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문화/예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문화/예술은 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된 문화/예술 분야 친일 행위자들의 명단을 다룬다. 문학, 음악/무용, 미술, 연극/영화 등 다양한 분야의 인물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의 친일 행적과 관련된 단체 및 활동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다. 주요 인물로는 이광수, 서정주, 채만식, 홍난파, 안익태, 최승희, 김은호, 김기창, 유치진, 최인규 등이 있으며, 이들은 친일 문학, 음악, 미술, 연극, 영화 활동을 통해 일제의 침략 전쟁을 지지하고, 식민 통치를 정당화하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일제강점기에 친일 문학 활동을 한 작가, 시인, 평론가 등이 이 명단에 포함되어 있다.
민족문제연구소가 2009년에 발간한 친일인명사전에는 음악/무용 분야에서 친일 행적을 보인 43명의 인물들이 수록되어 있다.
2. 문학 (40명)
이름 한자 생몰년도 비고 곽종원 郭鍾元 1898년 ~ 1970년 김기진 金基鎭 1903년 ~ 1985년 김동인 金東仁 1900년 ~ 1951년 김동환 金東煥 1901년 ~ 1958년 김문집 金文輯 1910년 ~ 1951년 김사영 金士永 1912년 ~ 1995년 김성민 金聖珉 1915년 ~ 1995년 김억 金億 1896년 ~ ? 김영일 金英一 1913년 ~ 1984년 김용제 金龍濟 1910년 ~ 1995년 김종한 金鍾漢 1916년 ~ 1944년 노천명 盧天命 1912년 ~ 1957년 모윤숙 毛允淑 1910년 ~ 1990년 박영희 朴英熙 1901년 ~ 1950년 방인근 方仁根 1899년 ~ 1976년 백철 白鐵 1908년 ~ 1985년 서정주 徐廷柱 1915년 ~ 2000년 오용순 吳龍淳 1910년 ~ ? 유진오 兪鎭午 1906년 ~ 1987년 교육/학술 분야에도 수록됨 윤두헌 尹斗憲 1907년 ~ ? 윤해영 尹海榮 1909년 ~ 1978년 이광수 李光洙 1892년 ~ 1950년 이무영 李無影 1908년 ~ 1960년 이석훈 李石薰 1908년 ~ ? 이원수 李元壽 1911년 ~ 1981년 이윤기 李允基 1907년 ~ ? 이찬 李燦 1910년 ~ 1974년 임학수 林學洙 1911년 ~ 1981년 장덕조 張德祚 1895년 ~ 1949년 장혁주 張赫宙 1905년 ~ 1982년 정비석 鄭飛石 1911년 ~ 1991년 정인섭 鄭寅燮 1905년 ~ 1983년 정인택 鄭人澤 1908년 ~ 1952년 조연현 趙演鉉 1920년 ~ 1981년 조용만 趙容萬 1909년 ~ 1995년 조우식 趙宇植 1914년 ~ 1998년 주요한 朱耀翰 1900년 ~ 1979년 채만식 蔡萬植 1902년 ~ 1950년 최재서 崔載瑞 1908년 ~ 1964년 최정희 崔貞熙 1912년 ~ 1990년
2. 1. 주요 인물
이광수는 소설가이자 작가로 활동했다. 1940년 2월 창씨개명 이후 〈매일신보〉, 〈조광〉, 〈신시대〉 등에 징병, 지원병을 찬양하고 선전하는 글을 기고했다.
서정주는 광복 이후 조선청년문학가협회 시분과 위원장으로 활동했다. 1942년 〈매일신보〉에 일본 제국주의를 찬양하는 내용의 시를 기고했다.
채만식은 소설가로 활동했다. 1943년 소설 《아름다운 새벽》을 통해 황국신민의 서사를 읊었다.
3. 음악/무용 (43명)
이름 생몰년도 분야 비고 강영철 (康永喆) 1923년 ~ ? 성악 계정식 (桂貞植) 1908년 ~ 1984년 작곡 고종익 (高宗益) 1908년 ~ 1966년 성악 김관 (金管) 1910년 ~ 1979년 작곡 김기수 (金琪洙) 1917년 ~ 1986년 국악 김동진 (金東振) 1913년 ~ 2009년 작곡 김생려 (金生麗) 1912년 ~ 1986년 작곡 김성태 (金聖泰) 1910년 ~ 2012년 작곡 김영길 (金永吉) 1911년 ~ 1985년 성악 김원복 (金元福) 1908년 ~ 2002년 피아노 김재훈 (金載勳) 1903년 ~ 1979년 작곡 김준영 (金駿泳) 1910년 ~ ? 작곡 김천애 (金天愛) 1908년 ~ 1995년 성악 김해송 (金海松) 1911년 ~ 1950년 작곡 한국 전쟁 중 납북 남인수 (南仁樹) 1918년 ~ 1962년 가수 박경호 (朴慶浩) 1898년 ~ 1957년 국악 박시춘 (朴是春) 1913년 ~ 1996년 작곡 반야월 (半夜月) 1917년 ~ 2012년 작사 백년설 (白年雪) 1914년 ~ 1980년 가수 서영덕 (徐永德) 1909년 ~ 1990년 작곡 손목인 (孫牧人) 1913년 ~ 1999년 작곡 안익태 (安益泰) 1906년 ~ 1965년 작곡, 지휘 애국가 작곡가 이규남 (李圭南) 1912년 ~ ? 가수 이면상 (李冕相) 1908년 ~ 1989년 작곡 이봉룡 (李鳳龍) 1914년 ~ 1987년 작곡 이인범 (李仁範) 1914년 ~ ? 성악 이재호 (李在鎬) 1910년 ~ 1960년 작곡 이종태 (李鍾泰) 1907년 ~ 1981년 작곡 이철 (李哲) 1903년 ~ ? 지휘 이흥렬 (李興烈) 1909년 ~ 1980년 작곡 임동혁 (任東爀) 1909년 ~ 2004년 작곡 장세정 (張世貞) 1921년 ~ 2003년 가수 전기현 (全基炫) 1909년 ~ 1972년 성악 조두남 (趙斗南) 1912년 ~ 1984년 작곡 조명암 (趙鳴岩) 1913년 ~ 1993년 작사 한국 전쟁 중 납북 조택원 (趙澤元) 1907년 ~ 1976년 무용 최승희 (崔承喜) 1911년 ~ 1969년 무용 최팔근 (崔八根) 1906년 ~ ? 지휘 최희남 (崔熙南) 1915년 ~ ? 성악 한상기 (韓相基) 1906년 ~ 1977년 작곡 함화진 (咸和鎭) 1907년 ~ 1989년 작곡 현제명 (玄濟明) 1902년 ~ 1960년 성악, 작곡 홍난파 (洪蘭坡) 1898년 ~ 1941년 작곡, 바이올린 〈봉선화〉 작곡가
수록된 인물 중에는 일제 강점기에 활동한 대한민국의 작곡가, 바이올린 연주자, 지휘자, 음악 평론가인 홍난파, 대한민국의 지휘자이자 작곡가로 애국가를 작곡한 안익태, 일제 강점기에 활동한 대한민국의 무용가로 일본과 미국, 유럽 등지에서 활동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던 최승희 등이 주요 인물로 꼽힌다.
3. 1. 주요 인물
4. 미술 (24명)
친일인명사전의 미술 분야에는 친일 미술 활동을 한 화가, 조각가 등 총 24명이 수록되어 있다.
이름 | 생몰년도 | 출생지 | 주요 경력 | 비고 |
---|---|---|---|---|
구본웅 | 1906년~1953년 | 서울 | 도쿄미술학교 조각과 졸업, 조선미술전람회 심사위원 | |
김경승 | 1915년~1992년 | 개성 | 도쿄미술학교 조각과 졸업, 조선미술전람회 심사위원 | 조각가 |
김만형 | 1909년~1978년 | 평양 | 도쿄 다이헤이요 미술학교 졸업, 조선미술전람회 심사위원 | |
김용진 | 1878년~1968년 | 황해도 안악 | 서화미술원 교사, 조선미술전람회 심사위원 | |
김인승 | 1910년~2001년 | 개성 | 도쿄미술학교 서양화과 졸업, 조선미술전람회 심사위원 | |
김종찬 | 1916년~1985년 | 함경남도 함주 | 도쿄미술학교 졸업, 조선미술전람회 심사위원 | |
노수현 | 1899년~1978년 | 황해도 곡산 | 서화협회 13회전람회 출품, 조선미술전람회 심사위원 | |
박영선 | 1910년~1994년 | 평안남도 평원 | 도쿄 가와바타 미술학교 졸업, 조선미술전람회 심사위원 | |
박원수 | 1912년~1978년 | 경기도 장단 | 도쿄 데이고쿠 미술학교 졸업, 조선미술전람회 출품 | |
배운성 | 1900년~1978년 | 서울 | 도쿄미술학교 서양화과 졸업, 조선미술전람회 출품 | |
손응성 | 1916년~1979년 | 평안남도 평양 | 도쿄미술학교 유화과 졸업, 조선미술전람회 출품 | |
심형구 | 1908년~1962년 | 서울 | 도쿄미술학교 서양화과 졸업, 조선미술전람회 심사위원 | |
윤효중 | 1917년~1967년 | 경상남도 고성 | 도쿄 데이고쿠 미술학교 조각과 졸업, 조선미술전람회 심사위원 | 조각가 |
이건영 | 1916년~? | 함경남도 함흥 | 도쿄미술학교 서양화과 졸업, 조선미술전람회 출품 | |
이국전 | 1913년~? | 함경남도 함흥 | 도쿄 가와바타 미술학교 졸업, 조선미술전람회 출품 | |
이봉상 | 1916년~1970년 | 함경남도 함주 | 도쿄 데이고쿠 미술학교 졸업, 조선미술전람회 심사위원 | |
이상범 | 1897년~1972년 | 충청남도 공주 | 서화미술원 강습소 수학, 조선미술전람회 심사위원 | |
임응구 | 1910년~1995년 | 함경남도 북청 | 도쿄미술학교 서양화과 졸업, 조선미술전람회 출품 | |
정종여 | 1914년~1984년 | 경상남도 창원 | 도쿄 가와바타 미술학교 졸업, 조선미술전람회 출품 | |
지성렬 | 1913년~? | 함경남도 함흥 | 도쿄 데이고쿠 미술학교 졸업, 조선미술전람회 출품 | |
현재덕 | 1914년~? | 함경남도 정평 | 도쿄 데이고쿠 미술학교 졸업, 조선미술전람회 출품 |
이 외에도 김기창, 김은호, 장우성 등이 주요 인물로 꼽힌다.
4. 1. 주요 인물
5. 연극/영화 (58명)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중 연극/영화 분야에는 친일 연극 및 영화 활동에 참여한 배우, 감독, 극작가 등 58명이 포함되어 있다.
이름 | 생몰년 | 주요 활동 | 비고 |
---|---|---|---|
김건 | 1909~1980 | 극작가 | |
김관수 | 1905~? | 영화감독 | |
김소영 | 1914~1988 | 배우 | |
김승구 | 1906~1973 | 극작가 | |
김신재 | 1919~2001 | 배우 | |
김영화 | 1905~? | 영화감독 | |
김일해 | 1910~? | 배우 | |
김정혁 | 1913~1974 | 극작가 | |
김태진 | 1905~1984 | 극작가 | |
김학성 | 1913~1976 | 배우 | |
김한 | 1913~1985 | 극작가, 연출가 | |
나웅 | 1911~1999 | 배우, 감독 | |
남승민 | 1911~1983 | 배우 | |
독은기 | 1905~1964 | 배우 | |
문예봉 | 1917~1999 | 배우 | |
박기채 | 1906~1980 | 영화감독 | |
박영신 | 1905~1989 | 배우 | |
박영호 | 1911~1953 | 극작가 | |
박춘명 | 1903~1972 | 배우 | |
방한준 | 1909~1972 | 영화감독 | |
복혜숙 | 1904~1982 | 배우 | |
서광제 | 1909~1967 | 배우 | |
서월영 | 1905~1969 | 배우 | |
서항석 | 1906~1963 | 연출가 | |
송영 | 1903~1979 | 극작가 | |
신경균 | 1912~1981 | 영화감독 | |
신고송 | 1911~1984 | 배우 | |
신정언 | 1910~? | 배우 | |
심영 | 1910~1971 | 배우 | 현대극장, 고협 등에서 친일 연극 출연 |
안석영 | 1901~1950 | 극작가, 연출가 | |
안영일 | 1912~1991 | 배우 | |
안종화 | 1902~1966 | 영화감독 | |
양세웅 | 1912~1965 | 연출가 | |
오정민 | 1911~1986 | 배우 | |
유장안 | 1913~1989 | 배우 | |
유치진 | 1905~1974 | 극작가, 연출가 | 조선연극문화협회, 현대극장 등에서 친일 연극 주도 |
이광래 | 1908~1968 | 극작가 | |
이금룡 | 1906~1987 | 배우 | |
이명우 | 1906~1958 | 영화감독 | |
이병일 | 1910~1978 | 영화감독 | |
이서구 | 1899~1981 | 극작가 | |
이서향 | 1903~1973 | 배우 | |
이익 | 1913~1976 | 영화감독 | |
이재명 | 1909~1975 | 영화감독 | |
이창용 | 1909~1966 | 영화감독 | |
임선규 | 1909~1970 | 극작가 | |
전창근 | 1908~1977 | 영화감독 | |
주영섭 | 1912~1975 | 영화감독 | |
최순흥 | 1909~1988 | 배우 | |
최승일 | 1901~1977 | 연출가 | |
최운봉 | 1913~1973 | 배우 | |
최인규 | 1911~? | 영화감독 | 조선영화제작가협회에서 친일 영화 제작 |
한노단 | 1911~1990 | 배우 | |
함대훈 | 1907~1949 | 극작가 | |
함세덕 | 1915~1950 | 극작가 | |
허영 | 1910~1997 | 영화감독 | |
홍찬 | 1911~1982 | 배우 | |
황철 | 1912~1961 | 영화감독 |
5. 1. 주요 인물
- '''유치진'''(柳致眞)은 일제 강점기에 활동한 극작가이자 연극 연출가이다. 조선연극문화협회와 현대극장에서 활동하며 친일 연극을 주도했다. 대표적인 친일 연극으로는 〈북진대〉, 〈흑룡강〉 등이 있다.
- '''최인규'''(崔寅奎)는 일제 강점기에 활동한 영화감독이다. 조선영화제작가협회에서 활동하며 친일 영화를 제작했다. 대표적인 친일 영화로는 〈수업료〉, 〈집없는 천사〉, 〈태양의 아들들〉, 〈사랑과 맹서〉, 〈신풍의 아들들〉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송영, 함세덕 등 여러 인물이 친일 연극 및 영화 활동에 참여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