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원 조준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망원 조준경은 사수에게 조준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광학 기기이다. 19세기부터 사용되었으며, 굴절, 반사경, 프리즘식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배율, 대물렌즈 직경, 시야, 출사 동공, 아이 릴리프 등의 광학 매개변수와 렌즈 코팅, 튜브 크기, 조절 장치, 레티클(십자선) 등으로 구성된다. 레티클은 십자선, 듀플렉스, 밀닷, 홀드오버 등 다양한 패턴과 제1/2 초점면(FFP/SFP)을 가진다. 시차 보정, 탄도 보정(BDC), 레티클 조명 등의 기능이 있으며, 렌즈 후드, 렌즈 덮개, 필터, ARD, 킬플래시, 레이저 안전 필터, 스코프 커버 등의 부속품을 사용할 수 있다. 통합 레이저 거리 측정기, 탄도 지원 장치, CCD 및 LCD 기술 등 광전자 기술이 적용되기도 한다. 총기에 장착하기 위해 스코프 링, 스코프 베이스, 장착 레일, 레일 인터페이스 시스템, 조절 가능한 마운트 등이 사용된다. 군사용 망원 조준경은 높은 신뢰성과 내구성을 요구하며, 지정 사수와 저격수가 주로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냥 - 여우 사냥
여우 사냥은 사냥개를 이용해 여우를 추적하는 스포츠로 고대부터 시작되어 전 세계로 확산되었으나, 동물 보호 인식 변화로 규제 및 금지 조치가 시행되고 있으며 윤리성, 효율성, 사회적 영향 등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고, 금지 지역에서는 대체 사냥 방식이 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대중 문화에서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 사냥 - 박제
박제는 동물의 사체를 보존하여 생전 모습과 유사하게 만드는 기술 및 결과물로, 종교적 목적에서 기원하여 예술 형태로 발전했으며, 학술 연구, 교육, 전시, 장식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 화기 부품 - 피카티니 레일
피카티니 레일은 소형 무기에 부착물을 장착하기 위한 표준 마운팅 시스템으로, MIL-STD-1913 표준을 따르며, 위버 레일과 유사하지만 슬롯 크기가 달라 부착물 호환성에 차이가 있다. - 화기 부품 - 탄창
탄창은 여러 발의 탄약을 보관하여 화기에 장전하는 장치로, 초기 튜브형에서 박스형으로 발전하여 현대 화기의 표준이 되었으며, 박스형 외에도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고 클립과는 구별된다.
망원 조준경 | |
---|---|
개요 | |
![]() | |
망원 조준경 | |
유형 | 조준 보조 장치 |
용도 | 소화기, 포병, 측량 장비 |
발명가 | 콘라트 폰 회렌슈타인 (1686년경) 아우구스트 피들러 (1904년경) |
역사 | |
주요 사건 | 미국 남북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
유행 시기 | 1950년대 이후 |
구성 요소 | |
주요 부품 | 대물렌즈 접안렌즈 레티클 (조준선) |
선택적 기능 | 배율 조절 탄도 보정 터릿 조명 레티클 거리 측정 |
작동 방식 | |
원리 | 광학 확대 시차 보정 아이 릴리프 |
종류 | |
일반적인 유형 | 고정 배율 조준경 가변 배율 조준경 도트 사이트 홀로그래픽 사이트 야간 투시경 열화상 조준경 |
제조사 | |
주요 제조사 | 슈미트 & 벤더 레오폴드 자이스 트리콘 Trijicon |
기타 | |
관련 용어 | MOA (Minute of Angle) 밀리라디안 (MRAD) 시차 아이 릴리프 FOV (Field of View) |
2. 역사
망원 조준경은 작동 방식, 형태, 광학 사양 등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사수에게 광학 조준 보조 장치를 제공하려는 최초의 실험은 17세기 초로 거슬러 올라간다. 수 세기 동안, 다양한 광학 조준 보조 장치와 망원 조준경의 원시적인 전신들이 만들어졌지만 실용성이나 성능에 제한이 있었다. 1630년대 후반, 영국의 아마추어 천문학자 윌리엄 가스코인은 케플러식 망원경을 실험하던 중 우연히 망원경 안에 쳐진 거미줄이 먼 물체와 초점이 맞는 것을 발견했다. 가스코인은 이 원리를 이용해 천체 관측용 망원 조준경을 만들 수 있음을 깨달았다.[3] 그는 이 발견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이것은 모든 다른 것들과 마찬가지로, 전능하신 섭리가 기뻐할 때 나타난 훌륭한 비밀인데, 그분의 지시에 따라 열린 케이스에 그려진 거미의 선이 처음으로 나에게 완벽한 환영을 통해 예기치 않은 지식을 줄 수 있었다... 나는 두 개의 볼록 렌즈로 태양에 대한 실험을 하고 있었는데... 만약 내가 .... 그 유리 [접안렌즈]가 가장 잘 식별할 수 있는 곳에 실을 놓고, 두 개의 유리를 결합하여 어떤 물체에든 적절한 거리를 맞춘다면, 내가 그것을 향하게 하는 어떤 부분에서도 이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3]
1776년, 찰스 윌슨 필은 데이비드 리텐하우스와 협력하여 소총에 망원경을 조준 보조 장치로 장착하려 했지만, 당시 기술로는 총기 반동 중 접안렌즈가 사수의 눈에 닿는 것을 방지할 만큼 충분히 앞으로 장착할 수 없었다.[4] 같은 해, 제임스 린드와 알렉산더 블레어 대위는 망원 조준경이 포함된 총기를 묘사했다.[5]
최초의 소총 조준경은 1835년에서 1840년 사이에 제작되었다. 1844년에 쓰여진 책 ''개선된 미국 소총''에서 영국계 미국인 토목 기사 존 랫클리프 채프먼은 뉴욕주 유티카의 총기 제작자 모건 제임스가 만든 조준경을 묘사했다. 채프먼은 채프먼-제임스 조준경의 개념과 설계를 위해 제임스와 함께 작업했다. 1855년, 뉴욕주 시라큐스의 광학 기술자 윌리엄 맬컴은 망원경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무색 렌즈를 통합하고 풍향 및 고도 조절을 개선한 독자적인 디자인을 사용하여 자체 망원 조준경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이 맬컴 조준경은 3×에서 20× 배율 사이였다(아마 더 높았을 것이다). 맬컴의 조준경과 버몬트 출신 보석상 L. M. 아미돈이 제작한 조준경은 미국 남북 전쟁 동안 표준적인 저격수 장비였다.[6][7] 19세기 쯤부터 등장한 망원 조준경들은 기술이 부족하여 길이가 매우 길었다. 같은 시대의 다른 망원 조준경으로는 데이비슨과 파커 헤일이 있었다.[8]
초기 실용적인 굴절 망원경 기반 망원 조준경은 1880년 독일 로이스 공의 임업 위원인 아우구스트 피들러(오스트리아 스트론스도르프 출신)가 제작했다.[9]
나중에 장착 거리가 긴 망원 조준경은 권총 및 스카우트 소총에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긴 장착 거리(LER) 망원 조준경의 역사적 예로는 2차 세계 대전 동안 Karabiner 98k 소총에 사용된 독일 ZF41이 있다.
사람이 휴대할 수 있는 야간 투시 장비의 초기 예는 ''Zielgerät 1229''(ZG 1229)로, 코드명 ''Vampir''("뱀파이어")로도 알려져 있다. ZG 1229 Vampir는 StG 44 돌격 소총용으로 개발된 0세대 능동형 적외선 야간 투시 장치로, 주로 야간 사용을 목적으로 Wehrmacht를 위해 개발되었다. ZG 1229 Vampir 시스템의 군대 지급은 1944년에 시작되었으며, 1945년 2월부터 2차 세계 대전의 최종 단계까지 소규모로 전투에 사용되었다.
3. 종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굴절 망원경 원리를 이용한 '''경통식'''이며, 반사경을 사용하여 길이를 줄인 '''반사경식'''도 있다. 최근에는 프리즘을 사용하여 크기를 줄인 '''프리즘식''' 조준경도 등장했다.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항목을 참조하라.
광학 사양에 따라 분류하기도 하는데, 주로 배율과 대물렌즈의 지름을 기준으로 한다. 예를 들어 "10×50"은 10배의 고정 배율과 50mm 지름의 대물렌즈를 가졌다는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대물렌즈 지름이 클수록 더 많은 빛을 모아 접안렌즈에서 더 밝은 상을 제공한다.
초기 망원 조준경은 대부분 배율이 고정된 형태였으나, 이후 줌 렌즈를 이용하여 배율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 배율 조준경이 등장했다. 가변 배율 조준경은 다양한 거리와 표적 크기, 조명 조건에 맞춰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낮은 배율에서는 비교적 넓은 시야를 제공한다. 가변 배율 조준경은 "최소 배율-최대 배율×대물렌즈 지름" 형식으로 표기한다. 예를 들어 "3-9×40"은 배율을 3배에서 9배까지 조절할 수 있고, 대물렌즈 지름이 40mm임을 의미한다.
일부 구형 유럽제 망원 조준경은 배율과 집광력(밝기)을 함께 표기하는 다른 방식을 사용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4×81 조준경은 4배율을 가지며, 여기서 81은 대물렌즈 지름이 아닌 집광력과 관련된 수치이다. (계산 예시: 36mm 대물렌즈 / 4배율 = 9mm 출사 동공, 92 = 81)
3. 1. 경통식
망원 조준경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굴절 망원경의 원리를 이용하여 제작된다. 경통 안에 여러 개의 렌즈가 일렬로 배열되어 있으며, 빛이 이 렌즈들을 통과하며 굴절되어 목표물의 상을 확대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3. 2. 반사경식
반사경을 사용하여 망원 조준경의 길이를 줄인 형태이다. 초기 모델들은 내구성이 약하고 상의 품질이 떨어져 평가가 좋지 않았다. 현재는 쌍안경이나 저배율 조준경에 주로 사용된다.
3. 3. 프리즘식
비교적 새로운 유형의 망원 조준경인 '''프리즘식 망원 조준경''', '''프리즘 조준경''' 또는 '''프리즘 스코프'''는 기존 망원경의 정립상 중계 렌즈를 소형 쌍안경, 단안경 및 관측경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지붕 프리즘 설계로 대체한 것이다.[10][11] 이 방식은 프리즘을 사용하여 빛의 경로를 꺾어 망원 조준경의 전체 크기를 줄이는 장점이 있다. 조준선(레티클)은 프리즘의 내부 반사 표면 중 하나에 새겨져 있어, 활성 조명이 꺼져 있어도 레티클을 쉽게 조명할 수 있다. 광학 망원경의 일종이므로, 프리즘 조준경은 사용자의 난시를 초점 조절 방식으로 보정할 수 있다.[12][13]
프리즘 조준경은 기존 망원 조준경보다 가볍고 작지만, 대부분 저배율(보통 2배, 2.5배, 3배, 혹은 더 흔하게는 4배, 때로는 1배나 5배 이상) 고정 배율로 제공되며, 주로 근거리 및 중거리 사격에 적합하다. 가장 잘 알려진 예로는 미 해병대, 미 육군, 미 특수 작전 사령부 등에서 널리 사용되어 실전 경험이 풍부한 Trijicon ACOG가 있다.[14] 배율 조절이 가능한 프리즘 조준경도 존재하는데, 예를 들어 캐나다 육군에서 사용하는 ELCAN Specter DR/TR 시리즈가 있다.
4. 구성 요소 및 작동 원리
망원 조준경은 여러 광학 부품을 이용하여 빛을 모으고 굴절시켜 멀리 있는 목표물의 확대된 상을 제공하는 조준 장치이다. 사수에게 광학적인 조준 보조 수단을 제공하려는 초기 실험은 17세기 초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수 세기 동안 다양한 광학 조준 보조 장치와 원시적인 형태의 망원 조준경이 개발되었으나, 실용성이나 성능 면에서는 제한적이었다.
1630년대 후반, 영국의 아마추어 천문학자 윌리엄 가스코인은 케플러식 망원경을 실험하던 중 우연히 망원 조준경의 기본 원리를 발견했다. 그는 망원경 케이스 안에 거미가 쳐 놓은 거미줄이 멀리 있는 물체와 함께 초점이 맞는 것을 관찰하고, 이를 이용해 조준 장치를 만들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얻었다.[3]
: "이것은 모든 다른 것들과 마찬가지로, 전능하신 섭리가 기뻐할 때 나타난 훌륭한 비밀인데, 그분의 지시에 따라 열린 케이스에 그려진 거미의 선이 처음으로 나에게 완벽한 환영을 통해 예기치 않은 지식을 줄 수 있었다... 나는 두 개의 볼록 렌즈로 태양에 대한 실험을 하고 있었는데... 만약 내가 .... 그 유리 [접안렌즈]가 가장 잘 식별할 수 있는 곳에 실을 놓고, 두 개의 유리를 결합하여 어떤 물체에든 적절한 거리를 맞춘다면, 내가 그것을 향하게 하는 어떤 부분에서도 이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 윌리엄 가스코인[3]
1776년, 찰스 윌슨 필은 데이비드 리텐하우스와 협력하여 소총에 망원경을 장착하려 시도했지만, 사격 시 발생하는 반동으로 인해 접안렌즈가 사수의 눈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만큼 충분히 앞쪽으로 망원경을 장착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4] 같은 해, 제임스 린드와 알렉산더 블레어 대위는 망원 조준경이 부착된 총기에 대해 기술했다.[5]
최초의 실용적인 소총용 망원 조준경은 1835년에서 1840년 사이에 제작되었다. 1844년에 출판된 ''개선된 미국 소총''이라는 책에서 영국계 미국인 토목 기사 존 랫클리프 채프먼은 유티카의 총기 제작자 모건 제임스가 만든 조준경을 소개했다. 채프먼은 제임스와 협력하여 채프먼-제임스 조준경의 개념과 설계를 발전시켰다. 1855년, 시라큐스의 광학 기술자 윌리엄 맬컴은 망원경에 사용되던 무색 렌즈를 도입하고 풍향 및 고도 조절 기능을 개선한 독자적인 디자인의 망원 조준경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맬컴 조준경은 3배에서 20배(혹은 그 이상)의 배율을 가졌으며, 버몬트 출신의 보석상 L. M. 아미돈이 제작한 조준경과 함께 미국 남북 전쟁 당시 저격수의 표준 장비로 활용되었다.[6][7] 같은 시기의 다른 초기 망원 조준경으로는 데이비슨 조준경과 파커 헤일 조준경 등이 있었다.[8]
초기 실용적인 굴절 망원경 기반의 망원 조준경은 1880년, 오스트리아 스트론스도르프 출신으로 독일 로이스 공의 임업 위원이었던 아우구스트 피들러에 의해 제작되었다.[9]
이후 기술 발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망원 조준경이 등장했다. 특히, 접안렌즈와 눈 사이의 거리가 긴(Long Eye Relief, LER) 망원 조준경은 권총이나 스카우트 소총과 같이 사수와 조준경의 거리가 필요한 총기에 사용하기 적합하게 개발되었다. 대표적인 역사적 예시로는 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이 Karabiner 98k 소총에 사용했던 ZF41 조준경이 있다.
야간이나 저조도 환경에서의 사용을 위한 조준경 개발도 이루어졌다. 초기 사례 중 하나는 ''Zielgerät (조준 장치) 1229''(ZG 1229)로, 코드명 ''Vampir''("뱀파이어")로도 알려져 있다. ZG 1229 Vampir는 StG 44 돌격 소총을 위해 개발된 0세대 능동형 적외선 야간 투시 장치로, 독일 국방군(Wehrmacht)이 주로 야간 작전을 위해 사용했다. 이 장비는 1944년부터 보급되기 시작하여 1945년 2월부터 전쟁이 끝날 때까지 제한적으로 실전에 투입되었다.
4. 1. 광학 매개변수
망원 조준경은 일반적으로 특정 용도에 맞게 설계되며, 이에 따라 다양한 광학 매개변수를 가진다. 주요 광학 매개변수는 다음과 같다.- '''배율''' (Magnification): 대물렌즈의 초점 거리를 접안렌즈의 초점 거리로 나눈 값으로, 물체를 얼마나 가깝게 보이게 하는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10배 배율은 물체가 실제 거리보다 10배 더 가까이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 배율이 낮으면 시야가 넓고 조준 시 흔들림에 덜 민감하지만, 배율이 높으면 더 자세히 볼 수 있는 대신 시야가 좁아지고 작은 흔들림에도 상이 크게 움직인다. 망원 조준경은 배율에 따라 고정 배율(예: 10×50)과 가변 배율(예: 3-9×40)로 나뉜다. 가변 배율 조준경은 다양한 거리와 조건에 맞춰 배율을 조절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한다.
- '''대물렌즈 직경''' (Objective Lens Diameter): 빛을 모으는 대물 렌즈의 지름으로, 보통 밀리미터(mm) 단위로 표시된다. 대물 렌즈 직경이 클수록 더 많은 빛을 모을 수 있어 더 밝은 상을 얻을 수 있고, 출사 동공의 크기도 커진다. 조준경 표기에서 배율 다음의 숫자가 대물 렌즈 직경을 의미한다 (예: 10×50, 3-9×40).
- '''시야''' (Field of View, FOV): 망원 조준경을 통해 볼 수 있는 영역의 범위를 의미한다. 보통 특정 거리(예: 100m)에서 보이는 좌우 폭(미터 또는 피트)과 같은 선형 값이나, 볼 수 있는 각도의 크기(도)와 같은 각도 값으로 표시된다. 배율이 높아질수록 시야는 좁아진다.
- '''출사 동공''' (Exit Pupil): 대물 렌즈를 통해 모인 빛이 접안 렌즈를 거쳐 나오는 빛다발의 직경을 말한다. 출사 동공의 크기는 대물 렌즈 직경을 배율로 나눈 값이다 (예: 10×50 조준경의 출사 동공은 50mm / 10 = 5mm). 사람의 동공 크기는 주변 밝기에 따라 변하는데, 어두운 곳에서는 보통 7mm까지 확장된다. 따라서 망원 조준경의 출사 동공 크기가 관측자의 동공 크기와 비슷하거나 클 때 가장 밝고 선명한 상을 볼 수 있다. 출사 동공이 크면 눈의 위치를 정확히 맞추기 쉬워져 비네팅(시야 주변이 어두워지는 현상)을 피하기 쉽고, 빠르게 움직이는 대상을 포착하거나 어두운 환경(새벽, 해 질 녘)에서 관측할 때 유리하다. 또한 눈의 피로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 '''아이 릴리프''' (Eye Relief): 접안 렌즈의 마지막 면에서 눈이 위치해야 하는 최적의 지점(출사 동공이 형성되는 위치)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15] 이 거리가 적절해야 비네팅 없이 완전한 시야를 편안하게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망원 조준경의 아이 릴리프는 25mm에서 100mm 이상까지 다양하다. 특히 반동이 강한 총기에 사용되는 조준경은 아이 릴리프가 충분히 길어야 사격 시 조준경에 눈을 부딪히는 부상(구어체로 "스코프 바이트"라고 함)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안경을 착용하는 사람에게는 안경 렌즈 두께만큼 추가 거리가 필요하므로 긴 아이 릴리프가 유리하다.
4. 2. 광학 코팅
일반적인 망원 조준경은 특수한 특성을 가진 여러 광학 부품과 여러 개의 공기-유리 표면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 때문에 망원 조준경 제조업체는 기술적인 이유와 조준경이 만들어내는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광학 코팅을 사용한다. 렌즈 코팅은 빛 투과율을 높이고, 반사를 최소화하며, 물과 기름을 튕겨내고, 심지어 렌즈를 긁힘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제조업체들은 종종 자신들만의 렌즈 코팅 명칭을 사용하기도 한다.4. 3. 튜브 크기
망원 조준경의 주 튜브는 크기, 재질, 적용된 생산 공정 및 표면 마감에서 다양하다. 일반적인 외부 지름은 19.05mm에서 40mm 사이이며, 25.4mm, 30 mm, 그리고 최근에는 34 mm가 더 일반적인 크기이다. 주 튜브의 내부 지름은 릴레이 렌즈 그룹 및 기타 광학 요소를 장착할 수 있는 공간, 가변 튜브의 최대 크기, 고도 및 풍향 조정의 최대 각도 범위 등에 영향을 미친다.장거리 또는 저조도 사용을 위해 설계된 망원 조준경은 일반적으로 더 큰 주 튜브 지름을 가진다. 더 큰 지름의 주 튜브는 광학적, 공간적 이점과 더 넓은 고도 및 풍향 조정 범위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내부 지름을 크게 줄이지 않으면서도 튜브 벽 두께를 증가시켜 조준경의 견고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
4. 4. 조절 장치
망원 조준경은 제어 노브 또는 동축 링 형태로 여러 가지 수동 조절 장치를 갖추고 있다.- 디옵터 조절 (''접안 렌즈 초점''이라고도 함): 목표물과 조준선의 선명한 상을 얻기 위해 접안 렌즈의 초점을 조절한다.
- 고도 조절: 광축의 수직축 편차를 조절(또는 "추적")한다. 이는 주로 다양한 거리에서 발생하는 총알의 탄도 낙차를 보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망원 조준경이 기울어짐 없이 정확히 장착된 경우에만 고도 조절이 의도한 대로 작동한다.[22]
- "제로 스톱" 기능: 일부 조준경, 특히 장거리용 조준경에는 이 기능이 있다. 조절 노브를 실수로 기본 영점(보통 100m 또는 약 91.44m) "아래"로 돌리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한 몇 클릭 이상 돌아가지 않도록 제한한다. 또한, 사수가 고도 노브가 완전히 아래로 내려갔는지 물리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여러 바퀴 회전하는 고도 노브의 현재 설정 상태에 대한 혼란을 줄여준다.
- 풍향 조절: 광축의 수평축 편차를 조절(또는 "추적")한다. 이는 바람에 의해 총알이 옆으로 밀리는 것을 보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 배율 조절: 가변 배율 조준경에서 배율을 변경하기 위한 장치이다. 보통 해당 배율 숫자가 표시된 동축 휠을 돌려 조절한다.
- 조준선 조명 조절: 조준선의 보조 조명 밝기를 조절한다. 어두운 환경에서 조준선을 더 잘 보이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 시차 보정 조절: 목표물의 이미지와 조준선 사이의 초점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시차를 없애기 위해 조절한다.
모든 망원 조준경에는 기본적으로 디옵터, 고도, 풍향 조절 장치가 있으며, 가변 배율 조준경에는 배율 조절 장치가 추가로 제공된다. 조준선 조명 조절과 시차 보정 조절은 선택 사항으로, 주로 고급 모델에서 찾아볼 수 있다.
풍향 및 고도 조절 노브(흔히 "터렛"이라고 부름)는 보통 내부 볼 디텐트 구조를 가지고 있어 회전 시 정확한 위치에 걸리도록 돕는다. 각 눈금만큼 돌릴 때마다 명확한 촉각 피드백을 제공하며, 종종 딸깍하는 소리가 동반된다. 이 때문에 각 조절 단위를 흔히 "클릭"이라고 부르며, 한 클릭당 조절되는 각도 값을 ''클릭 값''이라고 한다. 가장 일반적인 클릭 값은 1/4 MOA(종종 "약 91.44m에서 1/4 인치"로 근사하여 표현됨)와 0.1 밀(종종 "100m에서 10mm"로 표현됨)이다. 그 외에도 1/2 MOA, 1/3 MOA, 1/8 MOA 및 다른 밀 단위 클릭 값을 가진 조준경들도 상업용, 군사용, 법 집행용으로 사용된다.
구형 망원 조준경 중 일부는 내부에 풍향 및/또는 고도 조절 기능이 없는 경우도 있었다. 이런 조준경들은 조절 가능한 마운트(스코프 링 또는 장착 레일 형태)를 사용하여 영점 조준을 수행했다.
5. 레티클 (Reticle)
망원 조준경에는 다양한 레티클(Reticle, 조준선)이 사용된다. 레티클은 단순한 십자선 형태부터 사수가 표적까지의 거리를 재고, 탄도 낙차를 보정하며, 횡풍으로 인한 풍향 보정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된 복잡한 형태까지 다양하다. 사용자는 레티클이 장착된 조준경으로 알려진 크기의 물체까지의 거리나 알려진 거리의 물체 크기를 추정할 수 있으며, 탄도 낙차와 바람 편차를 보정하는 데 활용할 수도 있다.
레티클 구조에는 크게 와이어 레티클(Wire Reticle)과 에칭 레티클(Etched Reticle)의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 와이어 레티클은 금속선이나 실을 이용한 전통적인 방식이며, 에칭 레티클은 유리판 등 광학 요소에 패턴을 새겨 넣은 방식이다.
조준점 패턴은 단순한 점, 십자(+), 다이아몬드(◇), 갈매기표(∧), 원(○) 등 다양하며, 때로는 가늠쇠처럼 뾰족한 수직선("T"자 모양) 형태도 있다. 하지만 대부분은 시각적 기준을 제공하기 위해 가로선과 세로선을 모두 포함한다. 가장 기본적인 형태는 십자선(Crosshairs)이며, 중앙부는 가늘고 바깥쪽은 두껍게 만든 듀플렉스식 십자선(Duplex reticle)은 저조도 환경에서 조준점 식별을 돕는다.
많은 현대 레티클은 스타디아 방식 거리 측정 기능을 갖추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밀닷 레티클(Mil-dot reticle)로, 밀리라디안(mil) 간격으로 점(dot)이나 눈금(hash)이 표시되어 있어 표적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23] 밀(Mil) 기반 레티클은 미터법과 호환성이 좋고, MOA 기반 레티클은 야드파운드법 환경에서 직관적으로 사용하기 편리하다.
일부 레티클은 하단부에 정교한 격자 패턴을 추가하여 탄도 낙차와 바람 편차를 조준점 이동(Holdover)만으로 빠르게 보정할 수 있게 돕는다. 이를 홀드오버 레티클(Holdover reticle)이라 하며, 아래로 갈수록 넓어지는 모양 때문에 속칭 "크리스마스 트리 레티클"(Christmas tree reticle)이라고도 불린다.
5. 1. 종류
레티클 구조에는 크게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 와이어 레티클 (Wire Reticle): 가장 오래된 유형의 레티클이다. 망원 조준경 튜브 안의 광학적으로 적절한 위치에 금속 와이어나 실을 장착하여 만든다. 접안렌즈를 통해 빛이 들어올 때 와이어 레티클은 빛을 반사할 수 있어, 완전히 불투명한 검은색 레티클을 제공하지 못할 수도 있다.
- 에칭 레티클 (Etched Reticle): 에칭 기법을 사용하여 유리판과 같은 광학 요소에 잉크 패턴을 새겨 넣은 레티클이다. 이 유리판은 광선 경로의 일부로 통합되어 장착된다. 에칭 레티클은 빛이 들어와도 완전히 불투명한 검은색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와이어 레티클보다 더 복잡한 패턴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5. 2. 패턴
망원 조준경에는 다양한 종류의 레티클(reticle, 조준선)이 사용된다. 레티클은 단순한 십자선 형태부터, 사수가 표적까지의 거리를 재고, 탄도 낙차를 보정하며, 횡풍에 의한 바람 편차를 계산할 수 있도록 돕는 복잡한 형태까지 다양하다. 사용자는 레티클을 이용해 알려진 크기의 물체까지의 거리를 추정하거나, 알려진 거리에서 물체의 크기를 잴 수 있으며, 탄도 낙차와 바람 편차를 대략적으로 보정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리이폴드(Leupold) 브랜드의 고정 배율 망원 조준경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16 분각(MOA) 듀플렉스 레티클(그림 B와 유사)의 경우, 중앙의 얇은 선에서 바깥쪽 두꺼운 선까지의 거리는 200야드(약 183m) 거리에서 약 16인치(약 41cm)에 해당한다. 만약 지름이 16인치인 표적이 레티클 중앙에서 두꺼운 선까지의 거리만큼 보인다면, 표적까지의 거리는 약 200야드이다. 만약 같은 크기의 표적이 두꺼운 선 사이의 전체 너비만큼 보인다면, 거리는 약 100야드(약 91m)이다. 숙련된 사용자는 레티클의 표시를 이용해 바람의 속도를 가늠하고, 이를 바탕으로 탄도 낙차 보정을 위한 상하 조준점 이동(홀드오버)이나 바람 편차 보정을 위한 좌우 조준점 이동(홀드오프, 켄터키 윈디지)량을 추정할 수 있다. 경사지 사격 시 필요한 홀드언더(아래 조준) 역시 지형 경사각과 표적까지의 거리를 알면 레티클을 이용해 추정 가능하다.
레티클은 구조에 따라 크게 와이어 레티클과 에칭 레티클로 나뉜다. 와이어 레티클은 금속선이나 실을 조준경 내부에 배치한 전통적인 방식이다. 에칭 레티클은 유리판과 같은 광학 부품에 잉크 패턴을 새겨 넣어 만든 것으로, 광선 경로의 일부가 된다. 와이어 레티클은 역광 상황에서 빛을 반사하여 완전히 검게 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에칭 레티클은 역광에서도 선명한 검은색을 유지한다.
조준점의 패턴은 단순한 원형 점, 십자(+), 다이아몬드, 갈매기 모양(∧), 중앙의 원 등 다양하다. 일부는 가늠쇠처럼 뾰족한 수직선 형태("T"자 모양)를 가지기도 하는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ZF41 조준경의 "독일 #1" 패턴이나 냉전 시기 소련 PSO-1 조준경의 SVD 패턴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조준선은 시각적 기준점을 제공하기 위해 가로선과 세로선을 모두 포함한다.
십자선(Crosshairs)은 가장 기본적인 조준선 형태로, 수직선과 수평선이 "+" 모양으로 교차하며, 그 중심점을 조준에 사용한다. 이는 데카르트 좌표계의 X축, Y축과 유사하여 사수가 수평 및 수직 보정을 위한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 일반적인 십자선은 눈금이 없어 스타디아 방식 거리 측정에는 부적합하다.
듀플렉스식 십자선(Duplex reticle)은 십자선의 변형으로, 중앙 부분은 가늘고 바깥쪽 부분은 두껍게 만들어져 명암비가 낮은 환경에서도 조준점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러한 "얇고 두꺼운" 형태는 가는 선과 두꺼운 선 사이의 간격이 특정 거리(예: 일반적인 30/30 레티클은 4배율에서 30 MOA)로 설정되어 있어 대략적인 거리 추정에 활용될 수도 있다. 중앙에 확대된 점(종종 조명 기능 포함), 동심원, 셰브론(∧), 스타디아 바 등 추가적인 기능이 결합되기도 한다.
- -* 헬멧을 쓴 머리(약 0.25m)가 네 번째 막대와 수평선 사이에 맞으면 약 100m 거리에 있다.
- 사람 상체(약 1m)가 네 번째 막대 아래에 맞으면 약 400m 거리에 있다.]]
많은 현대 조준선은 스타디아 방식 거리 측정 기능을 갖추고 있다.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밀닷 레티클(Mil-dot reticle)로, 십자선에 일정한 밀리라디안(mil) 간격으로 작은 점(dot)이 표시되어 있다.[23] 점 대신 수직 해시 라인(hash line)을 사용한 밀 해시 레티클(Mil-hash reticle)도 있다. 이러한 눈금 방식 조준선은 MOA 기반 눈금과 함께 통칭 "밀링 레티클"(Milling reticle)이라 불리며, 북대서양 조약 기구를 비롯한 여러 국가의 군대와 법 집행 기관에서 널리 사용된다.
밀리라디안 기반 레티클은 십진법 체계와 잘 맞아 미터법을 사용하는 환경에서 거리 계산이 편리하다 (1 밀리라디안은 1000미터 거리에서 1미터 크기에 해당). 반면, MOA 기반 레티클은 야드파운드법을 선호하는 민간 시장(특히 미국)에서 인기가 있는데, 100야드 거리에서 1 MOA가 약 1인치에 해당하여 직관적으로 사용하기 쉽기 때문이다.
밀 기반 레티클은 보통 0.1 밀 단위로 조정되는 조준경의 영점 조절 다이얼과 함께 사용되어, 저격수 팀 내 관측수와 사수 간의 효율적인 소통과 정확한 계산을 돕는다. 거리 계산 공식은 "[표적 크기(m)] ÷ [측정된 밀(mil) 값] × 1000 = 거리(m)"이다. 예를 들어, 높이 1.8m인 물체가 레티클 상에서 3밀로 측정되었다면, 거리는 600m (1.8 ÷ 3 × 1000 = 600)가 된다.
일부 밀링 레티클은 하단 두 사분면에 정교하게 배치된 점, + 표시, 또는 해시 라인(보통 0.2 밀 또는 ½ MOA 간격)으로 이루어진 추가적인 격자 패턴을 가지고 있다. 이를 통해 사수는 조준경의 영점 조절 다이얼을 직접 조작하지 않고도, 단순히 조준점을 표적의 예상 탄착점 위(탄도 낙차 보정)나 바람이 불어오는 쪽(바람 편차 보정)으로 견착하여(hold over) 신속하게 보정 사격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레티클을 홀드오버 레티클(Holdover reticle)이라고 부른다.
장거리 사격에서는 거리가 멀어질수록 탄도 낙차와 바람 편차 보정량이 커지기 때문에, 홀드오버 레티클의 격자 패턴은 아래로 갈수록 넓어지는 이등변 삼각형이나 사다리꼴 모양을 띤다. 이는 크리스마스 트리 모양과 비슷하다고 하여 구어체로 "크리스마스 트리 레티클"(Christmas tree reticle)이라고도 불린다. 대표적인 예로는 GAP G2DMR, 호루스(Horus) TReMoR 시리즈 및 H58/H59, 보텍스(Vortex) EBR-2B, 칼레스(Kahles) AMR 등이 있다.
5. 3. 레티클 초점면
망원 조준경은 이미지를 바로 세워 보여주는 정립 렌즈 시스템을 사용하며, 이 시스템을 기준으로 레티클을 배치할 수 있는 두 개의 초점면이 있다. 하나는 대물렌즈와 정립 렌즈 시스템 사이의 제1 초점면 (First Focal Plane, FFP)이고, 다른 하나는 정립 렌즈 시스템과 접안렌즈 사이의 제2 초점면 (Second Focal Plane, SFP)이다.[24][25]고정 배율 망원 조준경에서는 두 방식의 차이가 크지 않지만, 배율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 배율 망원 조준경에서는 중요한 차이가 발생한다.
- FFP 방식: 레티클이 대물렌즈 쪽에 가까이 위치하여, 배율을 높이면 대상 이미지와 함께 레티클도 확대되고, 배율을 낮추면 함께 축소된다.
- SFP 방식: 레티클이 접안렌즈 쪽에 가까이 위치하여, 배율을 조절해도 대상 이미지의 크기만 변하고 레티클의 크기는 항상 동일하게 보인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현대의 가변 배율 조준경은 대부분 SFP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26]
유럽의 고급 망원 조준경 제조업체들은 전통적으로 FFP 방식의 레티클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유럽 사냥꾼들이 법적으로 허용된 황혼, 새벽, 야간 등 저조도 환경에서 사냥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저조도 환경에서는 배율을 낮춰 빛을 최대한 모아야 하는데, 이때 FFP 방식은 레티클이 함께 작아져 조준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지만, 거리 측정 기능 등은 배율에 상관없이 정확하게 유지된다.
SFP 방식의 주요 단점은 밀닷(mil-dot)과 같이 눈금을 이용해 거리를 측정하는 레티클을 사용할 때 나타난다. SFP에서는 배율에 따라 대상과 레티클 눈금 사이의 비율이 달라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최대 배율과 같이 특정 배율에서만 거리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오차 가능성을 없애기 위해 일부 장거리 사수나 군 저격수들은 고정 배율 조준경을 사용하기도 한다. 일부 SFP 조준경은 이 특징을 역이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특정 듀플렉스 레티클을 사용하는 Leupold 사냥용 조준경은 흰꼬리사슴의 몸통 크기가 레티클의 특정 부분에 맞도록 배율을 조절하면, 배율 조절 링에 표시된 눈금을 통해 거리를 추정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반면, FFP 방식은 배율 변경에 따른 거리 측정 오차가 없다는 장점이 있지만, 다른 단점들도 존재한다. 모든 배율에서 잘 보이는 레티클을 설계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24배율에서 정밀 조준에 적합한 얇은 레티클은 6배율에서는 너무 작아 잘 보이지 않을 수 있고, 반대로 6배율에서 잘 보이는 굵은 레티클은 24배율에서는 너무 두꺼워 정밀한 조준을 방해할 수 있다. 특히 저조도 환경에서는 빛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낮은 배율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때 레티클이 너무 작아지면 조준이 어렵기 때문에 조명이 내장되거나 굵은 레티클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FFP 방식 조준경은 SFP 방식에 비해 실제 사용 가능한 유효 배율 범위가 제한적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가격도 더 비싸다. 대부분의 고급 광학 기기 제조사들은 소비자가 FFP 또는 SFP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거나, 두 가지 방식을 모두 적용한 제품 라인을 갖추고 있다.
탄착점(탄환이 맞는 지점) 이동 문제에 있어서는 FFP 방식이 유리하다. FFP 레티클을 사용하는 가변 배율 조준경은 배율을 변경해도 탄착점 이동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SFP 레티클을 사용하는 가변 배율 조준경은 레티클이 배율 조절 메커니즘 뒤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배율을 변경할 때 약간의 탄착점 이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이동량은 일반적으로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이지만, 여러 배율에서 일관된 정확성을 요구하는 사용자들은 FFP 방식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2005년경, 독일의 자이스(Zeiss)[27]는 고급 유럽 제조사 중에서는 처음으로 SFP 레티클을 장착한 군용 등급 가변 배율 조준경을 출시했다. 자이스는 수작업 조정을 통해 SFP 방식에서 발생할 수 있는 탄착점 이동 문제를 허용 범위 내로 제어한다. 미국의 고급 망원 조준경 제조업체인 U.S. Optics Inc.[28] 역시 SFP 레티클을 장착한 군용 등급 가변 배율 조준경 모델을 제공하고 있다.
5. 4. 레티클 조명

어떤 종류의 레티클이든 저조도 또는 주간 조건에서 사용하기 위해 조명을 추가할 수 있다. 특히 저조도 환경에서 사용하는 조명 레티클의 경우, 밝기 조절 기능이 필수적이다. 레티클이 너무 밝으면 사수의 눈에 눈부심을 일으켜 어두운 환경에서의 시야를 방해할 수 있는데, 이는 사람의 눈동자가 밝은 빛에 노출되면 빠르게 수축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조명 레티클은 주변 밝기에 맞춰 레티클 밝기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조명 방식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 '''LED 조명''':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전지로 구동되는 LED를 광원으로 사용한다. 빛은 조준경 내부를 통해 앞으로 투사되어 레티클 뒷면에 반사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야간 시력을 가장 적게 방해하는 빨간색이 가장 흔하게 사용된다. 이 방식은 주간과 저조도 환경 모두에서 레티클 조명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밝기 조절이 가능하다.
- '''트리튬 조명''': 방사성 동위원소인 트리튬을 광원으로 사용하여 저조도 환경에서 레티클을 밝힌다. 트리튬은 스스로 빛을 내기 때문에 별도의 전원이 필요 없다. 영국군의 SUSAT 조준경이나 캐나다군의 Elcan C79 조준경, 그리고 미군에서 널리 쓰이는 Trijicon 사의 ACOG 프리즘 조준경 등에서 이 방식을 사용한다. 다만, 트리튬은 방사성 붕괴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밝기가 감소하므로, 8년에서 12년마다 광원을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 '''광섬유 조명''': 광섬유를 이용하여 주변의 밝은 빛(주로 주간광)을 모아서 레티클을 밝히는 방식이다. 이 방식의 특징은 주변 밝기에 따라 레티클의 밝기가 자동으로 조절된다는 점이다. Trijicon 사는 AccuPoint 망원 조준경이나 일부 ACOG 모델에서 트리튬 조명과 같은 다른 저조도 조명 방식과 결합하여 광섬유 조명을 사용한다.
6. 탄도 보정 (BDC)
탄도 보정(BDC, 때로는 '탄도 고도'라고도 함)은 일부 반자동 소총이나 돌격 소총 등에 사용되는 전술 조준경에서 찾아볼 수 있는 기능이다. 이 기능은 조준선(레티클)이나 고도 조절 다이얼(터렛, 덜 일반적임)에 미리 계산된 여러 거리별 조준점을 표시하여, 사수가 복잡한 탄도 계산이나 시행착오 없이 탄도 낙차를 예측하고 보정할 수 있도록 돕는다.[29]
BDC 기능은 일반적으로 특정 총기와 탄약 조합의 외부 탄도 궤적에 맞춰 미리 조정된다. 이때 고려되는 요소는 특정 발사체의 무게와 종류, 총구 속도, 그리고 공기 밀도 등이다. BDC 조준선이 적용된 군용 프리즘 조준경(예: ACOG)이나 거리 표시가 있는 고도 조절 다이얼(예: PSO-1)은 꽤 흔하게 볼 수 있다. 상업용 조준경 제조사들도 고객이 필요한 탄도 정보를 제공하면 BDC 조준선이나 고도 조절 다이얼을 장착해주는 옵션을 제공하기도 한다.[29]
표준화된 탄약을 사용하는 것은 BDC 기능을 사용된 발사체의 외부 탄도 성능과 일치시키기 위한 중요한 전제 조건이다. 따라서 BDC가 적용된 조준경은 일반적으로 정밀한 장거리 사격보다는 다양한 중간 거리에서 장거리 내의 표적에 대한 빠른 조준을 돕기 위한 것이다. 거리가 멀어질수록, BDC가 설정된 기준 조건(환경, 기상 등)에서 벗어나면 필연적으로 BDC로 인한 오차가 발생한다. 사수는 발사체에 작용하는 주요 힘과 이것이 특정 총기 및 탄약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러한 오차를 해결하기 위한 외부 요인의 영향을 이해하도록 훈련받을 수 있다.
7. 시차 보정
시차(Parallax) 문제는 대물렌즈를 통해 들어온 표적의 이미지가 가늠자(reticle)와 정확히 같은 초점면에 맺히지 않을 때 발생한다. 즉, 표적 이미지의 초점면이 가늠자의 초점면 앞이나 뒤에 위치하게 되면, 사수의 눈동자 위치가 접안렌즈 뒤에서 조금만 움직여도(예: 머리 위치의 미세한 변화) 가늠자를 기준으로 표적의 위치가 달라져 보이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를 시차 이동(parallax shift)이라고 부르며, 가늠자가 표적 위에서 마치 '떠다니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이러한 광학적 효과는 조준 오차를 유발하여, 특히 원거리의 작은 표적을 맞추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영점 조절 과정의 신뢰도를 떨어뜨릴 수도 있다.
시차로 인한 조준 오차를 없애기 위해 망원 조준경에는 시차 보정 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이 장치는 기본적으로 움직이는 광학 부품을 사용하여 표적 이미지와 가늠자의 초점을 정확히 동일한 광학 평면으로 앞뒤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시차를 보정하는 주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 '''조절식 대물렌즈''' ('''AO''' 또는 '''A/O'''): 이 방식은 망원 조준경 앞쪽의 대물렌즈 그룹을 조절하여 표적 이미지의 초점을 이동시킨다. 이를 통해 고정된 가늠자와 표적 이미지가 같은 공면(coplanar) 상태가 되도록 맞춘다.
- '''사이드 포커스''' ('''SF''' 또는 '''S/F'''): 이 방식은 일반적으로 조절 가능한 확대 렌즈 튜브 앞에 움직이는 가늠자를 배치한다. 이 가늠자는 확대 배율 조절과 연동되어 표적 이미지의 첫 번째 초점면(FFP, First Focal Plane)과 같은 평면에 위치하도록 이동한다. 초점 조절 다이얼(터렛)이 보통 조준경 몸통의 왼쪽에 달려 있어 '사이드 포커스' 또는 '사이드휠'이라고 불린다.[30] 이 방식은 AO 방식보다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더 들지만, 사용자가 조준 자세를 유지한 채로 머리를 크게 움직이지 않고 편리하게 초점 거리를 조절하고 확인할 수 있다는 인체 공학적 장점 때문에 선호되는 경우가 많다.[31]
참고: 때로는 사이드 포커스 방식의 조절 장치가 두 번째 초점면(SFP, Second Focal Plane)에 고정된 가늠자와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 이 경우, 조절 가능한 확대 렌즈 그룹이 표적 이미지의 초점을 SFP 가늠자 위치로 이동시킨다. 하지만 SFP 가늠자는 배율을 변경하면 영점이 틀어질 수 있어 정밀 사격에는 이상적이지 않다.
- '''후방 초점''' ('''RF''' 또는 '''R/F'''): 고정 배율 조준경에서 드물게 사용되는 방식이다. 배율 조절 링이 있어야 할 위치(접안렌즈 바로 앞)에 초점 조절 링이 있으며, 이 링을 돌려 SFP 가늠자의 위치를 조절한다. 조절 링이 사용자에게 더 가까워 AO 방식보다 편리할 수 있다.
대부분의 망원 조준경에는 비용 편익 분석 결과 시차 보정 기능이 없다. 아주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지 않는 일반적인 용도에서는 시차 보정을 위한 추가 생산 비용을 들일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사냥 상황에서는 사냥감의 생명 기관이 모여있는 '사살 구역'(kill zone)이 비교적 넓어서 약간의 조준 오차가 있더라도 성공적인 사냥이 가능하다. 이런 조준경들은 제조사가 의도된 사용 거리에 맞춰 특정 거리에서 시차가 없도록 미리 고정해 놓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인 사냥용 조준경의 표준 시차 고정 거리는 약 91.44m 또는 100m인데, 대부분의 스포츠 사냥이 약 274.32m를 넘는 거리에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시차 보정 기능이 없는 일부 장거리 사격용이나 '전술용' 조준경은 더 먼 거리 사격에 적합하도록 약 274.32m에서 시차가 없도록 설정되기도 한다. 탄알집을 사용하는 총기, 샷건, 전장식 소총 등은 보통 약 91.44m 이상 거리에서 사용될 일이 적으므로, 각각 약 45.72m(탄알집 총기) 또는 약 91.44m(샷건, 전장식 소총)에서 시차가 없도록 더 짧게 설정된다. 반면, 공기총과 같이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 주로 사용되는 총기의 조준경은 근거리에서 시차 효과가 더 두드러지기 때문에 (가까울수록 단축법 효과로 인해 시차 변화가 커짐) 거의 항상 시차 보정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들은 주로 조절식 대물렌즈(AO) 방식을 사용하며, 최단 약 2.74m 거리까지 시차를 조절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단거리용 조준경에 시차 보정 기능이 자주 필요한 이유는, 가까운 거리일수록 (그리고 배율이 높을수록) 시차로 인한 오차가 상대적으로 더 커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망원 조준경의 대물렌즈 초점 거리가 100mm라고 가정하자. 10배율(10×) 조준경이 1000m에서 시차가 없도록 완벽하게 설정되어 있다면, 이 거리에서는 문제가 없다. 하지만 동일한 조준경으로 100m 거리에 있는 표적을 조준하면, 표적 이미지는 가늠자 평면보다 약 0.1 mm 뒤에 맺히게 된다. 10× 배율에서 이 오차는 접안렌즈에서 1 mm가 된다. 만약 같은 조준경으로 10m 거리를 조준한다면, 표적 이미지는 가늠자 평면보다 1 mm 뒤에 맺히게 되고, 10× 배율에서는 무려 10 mm의 오차로 보이게 된다. 이처럼 가까운 거리일수록 시차 오차가 급격히 커지므로 정밀한 조준을 위해서는 시차 보정이 중요하다.
8. 부속품
망원 조준경에 사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부속품은 다음과 같다.
- '''렌즈 후드''': 빛을 가려 눈부심을 줄이거나 없애기 위해 대물렌즈나 접안렌즈 끝에 장착하는 튜브 형태의 연장 부품이다. 접안렌즈에 장착되는 렌즈 후드는 종종 '''아이컵'''이라 불리며, 사용자의 눈 주변(안와)에 닿도록 주름진 실리콘 고무로 만들어진다. 이는 반동으로 인한 부상을 막고 일정한 아이 박스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일부 대물렌즈용 렌즈 후드는 총열 전체 길이만큼 길게 만들어져, 총열의 열기로 인해 발생하는 신기루(열파)를 막아 이미지 품질을 개선하기도 한다.
- '''렌즈 덮개''' 또는 '''렌즈 캡''': 악천후나 우발적인 손상으로부터 대물렌즈 및 접안렌즈 표면을 보호한다. 미닫이(슬라이드) 방식, 비키니 형태, 여닫이(플립) 방식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 '''광학 필터''': 회색, 노란색, 편광 필터 등이 있으며, 다양한 조명 조건 아래에서 이미지 품질을 최적화하는 데 사용된다.
- '''반사 방지 장치'''(ARD) 또는 '''킬플래시'''(Killflasheng): 주로 벌집 모양의 메쉬 덮개 형태를 하고 있으며, 대물렌즈에서 반사되는 빛을 걸러내어 사수의 위치가 노출되는 것을 막는다.
- '''레이저 안전 필터''': 잠재적인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사용자의 눈이 현혹되거나 섬광 실명되는 것을 보호한다. 이러한 필터는 종종 렌즈 조립 부품 내부에 장착된다.
- '''스코프 커버''': 유연하면서도 형태를 유지하는(반연성) 파우치 형태로, 운반하거나 보관할 때 외부 충격이나 환경 요소로부터 조준경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9. 광전자 기술 (Optronic Technologies)
일부 현대 망원 조준경은 광전자 기술을 통합하여 기능을 확장한다. 이러한 기술에는 목표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레이저 거리 측정기, 탄도를 자동으로 계산하고 보정값을 제공하는 탄도 계산기 지원 장치, 그리고 CCD나 LCD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디지털 방식으로 처리하고 표시하는 기술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광전자 기술들은 사격의 정확성과 편의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며, 일부는 야간 투시 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
9. 1. 통합 레이저 거리 측정기

1997년 스왈로브스키 옵틱 Swarovski Optik|스와로브스키 옵틱de은 민간 시장 최초로 통합 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갖춘 LRS 시리즈 망원 조준경을 출시했다.[32] LRS 2-12x50 조준경은 최대 600m 거리까지 측정할 수 있다.[33] LRS 조준경은 현재(2008년 기준) 더 이상 생산되지 않지만, 유사한 기능을 가진 조준경은 여러 제조업체에서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다.
9. 2. 탄도 지원 장치
통합 탄도 계산기는 거리, 환경 조건 등을 고려하여 탄도 보정값을 계산하고 조준경에 표시해주는 장치이다.대표적인 예로 바렛 파이어암스가 개발하여 2007년경 상용화한 BORS(Barrett Optical Ranging System)가 있다. BORS 모듈은 일부 리우폴드 및 나이트포스에서 제조한 망원 조준경 모델에 부착하여 최대 2500m까지의 장거리 저격을 위한 전자 탄도 보정(BDC) 센서 및 계산기 패키지이다.[34] 사수는 BORS에 탄약 종류를 입력하고, 레이저 거리 측정기 등을 이용해 목표까지의 거리를 측정한 뒤, BORS 화면에 해당 거리가 표시될 때까지 조준경의 고도 조절 다이얼을 돌려 영점을 맞춘다. BORS는 공기 밀도와 소총의 기울기 등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탄도 계산에 반영한다.[35]
자이스에서 개발한 SAM(Shooter Assistance Module)도 있다. SAM은 자이스 6–24×72 망원 조준경의 접안렌즈에 조준 및 탄도 관련 데이터를 표시한다. 온도, 기압, 사격 각도 등을 측정하는 센서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탄도 보정값을 계산한다. 모든 정보는 접안렌즈를 통해 사용자에게 직접 표시된다. SAM은 최대 4개의 다른 탄도 정보와 사격표를 저장할 수 있어, 별도 조정 없이 하나의 모듈을 최대 4가지 종류의 탄약이나 총기에 사용할 수 있다.
9. 3. CCD 및 LCD 기술
최근에는 CCD나 LCD 기술을 활용하여 목표물의 이미지를 디지털 방식으로 처리하고 표시하는 새로운 방식의 망원 조준경이 개발되었다. 대표적인 예로 ELCAN DigitalHunter 시리즈와 ATN X-Sight 시리즈가 있다.이러한 조준경은 본질적으로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을 사용하여 목표물의 이미지를 디지털 방식으로 포착하고, 디지털 이미지 처리를 거쳐 접안 렌즈 내부에 내장된 작은 평판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또한 종종 거리 측정기, 탄도 계산기, 신호 필터, 메모리 카드 저장 기능, 스마트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공유하는 인터페이스 등이 추가로 내장되어 '스마트 조준경'으로 불리기도 한다. 예를 들어, ELCAN DigitalHunter는 CCD 및 LCD 기술과 함께 전자 탄도 보정, 자동 비디오 캡처, 4가지 필드 선택 가능 레티클 및 사용자 지정 레티클 기능을 결합하였다.
2008년에는 CCD가 포착한 적외선을 이용하여 저조도 환경에서의 성능을 향상시킨 DigitalHunter 주/야간 소총 조준경이 출시되었다. 이러한 조준경에는 완전한 어둠 속에서 사용하기 위해 적외선 광원을 부착할 수도 있지만, 이미지 품질이나 전반적인 성능은 일반적인 야간 투시 장치에 비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일부 국가나 지역에서는 민간인이 야간 투시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법으로 금지하거나 제한하기도 한다.
10. 장착 (Mounting)
공장에서 제작된 조준경이 장착된 상태로 나오는 총기는 슈타이어 AUG, SAR 21, H&K G36과 같은 일부 예외를 제외하면 매우 드물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별도로 구매한 망원 조준경을 총기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부속품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준경 장착 시스템은 스코프 링(scope ring)과 스코프 베이스(scope base)라는 두 가지 주요 부품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장착 방식은 망원 조준경의 중심축을 총기의 리시버 및 총열의 중심축 위에 정확하게 정렬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다양한 거리에서 조준하고 탄도를 추적하는 작업을 최대한 쉽게 수행할 수 있다. 스코프 링과 스코프 베이스의 구체적인 종류와 작동 방식, 그리고 다양한 장착 레일 시스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10. 1. 스코프 링
대부분의 망원 조준경은 총기에 직접 부착할 수 있도록 설계되지 않았기 때문에, 중간 장착 부품이 필요하다. 망원 조준경은 일반적으로 둥근 주 튜브(main tube)를 가지고 있어, 표준적인 장착 방식은 망원 조준경 본체를 단단히 클램프하는 둥근 금속 파이프 슈 형태의 '''스코프 링'''(scope ring)을 사용하는 것이다. 스코프 링은 망원 조준경의 튜브를 감싸서 총기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스코프 링 한 쌍이 사용되지만, 드물게 짧은 망원 조준경은 하나의 스코프 링만 사용하기도 한다. 두 개의 링이 하나로 합쳐진 일체형 마운트인 '''스코프 마운트'''(scope mount)도 있으며, 이는 "캔틸레버" 또는 "오프셋" 방식(중심에서 벗어나 한쪽 끝으로 치우친 형태)의 장착을 가능하게 한다.
스코프 링의 크기(내경)는 망원 조준경 주 튜브의 외경과 정확히 일치해야 한다. 크기가 맞지 않으면 망원 조준경이 헐겁게 장착되거나, 반대로 너무 세게 조여져 압축 피로가 발생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세 가지 링 크기는 다음과 같다.
- 약 2.54cm: 30 mm 주 튜브에 비해 생산 비용이 낮지만, 고도 조절 범위가 더 적다.
- 30 mm: 현재 가장 일반적인 주 튜브 표준이며, 따라서 가장 다양한 종류의 마운트가 존재한다.
- 34 mm: 표준 30 mm 튜브보다 더 넓은 고도 조절 범위가 필요한 전술 소총용 망원 조준경의 새로운 표준 주 튜브 크기로 자리 잡고 있다.
10. 2. 스코프 베이스
'''스코프 베이스'''는 총기의 리시버에 부착되어 스코프 링 또는 스코프 마운트를 고정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는 조준경의 축을 리시버와 총열 중심축 위에 정확하게 위치시켜, 사용자가 다양한 거리에서 조준 및 탄도 추적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돕는다.초기 망원 조준경은 대부분 리시버에 직접 탭 가공된 나사 구멍에 고정되는 링을 사용했다. 따라서 리시버 상단 자체 외에는 별도의 스코프 베이스가 필요 없었다. 이 방식은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들지만, 나사 구멍의 정렬이 맞지 않으면 스코프 링이 망원 조준경 본체에 굽힘 응력을 가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망원 조준경을 안전하게 장착하기 전에 링의 내부 가장자리를 래핑해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Leupold & Stevens의 독점적인 STD 마운트와 같은 일부 스코프 베이스는 리시버에 나사로 고정된 소켓 베이스와 트위스트 록과 유사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스코프 링을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했다.
20세기 초부터 널리 사용된 또 다른 방식은 도브테일 레일이다. 이는 뒤집힌 사다리꼴 단면을 가진 직선 금속 플랜지로, 목공에 사용되는 도브테일 조인트와 유사한 형태이다. 망원 조준경을 장착할 때, 도브테일 인터페이스를 가진 스코프 링을 원하는 위치에서 레일 위로 밀어 넣고, 마찰을 이용하거나 고정 나사 또는 "그래버"라고 불리는 나사로 조이는 판으로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신뢰할 수 있는 직선 금속 막대를 가공하기가 상대적으로 쉬워, 도브테일 레일은 나사와 구멍 방식에서 발생하던 스코프 링의 정렬 불량 문제를 크게 줄였다. 대부분의 도브테일 레일은 리시버 상단에 삼각형 홈을 파서 만들지만, 기존 스코프 링 구멍에 나사로 설치할 수 있는 애프터마켓 레일도 있다. 리시버 상단에 일체형 도브테일 레일이 있는 경우, 원치 않는 전후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반동 러그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구조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일부 제조업체는 총기에 일체형 베이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루거 Super Redhawk 리볼버가 이러한 예시에 해당한다.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장착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 림파이어 및 공기총에서 흔히 발견되는 3/8 인치 및 11mm 도브테일 레일 (때로는 "팁 오프 마운트"라고도 불림)
- Weaver 레일
- 밀스펙 MIL-STD-1913 피카티니 레일 (STANAG 2324)
- NATO 액세서리 레일 (STANAG 4694)
루거는 독자적인 스코프 베이스 시스템을 사용하지만, 루거 베이스를 다른 위버형 베이스로 변환할 수 있는 어댑터도 판매된다.
10. 3. 장착 레일
유럽의 망원 조준경 제조사들은 조준경 링(scope ring)이나 대물렌즈 주변의 단일 링을 사용하지 않는 장착 방식을 제공하기 위해, 조준경 아래에 장착 레일(mounting rail)을 부착하는 옵션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이 레일은 망원 조준경 본체와 일체형으로 만들어져 제거할 수 없다. 장착 레일을 사용하면 망원 조준경을 사수의 눈높이에 맞게 적절한 높이와 거리로 다양한 총기에 안정적이고 장력(tension) 없이 장착할 수 있다.
여러 종류의 장착 레일 시스템이 존재한다.
명칭 | 다른 이름 | 주요 사용 업체 |
---|---|---|
표준 프리즘 | LM 레일, 70° 프리즘 레일 | - |
차이스 레일 | LMZ (슈미트 & 벤더) | 차이스, 닥터 옵틱스, 라이카 카메라, 미녹스, 슈타이너 옵틱, 메옵타, 슈미트 & 벤더 (일부 사냥용 모델, 2016년부터) |
스와로브스키 옵틱 레일 | SR | 스와로브스키 옵틱, 칼레스 |
슈미트 & 벤더 볼록형 | LMC | 슈미트 & 벤더 |
전통적인 표준 프리즘 방식은 고정 나사를 위해 레일 측면에 구멍을 뚫어야 한다. 반면, 비교적 최신인 독점 시스템들은 레일 내부에 특수한 모양의 연결부를 가공하여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다. 이는 다른 총기에 조준경을 옮겨 달 때 불필요한 구멍이 남는 것을 꺼리는 사용자들에게 미적인 장점을 제공하며, 조준경에 장착 작업으로 인한 외부 손상이 남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독점 레일 시스템은 맞는 형태의 슬라이드인(slide-in) 마운트 부품을 사용하여 조준경을 총기에 결합한다. 일부 독점 레일은 조준경을 좌우로 최대 1° (60 각분; 17.5 mrad)까지 기울여 미세 조정을 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한다.
장착 레일 시스템의 기술적 장점은 높은 신뢰성과 견고함이다. 강한 반동에도 마운트에 유격이 생기지 않으며, 시간이 지나거나 거칠게 사용해도 공차가 변하지 않는다. 또한, 조준경 하단에 레일이 추가되어 조준경 몸체의 강성과 견고성이 향상된다.
10. 4. 레일 인터페이스 시스템
공장에서 제작된 조준경이 장착된 총기는 슈타이어 AUG, SAR 21, H&K G36 등 일부 예외를 제외하면 매우 드물다. 따라서 별도로 구매한 조준경을 총기에 장착하려면 추가적인 부속품이 필요하다. 일반적인 조준경 장착 시스템은 스코프 링과 스코프 베이스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 방식은 조준경의 축을 리시버와 총열 중심축 위에 기울어짐 없이 위치시켜, 사용자가 다양한 거리에서 쉽게 조준하고 탄도를 추적할 수 있도록 돕는다.
망원 조준경이나 다른 액세서리를 총기에 장착하기 위해 표준화된 장착 플랫폼을 제공하는 여러 레일 인터페이스 시스템이 사용된다.
가장 널리 알려진 레일 인터페이스 시스템은 표준화된 MIL-STD-1913 Picatinny 레일 또는 "Pic 레일"이다. 이는 1995년 2월 3일 NATO 군에 의해 채택된 후 STANAG 2324 레일로도 알려져 있다. 이 레일의 이름은 원래 설계를 담당하고 다른 레일 표준보다 군 채택을 위해 제안했던 뉴저지주의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유래했다. Picatinny 레일은 윗면이 평평한 육각형 단면을 가지며, 긴 수평 나사를 끼울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가로 홈("간격 슬롯")이 파인 T자형 레일이다. 망원 조준경 장착 링은 레일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밀어 넣거나, 볼트, 썸스크류 또는 레버로 레일에 고정되는 "레일 그리퍼"를 사용하여 돌출된 부분 사이의 슬롯에 장착된다.
또 다른 오래된 상업용 레일 시스템으로는 1950년대에 윌리엄 R. 위버(William R. Weaver, 1905–1975)가 설계하고 대중화한 Weaver 레일이 있다. 이는 Picatinny 레일의 비표준적인 개념적 전신이다. Picatinny 레일과 Weaver 레일의 주요 차이점은 레일 치수와 가로 홈의 간격이지만, Picatinny 레일은 대부분의 Weaver 액세서리와 하위 호환된다(그러나 그 반대는 아니다).
NATO 액세서리 레일(NAR)은 새로운 STANAG 4694로 정의된 표준 레일 인터페이스 시스템이다. 이는 망원 조준경, 전술 조명, 레이저 조준 모듈, 야시 장비, 반사 조준경, 전방 손잡이, 양각대, 총검과 같은 보조 장비를 소총이나 권총 같은 소화기에 장착하기 위해 Picatinny 레일을 대체할 목적으로 2009년 5월 8일 NATO에서 승인되었다. NATO 액세서리 레일은 그리퍼 표면이 재설계되었지만, 단면과 치수는 거의 동일하여 Picatinny 레일의 미터법 업그레이드 버전이며 두 레일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상호 호환된다.
10. 5. 조절 가능 마운트
일부 최신 마운트는 조절 기능을 갖추고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망원 조준경 자체의 내부 조절 기능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매우 큰 고도 조절이 필요한 상황, 예를 들어 공기총으로 매우 짧은 거리를 사격하거나, 장거리 사격 시 탄도 낙차가 매우 커서 조준경 내부의 조절 메커니즘만으로는 필요한 고도 보정을 다 할 수 없을 때 유용하다.[39][40] 또한, 제조 과정에서의 공차로 인해 베이스 장착 구멍이 총열과 완벽하게 정렬되지 않는 경우에도 조절 가능 마운트가 필요할 수 있다.[39][40]이러한 마운트는 망원 조준경 자체를 고도 조절 범위의 극단까지 사용하지 않고, 마운트 자체를 조절하여 필요한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해 망원 조준경은 조절 범위의 중앙 부근에서 작동하게 되어 내부 부품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조절 가능한 마운트에는 크게 두 가지 종류가 있다.
11. 군사용 망원 조준경
망원 조준경은 19세기 중반부터 강선 소총에 사용되었지만, 군사적 사용은 주로 지정 사수와 저격수에게 제한되었다. 이는 광학 부품이 깨지기 쉽고 비쌌기 때문이다. 유리 렌즈는 파손되기 쉬우며, 결로, 강수, 먼지, 진흙과 같은 환경 조건은 외부 렌즈를 가릴 수 있다. 또한 조준경 튜브는 소총에 상당한 부피와 무게를 더한다. 1980년대에 이르러서야 오스트리아의 Steyr AUG나 영국 SA80의 SUSAT와 같이 제식 소총에 광학 장치가 표준으로 보급되기 시작했다. 저격수는 일반적으로 표적까지의 거리를 추정할 수 있는 특수 레티클이 있는 중간에서 높은 배율의 조준경을 사용했다. 1990년대 이후 제조 비용이 감소하면서 여러 군대에서 일반 보병 부대에도 광학 장치를 채택하기 시작했다.
망원 조준경은 몇 가지 전술적 단점도 제공한다. 저격수는 표적에 가까이 접근하기 위해 은밀함과 은폐에 의존하는데, 망원 조준경 렌즈에서 햇빛이 반사되거나 조준경 사용을 위해 머리를 드는 행동이 위치를 노출시킬 수 있다. 유명한 핀란드 저격수 시모 해위해는 이러한 이유로 망원 조준경 대신 가늠자 사용을 선호했다. 또한 망원 조준경은 가늠자보다 견고함이 떨어져 혹독한 기후에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많은 핀란드 저격수는 망원 조준경이 핀란드의 혹독한 겨울을 견디지 못했기 때문에 가늠자를 주로 사용했다.
군사용 장거리 사격을 위한 망원 조준경 시장은 경쟁이 치열하다. 여러 고품질 광학 제조업체는 군사 조직의 특정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망원 조준경을 지속적으로 개량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슈미트 & 벤더와 자이스/헨솔트가, 미국에서는 나이트포스(Nightforce), U.S. Optics Inc., 리폴드 등이 이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41] 이러한 고급 조준경은 일반적으로 1500EUR / 2000USD 이상이다. 군사용 망원 조준경의 일반적인 옵션으로는 어두운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레티클 조명 기능과 조준 설정 또는 탄도 관련 환경 데이터를 조준경을 통해 제공하는 기능 등이 있다.
구 바르샤바 조약 회원국들은 지정 사수를 위한 군사용 망원 조준경을 생산했으며, 평균적인 인간의 키를 기준으로 거리를 측정하는 레티클을 개발했다. 이 스타디아미터식 거리 측정 레티클은 원래 러시아 PSO-1 4×24 망원 조준경에 사용되었으며, 200m에서 1000m까지 평균 신장 1.7m인 표적을 측정하도록 보정되었다. 표적의 발 부분을 거리 측정 눈금의 수평선에 맞추고, 표적의 머리 부분이 위쪽 점선에 간격 없이 닿도록 정렬하면 해당 숫자 값이 표적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PSO-1의 기본 디자인과 스타디아미터식 거리 측정 방식은 POSP 및 다른 망원 조준경 모델에서도 발견된다.
이스라엘 군대는 명중률을 높이고(특히 야간) 표준 보급 보병 소총의 유효 사거리를 연장하기 위해 일반 보병에게 망원 조준경을 광범위하게 보급하기 시작했다. 알 아크사 인티파다 당시 팔레스타인 무장 세력도 AK-47에 저렴한 망원 조준경을 부착하여 효과를 높였다.
오늘날 여러 군대에서 보병에게 망원 조준경을 지급하며, 일반적으로 근거리 조준(스냅 슈팅)에 적합한 소형 저배율 조준경을 사용한다. 미국 군대는 M16 소총과 M4 카빈에 사용하도록 설계된 ACOG를 지급한다.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의 미군 병사들은 종종 자체적으로 전투용 광학 장비를 구매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영국군은 SA80 소총에 SUSAT 4배율 광학 조준경을 표준으로 장착한다. 캐나다군의 표준 C7 소총에는 3.4배율 엘칸 C79 광학 조준경이 장착되어 있다. 오스트리아와 호주는 1970년대 후반부터 일체형 1.5배율 광학 조준경이 내장된 오스트리아 Steyr AUG의 변형 모델을 사용한다.
독일 육군의 G36 돌격 소총에는 ZF 3×4° 망원 조준경과 비배율 전자식 레드 도트 조준경으로 구성된 이중 전투 조준 시스템이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 이중 전투 조준 시스템은 유리 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하우징으로 제작되어 무게가 약 30g이다. 모든 독일 G36 소총은 헨솔트 NSA 80 II 3세대 야간 투시 장치를 G36 운반 손잡이 어댑터에 장착하여 표준 이중 전투 조준 시스템과 결합해 사용할 수 있다.
12. 에어소프트 건
에어소프트 건에 망원 조준경을 부착하려면 영점 조절 기능이나 레티클이 작동하지 않아야 한다. 만약 이 두 가지 기능이 모두 정상적으로 작동한다면, 대한민국에서는 이를 무기의 부품으로 간주하여 불법으로 취급한다[42].
참조
[1]
웹사이트
TESS :: David Gledhill
https://www.david-gl[...]
[2]
웹사이트
The Way of the J. – British Phantom Aviation Group
https://bpag.co.uk/t[...]
[3]
웹사이트
Serendipity and a Spider William Gascoigne (c.1612–44) and the Invention of the Telescope Micrometer
http://magavelda.co.[...]
2019-11-04
[4]
간행물
Charles Willson Peale's "Riffle With A Telescope To It"
https://allthingslib[...]
2013-07-10
[5]
서적
A History of Firearms: From Earliest Times to 1914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10-05
[6]
웹사이트
The 1860s Target Rifle
http://www.snipercou[...]
Snipercountry.com
2000-06-29
[7]
웹사이트
Science Civil War Report
http://www.fisher.k1[...]
Fisher.k12.il.us
[8]
웹사이트
Parker Hale and Davidson telescopic sight
http://www.civilwarg[...]
Civilwarguns.com
[9]
웹사이트
Important Dates in Gun History, Compiled and Researched by the American Firearms Institute
http://www.americanf[...]
Americanfirearms.org
[10]
웹사이트
What is a Prism Scope? Compare Red Dot and Prism Scope – Daily Shooting | Shooting Tips And Reviews
https://www.dailysho[...]
[11]
웹사이트
The Prism Scope vs The Traditional Red Dot Sight – Monstrum Tactical
https://monstrumtact[...]
[12]
뉴스
Preview: Primary Arms SLx Prism Scope, American Rifleman Staff – americanrifleman.org, Sunday, October 18, 2020
https://www.american[...]
American Rifleman
2020-10-18
[13]
문서
CPL. Reginald J.G. Wales, The Ultimate Optics Guide to Rifle Shooting, FriesenPress – 2015, pages 126–128
[14]
웹사이트
Low Power Variable Optic vs. Prism Scope for Your Budget AR-15
https://www.primarya[...]
[15]
문서
"Introduction to Optics 2nd ed.", pp.141–142, Pedrotti & Pedrotti, Prentice-Hall 1993
[16]
웹사이트
History of Camera Lenses from Carl Zeiss — 1935 — Alexander Smakula develops anti-reflection coating
http://www.zeiss.com[...]
[17]
문서
Flyer Polar T96 Series telescopic sights
https://www.schmidtu[...]
[18]
웹사이트
ZEISS T* Coating
https://blogs.zeiss.[...]
[19]
웹사이트
Camera Lens Anti-Reflection Coatings: Magic Explained
https://www.photoart[...]
[20]
웹사이트
Carl Zeiss – A History of a Most Respected Name in Optics
http://www.smecc.org[...]
Southwest Museum of Engineering, Communications and Computation
[21]
웹사이트
Vapor Deposition Method Suits Coating Curved Optics by Evan Craves
https://www.photonic[...]
[22]
웹사이트
How to Level a Scope on a Rifle
https://www.tactec.c[...]
2021-11-10
[23]
웹사이트
How to Get the Most Out of Your Mil-Dot Reticle
http://mil-dot.com
[24]
웹사이트
First vs Second Focal Plane – What is the Differences?
https://accurateordn[...]
Mike Hardesty
2022-07-25
[25]
문서
Fred A. Carson, Basic optics and optical instruments, page 4-33
[26]
서적
Shooter's Bible Guide to Tactical Firearms: A Comprehensive Guide to Precision Rifles and Long-Range Shooting Gear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5-07-21
[27]
웹사이트
Telescopic sights for handheld weapons
http://www.zeiss.com[...]
Zeiss
[28]
웹사이트
U.S. Optics Inc.
http://www.usoptics.[...]
Usoptics.com
[29]
웹사이트
Can I have a Bullet Drop Compensation (BDC) dial made for my scope?
http://leupold.com/c[...]
[30]
웹사이트
Sidewheel Scope Model for Parallax Error
http://www.whattopay[...]
[31]
웹사이트
Adjusting Parallax on Non-AO Scope
http://thehuntingcav[...]
[32]
저널
Swarovski promotion includes free Remington and Browning rifles – Swarovski AG rifle-scope marketing campaign
http://findarticles.[...]
1997-10
[33]
웹사이트
LRS 2-12x50
http://www.gunaccess[...]
[34]
웹사이트
Barrett BORS Manual
http://www.barrettri[...]
Barrettrifles.com
[35]
웹사이트
Barrett BORS Manual
http://www.barrettri[...]
Barrettrifles.com
[36]
웹사이트
6-24x72 SAM telescopic sight
http://bestriflescop[...]
2010-11-26
[37]
PDF
TRG Tactical Scope Mount Technical Specification
http://www.sako.fi/p[...]
[38]
웹사이트
high-speed video of scope and barrel flexing on a 50BMG
https://www.youtube.[...]
2007-01-30
[39]
웹사이트
Mac 1 Airgun
http://www.mac1airgu[...]
[40]
웹사이트
Pyramid Air
http://www.pyramydai[...]
[41]
웹사이트
Tactical Scopes: Field Test Results Summary & Overall Scores - PrecisionRifleBlog.com
http://precisionrifl[...]
2014-09-20
[42]
문서
불법인 이유가 실총 또는 석궁에 장착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하지만 어차피 둘다 국내에서는 불법이기 때문에 구할 수가 없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