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스크바 재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스크바 재판은 1936년부터 1938년까지 소련에서 진행된 일련의 공개 재판으로, 이오시프 스탈린의 정적들을 제거하고 권력을 강화하기 위한 대숙청의 일환이었다. 이 재판들은 주로 레프 트로츠키주의자, 옛 볼셰비키 지도자, 그리고 군 고위 장성들을 대상으로 했으며, 테러, 간첩, 반역 등의 혐의를 씌워 유죄 판결을 받았다. 재판 과정에서 고문과 조작된 자백이 이루어졌다는 비판이 있었으며, 서방 세계에서는 대체로 부당한 재판으로 평가받았다. 듀이 위원회는 재판의 진실성을 조사하여 조작되었음을 밝혀냈으며, 이후 흐루쇼프의 비밀 연설을 통해 재판의 부당성이 공식적으로 인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숙청 - 인민의 적
인민의 적은 사회에 해로운 개인이나 집단을 지칭하며, 프랑스 혁명 시기 공포정치에서 유래하여 공산주의 국가에서 정치적 탄압에 사용되었고, 현대에는 정치적 수사로 활용된다. - 소련의 보여주기 재판 - 의사들의 음모
의사들의 음모는 1952년 소련에서 일부 의사들이 소련 지도부 암살 음모 혐의로 체포 및 기소된 정치적 사건으로, 스탈린 시대 반유대주의 정책 및 권력 투쟁의 배경 속에서 발생했으며, 스탈린 사후 조작으로 밝혀져 관련자들이 복권되었지만 소련 사회에 큰 파장을 남겼다. - 소련의 보여주기 재판 - 하바롭스크 재판
하바롭스크 재판은 1949년 소련 하바롭스크에서 일본 관동군 소속 12명이 생체 실험, 세균 무기 개발 및 사용 혐의로 기소되어 유죄 판결을 받고 강제 노동형을 선고받았으며, 1956년 일소 국교 회복 후 대부분 석방되었으나 재판의 공정성 논란이 있는 사건이다. - 스탈린주의 - 쿠바 공산당
쿠바 공산당은 쿠바의 유일한 합법 정당으로,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이념으로 하며, 당 대회를 최고 의사결정 기구로 하여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며, 다양한 대중 조직과 연계하여 정책을 전파하고 국제적으로는 좌파 정권 지원과 쿠바 의료 국제주의를 통해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 스탈린주의 - 김일성
김일성은 김성주라는 본명으로 1930년대 항일 무장 투쟁을 했고, 소련의 지원을 받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수립하여 통치했으며, 한국 전쟁을 일으키고 주체사상을 내세워 독재 체제를 강화하고 개인 숭배를 조장한 정치인이다.
모스크바 재판 | |
---|---|
사건 개요 | |
이름 | 모스크바 재판 |
다른 이름 | 대숙청 재판 |
시기 | 1936년 8월 ~ 1938년 3월 |
장소 | 소련 모스크바 |
원인 | 스탈린의 정치적 반대파 제거 시도 |
결과 | 수많은 정치인, 군인, 지식인 숙청 및 처형 스탈린의 권력 강화 |
재판 과정 | |
재판 횟수 | 총 3차례의 주요 재판 |
주요 피고인 | 제1차: 레프 카메네프, 그리고리 지노비예프 등 제2차: 카를 라데크, 게오르기 퍄타코프 등 제3차: 니콜라이 부하린, 알렉세이 리코프 등 |
죄목 | 반혁명 활동 트로츠키-지노비예프 테러 조직 가담 소련 정부 전복 시도 간첩 행위 파괴 공작 |
재판 결과 | 피고인 대부분에게 사형 선고 및 즉결 처형 |
재판장 | 바실리 울리히 (소비에트 연방 최고 군사 법원) |
검찰 | 안드레이 비신스키 (소비에트 연방 검찰 총장) |
주요 사건 | |
제1차 모스크바 재판 (1936년 8월) | 레프 카메네프와 그리고리 지노비예프를 포함한 16명 기소 "트로츠키-지노비예프 연합"의 테러 활동 혐의 전원 사형 선고 |
제2차 모스크바 재판 (1937년 1월) | 카를 라데크, 게오르기 퍄타코프 등 17명 기소 반소비에트 트로츠키주의 센터 조직 혐의 대부분 사형 선고 |
제3차 모스크바 재판 (1938년 3월) | 니콜라이 부하린, 알렉세이 리코프, 크리스티안 라콥스키 등 21명 기소 "우익 트로츠키주의 블록" 조직 혐의 대부분 사형 선고 |
영향 및 평가 | |
정치적 영향 | 스탈린의 권력 공고화 소련 사회의 공포 분위기 조성 잠재적 반대 세력 제거 |
국제적 반응 | 서방 지식인 및 정치인들의 비판과 의문 제기 일부 지지자들의 옹호 |
사후 재평가 | 니키타 흐루쇼프의 스탈린 격하 운동 이후 재판의 조작성 폭로 희생자들의 명예 회복 |
관련 정보 | |
관련 사건 | 대숙청 |
관련 인물 | 이오시프 스탈린 니콜라이 예조프 라브렌티 베리아 레프 트로츠키 |
같이 보기 | 見세움 재판 |
2. 배경
1934년 12월, 세르게이 키로프가 암살되자 15명의 피고인이 범죄에 직간접적으로 연루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처형되었다.[6] 그리고리 지노비예프와 레프 카메네프는 키로프 살인 사건에 도덕적으로 연루된 것으로 밝혀져 각각 10년과 5년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7] 1935년에 카메네프와 지노비예프는 비밀리에 재판을 받았지만, 이오시프 스탈린은 이들의 자백을 선전 목적으로 이용하기로 결정했다. 겐리흐 야고다가 심문 절차를 감독했다.
2. 1. 레닌 사후 권력 투쟁
블라디미르 레닌이 뇌졸중으로 인해 제대로 활동할 수 없게 된 1923년 초, 그리고리 지노비예프, 레프 카메네프, 이오시프 스탈린은 권력을 잡기 위해 삼두정치를 구성하였다.[2] 1919년 독일 혁명, 1927년 중국 혁명 등 국외에서 공산주의 혁명이 연이어 실패하면서 러시아 혁명이 후진국에서 고립되자, 삼두정은 일국 사회주의 이론을 둘러싼 당내 정치적 갈등에서 레프 트로츠키를 소외시켰다. 혁명의 생존이 특히 독일을 포함한 선진 유럽 경제로의 공산주의 확산에 달려 있다고 주장하는 소련 공산당 지도부에서 가장 뚜렷하게 이 주장을 대표한 사람은 트로츠키였으며, 이것은 그의 영구 혁명 이론으로 표현되었다.[3] 몇 년 후, 지노비예프와 카메네프는 트로츠키주의를 지지하며 스탈린에 반대하는 트로츠키와 동맹을 맺어 통합 전선에 합류했다.[1] 그 결과 스탈린은 니콜라이 부하린과 동맹을 맺어 권력 투쟁에서 트로츠키를 물리쳤다. 트로츠키는 1929년 소련에서 추방되었고, 카메네프와 지노비예프는 잠시 공산당에서 제명되었다.1932년 지노비예프와 카메네프는 류틴 사건에 연루된 것으로 밝혀져 다시 잠시 공산당에서 제명되었다. 이때 그들은 소련의 트로츠키주의자들과 접촉하여 스탈린에 대항하여 다시 비밀리에 연합했다. 그 후 그들은 트로츠키주의자들과 일부 우익 반대파와 함께 소비에트 반대파 블록을 형성했다. 첫 번째 모스크바 재판의 피고인 중 한 명인 이반 스미르노프는 트로츠키주의자들의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4]
2. 2. 스탈린의 부상과 반대파 숙청
그리고리 지노비예프, 레프 카메네프, 이오시프 스탈린은 블라디미르 레닌이 뇌졸중으로 권력을 잃은 후 1923년 초에 함께 권력을 잡았다.[2] 1919년 독일 혁명, 1927년 중국 혁명 등 국외에서 공산주의 혁명이 연이어 실패하면서 러시아 혁명은 후진국에서 더욱 고립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탈린은 일국 사회주의 이론을 내세워 당내 정치적 갈등을 일으켰고, 레프 트로츠키를 소외시켰다. 트로츠키는 혁명이 성공하려면 특히 독일을 포함한 선진 유럽 국가로 공산주의가 확산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이는 영구 혁명 이론으로 표현되었다.[3]몇 년 후, 지노비예프와 카메네프는 트로츠키주의를 지지하며 스탈린에 반대하는 트로츠키와 연합하여 통합 전선을 결성했다.[1] 이에 스탈린은 니콜라이 부하린과 동맹을 맺어 권력 투쟁에서 트로츠키를 몰아냈다. 트로츠키는 1929년 소련에서 추방되었고, 카메네프와 지노비예프는 잠시 공산당에서 제명되었다.
1932년 지노비예프와 카메네프는 류틴 사건에 연루되어 다시 잠시 공산당에서 제명되었다. 이때 그들은 소련의 트로츠키주의자들과 비밀리에 연합하여 스탈린에 대항했다. 이후 트로츠키주의자들과 일부 우익 반대파와 함께 소비에트 반대파 블록을 형성했다. 첫 번째 모스크바 재판의 피고인 중 한 명인 이반 스미르노프는 트로츠키주의자들의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4] 1934년 12월, 세르게이 키로프가 암살되자 15명의 피고인이 범죄에 직간접적으로 연루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처형되었다.[6] 지노비예프와 카메네프는 키로프 살인 사건에 도덕적으로 연루된 것으로 밝혀져 각각 10년과 5년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7] 1935년, 카메네프와 지노비예프는 비밀리에 재판을 받았으나, 스탈린은 이들의 자백을 선전 목적으로 이용하기로 결정했다. 겐리흐 야고다가 심문 절차를 감독했다.
2. 3. 키로프 암살 사건
1934년 12월, 레닌그라드 당 서기였던 세르게이 키로프가 암살되었다.[6] 이 사건으로 그리고리 지노비예프와 레프 카메네프는 도덕적 연루 혐의로 각각 10년과 5년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7]겐리흐 야고다가 심문 절차를 감독하였다.
3. 모스크바 재판
모스크바 재판은 1936년부터 1938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진행된 일련의 재판들을 말한다. 이 재판들은 이오시프 스탈린이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고 정적들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 1차 재판 (1936년 8월): 지노비예프, 카메네프 등 16명이 트로츠키와 연계하여 세르게이 키로프 암살 및 스탈린 암살을 모의했다는 혐의로 기소되었다. 피고인들은 모두 유죄 판결을 받고 총살되었다.[44][45]
- 2차 재판 (1937년 1월): 퍄타코프, 무라로프, 소콜리니코프 등 17명이 독일과 일본의 앞잡이 노릇을 하며 스탈린 암살을 꾀했다는 혐의로 기소되었다. 13명이 총살되었고, 나머지는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나 이후 옥중에서 살해되었다.[47][45]
- 3차 재판 (1938년 3월): 부하린, 야고다, 리코프 등 21명이 우익 트로츠키주의 음모 사건에 연루되었다는 혐의로 기소되었다. 부하린을 포함한 18명이 총살되었고, 나머지는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나 이후 에서 살해되었다.[50]
이 재판들은 대부분 조작된 증거와 강요된 자백을 바탕으로 이루어졌으며, 대숙청의 일환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다. 특히, 니콜라이 크레스틴스키는 처음에는 혐의를 부인했지만, 이후 "자백"하며 NKVD의 압력을 시사했다.
부하린은 체포 전 "당 지도자의 미래 세대에게"라는 글을 남겨 자신의 무죄를 주장하고, 펠릭스 제르진스키 시절 체카의 훌륭한 전통이 사라지고 NKVD가 부패한 관료 조직으로 변질되었다고 비판했다. 이 글은 그의 아내에 의해 보존되었다가 후에 공개되었다.[50]
3. 1. 제1차 모스크바 재판 (1936년 8월)
재판(동음이의)이 재판은 공식적으로 "процесс «Антисоветского объединенного троцкистско-зиновьевского центра»|반소비에트 통합 트로츠키-지노비예프 센터 재판ru"로 불렸으며, 16인 재판으로도 알려져 있다.[10] 1936년 8월 19일부터 24일까지 노동조합 회관의 작은 10월 홀에서 진행되었다.[10] 바실리 울리히가 주재하는 소련 최고 법원 군사 합의부가 재판을 맡았다.
소련 검찰 총장은 1917년 멘셰비키 당원이자 레닌 체포 명령에 서명했던 안드레이 비신스키였다.[1][11] 그는 이후 볼셰비키에 합류하여 이 재판에서 검사 역할을 수행했다.
주요 혐의는 스탈린 등 소련 정부 요인을 살해하기 위한 테러 조직 결성이었다. 피고인 이반 니키티치 스미르노프는 세르게이 키로프 암살을 계획한 센터의 지도자로 지목되었으나, 1933년 1월부터 수감 중이었기에 혐의를 부인했다.[1] 또 다른 피고인 에두아르트 홀츠만은 1932년 레프 트로츠키가 강연했던 코펜하겐의 브리스톨 호텔에서 트로츠키와 공모했다는 혐의를 받았으나, 재판 일주일 후 덴마크의 한 신문은 해당 호텔이 1917년에 철거되었다고 폭로했다.[1]
비신스키는 이 재판에서 "파시스트 부르주아지의 개들", "트로츠키즘의 미친 개들"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며 피고인들을 공격했다.[15]
피고인 전원은 사형을 선고받았고, 이후 모스크바의 루비안카 빌딩 지하에서 NKVD 수석 처형인 바실리 블로힌에 의해 총살되었다.
이름 |
---|
그리고리 지노비예프 |
레프 카메네프 |
그리고리 예브도키모프 |
이반 바카예프 |
세르게이 므라치콥스키 |
바가르샤크 테르-바가냔 |
이반 니키티치 스미르노프 |
예핌 드라이처 |
이사크 라인골드 |
리차드 피켈 |
에두아르트 홀츠만 |
프리츠 다비드 |
발렌틴 올베르크 |
코논 베르만-유린 |
모이세이 루리에 |
나탄 루리에 |
제1차 재판은 1936년 8월 19일 모스크바 노동조합 회관의 "10월 혁명 회관"에서 '''합동 본부 음모 사건'''[44][45] 법정으로 열렸다. 피고인은 지노비예프, 카메네프, 스미르노프 등 16명이었다. 150명의 "시민"과 30명 이상의 외국인 저널리스트가 초청되어 "공개 재판"으로 불렸지만, "시민"들은 모두 NKVD 요원들이었다.[46]
피고인은 혁명 시대 볼셰비키 최고 간부 출신 11명과 "자백"을 통해 나치 독일·게슈타포와의 관계를 "증언"하기 위해 모인 5명으로 구성되었다.[46]
외국 언론 보도에 따르면, 혁명가 출신 피고인들은 공포에 떨었고, 조무래기 피고인들은 기쁜 목소리로 나치의 "음모"를 증언했다. 결국 피고인들은 모두 죄를 "자백"했다.
8월 24일, 재판장 울리히는 피고인 16명 전원에게 총살형을 선고했다. 감형 탄원이 기각된 후, 판결은 루비얀카에서 집행되었다. 9월 1일에는 레닌그라드 공산당 지부 관계자 5000명도 전원 총살되었다. 8월 23일, 검사 비신스키는 "반소비에트 음모" 건으로 톰스키, 리코프, 부하린 등을 "수사" 중임을 밝혔는데, 톰스키는 8월 22일 자살했다.
3. 2. 제2차 모스크바 재판 (1937년 1월)

두 번째 재판은 1937년 1월 23일부터 30일까지 열렸다.[1] 이 재판에는 카를 라데크, 유리 퍄타코프, 그리고리 소콜니코프, 레오니트 세레브리아코프를 포함한 17명이 연루되었다. 알렉산드르 벨로보로도프도 체포되어 라데크와 함께 재판을 받을 예정이었으나, 자백을 하지 못해 법정에 출두하지 않았다. 퍄타코프와 세레브리아코프를 포함한 13명은 총살형에 처해졌고, 나머지(라데크와 소콜니코프 포함)는 노동 수용소에서 형을 선고받았으나, 그곳에서 살해되었다.[17][18]
라데크는 니콜라이 부하린, 알렉세이 리코프, 미하일 투하체프스키 원수 등을 고발하여 군사 지도자 재판과 21인 재판의 무대를 마련했기 때문에 살아남았다. 그는 "트로츠키의 학교"를 거친 "간부들과는 별개의 세 번째 조직"이 있었고, "준(準)트로츠키주의자, 4분의 1 트로츠키주의자, 8분의 1 트로츠키주의자, 테러 조직을 모르고 우리를 동정했지만 우리를 도운 사람들, 자유주의에서, 당에 대한 프롱드에서 우리에게 이런 도움을 준 사람들"이 있었다는 증언으로 대규모 숙청의 구실을 제공했다.[19][20] 그는 세 번째 조직을 부하린이 이끄는 마지막 남은 전 야당 그룹인 우익을 의미하며 다음과 같이 연루시켰다.[19]
>나는 한 가지 더 죄책감을 느낍니다. 내 죄를 인정하고 조직을 폭로한 후에도 나는 부하린에 대한 증언을 고집스럽게 거부했습니다. 나는 부하린의 상황이 내 상황만큼이나 절망적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왜냐하면 우리의 죄는, 법적으로는 아니더라도, 본질적으로 같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가까운 친구이고, 지적 우정은 다른 우정보다 강합니다. 나는 부하린이 나와 같은 혼란스러운 상태에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나는 그를 묶어 내무인민위원회에 넘겨주고 싶지 않았습니다. 다른 간부들과 마찬가지로, 나는 부하린 자신이 무기를 내려놓기를 바랐습니다.
당시 재판에 참석한 많은 서방 관찰자들은 재판이 공정했고 피고인의 유죄가 입증되었다고 말했다. 그들은 고문이나 약물 투여로 추출된 것으로 보이는 명백한 증거 없이 공개 법정에서 자유롭게 이루어진 피고인의 자백에 근거했다. 조셉 E. 데이비스 미국 대사는 ''모스크바 특사''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피고인들의 성격, 그들의 오랜 복무 기간, 그들의 직업에서 인정받는 탁월함, 공산주의 대의에 대한 그들의 오랜 충성을 고려할 때, 그들의 형제 장교들이 그들이 어떤 범죄를 저질렀다고 확신하지 않는 한 그들의 처형에 동의했을 것이라고 믿기 어렵다. 외교단은 피고인이 소련에서 사형에 처해질 만한 범죄를 저질렀음에 틀림없다는 데 일반적으로 동의한다.
> 6개월 후 부하린 재판에서 이 행동을 정당화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증거가 제시되었다. 의심할 여지 없이 그러한 사실은 이 시점에서 군사 법원에 모두 알려져 있었다.[21]
모든 "자백"은 심한 고문 하에 추출되었다. 피고인의 이미지는 공개되지 않았다.[22]
비신스키가 예고한 대로 제2차 재판(소위 "17인 재판")은 1937년 1월 23일에 열렸다. '''병행 본부 음모 사건'''[47][45]을 다루는 법정이라고 여겨졌다. 이번 피고는 퍄타코프, 무라로프, 소콜리니코프 등 17명이었다.[48] 또한 이번 법정부터 "소련 산업에 대한 방해"도 소송 사유에 포함되어 스탈린의 실정을 은폐하는 의미도 갖게 되었다. 그 때문에 트로츠키와 가까웠던 정치인뿐만 아니라, 소련의 다양한 산업 부문의 현장 책임자나 기술자 중에서, 중앙의 정쟁과는 무관했던 무명 인물들도 다수 포함되었다. 심리는 제1차와 마찬가지로 진행되었고, 전원이 "자백"했다. "독일과 일본의 앞잡이가 되어 스탈린 암살을 꾀했다"고 하며, 1월 29일 밤까지 결심했다.
1월 30일에 퍄타코프 등 13명에게 총살형이 선고되었고,[49] 2월 1일에 집행되었다. 라데크와 소콜리니코프, 스트로일로프, 발렌틴 4명은 10년 유형에 처해졌지만, 라데크와 소콜리니코프는 1938년에 옥중에서 "같은 방의 죄수"에 의해 살해되었고, 스트로일로프와 발렌틴도 1941년 독소전 발발과 함께, 나치 독일이 벨라루스 공화국을 점령하는 과정에서 목숨을 잃었다.
피고인들 중 몇 명에 대해서는 부하린과 리코프가 피고인 본인의 자백과는 다른 반대 증언을 했지만, 재판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양쪽 모두 체포되었다.
재판을 방청한 리온 포이히트방거는 저서 『[https://www.revolutionarydemocracy.org/archive/feucht.htm 모스크바 1937]』에서 이 재판에 대한 평을 남겼다. 그는 산업계 피고인들에 대해 "그들은 '야심과 욕망을 가지고 있었다'고 설명해도 선뜻 반론하기 어려운 경력을 가진 사람들뿐이었다. 그들은 그 분야에서 상당히 출세한 인물들이었지만, 최고위직에 있었던 것은 아니었고, 모두 정치국원이 아니라는 공통점이 있었다."라는 인상을 받았고, 묵묵히 자신의 죄를 고백해 가는 피고인들에 대해서는 "이것이 고문과 협박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면, 약물을 투여받았거나 최면술에 걸린 것이라고밖에 볼 수 없다." "라데크를 비롯한 피고인들은 사형 판결을 앞두고도 모두 너무나 침착했지만, 한편으로는 빈번히 방청석의 시선을 신경 쓰는 듯한 태도를 보였으며, 이는 형사 재판이라기보다는 면밀한 리허설과 연기 지도 아래 상연된 연극처럼밖에 보이지 않았다."라고 기록했다.
3. 3. 제3차 모스크바 재판 (1938년 3월)
1938년 3월 2일에 열린 세 번째 모스크바 재판은 "우익 트로츠키주의 음모 사건"을 다루었으며, '21인 재판'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23] 이 재판에는 니콜라이 부하린, 겐리흐 야고다, 알렉세이 리코프 등 21명이 피고인으로 기소되었다.[24]이 재판은 이전 재판들에서 제기된 여러 혐의들을 종합하는 성격을 띠었다. 니콜라이 부하린을 비롯한 피고인들은 1918년 이후 블라디미르 레닌과 이오시프 스탈린을 여러 차례 암살하려 했고, 1936년에는 소련 작가 막심 고리키를 독살했다는 혐의를 받았다. 또한 이들은 간첩 행위, 쿠데타 및 소련 분열 기도, 독일 및 일본 정부의 첩자들과 공모하여 소련을 전복하려 했다는 혐의도 받았다.
이전 재판들을 지켜보았던 참관인들조차도 새로운 혐의들이 점점 더 터무니없다고 느꼈다. 숙청 대상은 이제 스탈린을 제외한 거의 모든 옛 볼셰비키 지도자들로 확대되었다.
재판 준비 과정은 일부 당원들이 동료를 비난하는 것을 꺼리면서 지연되기도 했다. 이때 스탈린이 직접 개입하여 절차를 가속화하고 야고다를 예조프로 교체했다. 스탈린은 법정의 숨겨진 방에서 재판 일부를 직접 참관하기도 했다.
재판 첫날, 니콜라이 크레스틴스키는 자신의 자백을 부인하고 모든 혐의에 대해 무죄를 주장하여 큰 파장을 일으켰다. 그러나 그는 "특별 조치"를 받은 후 다음 날 주장을 번복했다. 이 "특별 조치"에는 왼쪽 어깨 탈골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아나스타스 미코얀과 뱌체슬라프 몰로토프는 나중에 부하린이 고문을 당한 적이 없다고 주장했지만, 당시 심문관들에게는 "구타 허용" 명령이 내려졌고, 주요 피고인으로부터 자백을 받아내라는 압력이 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부하린은 3개월 동안 버텼지만, 어린 아내와 갓난아들에 대한 협박과 "육체적 영향의 방법"으로 인해 결국 자백하게 되었다. 그러나 스탈린이 직접 수정하고 교정한 자백을 읽었을 때, 부하린은 자백 전체를 철회했고, 심문은 두 명의 심문관에 의해 처음부터 다시 시작되었다.[24]
결국 3월 13일에 판결이 내려졌고, 부하린을 포함한 18명의 피고인이 이틀 후 총살되었다. , , 3명은 25년에서 20년의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나, 1941년 독소전 발발과 함께 에 휘말려 NKVD에 의해 살해되었다.
부하린은 체포되기 전 "당 지도자의 미래 세대에게"라는 글을 남겼다. 그는 아내 안나에게 이 글을 암기하게 한 후 불태우게 했다. 이 글에서 부하린은 자신의 무력함을 호소하며, 펠릭스 제르진스키 시절 체카의 훌륭한 전통이 사라지고 NKVD가 부패한 관료 조직으로 변질되었다고 비판했다. 그는 자신이 배신자가 아니며, 키로프를 사랑했고 스탈린에게 아무런 해도 끼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당 지도자들에게 자신의 편지를 읽고 무죄를 인정해 줄 것을 부탁하며, 자신의 피 한 방울이 공산주의를 향한 적기에 포함되어 있음을 알아달라고 호소했다.[50]
4. 군부 숙청 (1937년)
미하일 투하체프스키 사건은 1937년 미하일 투하체프스키를 비롯한 붉은 군대 고위 장성들이 반역 혐의로 소련 최고 재판소 특별 회의에서 판결이 내려진 직후 처형된 사건이다.
4. 1. 투하체프스키 사건
미하일 투하체프스키 사건은 1937년 6월, 미하일 투하체프스키를 포함한 붉은 군대 장성들을 대상으로 한 군사 재판으로, 비밀 재판의 형태로 진행되었다.이 재판은 대숙청의 핵심 재판 중 하나로 여겨지며, 피고인들을 대상으로 한 모략 재판이었다. 미하일 투하체프스키, 이오나 야키르, 이에로님 우보레비치, 로베르트 에이데만, 아우구스트 코르크, 비토프트 푸트나, 보리스 펠트만, 비탈리 프리아마코프는 반공모의 혐의로 기소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 이들은 소련 최고 재판소 특별 회의에서 판결이 내려진 직후인 6월 11일에서 12일 밤에 처형되었다. 이 재판은 붉은 군대에 대한 대대적인 숙청을 촉발했다.
4. 2. 붉은 군대 숙청
미하일 투하체프스키 사건은 1937년 6월 미하일 투하체프스키를 포함한 붉은 군대 장성들을 대상으로 한 비밀 재판이었다. 이 재판은 대숙청의 핵심 재판 중 하나로 여겨진다.미하일 투하체프스키, 이오나 야키르, 이에로님 우보레비치, 로베르트 에이데만, 아우구스트 코르크, 비토프트 푸트나, 보리스 펠트만, 비탈리 프리아마코프 등 고위 군 장교들은 반공모의 혐의로 기소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 이들은 소련 최고 재판소 특별 회의에서 판결이 내려진 직후인 6월 11일에서 12일 밤에 처형되었다. 이 재판은 붉은 군대에 대한 대대적인 숙청을 촉발했다.[4]
5. 듀이 위원회
1937년 레프 트로츠키의 요청으로 존 듀이 등 미국의 인사들이 모스크바 재판의 진실을 밝히기 위해 '듀이 위원회'를 구성했다. 듀이 위원회는 1937년 4월 10일부터 17일까지 멕시코에서 트로츠키를 직접 심문하고 청문회를 열어 혐의를 조사했다. 트로츠키는 위원회가 유죄를 선고할 경우 소련 당국에 자수하겠다고 공언했다.
5. 1. 조사 과정과 결과
1937년 5월, 레프 트로츠키에 대한 모스크바 재판에서 제기된 혐의를 조사하기 위해 존 듀이를 위원장으로 하는 조사 위원회(듀이 위원회)가 미국에서 설립되었다. 듀이 위원회는 1937년 4월 10일부터 17일까지 멕시코에 대표단을 파견, 트로츠키를 직접 인터뷰하고 청문회를 개최했다. 트로츠키는 위원회가 유죄를 선고할 경우 소련 당국에 자수하겠다고 공언했다. 청문회 결과, 재판에서 제기된 혐의 중 일부는 사실이 아님이 밝혀졌다.듀이 위원회는 조사 결과를 422페이지 분량의 책 ''무죄''로 발표했다. 위원회는 모스크바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은 모든 사람들의 무죄를 주장하며, 다음과 같이 결론 내렸다.
- 모스크바 재판은 진실을 밝히려는 시도가 전혀 없었다.
- 자백은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지만, 자백 자체에 진실이 아니라고 확신할 만한 비개연성이 포함되어 있다.
- 트로츠키는 소련에 반하는 외국 세력과 합의를 지시하거나, 소련에서 자본주의 복원을 시도한 적이 없다.
위원회는 "모스크바 재판이 조작된 것"이라고 최종 결론지었다. 예를 들어, 퍄타코프가 1935년 12월에 트로츠키를 만나기 위해 오슬로로 비행했다는 증언은 듀이 위원회에 의해 허위로 밝혀졌다.
영국에서도 레온 트로츠키를 옹호하는 임시 위원회가 결성되어 모스크바 재판에 대한 국제 조사를 요구하는 공개 서한을 게재했다. 이 서한에는 H. N. 브레일스포드, 해리 윅스 등 여러 저명인사가 서명했으며,[36] 듀이 위원회를 지지했다. 영국 국회의원 에머리스 휴즈도 모스크바 재판을 비판했다.[36]
1936년 8월, 1차 모스크바 재판에서 지노비예프, 카메네프 등 16명은 "트로츠키와 연계하여 세르게이 키로프 암살 및 스탈린 암살 미수" 혐의로 전원 총살형을 선고받았다. 이 재판은 NKVD 요원들이 "시민"으로 위장하여 감시하는 등 조작된 정황이 드러났다. 외국 언론인들은 혁명가 출신 피고인들이 공포에 질려 흐느끼는 목소리로 말한 반면, 목숨을 보장받은 조무래기 피고인들은 기쁜 목소리로 "음모"를 증언했다고 보도했다.
1937년 3월, 듀이 등 트로츠키 지지자들은 위원회(듀이 조사 위원회)를 결성하여 재판 기소장을 조사했다. 같은 해 9월, 위원회는 "모스크바 재판은 날조된 것이다"라는 결론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5. 2. 트로츠키의 무죄 주장
1937년 3월, 레프 트로츠키의 지지자들은 존 듀이를 중심으로 위원회(듀이 조사 위원회)를 결성하여 모스크바 재판의 기소 내용을 조사했다. 트로츠키는 자신의 무죄를 증명하기 위해 모스크바 소환을 요구했지만, 이는 무시되었다.듀이 위원회는 1937년 4월 10일부터 4월 17일까지 트로츠키가 거주하던 멕시코로 대표단을 파견하여 그를 인터뷰하고 청문회를 개최했다. 트로츠키는 위원회가 자신의 혐의를 유죄로 판단할 경우 소련 당국에 자수하겠다고 공개적으로 밝혔다. 청문회 결과, 재판에서 제기된 혐의 중 일부는 사실이 아님이 밝혀졌다.
듀이 위원회는 조사 결과를 422페이지 분량의 책, ''무죄''로 발표했다. 위원회는 모스크바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은 모든 사람의 무죄를 주장하며,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
- 모스크바 재판은 진실을 밝히려는 시도가 전혀 없었다.
- 자백은 신중하게 고려해야 하지만, 자백 자체에 진실을 나타내지 않는다고 확신할 만한 비개연성이 포함되어 있다.
- 트로츠키는 소련에 반하는 외국 세력과 합의를 지시하거나, 소련에서 자본주의 복원을 시도한 적이 없다.
위원회는 "모스크바 재판이 조작된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 예를 들어, 퍄타코프는 1935년 12월에 트로츠키로부터 "테러 지시를 받기 위해" 오슬로로 비행했다고 증언했지만, 듀이 위원회는 그러한 비행이 없었다는 것을 밝혀냈다.
1937년 9월, 위원회는 "모스크바 재판은 날조된 것이다"라는 결론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2009년에 겐다이쇼칸(현대 서관)에서 『트로츠키는 무죄다! 모스크바 재판 〈검증의 기록〉』(ISBN 978-4-7684-6995-8)으로 출판되었다.
영국에서도 레온 트로츠키를 옹호하는 영국 임시 위원회가 결성되었다. 1936년, 이 위원회는 ''맨체스터 가디언''에 모스크바 재판에 대한 국제 조사를 요구하는 공개 서한을 게재했다. 이 서한에는 H. N. 브레일스포드, 해리 윅스, 콘래드 노엘, 프랭크 호라빈, 엘리너 라스본 등 여러 저명 인사가 서명했다.[36][37] 위원회는 또한 듀이 위원회를 지지했다. 영국 국회의원 에머리스 휴즈 역시 그의 신문 ''포워드''에서 모스크바 재판이 부당하다고 비판했다.[36]
6. 재판의 여파와 역사적 평가
모스크바 재판은 소련 국내외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으며, 스탈린 체제의 잔혹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역사에 기록되었다.
대부분의 서방 국가 공산당 지도자들은 재판에 대한 비판을 공산주의를 전복하려는 자본주의적 시도로 폄하했다.[27] 랭스턴 휴즈,[29] 스튜어트 데이비스[30] 등 일부 미국 공산주의자와 동조자들은 모스크바 재판을 지지하는 성명에 서명했으나,[28] 나중에 후회했다.
일부에서는 재판이 본질적으로 공정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몰로토프는 일부 자백에 있을 법하지 않은 진술이 포함되어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여기에는 소련 정부를 훼손하려는 의도가 있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흐루쇼프의 비밀 연설 이후 설득력을 잃었다.
영국에서는 데니스 노웰 프리트와 같은 인물은 재판을 옹호했고,[31] 비어트리스 웹은 스탈린의 숙청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31] 해리 폴리트는 모스크바 재판을 진보의 승리로 묘사했다.[32] 코를리스 래몬트와 릴리안 헬만 등 미국의 좌파 지지자들도 재판을 지지했다.[33]
그러나, 뉴욕 타임스를 비롯한 대다수의 서방 언론과 자유주의자들은 모스크바 재판을 부정적으로 평가했다.[34] 버트람 울프는 이 재판을 계기로 스탈린주의와 결별했다.[35]
레닌 시대의 당 지도부 생존자 중 스탈린, 트로츠키, 칼리닌을 제외한 모든 인물이 재판을 받았다. 스탈린은 혁명 출신 볼셰비키의 거의 모든 주요 인물을 체포하고 처형했다. 1934년 당대회 대표 1,966명 중 1,108명이 체포되었고, 중앙위원회 위원 139명 중 98명이 체포되었다. 알렉산드르 일리치 예고로프, 바실리 블류헤르, 미하일 투하체프스키 등 소련 원수 5명 중 3명과 수천 명의 붉은 군대 장교들이 체포되거나 총살되었다. 레프 트로츠키는 해외 망명 중이었지만, 1940년 멕시코에서 소련 요원에 의해 암살되었다.
역사가 아이작 도이처는 모스크바 재판을 "한 세대 전체 혁명가들의 파멸의 서곡"으로 평가했다.[38]
니키타 흐루쇼프는 1956년 비밀 연설에서 스탈린 개인 숭배와 숙청을 비난하며, 재판 과정에서 고문과 심리적 압박이 사용되었음을 폭로했다. 그는 소련 공산당 제20차 대회 연설에서 "무고한 사람들이 '적'으로 낙인 찍혀 잔혹한 고문을 받고 거짓 자백을 했다"고 밝혔다.[39] 전 GPU 장교 알렉산더 오를로프는 반복적인 구타, 고문, 수면 박탈, 가족에 대한 위협 등이 자백을 얻기 위해 사용된 방법이라고 증언했다.[40]
흐루쇼프의 폭로에도 불구하고, 구 볼셰비키의 복권은 더디게 진행되었다. 니콜라이 부하린과 다른 19명의 공동 피고인들은 1988년 2월에야 완전히 복권되었다. 1989년 1월, 프라우다는 25,000명이 사후 복권되었다고 보도했다.
6. 1. 소련 사회에 미친 영향
모스크바 재판은 소련 사회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레닌 시대의 주요 볼셰비키 지도자들이 대거 숙청되면서, 혁명을 이끌었던 핵심 인적 자원이 사라졌다.[38] 1934년 당대회 대표 1,966명 중 1,108명이 체포되었고, 중앙위원회 위원 139명 중 98명이 체포될 정도였다.[38] 붉은 군대 역시 알렉산드르 일리치 예고로프, 바실리 블류헤르, 미하일 투하체프스키 등 유능한 지휘관들을 잃으면서 큰 타격을 입었다.이는 사회 전반에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고, 스탈린에 대한 개인 숭배를 강화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니키타 흐루쇼프는 1956년 제20차 소련 공산당 대회에서 스탈린 개인 숭배와 숙청을 비난하며, 재판 과정에서 자백이 고문과 협박을 통해 조작되었음을 폭로했다.[39] GPU 장교였던 알렉산더 오를로프는 반복적인 구타, 고문, 수면 박탈, 가족에 대한 위협 등 다양한 강압적인 방법이 사용되었다고 증언했다.[40]
이러한 폭력적인 숙청은 소련 사회의 경직성을 심화시켰다. 비판적인 목소리는 억압되었고, 창의적인 사고는 위축되었다. 이는 장기적으로 소련의 발전, 특히 과학기술과 문화예술 분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평가된다.
스탈린 사후 흐루쇼프는 재판을 비난했지만, 숙청된 인사들의 복권은 더디게 진행되었다. 니콜라이 부하린 등 일부는 1988년에야 완전히 복권되었다.[39] 1989년에는 25,000명이 사후 복권되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40]
6. 2. 국제 사회의 반응
모스크바 재판에 대한 국제 사회의 반응은 크게 엇갈렸다. 대부분의 서방 국가 공산당 지도자들은 재판에 대한 비판을 공산주의 전복 시도로 폄하했다.[27] 랭스턴 휴즈,[29] 스튜어트 데이비스[30] 등 일부 미국 공산주의자와 동조자들은 모스크바 재판을 지지하는 성명에 서명하기도 했다.[28] 그러나 이들 중 일부는 나중에 후회했다.영국의 변호사이자 노동당 국회의원인 데니스 노웰 프리트는 재판이 공정하게 진행되었다고 옹호했으며,[31] 사회주의 사상가 비어트리스 웹은 스탈린이 '쓸모없는 사람들을 제거했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31] 공산당 지도자 해리 폴리트는 모스크바 재판이 진보의 새로운 승리라고 주장했다.[32] 미국의 좌파 지지자들인 코를리스 래몬트와 릴리안 헬만도 재판을 지지하는 공개 서한에 서명했다.[33]
그러나 뉴욕 타임스는 사설을 통해 모스크바 재판의 부당함을 지적했다.[34] 이는 마치 미국의 건국 주역들을 영국과 내통했다는 혐의로 처형하는 것과 같다는 비유를 들었다. 이처럼 모스크바 재판은 서방 세계, 특히 자유주의자들 사이에서 대체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버트람 울프는 부하린 재판의 결과로 스탈린주의와 결별하게 되었다.[35]
6. 3. 역사적 평가
모스크바 재판은 서방 세계의 많은 관찰자, 특히 자유주의자들에게 부정적으로 평가되었다. 뉴욕 타임스는 1938년 3월 1일 사설에서 이 재판을 미국의 건국 아버지들을 처형하는 것에 비유하며 터무니없다고 지적했다.[34]버트람 울프는 부하린 재판의 결과를 보고 스탈린주의와 결별했다.[35] 레닌 시대 당 지도부 생존자 중 스탈린, 트로츠키, 칼리닌을 제외한 모든 인물이 재판을 받았다. 스탈린은 혁명 출신 볼셰비키 주요 인물 대부분을 체포하고 처형했다. 1934년 당대회 대표 1,966명 중 1,108명이 체포되었고, 중앙위원회 위원 139명 중 98명이 체포되었다. 알렉산드르 일리치 예고로프, 바실리 블류헤르, 미하일 투하체프스키 등 소련 원수 5명 중 3명과 수천 명의 붉은 군대 장교들이 체포되거나 총살되었다. 레프 트로츠키는 해외 망명 중이었으나, 1940년 멕시코에서 소련 요원에 의해 암살되었다.
역사가 아이작 도이처는 모스크바 재판을 "한 세대 전체 혁명가들의 파멸의 서곡"으로 평가했다.[38]
니키타 흐루쇼프는 1956년 비밀 연설에서 스탈린 개인 숭배와 숙청을 비난하며, 재판 과정에서 고문과 심리적 압박이 사용되었음을 폭로했다. 그는 소련 공산당 제20차 대회 연설에서 "무고한 사람들이 '적'으로 낙인 찍혀 잔혹한 고문을 받고 거짓 자백을 했다"고 밝혔다.[39] 전 GPU 장교 알렉산더 오를로프는 반복적인 구타, 고문, 수면 박탈, 가족에 대한 위협 등이 자백을 얻기 위해 사용된 방법이라고 증언했다.[40]
흐루쇼프의 폭로에도 불구하고, 구 볼셰비키의 복권은 더디게 진행되었다. 니콜라이 부하린과 다른 19명의 공동 피고인들은 1988년 2월에야 완전히 복권되었다. 1989년 1월, 프라우다는 25,000명이 사후 복권되었다고 보도했다.
참조
[1]
서적
"1937: Stalin's Year of Terror"
Mehring books
[2]
서적
Stalin's Russia
Edward Arnold
[3]
웹사이트
The Permanent Revolution & Results and Prospects
http://www.marxists.[...]
Progress Publishers
2014-07-06
[4]
웹사이트
Pierre Broué: The "Bloc" of the Oppositions against Stalin (January 1980)
https://www.marxists[...]
2020-08-25
[5]
웹사이트
"[Dossier] The Soviet Left Opposition and the Discovery of the Verkhneuralsk Prison Booklets"
http://www.leftvoice[...]
2020-08-25
[6]
문서
Lenoe: 345–371
[7]
문서
Orlov: 24–25; cf. Lenoe: 376–379.
[8]
뉴스
"The beginning of the Great Terror (Начало Большого террора)"
http://newtimes.ru/s[...]
Novoe vremya
2016-08-29
[9]
문서
Dictatorship and Democracy
[10]
서적
The Great Terror: A Reassessment
Oxford University Press
[11]
웹사이트
Андрей Януарьевич Вышинский
http://hrono.ru/biog[...]
Kronos
[12]
웹사이트
"С весны 1917 работал в наркомтруде и прокуратуре, летом 1917 подписал ордер на арест В.Ленина"
http://www.hrono.ru/[...]
[13]
문서
Vaksberg, ''Stalin's Prosecutor'', 22-25.
[14]
문서
Vaksberg, ''Stalin's Prosecutor'', 30.
[15]
서적
Stalin's Prosecutor: The Life of Andrei Vyshinsky
Grove Weidenfeld
[16]
문서
Vaksberg, ''Stalin's Prosecutor'', 107.
[17]
서적
Los Grandes Procesos de la Historia. Los Procesos de Moscú. Tomo I.
Ed Circulo de Amigos de la Historia. Editions de Crémille-Genéve
[18]
웹사이트
The Treason Case Summed Up
http://neworleans.me[...]
2016-03-03
[19]
보고서
Viscount Chilston to Mr. Eden
British Embassy Report
1937-02-06
[20]
서적
Conquest 1990, p. 164.
[21]
서적
Mission to Moscow
Garden City Press
[22]
서적
Stalin – Waiting for Hitler
Penguin Press
[23]
서적
Conquest 1990, p. 352.
[24]
서적
Conquest 1990, pp. 364–365.
[25]
보고서
Report by Viscount Chilston (British ambassador) to Viscount Halifax, No. 141, Moscow, March 21, 1938
British ambassador
1938-03-21
[26]
문서
Report of Court Proceedings in the Case of the Anti-Soviet "Block of Rights and Trotskyites"
[27]
서적
'The Fellow Travellers: a postscript to the Enlightenment.'
Weidenfeld and Nicolson
[28]
뉴스
"The Moscow Trials: A Statement by American Progressives"
https://www.marxists[...]
New Masses
1938-05-03
[29]
서적
Fight for Freedom and Other Writings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30]
서적
Antifascism in American Art
Yale University Press
[31]
문서
Snyder 2010, p. 74.
[32]
문서
Redman 1958, pp. 44–53.
[33]
간행물
"An Open Letter to American Liberals"
Soviet Russia Today
1937-03
[34]
뉴스
Moscow's New Purge
http://select.nytime[...]
New York Times
[35]
문서
Wolfe 1990, pp. 10–15.
[36]
서적
International Trotskyism, 1929–1985: A Documented Analysis of the Movement
Duke University Press
1991
[37]
서적
In the shadow of the dictators: the British Left in the 1930s
Tauris Academic Studies
2006
[38]
서적
The Prophet: The Life of Leon Trotsky
https://books.google[...]
Verso Books
2015-01-05
[39]
문서
Speech to the Twentieth Communist Party Congress
1956
[40]
문서
1953
[41]
간행물
"Culture, Power, and Mission to Moscow: Film and Soviet-American Relations during World War II"
http://archive.oah.o[...]
2001
[42]
웹사이트
Set Your VCRs
http://reason.com/bl[...]
2004-04-05
[43]
문서
Mission to Moscow
[44]
문서
トロツキー=ジノビエフ合同本部事件
[45]
뉴스
暴露された蘇聯の並行本部事件
内閣情報部
1937-02-10
[46]
문서
アレクサンダー・エメル、バレンティン・オルバーグ、フリッツ・デビッドらドイツ共産党のメンバーで、かつ左翼反対派に思想的に近い者としてNKVDにマークされていた人物や、コノン・バーマン=ユーリンやネイサン=ラザーレヴィチ・リュリエのようにNKVDのエージェントと見做されていた人物など。
[47]
문서
反ソ・トロツキスト並行本部事件
[48]
문서
前述の3名の他、カール・ラデック、レオニード・セレブリャコフ、ヤコフ・リフシッツ、ヤコフ・ドロブニス、ミハイル・ボグスラブスキー、イヴァン・ニャゼブ (ソビエト連邦の政治家)、スタニスラフ・ラタイチャック、ボリス・ノーキン、アレクセイ・シストフ、ミハイル・ストロイロフ、ジョセフ・テュロック、イワン・グラッシュ、アーノルド・ヴァレンティン、ガブリエル・プーシンの14名が訴追された。なお、ラデックとセレブリャコフ以降の人物はほとんどが産業セクションの関係者であり、トロツキストとの関連性は薄かった。
[49]
뉴스
十三人を銃殺、ラデックは流刑の判決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1937-01-30
[50]
서적
夫ブハーリンの想い出(下)
岩波書店
199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