궈모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궈모뤄는 중국의 시인이자, 극작가, 역사가, 고고학자, 그리고 정치가였다. 그는 1892년 쓰촨성에서 태어나 일본 유학을 거쳐 문학 활동을 시작했으며, 1921년에는 문학 결사 창조사를 설립했다. 1927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여 난창 봉기에 참여했으나 실패 후 일본으로 망명, 고대사 연구에 몰두했다. 중일 전쟁 발발 후 귀국하여 항일 운동에 참여했고,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중국과학원 초대 원장 등을 역임했다. 궈모뤄는 문학, 역사학, 고고학 등 다방면에 걸쳐 업적을 남겼으나, 문화 대혁명 시기 처신과 사생활 문제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 공산당 - 볼셰비키
볼셰비키는 1903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에서 레닌을 중심으로 시작되어 멘셰비키와 대립하며 러시아 혁명을 주도,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실현하고 소비에트 연방을 수립한 정치 세력이다. - 소련 공산당 - 역사적 유물론
역사적 유물론은 칼 마르크스에 의해 정립되어 물질적 생산력과 생산 관계의 변화를 통해 사회 발전을 설명하며, 경제적 토대가 상부구조를 결정하고 생산력과 생산 관계의 모순이 계급 투쟁과 사회 변혁을 야기한다고 보는 관점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시인 - 빙신
빙신은 셰 완잉이라는 본명을 가진 중국의 저명한 작가로, 다양한 문학 분야에서 활동하며 특히 아동 문학에 대한 기여로 독자적인 스타일을 창시했고 타고르와 지브란의 작품을 중국에 소개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시인 - 리더취안
리더취안은 중국의 정치인이자 사회운동가로서, 반제국주의 운동에 투신했으며 펑위샹과의 결혼으로도 알려져 있고,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초대 위생부 부장을 역임하며 공공 보건 시스템 구축에 기여했고, 중화전국부녀연합회 회장을 맡아 여성 권익 신장에도 힘썼다. - 스탈린 평화상 수상자 - 파블로 네루다
파블로 네루다는 20세기 칠레의 대표적인 시인으로, 다양한 작품 활동을 통해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1971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 스탈린 평화상 수상자 - 요제프 비르트
요제프 비르트는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에 두 차례 총리를 지낸 독일 정치인으로, 이행 정책과 라팔로 조약 등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으나 정부 불안정과 극우 세력의 반발로 사임하고, 전후에는 동독과의 협력 추구로 비판받기도 했다.
궈모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궈모뤄 |
원어 이름 | 郭沫若 |
로마자 표기 | Guo Moruo |
본명 | 궈카이전 |
자 | 딩탕 |
출생 | 1892년 11월 16일 |
출생지 | 청나라 쓰촨성 러산시 |
사망 | 1978년 6월 12일 |
사망지 | 중국 베이징시 |
직업 | |
직업 | 정치인, 시인, 역사학자 |
학력 | |
모교 | 규슈 대학 |
경력 | |
중국 문학 예술계 연합회 주석 | 1949년 - 1978년 |
중국 과학원 원장 | 1949년 - 1978년 |
중국 과학 기술 대학 총장 | 1958년 - 1978년 |
중화민국 중앙연구원 연구원 | 1948년 |
가족 | |
배우자 | 장징화 (1912년 결혼) 사토 도미코 (1916년 결혼) 위리췬 (1939년 결혼) |
동반자 | 위리전 황딩후이 |
자녀 | 아들 8명, 딸 3명 |
문학 활동 | |
필명 | 딩탕 |
언어 | 표준중국어 |
활동 기간 | 1916년부터 |
장르 | 시 소설 단편 소설 극 번역 자서전 역사 학술 연설 |
사조 | 신문화 운동 프롤레타리아 문학 |
2. 생애
궈모뤄는 1892년 쓰촨성 러산시의 부유한 지주 집안에서 태어났다.[55][56] 본명은 郭開貞|궈카이전중국어이며, 어릴 때부터 고전 교육을 받았으나 형들의 영향으로 근대 학문과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2] 1912년 가족의 뜻에 따라 장징화와 결혼했으나 관계는 오래가지 못했고, 1914년 일본 유학길에 올랐다.[2][66]
일본에서는 처음 규슈 제국 대학에서 의학을 공부했으나[2][68] 문학에 더 큰 열정을 느껴 진로를 바꾸었다.[68] 이 시기 간호사였던 사토 토미코를 만나 사실혼 관계를 맺고 다섯 자녀를 두었으며,[3] 1921년 위다푸, 청팡우, 장쯔핑 등과 함께 문학 단체 창조사(創造社중국어)를 결성하고[69][70] 첫 시집 『여신』(女神중국어)을 출간하며 중국 신문학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2][71]
1923년 귀국 후 중국 국민당에 가입하여 정치 활동을 시작했으나, 5·30 사건 이후 좌경화되어 1927년 장제스와 결별하고 난창 봉기에 참여했으며 직후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73][4] 봉기 실패 후 1928년부터 약 10년간 다시 일본에서 망명 생활을 하며 지바현 이치카와시에 머물렀다.[73] 이 기간 동안 갑골문과 금문 등 중국 고대사 연구에 몰두하여 《两周金文辭大系考釋|양주 금문사 대계 고석중국어》, 『중국 고대 사회 연구』 등 중요한 학술 저작을 남겼다.[4][73]
1937년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항일 운동에 참여하기 위해 홀로 귀국하여 국민정부 하에서 활동했다.[3][73] 일본인 아내와 자녀들은 일본 당국의 방해로 데려오지 못했고,[3] 이후 1939년 배우 위리췬과 재혼했다.[3][5] 전쟁 중에도 《굴원》(屈原중국어), 《호부》(虎符중국어) 등 희곡을 발표하며 문학 활동을 이어갔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에는 초대 중국과학원 원장(1949~1978), 중국과학기술대학교 초대 총장,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위원장 등 고위직을 역임하며 과학, 문화, 교육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6]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초기 박해 대상이 되었으나 공개적인 자기 비판과 마오쩌둥에 대한 충성 표명을 통해 정치적으로 생존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두 아들 궈민잉과 궈스잉이 홍위병의 박해로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했다.[7][8] 말년에는 마오쩌둥의 사망과 4인방의 몰락 이후 이들을 비판하는 시를 썼으며, 1978년 6월 12일 베이징에서 병으로 사망했다.
2. 1. 유년 시절 및 학창 시절 (1892년 ~ 1913년)
1892년 11월 16일[55] (일부 기록에는 11월 10일), 본명은 궈카이전(郭開貞)이며, 쓰촨성 러산시 샤완구의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다. 당시 샤완은 약 180가구가 사는 마을이었으며, 러산시 중심 도시 지역에서 남서쪽으로 약 40km 떨어진 다두강 유역에 위치했다. 그는 지주 집안의 여덟 번째 아이였다.[56] 어머니가 그를 임신했을 때 표범 꿈을 꾸었다 하여 어릴 적 이름은 궈원바오(郭文豹, "교양 있는 표범")였다.[2][57] 훗날 고향 러산이 다두강(大渡河, 옛 이름은 말수(沫水))과 칭이강(青衣江, 옛 이름은 약수(若水))이 합류하는 지점이라는 점에서 착안하여 '모뤄'(沫若)라는 필명을 사용했다.[58]궈씨 가문은 본래 푸젠성 닝화현 출신의 객가였으며, 17세기 후반 장셴중의 난으로 인구가 급감한 쓰촨성으로 이주했다. 궈모뤄의 증조부 대에 이르러 어느 정도 부를 축적했고, 조부 대에는 지역 하천 운송업을 장악하며 가세를 일으켰다. 이때부터 자녀 교육에 투자할 여력이 생겼다. 아버지 궈밍싱(郭明興, 1854–1939)은 13세에 학업을 중단하고 염전 견습생으로 일하다가 가업에 뛰어들었다. 그는 사업 수완이 뛰어나 기름, 아편, 술, 곡물 거래와 환전업으로 성공했고, 중의학 의사로서 명성도 얻었다. 이를 통해 가문의 부동산과 염전 소유를 확장했다.
반면 어머니 두씨(杜氏)는 학자-관료 집안 출신이었다. 그녀의 아버지는 진사 출신인 두저우장(杜周章)이었는데, 구이저우성 황핑현의 현 판관으로 재직 중이던 1858년 먀오족 반란 진압 과정에서 전사했다. 어머니는 1872년 14세의 나이로 궈씨 가문에 시집왔다. 궈모뤄는 어머니의 여덟 번째 아이였고, 그가 학교에 다닐 무렵에는 일곱 명의 형제가 있었다.[2]
어머니의 영향으로 어릴 때부터 한시를 배우며 학문에 흥미를 느낀 궈모뤄는[59] 1897년 봄, 네 살 반의 나이에 집안 서당(가족 학교)에서 공부를 시작했다.[2] 처음에는 중국 고전 위주로 배웠지만, 1901년 정부 교육 개혁 이후 수학 등 현대 학문도 접하기 시작했다.[2][60] 청두에 근대식 학교들이 설립되면서[61] 1903년 가을부터 그의 형들도 청두로 유학을 갔다. 특히 일본 유학을 준비하던 큰형 궈카이원(郭開文, 1877–1936)은 고향 동생들에게 현대 서적과 잡지를 보내주어 세상 물정에 눈뜨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 궈카이원은 1905년 2월 도쿄 제국 대학으로 유학을 떠나 동생들에게 계속해서 영향을 주었다.[2]
1906년 봄, 15세가 된 궈모뤄는 경쟁 시험을 거쳐 러산의 고등소학교에 입학했다. 옛 절터에 세워진 기숙학교에서 생활하면서[2] 다양한 근대 학문을 접했지만 여전히 고전에 깊은 흥미를 느꼈다. 특히 금문학파의 영향을 받아 『사기』 해석을 시도하기도 했다.[63] 이 시기 고향 자연 속에서의 경험은 훗날 시인으로서 감성을 키우는 밑거름이 되었다.[62]
1907년 가을, 가정중학교(嘉定中學)에 진학했다. 형들의 영향으로 해외 유학을 꿈꿨지만 현실적인 어려움에 부딪히자 방황하며 시 창작에 몰두했다.[64] 학업적으로는 뛰어났지만 점차 문제아로 인식되었고, 학생들의 권익을 대변하며 학교 측과 자주 충돌했다. 여러 차례 퇴학과 복학을 반복하다가 결국 1909년 10월 영구 퇴학당했다.[2] 그는 오히려 이를 청두에서 학업을 이어갈 기회로 여겼다.[2] 이 무렵 장티푸스 등 질병을 앓고 난 후유증으로 평생 난청을 겪게 되었다.[64]
1910년, 궈모뤄는 청두 고등분설중학당(成都高等分設中學堂)에 편입하여 청두로 거처를 옮겼다. 같은 해 베이징과 톈진에서 시작된 국회 개설 청원 운동이 전국으로 확산되자 이에 참여했지만, 운동 실패 후 일시 퇴학 처분을 받기도 했다.[65]
1911년 10월, 어머니로부터 결혼 상대가 정해졌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는 가족의 뜻에 따라 1912년 3월, 얼굴도 본 적 없는 장징화(張瓊華)와 고향 샤완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그러나 결혼 직후 이를 후회하고 닷새 만에 아내를 남겨둔 채 청두로 돌아갔다. 이후 장징화와 법적으로 이혼하지는 않았지만 함께 살지는 않았다.[2]
2. 2. 일본 유학 (1914년 ~ 1923년)
1913년 12월, 궈모뤄는 형들을 따라 중국을 떠나 일본으로 유학길에 올랐고, 1914년 1월 초에 도착했다. 이는 중고등학교 시절의 고뇌와 1912년의 불만족스러운 결혼 생활에서 벗어나려는 의도도 있었다.[66] 도쿄에서 1년간 예비 학습[2]을 하거나 제1고등학교 예과[66]에서 공부한 후[67], 오카야마의 제6고등학교에 입학했다.[2] 처음에는 의학을 배울 의지가 크지 않았으나, 일본 도착 후 진지하게 의학 공부를 생각하게 되었다.[66] 오카야마에서는 고향 풍경을 떠올리며 그리움을 느끼기도 했다.1916년 여름, 도쿄의 세인트 루크 병원에 입원한 친구를 문병 갔다가 간호사로 일하던 사토 토미코를 만나 사랑에 빠졌다. 기독교 집안 출신인 사토 토미코는 궈모뤄의 사실혼 배우자가 되었고, 중일 전쟁 발발 전까지 약 20년간 함께 살며 다섯 명의 자녀를 두었다.[3]
오카야마 제6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1918년 9월 후쿠오카에 있는 규슈 제국 대학 의학부에 무시험으로 입학했다.[2][68] 그러나 의학 공부, 특히 해부 실습을 계기로 창작 의욕을 느끼기 시작했고, 외국어 수업에서 접한 문학 작품들을 통해 어릴 적부터 관심 있었던 문학에 대한 열정이 다시 불타올랐다.[68] 그는 의학보다 문학에 더 큰 관심을 보이며 스피노자, 괴테, 월트 휘트먼,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등의 작품 연구에 몰두했다.[2] 여러 차례 의학을 그만둘까 고민하던 중, 난청이 심해져 진료에 필수적인 타진과 문진이 어려워지자 결국 의사의 길을 포기하고 문학의 길로 나아가게 되었다.[68]
이 시기 궈모뤄는 왕성하게 시를 창작했으며, 수많은 번역 활동도 병행했다. 1921년에는 첫 시집인 《여신들》(女神중국어)을 출판했고,[2] 상하이에서 현대적이고 백화문학을 장려하는 문학 단체인 창조사 (創造社중국어)를 공동으로 설립했다.[2] 유학 기간 중인 1922년에는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을 번역하기도 했다.
2. 3. 문학 활동과 창조사(創造社) 설립 (1921년 ~ 1927년)
1921년, 궈모뤄는 대학을 잠시 휴학하고 창조사 설립 준비에 착수했다. 상하이 타이둥 서국에서 편집 작업을 하며 창조사 설립 후 기관지 출판 준비도 병행했다. 같은 해 7월, 일본 유학 시절 친구인 청팡우, 위다푸, 장쯔핑 등과 함께 문학 결사 창조사를 설립했다.[69][70]1922년 8월에는 첫 시집 『여신』을 발표했다. 이 시집은 5·4 운동 시기 낭만주의 문학의 대표작으로 평가받으며, 궈모뤄의 신체시는 중국 근대 시가의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한 것으로 인정받는다.[71]
1923년 3월 대학을 졸업했으나[72], 의학 분야에는 종사하지 않았다.
이후 국민당에 가입하여 활동했지만, 제국주의에 반대하는 5·30 사건을 계기로 점차 좌경화되었다. 북벌군의 총정치부 주임을 맡기도 했으나, 1927년 장제스와의 갈등 끝에 난창 봉기에 참여했으며, 직후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
2. 4. 중국 공산당 입당과 일본 망명 (1927년 ~ 1937년)
1927년, 이전에 국민당에 참가했던 궈모뤄는 반제국주의 운동인 5·30 사건을 계기로 좌경화되었다.[73] 그는 북벌군의 총정치부 주임을 맡았으나, 같은 해 장제스와 대립하게 되었다.[73] 이후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으며,[4] 공산당이 주도한 난창 봉기에 참여했다.[4][73] 봉기가 실패로 돌아가자 장제스에게 쫓기게 되었고,[73] 1928년 2월 일본으로 망명했다.[73]일본 망명 기간은 10년에 달했으며,[4] 지바현 이치카와시 스와다에 거처를 마련하고[73] 중국 고대사 연구에 몰두했다.[4][73] 이 시기 그는 갑골문과 금문 연구에 집중하여 《양주 금문사 대계 고석》(两周金文辭大系考釋)을 출판했으며,[4] 『중국 고대 사회 연구』, 『나의 유년』 등도 집필했다.[73] 또한 상 왕조와 주 왕조 시대의 고고학 및 고대 중국 문자에 관한 10편의 단행본을 출판하여[4] 이 분야에서 탁월한 학자로서의 입지를 굳혔다.[4]
1937년 여름, 루거우차오 사건이 발발하자 궈모뤄는 항일 저항 운동에 참여하기 위해 일본인 아내와 자녀들을 남겨두고 홀로 중국으로 돌아왔다.[3][73] 그는 국민정부에 참여하여 항일 활동을 시작했다.[73]
2. 5. 중일전쟁과 항일 운동 (1937년 ~ 1945년)
1937년 여름, 루거우차오 사건이 발발하자 궈모뤄는 항일 운동에 참여하기 위해 중국으로 돌아왔다. 그는 국민정부에 참가했다. 일본인 아내 사토 토미코와 자녀들을 데려오려 했으나, 일본 당국의 방해로 무산되었다.[3] 이후 1939년 상하이에서 배우 위리췬과 재혼했다.[3][5]전쟁 기간 중에도 창작 활동을 이어가, 1942년 2월에는 5막 역사극 《호부》(虎符)를 집필했고, 같은 해 충칭에서는 희곡 《굴원》을 발표하여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1945년에는 고대 사상가 연구를 집대성한 『十批判書|십비판서중국어』를 완성했다.
2. 6.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1949년 ~ 1978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궈모뤄는 여러 중요한 정부 직책을 맡았다. 그는 중국과학원의 초대 원장으로 1949년 창립부터 1978년 사망할 때까지 재임했으며, 중국과학기술대학교(USTC)의 초대 총장이기도 했다. USTC는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중국과학원이 과학 기술 분야의 고급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설립한 새로운 유형의 대학이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초기 15년 동안, 궈모뤄는 중국 역사와 문화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바탕으로 예술, 교육, 문학 관련 철학적 문제에서 최종 중재자 역할을 했다. 하지만 그의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작품들은 대부분 1949년 이전에 쓰였다.
그는 1951년 스탈린 평화상을 수상했으며, 1954년에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 1957년 12월에는 류량모, 류닝이, 지차오딩과 함께 중국 대표단의 일원으로 제1차 아시아-아프리카 인민 연대 회의에 참석했다.[6] 1958년에는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고, 1963년에는 중일 우호 협회 명예 회장을 맡았다.
1966년 문화 대혁명이 시작되면서 궈모뤄는 초기에 박해 대상이 되었다. 그는 체면을 지키기 위해 공개적인 자기 비판을 하고 자신의 이전 작품이 모두 잘못되었으며 불태워져야 한다고 선언했다. 이후 마오의 부인 장칭과 문화 대혁명을 찬양하는 시를 쓰고, 이전의 친구와 동료들을 반혁명분자로 비난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의 가족은 보호받지 못했다. 그의 두 아들 궈민잉(郭民英중국어)과 궈스잉(郭世英중국어)은 각각 1967년과 1968년에 홍위병의 비판과 박해를 받은 후 비극적으로 사망했다(공식 기록은 '자살').[7][8] 궈스잉(1942년생)은 베이징 대학 철학과 학생 시절 "지하" "X 시사(詩社)"를 만들었다는 이유로 1963년 노동을 통한 재교육 형을 받았다. 허난 성 농장에서 일한 뒤 1965년 베이징 농업대학에 입학했으나, 1968년 홍위병에게 납치되어 과거 시사 활동을 이유로 심문받던 중 감금되어 있던 3층 방 창문에서 뛰어내려 2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궈모뤄는 훗날 아들을 베이징으로 돌아오게 한 것을 후회하며 이것이 아들의 죽음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했다.[7][24] 궈민잉(1943년생)의 죽음 역시 1967년 4월 12일 예상치 못한 자살로 묘사된다.[24]
마오쩌둥에 대한 아첨에 가까운 충성심 덕분에 궈모뤄는 문화 대혁명의 광풍 속에서 살아남았고, 1969년 4월 중국 공산당 제9차 전국대표대회에서는 마오쩌둥의 칭찬을 받았다. 1970년대 초반에는 대부분의 영향력을 회복하여, 청(淸) 왕조 관리가 소유했던 호화로운 저택에 거주하며 배정된 하인, 국영 리무진 등 최고위급 당 엘리트의 특권을 누렸다. 그는 자신의 집에 고가구와 골동품을 대량으로 소장하기도 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의 작품으로는 희곡 『채문희』와 『측천무후』 등이 있으며, 이 작품들은 베이징 인민 예술 극원에서 상연되었다. 특히 『채문희』는 자오쥐인의 연출로 높은 평가를 받아 오늘날까지도 반복 상연되는 화극의 대표작 중 하나가 되었다.
1971년, 과학원 원장과 전인대 상무위원회 부위원장으로서 오마르 하이얌의 시집 『루바이야트』를 번역한 인연으로 이란 건국 2500년 기념 축전에 초청받았으나, 당시 중국에 망명 중이던 노로돔 시아누크 전 캄보디아 국왕의 중국 북서부 방문과 방중한 에티오피아 제국 황제 하이레 셀라시에 1세의 만리장성 방문 수행 등 과밀한 일정으로 인한 피로를 호소하여 참석하지 못하고 대리 특사를 파견했다.[78]
1976년 마오쩌둥의 사망과 4인방의 몰락 이후, 85세의 궈모뤄는 베이징 병상에서 4인방을 비난하는 시를 썼다.
::什么令人振奋的消息!중국어 (얼마나 흥분되는 소식인가!)
::删除四人帮。중국어 (4인방을 제거하다.)
::文学流氓。중국어 (문학 깡패.)
::政治流氓。중국어 (정치 깡패.)
::险恶的顾问。중국어 (사악한 고문.)
::白骨精。중국어 (백골정.)
::所有由铁扫帚一扫而空。중국어 (모두 쇠빗자루로 쓸어버리다.)
여기서 백골정(白骨精중국어)은 명나라 소설 ''서유기''에 등장하는 변신 요괴로, 당시 장칭을 경멸적으로 부르는 별명이었다.
같은 해 3월 (1978년), 궈모뤄는 병든 몸을 이끌고 문화 대혁명 이후 처음으로 열린 제1차 전국 과학 회의에 참석했다. 눈에 띄게 쇠약해진 모습이었으며, 이는 그가 대중 앞에 모습을 드러낸 마지막이 되었다. 그는 3개월 후인 1978년 6월 12일 베이징에서 병으로 사망했다.
3. 사상과 학문적 업적
궈모뤄는 중국 현대 문학, 역사, 고고학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인물이다. 스스로를 괴테에 비견하기도 했으며, 저우양과 같은 문학 평론가들은 그를 "사회주의 시대 신중국의 괴테"라고 칭하며 이러한 평가를 뒷받침했다.[9]
그는 문학, 역사, 고고학 등 다방면에 걸쳐 활동하며 중국 현대 지성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대표적인 문학 작품과 역사 연구는 해당 분야에서 중요한 성과로 평가받으며,[82] 삼국지 연구 분야에서도 기존의 평가에 도전하는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의 학문과 행적에 대한 비판 역시 존재한다. 그는 소위 "4대 현대 뻔뻔한 작가" 중 첫 번째로 꼽히며 비판받기도 했다.[10][11][12] 특히 정치적인 면에서 마오쩌둥의 서예를 과도하게 칭송하며 오류까지 정당화하려 했다는 비판[13], 문화 대혁명 시기 마오쩌둥에게 영합하기 위해 이백을 칭송하고 두보를 폄하하는 내용의 책 『李白与杜甫중국어』를 출판했다는 비판[15], 4인방의 몰락 전후로 태도를 급격히 바꿨다는 비판[16][17] 등이 제기된다. 그의 역사 연구는 고대 중국 고전을 정치적으로 해석했다는 이유로 일부 역사가들로부터 "준 의사 역사(quasi-pseudo-history)"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14] 사생활 측면에서도 여러 여성과의 관계 및 결별 과정에서 비판을 받았으며, 그중 한 명인 리천(立忱)은 그의 배신 후 자살했다는 주장이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다른 견해도 존재한다.[18]
궈모뤄를 기리기 위한 장소들도 남아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두 번째 아내 위리췬(于立群)과 함께 살았던 베이징 스차하이 인근의 자택은 현재 기념관으로 보존되어 있다.[25] 또한 1927년부터 1937년까지 일본 망명 시절 사토 토미코와 함께 거주했던 일본 지바현 이치카와시의 집 역시 기념관으로 운영되고 있다.[26] 이러한 인연으로 이치카와시는 1981년 궈모뤄의 고향인 러산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었다.[27] 한편, 미국의 저명한 흑인 인권 운동가이자 학자인 W. E. B. 듀보이스는 자신의 시 "나는 중국에 노래한다(I Sing To China)"를 궈모뤄에게 헌정하기도 했다.[28]
3. 1. 문학 사상
1921년, 궈모뤄는 대학을 잠시 휴학하고 상하이에서 창조사(創造社) 설립을 준비했다. 그는 타이둥 서국(泰東書局)에서 편집 작업을 하며 창조사 성립 후 기관지 출판 작업에도 착수했다. 같은 해 7월, 일본 유학 시절 친구들인 청팡우(成仿吾), 위다푸(郁達夫), 장쯔핑(張資平) 등과 함께 문학 결사 창조사를 정식으로 설립했다.[69][70]1922년 8월, 그의 첫 시집인 『여신』(女神)이 출판되었다. 이 시집은 5·4 시기 낭만주의 문학 사조의 대표작으로 평가받으며, 궈모뤄의 자유로운 형식의 신체시(新體詩)는 중국 근대 시문학 발전에 중요한 기틀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71]
1923년 3월 대학을 졸업했지만[72], 의학 분야에는 종사하지 않고 문학 및 사회 활동에 전념했다. 초기에는 중국 국민당에 참여했으나, 5·30 사건을 계기로 좌경화되었다. 북벌 당시 총정치부 주임을 맡기도 했으나, 1927년 장제스와의 갈등 끝에 난창 봉기에 가담했고 직후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 장제스의 탄압을 피해 1928년 2월 일본으로 망명하여 지바현 이치카와시 스와다(須和田)에 거주하며[73] 중국 고대사 연구에 몰두했다. 이 시기에 『중국 고대 사회 연구』(中國古代社會硏究중국어), 『양주 금문사 대계 고석』(兩周 金文辭 大系 考釋중국어), 자전적 소설 『나의 유년』(我的幼年중국어) 등을 집필했다.
1937년 루거우차오 사건이 발발하자 일본인 아내와 자녀들을 남겨두고 귀국하여 항일 전쟁에 참여, 국민정부에서 활동했다. 1942년 전시 수도였던 충칭에서 발표한 역사 희곡 『굴원』(屈原중국어)은 큰 반향을 일으켰다. 1945년에는 그의 고대 사상가 연구를 집대성한 『十批判書|십비판서중국어』를 완성했다.[90]
『十批判書|십비판서중국어』는 제자백가 사상을 유물사관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각 사상의 진보성과 봉건성을 논한 저작이다. 총 10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자를 인민 생활 발전에 기여한 진보적 사상가로, 묵자를 봉건적 사상가로 평가했다. 특히 진시황이 중국 통일 후 인민을 노예화했다고 비판한 대목은 훗날 마오쩌둥의 불만을 사 문화대혁명 시기 궈모뤄가 박해받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90] 『十批判書|십비판서중국어』의 각 장 제목은 다음과 같다.
장 번호 | 원제 (중국어) | 내용 |
---|---|---|
1 | 古代研究的自我批判중국어 | 고대 연구의 자기 비판 |
2 | 孔墨的批判중국어 | 공자와 묵자의 비판 |
3 | 儒家八派的批判중국어 | 유가팔파(儒家八派)의 비판 |
4 | 稷下黃老學派的批判중국어 | 직하(稷下) 황로학파(黃老學派)의 비판 |
5 | 莊子的批判중국어 | 장자의 비판 |
6 | 荀子的批判중국어 | 순자의 비판 |
7 | 名辯思潮的批判중국어 | 명가(名家) 사조의 비판 |
8 | 前期法家的批判중국어 | 전기 법가의 비판 |
9 | 韓非子的批判중국어 | 한비자의 비판 |
10 | 呂不韋與秦王政的批判중국어 | 여불위와 진왕 정(秦王政)의 비판 |
이 책은 아직 한국어로 번역, 출판되지 않았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에는 정무원 부총리, 중국과학원 초대 원장, 전국문학예술연합회 주석,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 부위원장 등 고위직을 역임하며 문학과 사학 분야를 지도했다. 그러나 반우파 투쟁 이후 그의 발언과 작품은 점차 마오쩌둥의 노선에 영합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럼에도 마오쩌둥의 신임을 얻지 못했고, 문화대혁명 시기에는 본인과 가족들이 정치적 박해를 겪기도 했다. 이 시기 대표작으로는 희곡 『채문희』(蔡文姬중국어)와 『측천무후』(則天武后중국어) 등이 있으며, 두 작품 모두 베이징 인민 예술 극원에서 상연되었다. 특히 『채문희』는 자오쥐인(焦菊隱)의 연출과 함께 높은 평가를 받아 현대 중국 화극(話劇)의 주요 레퍼토리 중 하나로 남아있다.
3. 2. 역사 연구와 고고학
궈모뤄는 1927년 장제스와 대립 후 난창 봉기에 참가했고, 직후 중국 공산당에 가입했다. 장제스에게 쫓겨 1928년 2월 일본으로 망명했다.[73] 지바현 이치카와시 스와다에 거처를 마련하고, 중국 고대사 연구에 몰두했다. 이 시기에 『중국 고대 사회 연구』, 『나의 유년』 등을 집필했으며, 특히 양주(周) 시대 청동기 명문에 대한 중요한 연구인 『양주 금문사 대계 고석』(兩周金文辭大系圖彔攷釋|양주 금문사 대계 도록 고석zho)을 1935년에 처음 출간하고 1957년에 개정판을 냈다.1937년 루거우차오 사건 발발 후 귀국하여 국민정부 활동에 참여했으며, 1945년에는 고대 사상가 연구의 집대성이라 할 수 있는 『十批判書|십비판서zho』를 완성했다. 이 책은 제자백가의 사상을 유물사관에 입각하여 분석한 것으로, 총 10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궈모뤄는 공자를 인민 생활 발전에 기여한 진보적 인물로 평가하고, 묵자는 봉건적 사상가로 보았다. 또한 진시황이 중국 통일 후 인민을 노예화했다고 비판했는데, 이는 훗날 마오쩌둥의 비판을 받아 문화대혁명 시기 박해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90] 『십비판서』의 장 제목은 다음과 같다.
- 《고대 연구의 자기 비판》
- 《공자와 묵자의 비판》
- 《유가팔파의 비판》
- 《직하황로학파의 비판》
- 《장자의 비판》
- 《순자의 비판》
- 《명변 사조의 비판》
- 《전기 법가의 비판》
- 《한비자의 비판》
- 《여불위와 진왕 정의 비판》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에는 중국 과학원 초대 원장을 역임하는 등 학술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그는 갑골문 연구에도 기여하여, 후 호우쉬안과 함께 인쉬에서 출토된 41,956개의 갑골문 탁본을 모은 『갑골문 합집』(甲骨文合集|갑골문 합집zho) 13권을 1978년부터 1983년까지 편집, 출간했다.
3. 3. 삼국지 연구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이 원본 소스에 존재하지 않습니다.)4. 논란과 비판
궈모뤄는 중국 현대 문학, 역사 및 고고학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는 한때 스스로를 괴테에 대한 중국의 답이라고 불렀고, 이 평가는 널리 받아들여졌다. 저우양은 "당신은 괴테이지만, 당신은 사회주의 시대 신중국의 괴테입니다."라고 말하기도 했다.[9]
그러나 이러한 학문적 성취와는 별개로 여러 논란과 비판에 직면하기도 했다. 그는 소위 "4대 현대 뻔뻔한 작가" 중 첫 번째로 꼽히며 비판받기도 했다.[10][11][12] 예를 들어, 마오쩌둥의 서예를 높이 평가하며 중국 공산당 지도자가 잘못 쓴 내용까지 정당화하려 했다는 비판이 있다.[13] 또한 그의 역사 작품들은 고대 중국 고전을 정치적으로 해석하고 조작했다는 이유로 일부 역사가들로부터 "준 의사 역사(quasi-pseudo-history)"로 묘사되기도 했다.[14]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마오쩌둥에게 아첨하기 위해 이백을 칭찬하고 두보를 폄하하는 책 ''이백과 두보''를 출판했으며,[15] 4인방에 대한 태도가 그들의 몰락 전후로 급격히 변하는 등[16][17] 정치적인 행보에 대한 비판이 있다. 또한 여러 여성과의 관계 등 복잡한 사생활[18] 역시 비판의 대상이 된다.
4. 1. 문화대혁명 시기 처신
1966년 문화 대혁명이 시작되면서 궈모뤄는 초기에 박해 대상이 되었다. 1966년 4월 14일, 전인대 상무위원회에 참석한 궈모뤄는 "오늘날의 기준으로 말하면, 내가 이전에 쓴 모든 것은 엄격히 말해 모두 불태워야 하며 조금의 가치도 없다"고 발언하며 자신을 지키기 위한 자기 비판을 했다.[74]그러나 마오쩌둥은 이를 용서하지 않았다. 마오쩌둥은 과거 궈모뤄가 『십비판서(十批判書)』에서 자신이 존경하는 진시황제를 비판하고, 자신이 싫어하는 공자를 칭찬한 것에 불쾌감을 가지고 있었다. 1968년 10월 31일, 중국 공산당 제8기 중앙위원회 12중전회 폐회식에서 마오쩌둥은 궈모뤄를 지목하며 공개적으로 면박을 주었다.[75]
마오쩌둥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 궈모뤄는 마오쩌둥과 그의 부인 장칭을 찬양하는 시를 쓰고, 비림비공 운동에 참여했으며, 저서 『이백과 두보』에서는 마오쩌둥이 좋아한 이백을 칭찬하고 두보를 깎아내렸다.[76] 또한 당시의 정치 상황을 칭송하는 시를 다수 발표하고, 과거의 동료들을 반혁명분자로 비난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의 가족은 보호받지 못했다. 그의 두 아들인 궈민잉(郭民英)과 궈스잉(郭世英)은 각각 1967년과 1968년에 홍위병의 박해를 받아 '자살'했다.[7][8]
마오쩌둥은 궈모뤄를 계속해서 괴롭혔다. 궈모뤄의 『십비판서』를 비웃는 한시를 주거나, 린뱌오 사건 이후에는 "궈모뤄와 린뱌오는 같은 사상을 가지고 있다"고 공격했다. 1974년 1월 18일에는 장칭 등이 궈모뤄가 참석한 자리에서 『십비판서』를 공개적으로 비판하게 했으며, 이때 마오쩌둥은 궈모뤄에게 '유종원만도 못하다'는 굴욕적인 한시를 주기도 했다. 궈모뤄는 속으로 분노했지만 따를 수밖에 없었다.[77]
마오쩌둥에 대한 충성심 덕분에 그는 문화 대혁명에서 살아남았고, 1969년 4월 중국 공산당 제9차 전국대표대회에서는 마오쩌둥의 칭찬을 받기도 했다. 1970년대 초반에는 대부분의 영향력을 회복하여 호화로운 저택, 하인, 전용 리무진 등 최고위급 당 엘리트의 특권을 누렸다.
1976년 마오쩌둥이 사망하고 사인방이 몰락하자, 85세의 궈모뤄는 병상에서 사인방을 비난하는 시를 썼다.
什么令人振奋的消息!|얼마나 흥분되는 소식인가!zho
删除四人帮。|4인방을 제거하다.zho
文学流氓。|문학 깡패.zho
政治流氓。|정치 깡패.zho
险恶的顾问。|사악한 고문.zho
白骨精。|백골정.zho
所有由铁扫帚一扫而空。|모두 쇠빗자루로 쓸어버리다.zho
시에서 언급된 '백골정'은 명나라 소설 『서유기』에 나오는 변신하는 요괴로, 당시 장칭을 경멸적으로 부르던 별명이었다.
1978년 3월, 궈모뤄는 병든 몸을 이끌고 문화 대혁명 이후 처음 열린 전국과학회의에 참석했다. 눈에 띄게 쇠약해진 모습이었으며, 이는 그가 대중 앞에 모습을 드러낸 마지막이 되었다. 3개월 후 그는 사망했다.
이러한 문화 대혁명 시기의 행보는 아들들의 비극적인 죽음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권력에 영합하려 했던 모습으로 비춰져 궈모뤄의 전체적인 평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4. 2. 사생활 문제
궈모뤄는 평생 세 번 결혼했으며, 여러 여성과 혼외 관계를 가졌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장충화 (張瓊華, 1890년~1980년)
- 1912년 2월, 부모의 결정으로 결혼했다. 당시 중국에서는 부모가 자녀의 혼인을 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결혼 전까지 서로 얼굴을 모르는 경우도 많았다. 궈모뤄는 약혼 전부터 이 결혼을 원하지 않았으며, 구식 결혼에 대한 최소한의 저항으로 부모에게 결혼에 대한 두 가지 조건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러나 어머니가 그의 상의 없이 혼담을 결정하자, 이미 수년 동안 혼담을 미뤄왔던 터라 더 이상 어머니를 슬프게 하는 것도 차마 볼 수 없어 이를 받아들였다. 하지만 결혼 당일 신부가 자신이 제시한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고 속았다고 생각하며 크게 후회했다. 결국 궈모뤄는 원치 않는 결혼을 한 지 5일 만에 학업을 계속하기 위해 청두로 돌아갔고, 장충화는 궈 씨 집안에 남겨졌다.[79] 두 사람 사이에 자식은 없었으며, 법적으로는 장충화가 궈모뤄의 정실 부인이었다. 그녀는 1980년 죽을 때까지 궈 씨 집안에서 생활했다.
- 사토 토미 (佐藤富子, 1893년~1994년)[80]
- 미야기현 구로카와군 오히라 촌 출신으로[81], 도쿄 교바시 병원에서 간호사로 일하던 중, 친구 병문안을 온 궈모뤄와 만나 1916년 겨울 결혼했다. 1923년에는 상하이로 이주했으나, 1928년 조국에서 쫓겨나 일본 이치카와시로 다시 이주했다. 1937년 궈모뤄는 혼자 일본을 떠났다. 전쟁 후 사토 토미는 궈모뤄를 만나기 위해 중국으로 건너갔지만, 그는 이미 재혼한 상태였다. 그러나 사토 토미는 아이들을 중국인으로 중국에 보낸 후, 자신도 중국으로 이주하여 상하이에서 사망했다. 그녀는 궈모뤄와의 사이에서 아들 4명과 딸 1명을 두었으며, 5명의 아이들은 모두 전후 중국에서 요직을 맡았다. 사토 토미는 『나의 남편 궈모뤄』(1938년)라는 책을 낸 적이 있다.
구분 | 이름 | 비고 |
---|---|---|
장남 | 궈허푸 (郭和夫) | |
차남 | 궈보 (郭博) | |
삼남 | 궈푸성 (郭福生) | |
사남 | 궈즈홍 (郭志鴻) | |
장녀 | 궈수위 (郭淑禹) | 딸 후지타 리나는 일본 국사관대학 교수이자 궈모뤄 연구가이다. |
- 위리췬 (于立群, 1916년~1979년)
- 1939년 궈모뤄와 결혼한 전직 배우이다. 4명의 아들과 2명의 딸을 낳았다.
5. 작품 목록
연도 | 제목 | 원제 | 비고 |
---|---|---|---|
1921 | 여신: 극곡시가집 | 女神 : 劇曲詩歌集zho [31] | 5·4 운동 시기 낭만주의와 혁명 정신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중국 신체시의 초석을 다졌다[71]. 영어 번역: [https://archive.org/details/dli.ernet.507489/page/n1/mode/2up 여신 선집], 1958.[32] |
1926, 1932 | 올리브 | 橄榄zho [33] | 상하이 창조사 출판사 발행. |
1928, 1932 | 낙엽: 말약 소설 희곡집 | 落叶 : 沫若小说戏曲集zho [34] | 상하이 신중국 서국 발행. |
1936 | 굴원 | 屈原 : 五幕劇zho [35] | 5막 희곡. 1942년 충칭에서 발표되어 큰 반향을 일으켰다. 영어 번역: [https://archive.org/details/dli.ernet.505021/page/n3/mode/2up 굴원: 5막극], 1953.[36] |
1945 | 십비판서 | 十批判書zho | 고대 사상가 연구의 집대성. |
1946 | "달빛 아래" | 단편. 차이나 매거진 수록.[37][38] | |
1947 | 지하의 웃음 | 地下的笑声zho [39] | 단편 소설집. |
1959 | 붉은 깃발 발라드 | 红旗歌谣zho [40] | 영어 번역: 붉은 깃발의 노래, 1961. |
연도 미상 | 채문희 | 蔡文姬zho | 희곡. 베이징 인민 예술 극원 상연. |
연도 미상 | 측천무후 | 武则天zho | 희곡. 베이징 인민 예술 극원 상연. |
연도 미상 | 이백과 두보 | 李白与杜甫zho | 연구서. |
연도 | 원작자 | 작품명 | 원제 |
---|---|---|---|
1922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 Die Leiden des Jungen Wertherdeu |
1924 | 가와카미 하지메 | 사회 조직과 사회 혁명 | 社会組織と社会革命jpn |
1925 | 이반 투르게네프 | 처녀지 | Новьrus |
1926 | 실러 | 발렌슈타인 | Wallensteindeu |
1928 | 프리드리히 니체 |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 Also sprach Zarathustradeu |
1928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 파우스트, 제1부 | Faust. Eine Tragödie.deu |
1929 | 업턴 싱클레어 | 정글 | The Jungleeng |
1931 | 칼 마르크스 | 자본: 정치경제학 비판 | Das Kapital: Kritik der Politischen Ökonomiedeu |
1935 | 레프 톨스토이 | 전쟁과 평화 | Война и мирrus |
6. 기념 및 평가
궈모뤄는 중국 현대 문학, 역사 및 고고학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는 스스로를 괴테에 비견하기도 했으며, 이러한 평가는 널리 받아들여지기도 했다. 문학 평론가 저우양은 "당신은 괴테이지만, 사회주의 시대 신중국의 괴테입니다."라고 평가하기도 했다.[9]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비판적인 평가도 존재한다. 그는 "4대 현대 뻔뻔한 작가" 중 첫 번째로 꼽히며 비판받기도 했다.[10][11][12] 예를 들어, 마오쩌둥의 서예를 극찬하며 그가 잘못 쓴 글씨까지도 정당화하려 했다는 비판이 있다.[13] 그의 역사 저술들은 고대 중국 고전을 정치적으로 해석했다는 이유로 일부 역사가들로부터 "사이비 역사서에 가깝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14] 또한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마오쩌둥의 의중을 따라 이백을 칭송하고 두보를 깎아내리는 내용의 책 ''이백과 두보''를 출판하기도 했다.[15] 4인방에 대한 그의 태도 역시 그들의 몰락 전후로 급격하게 바뀌었다는 지적이 있다.[16][17]
사생활 측면에서도 여러 여성과 관계를 맺고 쉽게 헤어졌다는 비판이 있으며, 그중 리천(立忱)이라는 여성은 그의 배신 이후 자살했다는 주장이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다른 의견도 존재한다.[18]
궈모뤄를 기리는 주요 장소는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Raise a glass to painter Fu Baoshi, MA
http://www.chinadail[...]
2018-10-26
[2]
서적
Kuo Mo-jo: The Early Years
Harvard University Press
[3]
서적
Re-understanding Japan: Chinese Perspectives, 1895-1945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4]
서적
Corpus of Inscriptions on Bronzes from the Two Zhou Dynasties
科学出版社
[5]
웹사이트
The Westernization of Chinese Theatre
http://www.cctv.com/[...]
CCTV
[6]
서적
Arise, Africa! Roar, China! Black and Chinese Citizens of the World in the Twentieth Century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21
[7]
웹사이트
- Portraits of China's historical figures
https://web.archive.[...]
2009-03-25
[8]
웹사이트
Guo Moruo's late years: Guo Minying and Guo Shiying
http://news.xinhuane[...]
2004-07-22
[9]
서적
The heirs of the famous people of our times
http://lianzai.china[...]
Hubei People's Press
2006-03-01
[10]
서적
黑暗與光明:海峽兩岸的對比
https://books.google[...]
台灣商務印書館
[11]
서적
真實與幻影:近世文人縱橫談
https://books.google[...]
秀威資訊科技股份有限公司
[12]
서적
政道與治道
https://books.google[...]
台灣學生書局
[13]
서적
红旗跃过汀江
[14]
간행물
A New Discourse on Fengjian: the Redefinition of Fengjian and the Demonization of Federalism
Taylor & Francis
2024
[15]
뉴스
郭沫若晚年的败笔:为自保即席向江青献诗
http://cul.sohu.com/[...]
新闻午报
2006-10-16
[16]
인용
1976-05-12
[17]
인용
1976-10-21
[18]
서적
联合报
1984-06-15
[19]
웹사이트
Guo Moruo's daughter recalls details about events in her father's life
http://topic.xywy.co[...]
2003-08-17
[20]
웹사이트
Guo Hefu{{spaced ndash}}the eldest son
http://lianzai.china[...]
[21]
문서
Zheng zai xiao shi de Shanghai long tang (The Fast Vanishing Shanghai Lanes)
Shanghai Pictorial Publishing House
[22]
웹사이트
USTC Newsletter 2001 No.2
http://www.ustc.edu.[...]
2008-12-01
[23]
서적
My father Guo Moruo
Liaoning People's Press
[24]
웹사이트
Guo Moruo's late years: Guo Minying and Guo Shiying
http://news.xinhuane[...]
2004-07-22
[25]
웹사이트
Former Residence of Guo Moruo
http://www.china.org[...]
[26]
웹사이트
Guo Moruo's Memorial House
http://www.city.ichi[...]
City of Ichikawa
[27]
웹사이트
Leshan City
http://www.city.ichi[...]
City of Ichikawa
2009-08-28
[28]
서적
Arise, Africa! Roar, China! Black and Chinese Citizens of the World in the Twentieth Century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21
[29]
웹사이트
Badraie
http://badraie.com/g[...]
2016-03-05
[30]
서적
A Selective Guide to Chinese Literature, 1900–1949
https://books.google[...]
E. J. Brill
[31]
웹사이트
Nü shen : ju qu shi ge ji (Book, 1921)
https://www.worldcat[...]
2022-06-15
[32]
웹사이트
Selected poems from The Goddesses (Book, 1984)
https://www.worldcat[...]
2022-06-15
[33]
웹사이트
Ganla (Book, 1929)
https://www.worldcat[...]
2022-06-15
[34]
웹사이트
Xiao pin wen yan jiu (Book, 1932)
https://www.worldcat[...]
2022-06-15
[35]
웹사이트
Chʻü Yüan (book, 1936)
https://www.worldcat[...]
2022-06-15
[36]
웹사이트
Chu Yuan : a play in five acts (Book, 2001)
https://www.worldcat[...]
2022-06-15
[37]
간행물
Under the Moonlight
https://www.degruyte[...]
The China Magazine
1946-06
[38]
서적
Stories of China at War
https://www.worldcat[...]
Greenwood Press
1975
[39]
웹사이트
Di xia de xiao sheng (Book, 1947)
https://www.worldcat[...]
2022-06-15
[40]
웹사이트
Songs of the Red Flag (Book, 1961)
https://www.worldcat[...]
2022-06-15
[41]
학술논문
"L'œuvre autobiographique d'un écrivain chinois moderne : Guo Moruo (Kouo Mo-jo)"
https://www.cairn.in[...]
2008-01
[42]
웹사이트
Wo de tong nian (Book, 1947)
https://www.worldcat[...]
2022-06-15
[43]
웹사이트
Autobiographie mes années d'enfance (Book, 1970)
https://www.worldcat[...]
2022-06-15
[44]
웹사이트
Kindheit : Autobiographie (Book, 1981)
https://www.worldcat[...]
2022-06-15
[45]
웹사이트
Hei mao yu ta (Book, 1931)
https://www.worldcat[...]
2022-06-15
[46]
웹사이트
Chuangzao shi nian (book, 1932)
https://www.worldcat[...]
2022-06-15
[47]
백과사전
Guo Moruo
1995
[48]
웹사이트
The First Year of Victory (Book, 1950)
https://www.worldcat[...]
2022-06-15
[49]
웹사이트
Culture and Education in New China (book, 1951)
https://www.worldcat[...]
2022-06-15
[50]
웹사이트
Jiaguwen heji Jiaguwen Heji (Book, 1978)
https://www.worldcat[...]
2022-06-15
[51]
웹사이트
Appeal and Resolutions of the First Session of the World Peace Council : Berlin ; February 21-26, 1951 ; Kuo Mo-jo's Speech at the World Peace Council (Book, 1951)
https://www.worldcat[...]
2022-06-15
[52]
웹사이트
The People's New Literature : Four Reports at the First All-China Conference of Writers and Artists (Book, 1951)
https://www.worldcat[...]
2022-06-15
[53]
웹사이트
Cho Wen-chün: A Play in Three Acts (Book, 1974)
https://www.worldcat[...]
2022-06-15
[54]
서적
郭沫若研究資料
中国社会科学出版社
1986-08
[55]
서적
Kuo Mo-jo: The Early Year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1
[56]
서적
詩人郭沫若と日本
武蔵野書院
2017
[57]
서적
詩人郭沫若と日本
武蔵野書院
2017
[58]
서적
詩人郭沫若と日本
武蔵野書院
2017
[59]
서적
詩人郭沫若と日本
武蔵野書院
2017
[60]
서적
詩人郭沫若と日本
武蔵野書院
2017
[61]
서적
詩人郭沫若と日本
武蔵野書院
2017
[62]
서적
詩人郭沫若と日本
武蔵野書院
2017
[63]
서적
詩人郭沫若と日本
武蔵野書院
2017
[64]
서적
詩人郭沫若と日本
武蔵野書院
2017
[65]
서적
詩人郭沫若と日本
武蔵野書院
2017
[66]
서적
第一高等学校一覧 自大正3年至大正4年
https://dl.ndl.go.jp[...]
第一高等学校
1914-11-28
[67]
서적
詩人郭沫若と日本
武蔵野書院
2017
[68]
서적
詩人郭沫若と日本
武蔵野書院
2017
[69]
서적
詩人郭沫若と日本
武蔵野書院
2017
[70]
서적
詩人郭沫若と日本
武蔵野書院
2017
[71]
서적
詩人郭沫若と日本
武蔵野書院
2017
[72]
서적
九州帝国大学一覧 従大正13年至大正14年 附第八臨時教員養成所一覧
九州帝国大学
1924-09-30
[73]
웹사이트
郭沫若
https://www.city.ich[...]
2024-11-13
[74]
서적
郭沫若書信集
[75]
뉴스
何剛『郭沫若史学在“文革”中的跌宕遭际』光明日報「群覧博書」2016年04月01日より。著者は楽山師範学院四川郭沫若研究中心の研究者。
https://epaper.gmw.c[...]
光明日報「群覧博書」
2023-12-24
[76]
뉴스
郭沫若晩年的敗筆:為自保即席向江青献詩
http://cul.sohu.com/[...]
新聞午報
2016-07-12
[77]
문서
何2016
[78]
웹사이트
憶父親郭沫若
http://www.gmw.cn/co[...]
2018-01-18
[79]
서적
詩人郭沫若と日本
武蔵野書院
2017
[80]
뉴스
郭沫若を守った日本の女性
産経新聞
2024-10-06
[81]
웹사이트
郭沫若・をとみと陶晶孫・みさお顕彰碑
https://web.archive.[...]
2016-07-12
[82]
웹사이트
除了“甲骨四堂”,你還知道“甲骨四少”嗎?
http://www.thepaper.[...]
澎湃新聞
2016-01-03
[83]
서적
郭沫若選集6史劇I 棠棣の花・屈原
雄渾社
1978
[84]
서적
郭沫若選集6史劇I 棠棣の花・屈原
雄渾社
1978
[85]
서적
郭沫若選集6史劇I 棠棣の花・屈原
雄渾社
1978
[86]
서적
郭沫若選集6史劇I 棠棣の花・屈原
雄渾社
1978
[87]
서적
郭沫若選集6史劇I 棠棣の花・屈原
雄渾社
1978
[88]
서적
郭沫若選集6史劇I 棠棣の花・屈原
雄渾社
1978
[89]
서적
郭沫若選集6史劇I 棠棣の花・屈原
雄渾社
1978
[90]
문서
何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