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공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공정은 서주 시대의 청동기로, 높이 53.8cm, 무게 34.7kg이며, 497자(혹은 500자)의 금문이 새겨져 있어 서주 말기의 완정한 책명서로 평가받는다. 1843년 산시성 치산현에서 발굴된 후 여러 소장자를 거쳐 현재는 대만의 국립고궁박물원에 소장되어 있으며, 취옥백채, 육형석과 함께 고궁 삼보로, 산씨반, 종저우 종과 함께 고궁 3대 청동기로 꼽힌다. 모공정의 금문은 주 선왕이 신하 모공 음에게 관직을 임명하고 훈계하는 내용으로, 서주 중흥을 증언하는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모공정은 모(毛)나라의 공(公, gōng)인 인(尹)이 국정을 돕도록 임명된 후 왕에게 이 정(鼎)을 하사받은 것이다.[2][3] 이 유물은 높이 53.8cm, 너비 47.9cm, 총 무게는 34.7kg이다.[1][4]
모공정은 서주 시대부터 중화민국 시대를 거쳐 현재 국립고궁박물원에 이르기까지 긴 역사를 지니고 있다.
2. 형태
정(鼎) 안쪽에는 현존하는 가장 긴 497자의 금문이 새겨져 있는데, 서주 선왕이 신하 '''모공 음'''(毛公瘖)에게 내린 관직 임명과 훈계 내용이다. 모공 음은 문왕의 아들 모숙정(毛叔鄭)의 후예로 여겨지며, 선왕 중흥(宣王中興)을 지지한 권신이었다.
2. 1. 외양
모공정은 높이 53.8cm, 솥의 깊이 27.2cm, 솥의 구경 47cm, 무게 34.7kg이다.[1][4] 입이 크고 솥은 둥근 형태이며, 솥 테두리에는 여러 원이 그려진 무늬가 있다. 위에는 큰 귀 두 개가 있고, 솥 아래에는 짐승 발굽 형태의 발이 세 개 있다.
2. 2. 명문 (銘文)
모공정은 솥 안에 32행 500개의 명문(銘文)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주 선왕(周宣王)의 재위 초기에 조정을 진흥시키기 위하여 자신의 숙부 모공(毛公) 음(瘖) 혹은 흠(歆)에게 국가 대소 사무를 처리하도록 명령하는 내용이다. 모공 일족에게는 금위군(禁衛軍)을 맡아 왕실을 보위하도록 명령하며, 주식(酒食), 예복(禮服), 옥석(玉石), 거마(車馬), 병기(兵器)를 하사하였다. 모공이 왕의 임명에 감사함을 느껴 이 정을 주조하여 기념하고자 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2][3]
이 정(鼎)의 내부 표면에는 500자에 달하는 명문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오늘날 알려진 가장 긴 명문이다.[2] 명문의 내용은 서주의 선왕이 신하 '''모공 음'''(毛公瘖)에게 내린 관직 임명과 훈계이다. 모공 음은 문왕의 아들 毛叔鄭|모숙정중국어의 후예로 여겨지며, 宣王中興|선왕 중흥중국어을 지지한 권신이었다.
국립고궁박물원은 그 내용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명문은 서주(西周) 시대 '주 선왕 중흥(周宣王中興)'[즉, 선왕 즉위 후의 부흥, 공화 정권 종식]을 증언한다. 텍스트의 첫 부분은 선왕이 모공(毛公)에게 내린 지시로 구성되어 있다. 중간 부분에서는 왕이 즉위 후 문왕과 무왕이 어떻게 천명을 받아 왕국을 세웠는지, 그리고 왕이 천명을 이어받는 것에 대해 얼마나 경계하고 두려워했는지를 회상한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왕이 모공에게 하사한 관대한 선물들을 자세히 열거한다. 결론적으로 모공은 왕에게 감사를 표하며, 후대를 위해 이를 기념하는 의미로 정(鼎)을 바친다."[5]
3. 역사
'''주나라 시대'''
'''출토 및 소장'''
'''국립고궁박물원 소장'''3. 1. 주나라 시대
모공정은 솥 안에 32행 500개의 명문(銘文)이 새겨져 있다. 이는 서주 말기 1편의 완정한 책명서(冊命書)이다. 글 내용은 주 선왕(周宣王)의 재위 초기에 조정을 진흥시키기 위하여 자신의 숙부 모공(毛公) 음(瘖) 혹은 흠(歆)에게 국가 대소 사무를 처리하도록 명령하고, 모공 일족에게는 금위군(禁衛軍)을 맡아 왕실을 보위하도록 명령하며, 아울러 주식(酒食), 예복(禮服), 옥석(玉石), 거마(車馬), 병기(兵器)를 하사하니, 모공이 왕의 임명에 감사함을 느껴 이 정을 주조하여 기념하고자 한다는 것이다.
정(鼎) 안쪽에는 현존하는 가장 긴 분량인 497자의 금문이 새겨져 있다. 정은 높이 53.8cm, 입구 지름 47.9cm, 무게 34.5kg이며, 금문의 길이에 비해 그렇게 거대하지 않다.
금문의 내용은 서주의 선왕이 신하 '''모공 음'''(毛公瘖)에게 내린 관직 임명과 훈계이다. 모공 음은 문왕의 아들 모숙정(毛叔鄭)의 후예로 여겨지며, 선왕에 의한 서주 중흥을 지지한 권신이었다.
3. 2. 출토 및 소장
모공정은 1843년 도광제 치세 동안 산시성 치산현에서 발굴되었다.[1][2] 1852년 유명한 수집가 천제기(陳介祺, 1813–1884)가 입수하여 명문의 정밀한 탁본을 제작했다.[6] 선통제 시대(1909–1911)에 단방(端方, 1861–1911)이 천씨 가문으로부터 이 솥을 사들였다.
예궁탁(葉恭綽, 1881–1968)은 친구들이 톈진 도생 은행에서 담보로 잡혀있던 것을 구매하여 그에게 증정했다. 중일 전쟁 동안 예씨 가문은 이를 상하이의 백만장자였던 천유인(陳友仁)에게 판매했다. 1946년 4월, 천유인은 이 솥을 중국 국민당 상하이 정부에 기증했다. 1949년, 장제스와 중국 국민당은 이를 타이완으로 옮겼고, 현재 국립고궁박물원에 소장되어 있다.[7]
청나라 도광 23년(1843년), 산시성 치산현에서 출토된 이후, 천제기, 돤팡, 예궁줘의 개인 소장을 거쳤다. 국공 내전 시기인 1946년 난징 박물원에 수장되었다가 대만 이주 당시 고궁 박물원(자금성) 구장품과 함께 대만으로 이송되었다.
모공정이 주목받게 된 것은 민국 초기의 일로, 영국인 기자 버트럼 레녹스 심슨(심슨)이 구매하려 했을 때 발생한 국외 유출 저지 여론과, 왕궈웨이, 궈모뤄 등에 의한 출토 문자 사료 연구의 고조가 있었다.
21세기 현대에는 국립 고궁 박물원의 주요 소장품이 되었으며, 취옥백채, 육형석과 함께 고궁 삼보로 꼽히며, 또한 산씨판, 종저우 종과 함께 고궁 3대 청동기에 꼽힌다. 대만 국보로도 지정되어 있다.
3. 3. 국립고궁박물원 소장
모공정은 1843년 도광제 치세 동안 산시성 치산현에서 발굴되었다.[1][2] 1852년 유명한 수집가 천제기(陳介祺, 1813–1884)가 이를 입수하여 명문의 탁본을 제작했다.[6] 선통제 시대(1909–1911)에 단방(端方, 1861–1911)이 천씨 가문으로부터 이 솥을 사들였다.
예궁탁(葉恭綽, 1881–1968)은 친구들이 톈진 도생 은행에서 담보로 잡혀있던 모공정을 구매하여 그에게 증정했다. 중일 전쟁 동안 예씨 가문은 이를 상하이의 백만장자였던 천유인(陳友仁)에게 판매했다. 1946년 4월, 천유인은 이 솥을 중국 국민당 상하이 정부에 기증했다. 1949년, 장제스와 중국 국민당은 이를 타이완으로 옮겼고, 현재 국립고궁박물원에 소장되어 있다.[7]
21세기 현대에는, 국립고궁박물원의 주요 소장품이 되었으며, 취옥백채, 육형석과 함께 故宫三宝|고궁 삼보중국어로 꼽히며,[8] 또한 散氏盤|산씨반중국어, 宗周鐘|종저우 종중국어과 함께 고궁 3대 청동기에 꼽힌다. 中華民國國寶|대만 국보중국어로도 지정되어 있다.
4. 현대의 연구 및 의의
모공정은 민국 초기에 영국인 기자 Bertram Lenox Simpson|버트럼 레녹스 심슨영어이 구매하려 했을 때 발생한 국외 유출 저지 여론과, 왕궈웨이, 궈모뤄 등에 의한 출토 문자 사료 연구의 고조로 주목받게 되었다.[8]
21세기 현대에는 국립 고궁 박물원의 주요 소장품이 되었으며, 취옥백채, 육형석과 함께 故宫三宝|고궁 삼보중국어로 꼽히고, 散氏盤|산씨반중국어, 宗周鐘|종저우 종중국어과 함께 고궁 3대 청동기로 꼽힌다.[8] 또한 中華民國國寶|대만 국보중국어로도 지정되어 있다.
참조
[1]
서적
Chinese Art Treasures
1961
[2]
웹사이트
The Bell and Cauldron Inscriptions-A Feast of Chinese Characters: the Origin and Development_Mao Gong Ding
https://www.npm.gov.[...]
2010-02-05
[3]
웹사이트
Full Rubbing of the Mao Gong Ding
https://theme.npm.ed[...]
2020-01-01
[4]
서적
The Mao Gong Ding
1986
[5]
웹사이트
Mao Gong Ding
https://theme.npm.ed[...]
National Palace Museum, Taipei, Taiwan
[6]
웹사이트
Rubbings of Inscriptions on Mao Gong Ding, the Duke Mao Tripod
https://www.wdl.org/[...]
1852-01-01
[7]
서적
The Mao Gong Ding
1986
[8]
웹사이트
国立故宮博物院南部院区(嘉義県) {{!}} 台湾観光-台北ナビ
https://www.taipeina[...]
2023-1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