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은 외젠 들라크루아가 1830년에 그린 낭만주의 회화 작품이다. 7월 혁명을 배경으로, 자유를 의인화한 여신이 삼색기를 들고 다양한 계층의 시민들을 이끄는 모습을 담고 있다. 이 그림은 1831년 파리 살롱에 처음 전시되었으며, 1874년부터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작품은 프랑스 혁명과 낭만주의 시대를 상징하며,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31년 프랑스 - 1831년 프랑스 총선
1831년 프랑스 총선은 7월 혁명 후 제한적 선거권 하에 치러진 첫 선거로, 자유주의 세력의 영향력 확대, 7월 왕정 강화, 언론 자유 확대 및 선거법 개정을 이끌었으나, 사회적 불평등과 정치적 갈등을 야기하며 프랑스 정치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 외젠 들라크루아 그림 - 단테의 배
외젠 들라크루아가 그린 단테의 배는 단테 알리기에리의 《신곡》 지옥편의 스틱스 강을 건너는 단테와 베르길리우스, 고통받는 영혼들을 묘사한 작품으로, 들라크루아의 색채 감각과 심리 묘사가 돋보이며 그의 색채 전문가로서의 발돋움에 기여했다. - 외젠 들라크루아 그림 - 히오스섬의 학살
히오스섬의 학살은 외젠 들라크루아가 1824년에 완성한 유화로, 1822년 오스만 군대의 히오스 섬 학살 사건을 묘사하며, 참혹한 사건을 두 개의 인간 피라미드 구성을 통해 표현한다.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 | |
---|---|
작품 정보 | |
![]() | |
제목 |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 |
원어 제목 | La Liberté guidant le peuple (프랑스어) |
화가 | 외젠 들라크루아 |
제작 연도 | 1830년 |
종류 | 캔버스, 유화 |
크기 | 가로 325cm, 세로 260cm |
소장 | 루브르 박물관, 파리 |
2. 역사
들라크루아는 1830년 가을 프랑스 7월 혁명을 주제로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을 그리기 시작했다. 그는 이미 프랑스 회화의 낭만주의 유파를 이끄는 지도자로 인정받고 있었으며, 당시 아카데미 미술의 특징인 정확한 묘사 대신 자유로운 붓질과 색채를 강조했다.[4] 10월 21일 동생에게 보낸 편지에서 "힘든 작업 덕분에 나의 우울함이 사라지고 있다. 나는 현대적인 주제, 즉 바리케이드를 그리기 시작했다. 비록 조국을 위해 싸우지는 못했지만, 그녀를 위해 그림을 그릴 것이다."라고 썼다.[51] 이 그림은 1831년 파리 살롱에서 처음 전시되었다.
그림 중앙에 총검이 달린 머스킷총을 왼손에 들고 프랑스 국기를 오른손에 든 여성은 프랑스의 상징인 마리안느를 대표적으로 나타낸다.[38] 프랑스 7월 혁명이라는 주제와 낭만주의 화풍은 이 그림을 낭만주의 회화의 대표작으로 꼽히게 한다.
원제 ''La Liberté guidant le peuple''에서 알 수 있듯이, 여성은 자유를, 유방은 모성, 즉 조국을 의미하는 등, 들라크루아는 이 그림에서 다양한 이념을 알레고리로 표현했다. 그녀가 쓰고 있는 프리기아 모자는 프랑스 혁명 동안 자유를 상징하게 되었다. 머스킷총을 들고 여성의 뒤를 따르는 실크 해트를 쓴 남성은 들라크루아 자신으로 설명되는 경우가 많다.[39] 여성 오른쪽에 쌍권총을 든 소년은 누구를 모델로 했는지는 불분명하다.
1831년 5월 파리 살롱에 출품된 이 작품은 프랑스 정부가 혁명을 기념하기 위해 3,000 프랑에 사들였지만, 1832년 6월 봉기 이후 너무 정치적이고 선동적이라는 이유로 1848년 혁명까지 16년 동안 상시 전시되지 못했다. 1874년부터 현재까지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2013년 2월, 한 방문객이 검은색 펠트 펜으로 "AE911"라고 낙서하는 사건이 발생했지만, 표면에 바니시가 칠해져 있어 다음 날 복원되었다.[40] 9.11 테러나 9.11 테러 음모론 등이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41] 낙서를 한 여성은 정신 질환으로 인해 정신과 시설에 수용되었다.
2. 1. 제작 배경
들라크루아는 낭만주의 시대를 이끄는 대표적인 프랑스 화가였다.[51] 계몽주의 시대에 태어난 들라크루아는 낭만주의 사상과 양식에 영향을 받았으며, 정확한 묘사를 요구하는 당대 아카데믹 미술의 사조를 거부하고 자유로운 붓질을 특징으로 삼았다.들라크루아가 이 그림을 그린 시기는 1830년 가을 즈음으로 보인다. 1830년 10월 21일, 들라크루아는 동생에게 보낸 편지에서 "작업에 집중하는 것으로 나쁜 기분을 없애보려 하고 있어. 그림 소재는 현대적인 소재, 바리케이드에 손대어 보려고 한단다. 조국을 위해 싸우지 않았다면 최소한 조국을 위해 그림을 그려야 하겠지"라며 그림을 그리게 된 동기를 밝혔다. 그의 신작은 1831년 파리 살롱에서 처음 전시되었다.[4]
2. 2. 7월 혁명과 낭만주의

들라크루아가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을 그릴 당시, 그는 이미 프랑스 회화의 낭만주의 유파를 이끄는 지도자로 인정받고 있었다.[4] 계몽주의 시대가 낭만주의의 사상과 양식으로 변화할 때 태어난 들라크루아는 당시 아카데미 미술의 특징인 정확한 묘사에 대한 강조를 거부하고, 대신 자유롭게 붓질한 색채에 새로운 중요성을 부여했다.
들라크루아는 1830년 가을에 이 작품을 그렸다. 10월 21일, 그는 동생에게 보낸 편지에서 "힘든 작업 덕분에 나의 우울함이 사라지고 있다. 나는 현대적인 주제, 즉 바리케이드를 그리기 시작했다. 비록 조국을 위해 싸우지는 못했지만, 그녀를 위해 그림을 그릴 것이다."라고 썼다.[51] 이 그림은 1831년 파리 살롱에서 처음 전시되었다.
그림의 스타일과 프랑스 7월 혁명이라는 주제를 고려할 때, 이 그림은 낭만주의 회화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다. 중심에 그려진 총검이 달린 머스킷총을 왼손에 들고 프랑스 국기를 든 채 오른손으로 민중을 이끄는 과감한 여성은 프랑스의 상징인 마리안느의 모습을 대표적으로 나타낸 사례 중 하나이다.[38]
2. 3. 1831년 파리 살롱 전시
들라크루아가 이 그림을 그린 시기는 정황상 1830년 가을 즈음으로 보인다. 1830년 10월 21일 들라크루아는 동생에게 보낸 편지에서 "작업에 집중하는 것으로 나쁜 기분을 없애보려 하고 있어. 그림 소재는 현대적인 소재, 바리케이드에 손대어 보려고 한단다. 조국을 위해 싸우지 않았다면 최소한 조국을 위해 그림을 그려야 하겠지"라며 그림을 그리게 된 동기를 밝혔다.[51] 들라크루아의 신작은 1831년 파리 살롱에서 처음 전시되었다.3. 상세
이 그림은 낭만주의 회화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으며, 중심에 그려진 총검이 달린 머스킷총을 왼손에 들고 프랑스 국기를 든 채 오른손으로 민중을 이끄는 과감한 여성은 프랑스의 상징인 마리안느의 모습을 대표적으로 나타낸 사례 중 하나이다[38].
원제인 ''La Liberté guidant le peuple''에서 알 수 있듯이, 여성은 자유를, 유방은 모성, 즉 조국을 의미하는 등, 들라크루아는 이 그림에서 다양한 이념을 알레고리로 표현했다. 그녀가 쓰고 있는 프리기아 모자는 프랑스 혁명 동안 자유를 상징하게 되었다.
1831년 5월 파리 살롱에 출품되었고, 프랑스 정부는 혁명을 기념하기 위해 이 작품을 3000FRF에 사들였지만, 이듬해 1832년 6월 봉기 이후 너무 정치적이고 선동적이라는 이유로 1848년 혁명까지 16년 동안 상시 전시되지는 못했다. 1874년부터 현재까지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2013년 2월, 방문객이 검은색 펠트 펜으로 낙서를 하는 피해를 입었지만, 다음 날 복원되었다[40]. 표면에 바니시가 칠해져 있어서 낙서가 아래의 물감으로 스며들지 않아 복원이 가능했다. 낙서는 "AE911"로 쓰여 있었고, 9.11 테러나 9.11 테러 음모론 등이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지적되었다[41]. 낙서를 한 여성은 9/11 truth movement에 소속되어 있었으며, 정신적으로 불안정하여 재판에 출두하기 전날 정신과 관련 시설에 수용되었다.
3. 1. 구성 및 상징
들라크루아는 자유라는 개념을 알레고리화된 여신인 동시에 민중의 강인한 여성으로 묘사하였다. 시체와 잔해더미는 맨발과 가슴을 노출한 '자유'가 캔버스 너머 관람객의 공간으로 걸어들어가는 받침대의 역할을 하고 있다. '자유'가 쓰고 있는 프리기아 모자는 1789년 프랑스 혁명 당시 자유를 상징하는 것이었다. [47]'자유'를 뒤따르는 시위자들은 다양한 사회계층을 대표하고 있다. 그 중에는 귀족의 실크해트를 쓴 부르주아 계급의 남자, 이각모를 쓴 학생, 그리고 권총을 든 소년으로 표현된 도시 노동자 내지는 혁명주도자도 있다. 이들의 공통점은 치열함과 결의로 가득찬 눈빛이다. 작중 '자유'가 들고 있는 삼색기 외에도 저 멀리 노트르담 대성당의 탑에 걸려 있는 삼색기가 뚜렷하게 보인다.[48]
실크해트를 쓴 남자에 관해서는 실존인물이라는 설도 있으며 그 정체에 관해서도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한때 들라크루아의 자화상이라는 설도 있었으나 오늘날 학계에서는 이를 부정하고 있다. 19세기 후반에는 연극감독 에티엔 아라고를 모델로 삼았다는 설도 제기되었고, 훗날 루브르 박물관의 큐레이터가 되는 프레데리크 비요라는 설도 있으나, 정확히 누구인지에 관한 학계의 합의는 이뤄지지 않았다.[49]
인물들 가운데 몇몇은 삽화가 니콜라스 샤를레의 작품에서 따왔다는 해석도 존재한다. 니콜라스 샤를레는 당시 파리 시민들의 독특한 생동감을 잘 살려냈다는 평가를 받는 당대 인기 화가로서 들라크루아가 참고하지 않을 수 없었다는 평가다.[50]
3. 2.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
들라크루아는 자유의 개념을 알레고리화된 여신이자 강인한 민중의 여성으로 동시에 묘사하였다. '자유'를 뒤따르는 시위자들은 다양한 사회 계층을 대표하는데, 귀족의 실크해트를 쓴 부르주아 계급의 남자, 이각모를 쓴 학생, 권총을 든 소년으로 표현된 도시 노동자 내지는 혁명 주도자가 그 예이다. 이들은 모두 치열함과 결의로 가득 찬 눈빛을 하고 있다.[48]실크해트를 쓴 남자는 실존인물이라는 설이 있으며, 그 정체에 관해서는 여러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한때 들라크루아의 자화상이라는 설도 있었으나 오늘날 학계에서는 이를 부정하고 있다. 19세기 후반에는 연극감독 에티엔 아라고를 모델로 삼았다는 설, 훗날 루브르 박물관의 큐레이터가 되는 프레데리크 비요라는 설도 제기되었으나, 정확히 누구인지에 관한 학계의 합의는 이뤄지지 않았다.[49]
몇몇 인물들은 삽화가 니콜라스 샤를레의 작품에서 따왔다는 해석도 존재한다. 니콜라스 샤를레는 당시 파리 시민들의 독특한 생동감을 잘 살려냈다는 평가를 받는 당대 인기 화가로서, 들라크루아가 그의 작품을 참고하지 않을 수 없었다는 평가를 받는다.[50]
3. 3. 논란이 된 인물
실크해트를 쓴 남자의 정체에 대해서는 여러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한때 들라크루아의 자화상이라는 설도 있었으나, 오늘날 학계에서는 이를 부정하고 있다.[49] 19세기 후반에는 연극감독 에티엔 아라고를 모델로 삼았다는 설과 루브르 박물관의 큐레이터가 되는 프레데리크 비요라는 설이 제기되었으나, 학계의 합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49]몇몇 인물들은 삽화가 니콜라스 샤를레의 작품에서 따온 것으로 보이는데, 들라크루아는 샤를레가 당시 파리 시민들의 독특한 생동감을 잘 포착했다고 평가했다.[50]
3. 4. 샤를레의 영향
몇몇 인물들은 삽화가 니콜라 샤를레의 작품에서 따왔다는 해석이 있다. 니콜라스 샤를레는 당시 파리 시민들의 독특한 생동감을 잘 살려냈다는 평가를 받는 당대 인기 화가로서 들라크루아가 참고하지 않을 수 없었다는 평가다.[50]4. 소장 및 전시 이력
1831년 프랑스 정부는 이 그림을 3,000 프랑에 구입하여, 7월 혁명으로 왕위에 오른 루이 필리프 1세의 혁명적 면모를 상기시키기 위해 뤽상부르궁 왕좌실에 걸어두려 했다. 그러나 이 계획은 실현되지 못했고, 그림은 뤽상부르궁 박물관 갤러리에 걸려 있다가 1832년 6월 봉기 이후 정치적 메시지가 혁명에 동조한다는 이유로 철거되어 들라크루아에게 돌아갔다.
이후 그림은 들라크루아의 이모 펠리시테에게 맡겨져 보관되었다. 1848년 프랑스 혁명으로 프랑스 제2공화국이 수립되면서 잠시 전시되었고, 프랑스 제2제국 시기인 1855년 파리 살롱에 다시 전시되었다. 프랑스 제3공화국 시대인 1874년, 마침내 루브르 박물관의 소장품이 되었다.
1974년, 미국 독립 200주년을 기념하여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과 디트로이트 미술관에서 특별전이 열렸고, 이 그림은 대여 전시되어 미국 관람객들에게 공개되었다. 1999년에는 '일본 내 프랑스의 해'를 기념하여 도쿄 국립 박물관 특별전에 대여 전시되었으며, 이때 에어버스 벨루가를 이용하여 운송되었다.
2012년, 루브르랑스로 이전되었으나, 2013년 한 방문객이 그림을 훼손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AE911'이라는 글귀가 쓰였으나, 곧바로 복원되어 전시가 재개되었다.
4. 1. 프랑스 정부의 구입과 철거
1831년 프랑스 정부는 이 그림을 3,000 프랑에 구입했다. 이 그림은 7월 혁명으로 왕위에 오른 루이 필리프 1세의 혁명적 면모를 상기시키기 위해 뤽상부르궁 왕좌실에 걸 예정이었으나, 실제로는 왕좌실에 걸리지 못하고 몇 달 동안 뤽상부르궁 박물관 갤러리에 걸려 있었다. 1832년 6월 봉기 이후 그림 속의 정치적 메시지가 혁명에 동조한다는 이유로 철거되어 작가 들라크루아에게 돌아갔다. 알베르 부아메 (Albert Boime)는 당시 상황을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52]> 1848년 8월 샹플뢰리는 "혁명적인 느낌이 과하다는 이유로 다락방에 숨겨졌다"는 기록을 남겼다. 루이 필리프 국왕의 내무부가 좌파의 상징으로서 구입하였지만서도, 1832년 6월 라마르크의 장례식에서 봉기가 벌어진 이래 나쁜 본보기가 될 것을 두려워하여 다시는 공개적으로 전시되지 못했던 것이다.
이에 들라크루아는 그림을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 이모 펠리시테 (Félicité)에게 맡길 것을 정부로부터 승인받았다. 1848년 프랑스 혁명 이후 프랑스 제2공화국이 수립되자 잠시 전시되었고, 프랑스 제2제국 시기인 1855년 파리 살롱에 다시 전시되었다. 프랑스 제3공화국 시대인 1874년 파리 루브르 박물관의 소장품이 되었다.
1974년 미국 독립 200주년을 기념하여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과 디트로이트 미술관에서 특별전 〈프랑스 회화 1774-1830: 혁명의 시대〉 (French Painting 1774-1830: The Age of Revolution)에 대여 전시되어 1975년까지 미국 관람객들을 찾았다. 당시 들라크루아의 작품과 더불어 희귀 회화작품 148점이 프랑스를 떠나 미국으로 건너왔다.[53] 전시는 1974년 11월 16일부터 1975년 2월 3일까지 파리의 그랑팔레, 1975년 3월 5일부터 5월 4일까지 미국 디트로이트, 1975년 6월 12일부터 9월 7일까지 미국 뉴욕에서 열렸다.[54]
1999년 일본에서 프랑스의 해를 맞이하여 도쿄 국립 박물관 특별전을 통해 대여전시가 되었다. 그림의 크기가 보잉 747의 수용공간을 넘어섰던 관계로 전용기인 에어버스 벨루가를 동원, 보호장치와 진동방지 처리가 된 특수 가압 용기로 포장하여, 바레인과 인도 캘커타를 거쳐 일본 도쿄로 건너왔다.[55]
2012년 파드칼레주 랑스에 위치한 루브르 박물관의 분관인 루브르랑스로 이전되었다.[56] 2013년 2월 7일 루브르랑스의 한 방문객이 그림을 훼손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범인은 28세의 여성으로 그림에 'AE911'이란 글귀를 썼으며 보안요원과 방문객에 의해 즉시 체포되었다. 사건 다음날 루브르 박물관 관계자들은 원화를 손상시키지 않은 채로 두 시간에 걸쳐 복원작업에 나서 글귀를 제거, 그 날 아침에 전시를 재개했다고 알려졌다.[57]
4. 2. 1848년 혁명 이후
1831년 프랑스 정부는 이 그림을 3,000프랑에 구입했다. 이는 7월 혁명으로 왕위에 오른 루이 필리프 1세의 혁명적 면모를 상기시키기 위해 뤽상부르궁 왕좌실에 걸기 위한 목적이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왕좌실에 걸리지 못하고 몇 달 동안 뤽상부르궁 박물관 갤러리에 걸려 있다가, 1832년 6월 봉기 이후 그림 속의 정치적 메시지가 혁명에 동조한다는 이유로 철거되어 원작자 들라크루아에게 돌아갔다. 알베르 부아메(Albert Boime)는 당시 상황을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52]> 1848년 8월 샹플뢰리는 "혁명적인 느낌이 과하다는 이유로 다락방에 숨겨졌다"는 기록을 남겼다. 루이 필리프 국왕의 내무부가 좌파의 상징으로서 구입하였지만서도, 1832년 6월 라마르크의 장례식에서 봉기가 벌어진 이래 나쁜 본보기가 될 것을 두려워하여 다시는 공개적으로 전시되지 못했던 것이다.
이에 들라크루아는 그림의 안전한 보관을 위해 이모 펠리시테(Félicité)에게 맡길 것을 정부로부터 승인받았다. 1848년 프랑스 혁명 이후 프랑스 제2공화국이 수립된 것을 기념하여 잠깐 전시되었으며, 이후 프랑스 제2제국 시기인 1855년 파리 살롱에 다시금 전시되었다. 프랑스 제3공화국 시대에 이르러 1874년 파리 루브르 박물관의 소장품이 되었다.
1974년 미국 독립 200주년을 기념하여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과 디트로이트 미술관에서 기획한 특별전 〈프랑스 회화 1774-1830: 혁명의 시대〉(French Painting 1774-1830: The Age of Revolution)에 대여 전시되어 이듬해 1975년까지 미국 관람객들을 찾았다. 당시 들라크루아의 작품과 더불어 희귀 회화작품 148점이 프랑스를 떠나 미국으로 건너왔다.[53] 전시는 총 3차례에 걸친 순회전시로 기획되었으며 1974년 11월 16일~1975년 2월 3일 파리의 그랑팔레, 1975년 3월 5일~5월 4일 미국 디트로이트, 1975년 6월 12일~9월 7일 미국 뉴욕에서 전시가 열렸다.[54]
1999년 일본에서 프랑스의 해를 맞이하여 기획된 도쿄 국립 박물관 특별전을 통해 다시 한번 대여전시가 성사되었다. 당시 그림의 크기가 보잉 747의 수용공간을 넘어섰던 관계로 전용기인 에어버스 벨루가를 동원, 보호장치와 진동방지 처리가 된 특수 가압 용기로 포장하여, 바레인과 인도 캘커타를 거쳐 일본 도쿄로 건너왔다.[55]
2012년 파드칼레주 랑스에 위치한 루브르 박물관의 분관인 루브르랑스로 이전되었다.[56] 2013년 2월 7일 루브르랑스의 한 방문객이 그림을 훼손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범인은 28세의 여성으로 그림에 'AE911'이란 글귀를 썼다고 전해졌으며 보안요원과 방문객에 의해 즉시 체포되었다. 사건 다음날 루브르 박물관 관계자들은 원화를 손상시키지 않은 채로 두 시간에 걸쳐 복원작업에 나서 글귀를 제거, 그날 아침에 전시를 재개했다고 알려졌다.[57]
4. 3. 미국, 일본 등 해외 전시
1974년, 미국 독립 200주년을 기념하여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과 디트로이트 미술관에서 특별전 〈프랑스 회화 1774-1830: 혁명의 시대〉가 열렸다. 이 전시에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이 대여 전시되어 1975년까지 미국 관람객들에게 공개되었다.[53] 전시는 1974년 11월 16일부터 1975년 2월 3일까지 파리 그랑팔레, 1975년 3월 5일부터 5월 4일까지 미국 디트로이트, 1975년 6월 12일부터 9월 7일까지 미국 뉴욕에서 순차적으로 진행되었다.[54]1999년에는 '일본 내 프랑스의 해'를 기념하여 도쿄 국립 박물관 특별전에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이 대여 전시되었다. 그림의 크기가 커서 보잉 747에는 실을 수 없었기 때문에, 에어버스 벨루가를 이용하여 바레인과 인도 캘커타를 거쳐 일본 도쿄로 운송되었다.[55] 일본에서는 이 그림을 기념하는 우표가 발행되기도 했다.[42]
4. 4. 훼손 사건과 복원
1999년 일본에서 프랑스의 해를 맞이하여 도쿄 국립 박물관 특별전을 기획하면서 이 그림은 다시 한번 대여 전시되었다. 당시 그림 크기가 보잉 747의 수용 공간을 넘어섰기 때문에 전용기인 에어버스 벨루가를 동원, 보호 장치와 진동 방지 처리가 된 특수 가압 용기로 포장하여 바레인과 인도 캘커타를 거쳐 일본 도쿄로 옮겨졌다.[55]2012년에는 파드칼레주 랑스에 위치한 루브르 박물관의 분관인 루브르랑스로 이전되었다.[56] 2013년 2월 7일, 루브르랑스에서 한 방문객이 그림을 훼손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범인은 28세 여성으로, 그림에 'AE911'이라는 글귀를 썼으며, 보안 요원과 다른 방문객에 의해 즉시 체포되었다. 사건 다음 날, 루브르 박물관 관계자들은 원화를 손상시키지 않은 채 두 시간에 걸쳐 복원 작업을 진행하여 글귀를 제거하고, 그날 아침에 전시를 재개했다고 발표했다.[57]
5.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
들라크루아의 그림은 프랑스와 프랑스 공화국을 상징하는 인물인 마리안의 초기 버전 중 하나로 널리 알려져 있다.[22] 이 그림은 다양한 예술 작품과 대중문화에 영감을 주었다.
2011년 10월 20일 BBC 라디오 4 시리즈 ''인 아워 타임'' 에피소드에서 진행자 멜빈 브래그가 이 그림에 대한 패널 토론을 진행했다.[33]
5. 1. 문학, 예술, 음악에 끼친 영향
들라크루아의 그림은 빅토르 위고의 소설 ''레 미제라블''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 특히 소설 속 등장인물인 가브로쉬는 총을 든 소년이 바리케이드를 넘어가는 그림 속 모습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23][24][25][26][44]이 그림은 프레데리크 오귀스트 바르톨디의 자유의 여신상(정식 명칭: 세계를 비추는 자유)에도 영감을 주었다.[27] 자유의 여신상은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이 그려진 지 반세기 후에 프랑스가 미국에 선물한 것이다. 그림 속 여성과 달리 자유의 여신상은 횃불을 들고 있으며, 더 안정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1978년부터 1995년까지 100프랑 지폐에 이 그림의 일부를 새긴 버전과 들라크루아의 묘사가 실렸다.
클래식 음악 분야에서는 조지 안테일이 자신의 교향곡 6번의 제목을 '들라크루아 이후'라고 붙였고, 이 작품이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밝혔다.[28]
이 이미지는 로버트 발라흐에 의해 1979년 아일랜드 독립 투쟁을 기념하기 위해 아일랜드 우표에 적용되었으며, 이는 패트릭 피어스의 탄생 100주년이었다.[29]

이 그림은 밴드 콜드플레이의 2008년 앨범 ''Viva la Vida or Death and All His Friends'' 커버에 사용되었으며, "Viva La Vida"라는 문구가 흰색으로 쓰여 있었다.[30] 일본 밴드 Dragon Ash의 앨범 ''Viva La Revolution''의 CD 재킷에도 이 그림을 본뜬 그림이 사용되었다.[45]
리고베르타 반디니는 2021년 노래 Ay mamá의 코러스에서 이 그림을 언급했다.[31]
핀탄 오툴의 2010년 저서 ''더 이상은 충분하다: 새로운 공화국을 건설하는 방법''의 표지는 그림을 참조하지만, 캐슬린 니 홀리한이 당시 세 주요 정당의 지도자들(브라이언 카웬, 엔다 케니, 에이먼 길모어)이 땅에 누워 있는 동안 더블린에서 아일랜드 삼색기를 들고 있다.[32]
2014년 방송된 「피치 존」의 CM에서는 로라가 본 그림 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연출이 있다.[46]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은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시리즈 ''공각기동대 SAC_2045''의 11번째 에피소드("EDGELORD – 14세 혁명")에 등장했다.
이 그림은 송중기가 출연한 2021년 한국 TV 시리즈 ''빈센조''의 7화에 등장했다. 이 시리즈는 넷플릭스에서도 시청할 수 있다.
2018년 10월 22일, 2018–2019 가자 지구 국경 시위 동안 아에드 아부 암로의 사진이 무스타파 하소나에 의해 촬영되었고, 일부는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의 의인화로 여겨졌다.[34]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은 키아누 리브스가 출연하는 2023년 영화 존 윅 4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두 번째 액트의 마지막 부분에서, 주요 악당인 마르키스 빈센트 드 가르몽(빌 스카스가드)은 장면 촬영을 위해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았던 루브르 박물관 내부의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 앞에 서 있는 모습이 보인다.[35]
배우들은 2024년 올림픽 개막식에서 콩시에르주리에서 그림을 재현했다. 재현 과정에서 그들은 ''레 미제라블''의 프랑스어 버전인 "민중의 노래"와 함께했다.[36][37]
5. 2.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속 등장
이 그림은 빅토르 위고의 1862년 소설 ''레 미제라블''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특히 가브로쉬는 총을 든 소년이 바리케이드를 넘어가는 모습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널리 알려져 있다.[23][24][25][26] 소설은 그림에서 기념된 혁명 이후 2년 후 일어난 6월 봉기의 사건들을 묘사하며, 이 봉기로 인해 그림이 대중의 시야에서 사라졌다. 또한 뮤지컬 레 미제라블에서 "민중의 노래"와 함께 2024년 올림픽 개막식에서 콩시에르주리에서 재현되기도 하였다.[36][37]이 그림은 콜드플레이의 2008년 앨범 ''Viva la Vida or Death and All His Friends''의 커버에 사용되었으며, "Viva La Vida"라는 문구가 흰색으로 쓰여 있었다.[30] Dragon Ash의 앨범 ''Viva La Revolution''의 CD 재킷에도 이 그림을 본뜬 그림이 사용되었다.[45]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은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시리즈 ''공각기동대 SAC_2045''의 11번째 에피소드("EDGELORD – 14세 혁명")에 등장했다. 또한 송중기가 출연한 2021년 한국 TV 시리즈 ''빈센조''의 7화에도 등장했다. 이 시리즈는 넷플릭스에서도 시청할 수 있다.
이 그림은 키아누 리브스가 출연하는 2023년 영화 ''존 윅 4''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두 번째 액트의 마지막 부분에서, 주요 악당인 마르키스 빈센트 드 가르몽(빌 스카스가드)은 장면 촬영을 위해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았던 루브르 박물관 내부의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 앞에 서 있는 모습이 보인다.[35]
2014년 방송된 「피치 존」의 CM에서는 로라가 본 그림 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연출이 있다.[46]
5. 3. 가자 지구 시위 사진
2018년 10월 22일, 2018–2019 가자 지구 국경 시위 동안 무스타파 하소나가 아에드 아부 암로의 사진을 촬영했는데, 일부에서는 이 사진을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을 의인화한 것으로 보았다.[34]참조
[1]
웹사이트
July 28: Liberty Leading the People
http://www.louvre.fr[...]
2015-05-14
[2]
뉴스
Cry freedom
https://www.theguard[...]
2023-12-08
[3]
서적
A history of the breast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1997
[4]
문서
[5]
서적
The Rise of the Romantics 1789–1815: Wordsworth, Coleridge, and Jane Austen
Clarendon Press
1889
[6]
서적
Art in an Age of Counterrevolution, 1815–1848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4
[7]
서적
La Liberté guidant le peuple de Delacroix
https://books.google[...]
Editions de la Réunion des Musées Nationaux
[8]
문서
[9]
서적
Art in an Age of Civil Struggle, 1848–1871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8-02-01
[10]
뉴스
At the Institute of Arts, A Heroic Show from France
https://freep.newspa[...]
1975-03-02
[11]
서적
French painting 1774–1830, the Age of Revolution
https://books.google[...]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12]
웹사이트
Airbus A300-600ST Super Transporter
http://www.allaboutg[...]
All About Guppys
2013-02-26
[13]
뉴스
Louvre opens 'glass river' on Lens slagheap
https://www.theguard[...]
2012-12-04
[14]
뉴스
Delacroix Liberty painting defaced by woman with marker pen at Louvre exhibition
https://www.independ[...]
2013-02-08
[15]
뉴스
The mystery of AE911 Cryptic code scrawled on Delacroix's vandalised masterpiece
https://www.independ[...]
2013-02-08
[16]
뉴스
La liberté guidant le peuple de Delacroix dégradée au Louvre-Lens
http://tempsreel.nou[...]
2013-02-07
[17]
뉴스
Louvre-Lens: "La liberté guidant le peuple" de Delacroix a été tagué à l'encre indélébile
http://nord-pas-de-c[...]
2013-02-07
[18]
뉴스
France's iconic 'Liberty' painting gets Louvre facelift
https://www.france24[...]
2024-08-07
[19]
뉴스
'Liberty Leading the People' returns to Louvre, restored
https://www.lemonde.[...]
2024-08-07
[20]
뉴스
‘Liberty Leading the People’ Returns to the Louvre After a Breathtaking Restoration
https://www.smithson[...]
2024-08-07
[21]
뉴스
The Louvre Unveils Its Iconic Delacroix After a Stunning Restoration
https://news.artnet.[...]
2024-05-01
[22]
서적
Monuments & Maidens: The Allegory of the Female For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3]
서적
The Routledge Dictionary of Cultural References in Modern French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4]
서적
Imagery and Ideology: Fiction and Painting in Nineteenth-Century France
https://books.google[...]
Associated University Presse
[25]
서적
Eugène Delacroix, 1798–1863: The Prince of Romanticism
https://books.google[...]
Taschen
[26]
문서
1969
[27]
AV media
Part 3, Liberty Leading the People
http://cliponload.co[...]
BBC
[28]
웹사이트
George Antheil, Symphonies #1 & 6. Frankfurt Radio Symphony Orchestra/Hugh Wolff
http://www.classical[...]
2012-06-12
[29]
웹사이트
Eugène Delacroix (1798–1863)
http://heindorffhus.[...]
2013-02-26
[30]
뉴스
Coldplay, Viva la Vida or Death and All His Friends
https://www.theguard[...]
2008-06-05
[31]
뉴스
¿Quién es Eugène Delacroix y por qué le canta Rigoberta Bandini en 'Ay mama'?
https://www.europafm[...]
2022-01-29
[32]
서적
Enough is Enough: How to Build a New Republic
https://www.bibdsl.c[...]
Faber & Faber
2010-10-28
[33]
episode
Delacroix's Liberty Leading the People
http://www.bbc.co.uk[...]
2018-07-03
[34]
뉴스
Gaza protest image likened to famous Delacroix painting
https://www.bbc.com/[...]
2023-05-20
[35]
journal
John Wick 4 Really Did Film In The Louvre (But They Didn't Push Their Limits)
https://www.looper.c[...]
2023-05-24
[36]
웹사이트
Olympic Games 2024, Opening Ceremony: Explanation of Cultural References and Winks
https://www.sortirap[...]
2024-07-30
[37]
웹사이트
From 'Les Mis' to Gojira: Opening Ceremony music celebrates liberation
https://www.youtube.[...]
NBC Sports
2024-07-26
[38]
간행물
日経おとなのOFF
日経BPマーケティング
2018-07
[39]
Youtube
ドラクロワの誕生日「ぐでたま」4/26(金) 毎朝5:30ごろ『あさチャン!』見てね!【TBS】
https://www.youtube.[...]
TBS公式YouTubeチャンネル
[40]
뉴스
ドラクロワ名画に女が落書き=「民衆を導く自由の女神」を修復-ルーブル美術館分館
http://www.jiji.com/[...]
2013-02-09
[41]
뉴스
巨匠ドラクロワの「自由の女神」、落書きされる フランス
https://www.afpbb.co[...]
2013-02-09
[42]
문서
프랑스에서는, 일본문화회관의 회관 기념으로서 백제관음과 회관을 디자인한 기념 우표가 발행되었다.
[43]
서적
명화로 읽는 부르봉 왕조 12개의 이야기
광문사
[44]
문서
Mould, Michael, ''The Routledge Dictionary of Cultural References in Modern French'', Taylor & Francis, 2011, p.112.; . Berg, William, ''Imagery and Ideology: Fiction and Painting in Nineteenth-Century France'', Associated University Presse, 2007, p.106.
[45]
웹사이트
"@Victor Entertainment"
https://www.jvcmusic[...]
[46]
웹사이트
로라, 허벅지 드러내고 속옷 CM에서 "여신"으로 변신
https://beauty.orico[...]
eltha
2014-08-27
[47]
서적
The Rise of the Romantics 1789–1815: Wordsworth, Coleridge, and Jane Austen
Oxford: Clarendon Press
1990
[48]
서적
Art in an Age of Counterrevolution, 1815–1848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4
[49]
문서
Pool 1969, p.33.
[50]
영상
Part 3, Liberty Leading the People
http://cliponload.co[...]
BBC
[51]
문서
Noon et al. 2003, p. 58.
[52]
서적
Art in an Age of Civil Struggle, 1848–1871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8-02-01
[53]
뉴스
At the Institute of Arts, A Heroic Show from France
https://freep.newspa[...]
1975-03-02
[54]
서적
French painting 1774–1830, the Age of Revolution
https://books.google[...]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55]
웹인용
Airbus A300-600ST Super Transporter
http://www.allaboutg[...]
All About Guppys
2013-02-26
[56]
뉴스
Louvre opens 'glass river' on Lens slagheap
https://www.theguard[...]
2012-12-04
[57]
뉴스
The mystery of AE911 Cryptic code scrawled on Delacroix's vandalised masterpiece
https://www.independ[...]
2013-0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