며,[45][51][8] 망상 장애로 인한 첫 입원도 대부분 33세에서 55세 사이에 발생한다.[8]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흔하게 발견되며, 이민자들이 더 높은 발병 위험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8]

7. 치료

정신분열증의 치료는 약물 치료와 사회심리적 치료가 병행될 때 가장 효과적이다. 초기 단계나 급성기에는 입원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는 환자의 자살 위험이나 심각한 증상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된다. 입원 치료는 환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약물 치료를 안정적으로 시작하며, 진단을 정확히 내리는 데 중점을 둔다.

항정신병 약물은 정신분열증의 주요 치료법으로, 도파민 수용체에 영향을 주어 신경전달물질 균형을 맞추는 데 도움을 준다. 이를 통해 환각이나 망상과 같은 양성 증상을 완화하고, 재발 가능성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약물 치료는 꾸준히 지속하는 것이 중요하며, 환자마다 효과와 부작용이 다를 수 있으므로 의사와 긴밀히 상의하여 최적의 약물과 용량을 찾는 과정이 필요하다.

사회심리적 치료는 환자의 사회적 기능 회복과 삶의 질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여기에는 정신건강 교육, 인지행동치료, 가족 치료, 사회 기술 훈련, 직업 재활 등 다양한 접근법이 포함된다. 이러한 치료들은 환자가 자신의 질병을 이해하고 관리하는 능력을 키우며, 대인 관계 기술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적응을 돕는다. 특히 가족의 지지와 이해는 환자의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가족 치료를 통해 가족 구성원들이 환자를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신분열증은 만성적인 경과를 밟는 경우가 많아 장기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치료 목표는 단순히 증상을 완화하는 것을 넘어, 환자가 사회의 일원으로 독립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를 위해 약물 치료와 사회심리적 치료를 통합적으로 접근하고, 환자와 가족, 치료진 간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통합적 접근은 환자의 전반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복귀를 돕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7. 1. 약물 치료

항정신병 약물은 망상 장애 치료에 대해 효과가 잘 검증되지 않았으며, 핵심적인 망상 자체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8] 다만, 망상 장애에 동반될 수 있는 초조함을 관리하는 데는 더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8] 아직 명확한 치료 지침이나 효과가 입증된 약물이 부족하기 때문에, 다른 정신병적 장애에 효과가 있는 약물 치료법을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인 접근으로 여겨진다.[23] 실제로 정신분열증 치료에 준하여 항정신병 약물이 사용되기도 한다.[42]

기존의 항정신병 약물 외에 다른 약물 치료의 가능성도 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클로미프라민은 신체와 관련된 망상을 가진 환자에게 효과가 있을 수 있다는 일부 증거가 있다.[24][25] 트리미프라민은 이미프라민 계열의 삼환계 항우울제로, 클로자핀과 유사한 약한 항정신병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직 트리미프라민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지만, 망상 증상을 동반한 심각한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아미트립틸린과 할로페리돌을 함께 사용하는 것보다 트리미프라민 단독 치료가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26]

약물 치료와 인지 치료를 병행하는 접근법도 고려될 수 있다. 이는 약물을 통해 망상 장애의 가능한 생물학적 원인을 다루고, 동시에 인지 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28]

망상 장애의 약물 치료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정신분열증 치료" 항목에서도 참고할 수 있다.

7. 2. 정신 치료

망상 장애 치료는 환자 대부분이 스스로 병이 있다는 통찰력이 부족하고 문제 자체를 인정하지 않으려 하기 때문에 어려움이 따른다.[8] 대부분 외래에서 치료를 받지만, 스스로를 해치거나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칠 위험이 있을 때는 입원이 필요할 수 있다.[8] 환자는 의심이 많고 예민한 경우가 많아, 여러 사람이 함께 받는 집단 정신 치료보다는 치료사와 일대일로 만나는 개별 정신 요법이 더 권장된다.[8]

항정신병 약물은 망상 장애 치료 효과가 뚜렷하게 검증되지 않았고, 핵심적인 망상 자체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8] 다만, 망상 장애와 함께 나타날 수 있는 초조함을 다스리는 데는 도움이 될 수 있다.[8] 약물 치료의 경우, 정신분열증 치료에 준하여 항정신병 약물이 사용되기도 한다.[42] 명확한 치료 지침이 확립되기 전까지는 다른 정신병적 장애에 효과가 있는 치료법을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다.[23] 기존 항정신병 약물 외에 다른 약물 치료 방법의 가능성도 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신체와 관련된 망상을 가진 환자에게 클로미프라민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24][25] 트리미프라민은 이미프라민 계열의 삼환계 항우울제로, 약한 항정신병 효과도 가지고 있어 클로자핀과 유사한 면이 있다. 아직 연구는 부족하지만, 망상 증상을 동반한 심각한 우울증 환자 대상 연구에서는 아미트립틸린과 할로페리돌 병용 요법보다 효과적이라는 결과도 있었다.[26]

망상 장애 환자를 위한 정신 요법 중 하나로 인지 치료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때 치료사는 환자에게 공감하며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27] 치료 과정에서 치료사는 소크라테스식 문답법을 활용하여 환자 스스로 자신의 생각을 점검하도록 도울 수 있다.[27] 이 치료법은 주로 피해 망상을 가진 환자들에게 연구되었다. 약물 치료와 인지 치료를 함께 사용하면, 생물학적 원인에 대한 접근과 함께 정신 요법을 통해 증상을 완화하는 통합적인 치료가 가능하다. 어떤 치료법을 사용하든, 의사와의 신뢰 관계를 잘 구축하여 환자가 망상에 깊이 빠지지 않도록 돕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28] 특히 정신 요법은 이러한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중요한 치료 방법이다.[28]

지지적 치료 역시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이 치료는 환자가 꾸준히 치료를 받도록 격려하고, 병과 치료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회 기술 훈련도 많은 환자에게 도움이 된다. 이를 통해 대인 관계 기술을 향상시키고 자신감과 편안함을 높여,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느끼는 어려움을 줄일 수 있다.[29] 자신의 내면을 깊이 탐색하는 통찰 지향적 치료는 자주 사용되지는 않지만, 성공적인 치료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다.[29] 이 치료의 목표는 치료사와 긍정적인 관계(치료적 동맹)를 맺고, 환자가 외부로 투사하는 증오나 무력감 같은 부정적 감정을 다루며, 세상을 인식하는 방식에 대해 스스로 건강한 의문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환자의 방어적인 태도에 대한 치료사의 공감이 필수적이다.[29]

구체적인 치료 방법에 대해서는 정신분열증의 치료 문서를 함께 참고할 수 있다.

7. 3. 기타 치료

망상 장애 치료는 환자 대부분이 스스로 병을 인지하지 못하고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지 않아 어려움이 따른다.[8] 대부분 외래 진료를 통해 치료가 이루어지지만, 자신이나 타인에게 해를 끼칠 위험이 있다고 판단되면 입원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다.[8] 환자는 의심이 많고 예민한 경우가 많아, 여러 사람이 함께하는 집단 정신 치료보다는 치료사와 일대일로 진행하는 개별 정신 요법이 더 효과적이다.[8]

항정신병 약물이 망상 장애에 뚜렷한 효과가 있다는 증거는 부족하며, 핵심적인 망상을 바꾸는 데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8] 다만, 망상 장애와 함께 나타날 수 있는 초조함이나 불안감을 조절하는 데는 도움이 될 수 있다.[8] 명확한 치료 지침이 확립되기 전까지는 다른 정신 질환에 효과가 입증된 치료법을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인 접근법으로 여겨진다.[23]

항정신병 약물 외에 다른 약물 치료를 시도해 볼 수 있다는 일부 근거가 있다. 예를 들어 신체 망상(자신의 신체에 이상이 있다고 믿는 망상)이 있는 환자에게는 클로미프라민이 사용될 수 있다.[24][25] 이미프라민 계열의 삼환계 항우울제인 트리미프라민은 클로자핀과 유사한 약한 항정신병 효과를 지니고 있지만, 망상 장애에 대한 효과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하지만 망상을 동반한 심각한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아미트립틸린과 할로페리돌 병용 요법보다 트리미프라민 단독 요법이 더 효과적이라는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26]

정신 요법 중에서는 공감을 바탕으로 한 인지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다. 치료사는 환자의 생각에 대해 직접적으로 반박하기보다는 소크라테스식 질문을 통해 환자 스스로 자신의 믿음을 검토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27] 이 방법은 특히 피해 망상 환자에게 주로 연구되었다. 약물 치료와 인지 치료를 병행하면 생물학적 요인을 조절하면서 동시에 정신 요법으로 증상을 완화하는 통합적인 접근이 가능하다. 정신 요법은 환자와 치료사 간의 신뢰 관계 구축이 중요하며, 이것이 치료 효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28]

환자가 치료를 꾸준히 받도록 격려하고 질병과 치료 과정에 대해 교육하는 지지적 치료 역시 도움이 된다.

사회적 기술 훈련은 대인 관계 기술을 향상시키고 자신감과 편안함을 높여, 환자가 다른 사람들과 교류할 때 느끼는 위협감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29]

자신의 내면을 깊이 탐색하는 통찰 지향적 치료는 망상 장애 환자에게는 신중하게 접근해야 하지만, 성공적인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29] 이 치료는 환자와의 굳건한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환자가 외부로 투사하는 증오나 무력감 같은 감정을 다루고, 자신의 내면과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에 대해 유연하게 생각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환자의 방어적인 태도에 대한 깊은 공감이 필수적이다.[29] 어떤 치료법이든 의사와의 신뢰 관계를 잘 형성하여 환자가 망상에 깊이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약물 치료 시에는 정신분열증 치료에 준하여 항정신병 약물을 사용하기도 한다.[42]

자세한 치료법에 대해서는 정신분열증 치료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8. 비판

일부 상황에서는 망상이 실제 믿음으로 판명될 수도 있다.[32] 예를 들어, 피해 망상에서 배우자가 불충실하다고 믿는 경우, 실제로 배우자가 불륜을 저질렀을 수도 있다. 하지만 나중에 그 믿음이 사실로 밝혀지거나 상대방이 비난받을 만한 행동을 했다는 것이 확인되더라도, 그것이 망상이 아니었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반대로, 의사나 정신과 의사가 환자의 주장을 비합리적이거나 기이하다고 주관적으로 판단하여 망상으로 잘못 진단하는 경우도 있다. 정신과 의사가 환자 주장의 진위를 확인할 시간이나 자원이 부족하여 실제 믿음을 망상으로 오인할 수 있는 것이다.[33] 이를 마사 미첼 효과라고 부르는데, 이는 존 N. 미첼 미국 법무장관의 부인 마사 미첼의 사례에서 유래했다. 그녀는 백악관 내 불법 활동을 주장했지만 처음에는 정신 질환의 징후로 치부되었다. 그러나 이후 워터게이트 사건이 터지면서 그녀의 주장이 사실로 밝혀졌고, 정신 건강에 문제가 없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야스퍼스가 망상을 '궁극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것'으로 정의한 것에 대한 비판도 있다. 비평가들(예: R. D. 레잉)은 이러한 정의가 특정 정신과 의사의 주관적인 이해에 따라 망상 진단이 달라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의사가 환자의 믿음을 이해 가능하게 만드는 모든 정보에 접근하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망상 진단의 또 다른 어려움은 망상의 특징 대부분이 "정상적인" 믿음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많은 종교적 믿음은 망상과 유사한 특징을 공유하지만 일반적으로 망상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어떤 사람이 자신의 믿음이 진실이라고 확신한다면 당연히 그 믿음을 고수할 것이며, 이러한 태도가 정신 질환으로 오진될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요인들 때문에 정신과 의사 앤서니 데이비드는 "망상에 대해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만족스러운 정의는 없다"고 언급했다.[34]

9. 대중문화

2010년 심리 스릴러 영화 ''셔터 아일랜드''는 마틴 스코세지 감독,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주연으로, 망상장애를 비롯한 여러 장애를 다루고 있다.[35][36] 아두르 고팔라크리슈난 감독의 인도 영화 ''아난타람''(그 후) 역시 망상의 복잡한 양상을 보여준다.[37][38] 프랑스 영화 ''그는 나를 사랑해... 그는 나를 사랑하지 않아''의 줄거리는 색정망상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이언 매큐언의 소설 ''엔듀어링 러브'' 역시 마찬가지이다.

참조

[1] 논문 The diagnosis of delusional insanity in the United States and Great Britain, 1860-1913
[2]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3] 웹사이트 Delusional Disorder: Treatments, Causes, Types & Diagnosis https://my.cleveland[...]
[4] 웹사이트 Delusional Disorder https://www.ncbi.nlm[...] StatPearls 2023
[5] 웹사이트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 DSM-IV https://archive.org/[...] 1999
[6] 문서 Oxford Hand Book of Psychiatry Oxford Press 2005
[7]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2013
[8] 서적 The American Psychiatric Press Textbook of Psychiatry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Inc. 2003
[9] 문서 Comprehensive Psychiatry-Delusional Disorder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77
[10] 학술지 Perceptual organization deficits in psychotic patients https://www.research[...]
[11] 학술지 Cognitive functioning in schizophrenia, schizoaffective disorder and affective psychoses: Meta-analytic study http://bjp.rcpsych.o[...]
[12] 학술지 Specific and Generalized Neuropsychological Deficits: A Comparison of Patients with Various First-Episode Psychosis Presentations
[13] 학술지 Delusional Disorder (Paranoia)
[14] 백과사전 Delusional Disorder http://emedicine.med[...] WebMD 2018-11-16
[15] 웹사이트 The ICD-10 Classification of Mental and Behavioural Disorders Clinical descriptions and diagnostic guidelines https://www.who.int/[...] Microsoft Word 2021-06-23
[16] 웹사이트 Delusional Disorder http://www.health.am[...] 2012-08-07
[17] 서적 Delusional disorder: paranoia and related illness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문서 Assessment of familial risks in the functional psychoses and their application in genetic counseling. Br J Pschychiatry. 1978
[19] 문서 Delusional Parasitosis: Clinical Features, Diagnosis and Treatment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0
[20] 백과사전 Delusional Disorder - Epidemiology - Patient demographics http://emedicine.med[...] WebMD 2013-04-15
[21] 학술지 Structure of the psychotic disorders classification in DSM 5
[22] 웹사이트 Delusional Disorder Symptoms and Diagnostic Criteria https://netdoctorcen[...]
[23] 학술지 Treatments for delusional disorder 2015
[24] 학술지 Clomipramine treatment of delusional disorder, somatic type https://pubmed.ncbi.[...] 1995-05
[25] 문서 Successful treatment of olfactory reference syndrome with clomipramine 2018-01-01
[26] 학술지 Outcome in delusional depression comparing trimipramine monotherapy with a combination of amitriptyline and haloperidol--a double-blind multicenter trial https://pubmed.ncbi.[...] 2009-04
[27] 웹사이트 Treatments http://www.minddisor[...] 2010-08-06
[28] 웹사이트 Delusional Disorder Treatment http://psychcentral.[...] Psych Central 2011-11-24
[29] 백과사전 Delusional Disorder - Treatment & Management - Psychotherapy http://emedicine.med[...] WebMD 2013-04-15
[30] 서적 The Medical Basis of Psychiatry Humana Press 2008
[31] 학술지 Demography of paranoid psychosis (delusional disorder): a review and comparison with schizophrenia and affective illness. 1982-08
[32] 학술지 The phenomenology of abnormal belief http://muse.jhu.edu/[...]
[33] 서적 Delusional Beliefs Wiley Interscience
[34] 학술지 On the impossibility of defining delusions
[35] 웹사이트 Psychology in the Media: Shutter Island (Part I) https://shutterislan[...] 2015-03-28
[36] 웹사이트 A One Way Ticket to Shutter Island - Applied Psychology OPUS - NYU Steinhardt http://steinhardt.ny[...]
[37] Citation Anantaram https://www.imdb.com[...] 2017-02-02
[38] 뉴스 Anantaram: After three years, another landmark from Adoor Gopalakrishnan http://indiatoday.in[...] 2017-02-02
[39] 서적 カプラン臨床精神医学テキスト DSM-5診断基準の臨床への展開 メディカルサイエンスインターナショナル 2016-05-31
[40] Harvnb 2014
[41] 서적 DSM-5 精神疾患の診断・統計マニュアル 日本정신신경학회 2014
[42] 웹사이트 妄想性障害 http://merckmanuals.[...]
[43] 서적 Delusional disorder: paranoia and related illnesse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44] 웹사이트 Delusional Disorder http://www.health.am[...] 2012-08-07
[45] 서적 The American Psychiatric Press Textbook of Psychiatry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Inc.
[46] 간행물 Assessment of familial risks in the functional psychoses and their application in genetic counseling. Br J Pschychiatry. 1978
[47] 학술지 Structure of the psychotic disorders classification in DSM 5
[48] 간행물 Delusional Parasitosis: Clinical Features, Diagnosis and Treatment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0
[49] 웹인용 Delusional Disorder - Epidemiology - Patient demographics http://emedicine.med[...] 2013-04-15
[50] 저널 Demography of paranoid psychosis (delusional disorder): a review and comparison with schizophrenia and affective illness. 1982-08
[51] 웹사이트 https://www.ncbi.nl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