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오딩 육군군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오딩 육군군관학교는 1902년 즈리성 바오딩에 설립된 청나라 말기 육군 장교 양성 학교이다. 위안스카이의 신군을 훈련시키고 신해혁명에 기여했으며, 이후 육군대학으로 개편되었다가 바오딩으로 돌아와 육군군관학교가 되었다. 1923년 폐교될 때까지 2년 과정으로 보병, 기병, 포병 등을 교육했으며,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모델로 삼았다. 장제스, 바이충시 등 중국 근현대사의 주요 인물들을 배출했으며, 군벌 시대와 국공내전, 대한민국 독립운동에도 영향을 미쳤다. 1993년 학교 부지에 기념관이 건립되었고, 2006년 국가급 역사 유적지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허베이성의 건축물 - 베이푸디
베이푸디 유적은 중국 북부에 위치한 기원전 6500년에서 7000년 사이의 신석기 시대 유적으로, 석기 도구, 토기, 주거지, 제사 유적과 특히 다수의 인간 및 동물 형상 도기 가면을 통해 고대 문화의 믿음과 의례적 관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동북아시아 고대 문명 연구 및 주변 지역과의 문화 교류 가능성을 시사한다. - 중화민국의 군사 학교 - 윈난 육군강무학교
윈난 육군강무학교는 1909년 윈난성 쿤밍에 설립되어 신해혁명과 호국전쟁의 혁명군 거점 역할을 했고, 차이어를 비롯한 졸업생들은 윈난 파를 형성하여 중화민국 초기에 영향을 미쳤으며, 주더, 예젠잉 등 중국 공산당 주요 인사를 배출했고, 현재 건물은 박물관으로 보존되어 있다. - 중화민국 국방대학 - 국방대학 (중화민국)
국방대학은 1906년 난징 육군군관학교로 개교하여 1946년 타이완 타오위안시로 이전한 중화민국의 국립 국방안보행정대학교로, 육군대학 등을 통합하여 2000년 현재의 대학으로 개편되었으며, 다양한 부속 학원들을 운영하고 잉거역에서 접근 가능하다. - 중화민국 국방대학 - 윈난 육군강무학교
윈난 육군강무학교는 1909년 윈난성 쿤밍에 설립되어 신해혁명과 호국전쟁의 혁명군 거점 역할을 했고, 차이어를 비롯한 졸업생들은 윈난 파를 형성하여 중화민국 초기에 영향을 미쳤으며, 주더, 예젠잉 등 중국 공산당 주요 인사를 배출했고, 현재 건물은 박물관으로 보존되어 있다.
바오딩 육군군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바오딩 육군군관학교 |
원어 이름 | 保定陸軍軍官學校 |
원어 이름 (언어) | zh-hans |
학교 정보 | |
이전 이름 | 해당 없음 |
상태 | 완료 |
건물 유형 | 역사 유적지 |
주소 | 허베이성 바오딩 롄츠구 둥펑로 585번지 |
연혁 | |
기공 날짜 | 해당 없음 |
착공 날짜 | 해당 없음 |
완공 날짜 | 해당 없음 |
완공 | 1902년 |
폐교 | 1923년 8월 31일 |
설립 | 1885년 11월 11일 |
건축 세부 정보 | |
층수 | 해당 없음 |
2. 전신
1885년, 이홍장은 군 개혁의 일환으로 독일 고문단을 초빙하여 중국 육군 장교를 양성하기 위해 톈진 무비학당(天津武備學堂)을 설립했다.[1][2] 안휘군 사령관 저우성촨의 지지를 받았다.[2] 이 학당은 안휘군과 녹영군 장교들을 위해 운영되었으며, 다양한 실용 군사학, 수학 및 과학 과목이 가르쳐졌다. 강사진은 독일 장교들이었다.[2] 1887년에는 새로운 육군 장교 양성을 위해 5년 과정의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3] 수학, 실용 및 기술 과목, 과학, 외국어, 중국 고전 및 역사가 가르쳐졌고, 학생들에게 시험이 시행되었다. 톈진 무비학당의 교육 방식은 웨이하이웨이 및 산하이관 군사학교에서 모방되었다.[3] '해상 방어 기금'이 톈진 무비학당의 예산을 지원했으며, 이는 톈진 해군 사관학교와 공유되었다.[3]
1902년, 위안스카이는 즈리성의 수도인 바오딩에 사관학교를 설립했다. 바오딩은 1901년까지 톈진 근처 샤오잔에 주둔했던 신군의 본부였다. 의화단 의정서에 따라 청나라 정부는 톈진을 비무장화해야 했고, 신군은 바오딩으로 이전되었다. 톈진 무비 학당을 잃고 열강의 위협에 놓인 청에게 근대적인 장교 육성은 급선무였다.
바오딩 육군군관학교는 하급 장교 양성을 목적으로 했으며, 교육 기간은 2년이었다. 보병, 기병, 포병, 공병, 치중병의 5개 병과로 나뉘어 운영되었다.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모델로 하였으며, 교관 또한 일본 육군사관학교 졸업자가 많았다.[1] 초대 정식 교장은 자오리타이였다.[1]
바오딩 육군군관학교는 중국 근대 군사 교육의 요람으로, 수많은 군사 지도자를 배출했다. 특히,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지원한 장제스를 비롯하여, 바이충시, 황사오훙 등은 중국 근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친 주요 인물들이다.
1886년 톈진 무비학당은 삼국지연의를 커리큘럼의 일부로 채택했다.[4] 졸업생 중에는 왕잉카이와 돤치루이가 있었고, 교직원 중에는 인창이 있었다.
바오딩 육군군관학교의 전신은 청나라의 북양 군벌 육군 속성 학당, 육군군관학당이며, 위안스카이가 중화민국 총통 재임 중에 개설되었다.
3. 역사
1902년부터 1912년까지 바오딩 사관학교는 '''베이양 육군 속성 무술 학원''' 등 여러 이름을 사용했다. 이 학교는 청나라 말기 위안스카이의 집권에 중요한 역할을 했고, 신해혁명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 신군 장교를 훈련시켰다.[7]
1903년 4월, 위안스카이는 각국의 군사 교육을 연구하여 陆军小学堂|육군소학당중국어, 중학당, 대학당의 3단계 교육 방침을 제창했다. 이듬해 1904년 9월, 병관학당을 더한 4단계 정규 학당을 『육군학당판법』으로 정하고 각지에 학당을 개설했다. 그러나 기간이 너무 길다는 불만이 있어 속성학당 개설이 승인되었다.[7]
1903년 10월, 바오딩 동교에 북양군정사 연병처 관할 '''북양 육군 속성 무비 학당'''이 개교했다. 군의학당, 마의학당, 군기학당, 경리학당 등도 개교했지만, 이후 무비학당의 사범반, 군기반, 경리반 등으로 흡수되었다.[7]
1906년 8월, 북양 육군부 관할이 되어 '''육군 속성 학당''' (육군 협화 속성 학당이라고도 함)으로 개칭[7]하고, 정원 800명, 2년제 실습으로 바뀌었다. '''육군군관학당''' 및 '''육군 예비 대학당'''이 병설되었다.
1912년, 위안스카이가 중화민국 임시 대총통이 된 후, 학교는 잠시 베이징으로 이전되어 육군 학원이 되었다. 1912년 10월, 다시 바오딩으로 이전하여 정식으로 바오딩 육군군관학교가 되었다.
1920년, 급료 미지급으로 인해 교내 폭동 및 방화 사건이 발생했다. 1923년 8월, 폐교되었다.
4. 교육 과정
5. 역대 교장
이름 재임 기간 자오리타이(趙理泰) 1912년 10월 - 12월 15일 장팡전 1912년 12월 15일 - 1913년 9월 취퉁펑(曲同豊) 1913년 9월 - 1915년 9월 왕루시엔(王汝賢) 1915년 9월 - 1916년 6월 양주더(楊祖徳) 1916년 8월 - 1919년 2월 자더야오 1919년 3월 - 1921년 5월 장홍쉬(張鴻緒) 1921년 6월 - 1922년 9월 쑨수린(孫樹林) 1922년 10월 - 1923년 8월
6. 주요 교관
7. 주요 동문
7. 1. 북양행영장변학당
7. 2. 북양 육군 속성 무비 학당
7. 3. 북양 육군부 육군 속성 학당
7. 4. 육군군관학당
7. 5. 바오딩 육군군관학교 1기
병과 | 명단 |
---|---|
보병과 (565명) | 탕성즈, 이수춘, 손진, 이품선, 왕천배, 양애원, 손초, 부여균, 장월정, 하수훈, 추림, 소병문, 문치중, 하요조, 만요황 |
기병과 (189명) | 정대장, 공호, 문병악, 장월, 영홍려, 왕진회 |
포병과 (185명) | 동송항, 주대, 위익삼, 영진, 등연존 |
공병과 (94명) | 장정번 |
자중병과 (81명) | |
이업 | 유문도, 조호삼, 장광내 |
7. 6. 바오딩 육군군관학교 2기
웅식휘, 유치, 진덕순, 요뢰, 축소주, 유상지, 유흥, 진기, 주란, 주전경, 왕무공(제1기 이업), 포문월, 견기인, 형진남, 노영이 보병과를 졸업했고, 유문휘, 항치장, 진명추가 포병과를 졸업했다.[5]7. 7. 바오딩 육군군관학교 3기
바오딩 육군군관학교 3기(1914년 8월 입학, 1916년 8월 졸업, 801명)는 다음과 같다.- 보병과 (505명): 백숭희, 장치중, 하건, 하위, 황소굉, 유화정, 모병문, 우달, 요순, 임훈남, 정앙롱, 유작백
- 기병과 (90명):
- 포병과 (127명): 유건서, 주암, 진착, 장의순, 서조이, 공경계, 려환염
- 공병과 (41명): 불명
- 자중병과 (38명): 불명
- 이업: 주봉기[5]
7. 8. 바오딩 육군군관학교 4기
胡宗鐸|후종탁중국어, 朱懷冰|주회빙중국어 등이 있다.7. 9. 바오딩 육군군관학교 5기
병과 | 주요 인물 |
---|---|
보병과 (382명) | 부작의, 장음오, 초계춘, 왕정국, 유익비, 연종산 |
기병과 (79명) | 조승수(자료에 중복되어 제거), 백유청 |
포병과 (91명) | 오극인(자료에 중복되어 제거) |
공병과 (38명) | 우영천(윤생), 엄립삼 |
자중병과 (40명) | 불명 |
일본 유학반 | 추작화 |
7. 10. 바오딩 육군군관학교 6기
고축동, 상관운상, 여한모, 등룡광, 오기위, 한덕근, 구양구, 조박생, 황진구, 묘배남, 주혼원, 진공협, 이한혼, 엽조, 완현무, 한한영, 주휘일, 주육영, 호조옥, 여서영, 공번영, 담수, 화진중, 이문전, 려경존, 유배서[5]7. 11. 바오딩 육군군관학교 7기
7. 12. 바오딩 육군군관학교 8기
주지유, 裴昌會|배창회중국어, 유응고, 王以哲|왕이철중국어, 劉珍年|유진년중국어 등이 바오딩 육군군관학교 제8기 출신이다.[5]8기 졸업생은 다음과 같다.
구분 | 명단 |
---|---|
보병과 (411명) | 주지유, 裴昌會|배창회중국어, 유응고, 王以哲|왕이철중국어, 劉珍年|유진년중국어, 호백한, 유춘영, 왕육영, 유봉빈, 유광제, 한석후, 공령순, 이사림, 왕경송, 사택파, 고정화, 고자거, 부중방, 진공달, 양효현, 김덕양 |
기병과 (65명) | 서량, 희은수 |
포병과 (97명) | 진성, 나탁영, 마법오, 유한동 |
공병과 (37명) | 왕동원 |
자중병과 (28명) | 불명 |
7. 13. 바오딩 육군군관학교 9기
하기봉, 장커샤, 리줴 등이 바오딩 육군군관학교 9기 출신이다. 9기는 1919년 8월에 입학하여 1923년 8월에 졸업했으며, 총 702명이 졸업했다.병과 | 인원 | 주요 인물 |
---|---|---|
보병과 | 423명 | 하기봉, 장커샤, 리줴, 주복성, 변장오, 송방영, 하국장, 시중성, 장수령, 장문청, 모중항, 유만춘, 하취지, 황연진 |
기병과 | 76명 | 이종필 |
포병과 | 121명 | 동진당, 곽기교, 여행서, 유다전, 왕진 |
공병과 | 40명 | 陳寶倉중국어, 임백손 |
자중병과 | 42명 | (불명) |
이업 | - | 전서당 |
7. 14. 졸업 연도 불명
- 고관오
- 임원도
- 무정 (9기 포병과?)
8. 기념
1993년, 바오딩 육군군관학교 부지에 학교와 그곳에서 공부한 11,000명의 사관생도를 기념하기 위해 기념관과 박물관이 건립되었다. 2006년, 이 기념관은 국가급 역사 유적지가 되었다.[6]
참조
[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4]
서적
Mapping Meanings: The Field of New Learning in Late Qing China ; [International Conference "Translating Western Knowledge Into Late Imperial China", 1999, Göttingen University]
https://books.google[...]
BRILL
2004-01
[5]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Republican China, Volume 3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0-06-28
[6]
뉴스
Xinhua
https://web.archive.[...]
Xinhua
2006-06-28
[7]
웹사이트
李金錚『論保定陸軍軍官学校』
http://jds.cass.cn/w[...]
中国社会科学院近代史研究所
2017-08-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