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성 연구개 파찰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성 연구개 파찰음은 혀의 뒤쪽 부분인 후설면과 연구개 사이에서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마찰을 일으키는 소리이다. 이 소리는 폐에서 나오는 공기로 발음되며, 성대의 울림이 없는 무성음이다. 한국어에서는 'ㅡ' 모음 앞에서 'ㅋ'이 이 소리와 유사하게 발음되며, 라코타어, 나바호어, 스위스 독일어 등 여러 언어에서 변이음으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구개음 - 유성 연구개 파열음
유성 연구개 파열음은 성대 진동을 동반하여 혓바닥과 연구개가 만나 공기를 막았다 터뜨리는 소리로, 국제 음성 기호로 'ɡ'로 표기되며, 일부 언어에서는 발음의 어려움이나 다른 소리와의 혼동이 있을 수 있고 한국어 'ㄱ' 발음의 한 예시이다. - 연구개음 - 무성 연구개 파열음
무성 연구개 파열음은 혀 뒤쪽과 연구개 사이에서 공기가 막혔다가 터지면서 나는 소리로, /k/로 표기되며 'ㅋ'과 유사하고, 여러 변이음을 가지며 언어에 따라 사용 정도가 다르다. - 파찰음 - 무성 치경 파찰음
무성 치경 파찰음은 혀 앞부분을 치경릉에 대어 내는 소리로, 국제 음성 기호로 t͡s 또는 t͜s로 표기하며 독일어, 러시아어, 한국어, 표준 중국어 등에서 사용된다. - 파찰음 - 유성 후치경 파찰음
유성 후치경 파찰음은 혀끝이나 혀 앞부분을 치경융기 뒤에 대고 내는 유성 파찰음으로, 국제 음성 기호로는 d͡ʒ로 표기되며, 영어의 "judgement", 이탈리아어의 "gemma", 페르시아어의 "ج" 등 다양한 언어에서 여러 가지 문자로 표현된다.
무성 연구개 파찰음 | |
---|---|
기본 정보 | |
IPA 기호 | k͡x |
IPA 번호 | 109 140 |
X-SAMPA | k_x |
ASCII | kx |
음성 파일 | Voiceless velar affricate.ogg |
발음 | |
설명 | 무성 연구개 파찰음 |
2. 특징
- 기류 발생: 폐장기류 기구에 의해 생성되는 호기.[1]
- 발성: 성대의 진동을 수반하지 않는 무성음.[1]
- 조음:
- * 조음 위치: 후설면과 연구개에 의한 연구개음.[1]
- * 조음 방법
- ** 구강 내 기류: 혀의 중앙을 기류가 통과하는 중설음.[1]
- ** 조음 기관의 접근도: 조음 위치에서 완전한 폐쇄를 만든 후, 호기를 동반하면서 폐쇄를 서서히 개방하여 틈새에서 발생하는 마찰음을 수반하는 파열음 (파찰음).[1]
- ** 구개범의 위치: 구개범을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은 구음.[1]
3. 언어별 예시
라코타어와 나바호어에서는 홀소리 /a, ã, o, ĩ, ũ/ 앞에서 /kʰ/의 변이음으로 나타난다.[1] 스위스 독일어에서는 k와 ck에서 이 소리가 난다. 바이에른어 티롤 방언에서는 "Kind"(아이)를 '''Kch'''indbar [ˈk͡xind̥]로 발음한다.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비고 |
---|---|---|---|---|
라코타어 | lakhótalkt | [laˈk͡xota] | '라코타' | /a/, /ã/, /o/, /ĩ/, /ũ/ 앞에서 /kʰ/의 변이음. |
나바호어 | kǫʼnv | [k͡xõʔ˩] | '불' | 후설 모음 앞에서 의 변이음. 나바호어 음운론 참고 |
슬로베니아어 | sikhsl | '시크교도' | 매우 희귀하며, 차용어에만 나타납니다. 슬로베니아어 음운론 참고 | |
코사어 | colspan=3| | /kʼ, kʰ, ɡ̊ʱ, kxʼ, kxʰ, x, ɣ̈/와 대조됩니다. 코사어 음운론 참고 | ||
!Xóõ | [ǁ͡kxʼâã] | '풀' | 폐쇄-윤곽 클릭에 사용됩니다. |
3. 1. 한국어
한국어에서 무성 연구개 파찰음은 홀소리 'ㅡ' 앞에 오는 ㅋ(kʰ)의 변이음으로 나타난다.[1]
3. 2. 외국어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비고 | |
---|---|---|---|---|---|
네덜란드어 | Orsmaal-Gussenhoven 방언 | bliknl | '접시' | 선택적인 일시 중지된 의 변이음.[1] | |
현대 그리스어 | 고대 그리스어 차용어 | σάκχαροel | '(혈액) 설탕' | ||
영어 | 광범위한 Cockney | cab|cab영어 | rowspan="2" | | '택시' | 가능한 단어의 시작, 모음 사이 및 단어의 최종 의 변이음.[2] 영어 음운론 참고 |
뉴질랜드 | 단어 시작 의 변이음. 영어 음운론 참고 | ||||
북 웨일스 | rowspan=3 | | 단어 시작 및 단어 최종 의 변이음; 강하게 기음화된 파열음 과 자유롭게 변동. 영어 음운론 참고 | |||
영국 표준 발음 | 의 가끔 있는 변이음. 영어 음운론 참고 | ||||
Scouse | 가능한 음절 시작 및 단어 최종 의 변이음. 영어 음운론 참고 | ||||
독일어 | 표준 오스트리아 | Kübelde | '양동이' | 전설 모음 앞에서 의 가능한 실현. 표준 독일어 음운론 참고 | |
바이에른어 방언 티롤 | Kchindbar | '아이' | |||
스위스 방언 및 남부 바덴뷔르템베르크의 알레만어 | Sackgsw | '가방' | 일부 방언에서는 실제로 구개수 일 수 있습니다. | ||
한국어 | 크다한국어 | '크다' | 앞에서 의 변이음. 한국어 음운론 참고 | ||
라코타어 | lakhótalkt | '라코타' | , , , , 및 앞에서 의 변이음. | ||
나바호어 | kǫʼnv | [k͡xõʔ˩] | '불' | 후설 모음 앞에서 의 변이음. 나바호어 음운론 참고 | |
슬로베니아어 | sikhsl | '시크교도' | 매우 희귀하며, 차용어에만 나타납니다. 슬로베니아어 음운론 참고 | ||
코사어 | colspan=3| | /kʼ, kʰ, ɡ̊ʱ, kxʼ, kxʰ, x, ɣ̈/와 대조됩니다. 코사어 음운론 참고 | |||
!Xóõ | [ǁ͡kxʼâã] | '풀' | 폐쇄-윤곽 클릭에 사용됩니다. |
참조
[1]
문서
Instead of "pre-velar", it can be called "advanced velar", "fronted velar", "front-velar", "palato-velar", "post-palatal", "retracted palatal" or "backed palatal".
[2]
문서
Instead of "post-velar", it can be called "retracted velar", "backed velar", "pre-uvular", "advanced uvular" or "fronted uvul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