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쥐나무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쥐나무속은 층층나무과에 속하는 관목 또는 교목으로, 잎은 어긋나고 꽃은 흰색 또는 연한 노란색을 띠며 취산꽃차례를 이룬다. 열매는 핵과이며, 마디가 있는 꽃자루, 바늘꼴 포, 두 개의 외피를 가진 씨앗, 씨앗이 하나인 열매 등의 특징을 갖는다.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일부 종은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태평양 섬 등 넓은 지역에 걸쳐 분포한다. 한국에는 단풍박쥐나무와 박쥐나무가 자생하며, 중의학에서 약재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층층나무과 - 산수유
    산수유는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하는 낙엽 소교목으로, 봄에 노란 꽃, 가을에 붉은 열매를 맺으며 관상용으로 재배되고 열매는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된다.
  • 층층나무과 - 산딸나무
    산딸나무는 층층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소교목으로, 흰색 꽃턱잎이 십자가 모양을 이루는 꽃이 피고 딸기 모양의 붉은 열매가 열리며, 관상수, 식용, 약재 등으로 사용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박쥐나무속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단풍박쥐나무
Alangium platanifolium
학명Alangium
명명자Lam.
약 40종
모식종Alangium salviifolium
모식종 명명자Lamarck
생물학적 분류
식물계
미분류 문속씨식물군
미분류 강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목국화군
층층나무목
층층나무과
박쥐나무속 (Alangium)
속 명명Lam

2. 특징

박쥐나무속은 관목 또는 교목이며, 층층나무과 내 다른 속들과 구별되는 특징을 가진다. 자세한 내용은 중국 식물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9] 몇몇 종에 대해서는 상세한 식물학적 삽화도 제공된다.[10]

2. 1. 형태

잎은 홑잎으로 어긋나며 턱잎은 없다. 꽃은 흰색 또는 연한 노란색을 띠며 방사상칭이고 양성화이다. 잎겨드랑이에 취산꽃차례로 달리며, 꽃자루에는 마디가 있다. 꽃받침은 작고 절두형이며 가장자리에 4-10개의 톱니가 있다. 꽃잎은 4-10장으로 겹치지 않고 맞닿아 배열하며 대개 선형이다. 수술은 꽃잎과 같은 수이고 어긋나거나 2-4배수이며 안쪽에 털이 있다. 꽃밥은 2실이고 선형이며 세로로 열개(裂開)한다. 씨방은 하위이고 1-2실이며, 암술대는 단일하고 곤봉 모양이거나 2-3갈래이다. 핵과는 씨가 1개이며 꽃받침의 톱니와 화반(花盤) 위에 자리 잡고 있다.

박쥐나무속은 층층나무과 내의 다른 들과 비교하여 마디가 있는 꽃자루, 바늘꼴 포, 두 개의 외피를 가진 씨앗 및 씨앗이 하나인 열매를 가진다는 특징이 있다.[9] 잎은 잎 전체가 밋밋하거나 갈라지며 어긋나기로 배열된다. 양성화(드물게는 단성화)이고 꿀샘이 있는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취산꽃차례를 이룬다. 꽃은 4-10개의 작은 꽃받침과 4-10개의 선형 꽃잎을 갖는다. 4-40개의 수술이 한 개의 돌림꽃부리로 배열된다. 씨방은 하위자방이며 두 개의 방(때로는 단일방)을 갖는다. 열매는 핵과이다.[9]

2. 2. 해부학적 특징

박쥐나무속은 층층나무과의 다른 들과 비교하여 마디가 있는 꽃자루, 바늘꼴 포, 두 개의 외피를 가진 씨앗, 씨앗이 하나인 열매를 가진다는 특징이 있다.[9] 은 잎 전체가 밋밋하거나 갈라지며 어긋나기로 배열된다. 양성화(드물게는 단성화) 꿀샘이 있는 은 잎겨드랑이에서 취산꽃차례를 이룬다. 꽃은 4-10개의 작은 꽃받침과 4-10개의 선형 꽃잎을 갖는다. 4-40개의 수술이 한 개의 돌림꽃부리로 배열된다. 씨방은 하위자방이며 두 개의 방(때로는 단일방)을 갖는다. 열매는 핵과이다.[9]

3. 분포

박쥐나무속은 작은 나무, 관목, 덩굴식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부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남부 및 동부 아시아(중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열대 오스트레일리아, 서부 태평양 섬, 누벨칼레도니가 원산지이다.[2]

대부분의 종은 동아시아동남아시아열대아열대 지역에 고유종으로 분포한다.[2] 이 지역 밖으로 널리 분포하는 5종은 다음과 같다.


  • ''Alangium platanifolium'': 동아시아에서 러시아까지 분포.
  • ''Alangium chinense'' (광의): 동남아시아에서 아프리카까지 분포.
  • ''Alangium salviifolium'': 아프리카에서 오스트레일리아, 피지, 누벨칼레도니까지 분포하는 가장 넓은 분포 범위를 가진 종.
  • ''Alangium villosum'': 동남아시아에서 오스트레일리아 및 서부 태평양 제도까지 분포.
  • ''Alangium grisolleoides'': 마다가스카르에 고유종으로 분포.

3. 1. 한국의 분포

박쥐나무속은 한국에서 발견되는 나무, 관목, 덩굴식물이다. 박쥐나무속은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고유종으로 분포하는데, 이 중 5종은 이 지역 밖으로 널리 퍼져있다.[2] ''Alangium platanifolium''은 동아시아에서 러시아까지 분포하며, ''Alangium chinense'' (광의)는 동남아시아에서 아프리카까지 분포한다. ''Alangium salviifolium''은 아프리카에서 오스트레일리아, 피지, 누벨칼레도니까지 분포하는 가장 널리 분포하는 종이다.

3. 2.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박쥐나무속은 나무, 관목, 덩굴식물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종은 동아시아동남아시아열대, 아열대 지역에 고유종으로 분포한다.[2]

이 지역 외에 널리 분포하는 5종은 다음과 같다.

  • ''Alangium platanifolium'': 동아시아에서 러시아까지 분포.
  • ''Alangium chinense'' (광의): 동남아시아에서 아프리카까지 분포.
  • ''Alangium salviifolium'': 아프리카에서 오스트레일리아, 피지, 누벨칼레도니까지 분포하는 가장 넓은 분포 범위를 가진 종.
  • ''Alangium villosum'': 동남아시아에서 오스트레일리아 및 서부 태평양 제도까지 분포.

3. 3. 기타 지역

박쥐나무속은 작은 나무, 관목덩굴식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부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남부 및 동부 아시아(중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열대 오스트레일리아, 서부 태평양 섬, 누벨칼레도니가 원산지이다.[2]

5종은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이외 지역까지 널리 분포한다. ''Alangium chinense'' (광의)는 동남아시아에서 아프리카까지 분포한다. ''Alangium salviifolium''은 아프리카에서 오스트레일리아, 피지, 누벨칼레도니까지 분포하는 가장 널리 분포하는 종이다. ''Alangium villosum''은 동남아시아에서 오스트레일리아 및 서부 태평양 제도까지 분포한다. ''Alangium grisolleoides''는 마다가스카르에 고유종으로 분포하며, 박쥐나무속에 단절 분포를 부여한다.[2]

4. 어원

''Alangium''(박쥐나무속)이라는 속명은 라틴어화된 것이며, 말라얄람어 일반명 ''alangi''에서 어원적으로 유래되었다. ''alangi''는 케랄라에서 박쥐나무(''Alangium salviifolium'')를 가리키는 말이다.[5] 1783년 장바티스트 라마르크가 그의 저서 ''백과전서''에서 으로 명명했다.[6][7]

5. 하위 분류

박쥐나무속에는 여러 종이 있으며, 한국에는 단풍박쥐나무(''Alangium platanifolium'')와 그 변종인 박쥐나무(''Alangium platanifolium'' var. ''trilobum'')가 있다.[8]

''The Plant List''에는 42종이 등재되어 있다.[8]

자세한 내용은 "주요 종 목록"을 참조하라.

5. 1. 주요 종 목록

박쥐나무속의 주요 종
학명한국어 이름비고
Alangium alpinum박쥐나무알피눔
Alangium barbatum박쥐나무바르바툼
Alangium brachyanthum박쥐나무브라키안텀
Alangium chinense박쥐나무시넨세
Alangium chungii박쥐나무충기
Alangium circulare박쥐나무키르쿨라레
Alangium grisolleoides박쥐나무그리솔레오이데스
Alangium havilandii박쥐나무하빌란디이
Alangium javanicum박쥐나무자바니쿰
Alangium kurzii박쥐나무쿠르지이
Alangium longiflorum박쥐나무롱기플로룸
Alangium maliliense박쥐나무말릴리엔세
Alangium nobile박쥐나무노빌레
Alangium platanifolium박쥐나무플라타니폴리움 (단풍박쥐나무)한국 서식
Alangium premnifolium박쥐나무프레므니폴리움
Alangium qingchuanense박쥐나무칭추아넨세
Alangium ridleyi박쥐나무리들레이이
Alangium rotundifolium박쥐나무로툰디폴리움
Alangium salviifolium박쥐나무살비폴리움
Alangium scandens박쥐나무스칸덴스
Alangium sinicum박쥐나무시니쿰
Alangium taiwanianum박쥐나무타이와니아눔
Alangium tetrandrum박쥐나무테트란드룸
Alangium tonkinense박쥐나무통키넨세
Alangium uniloculare (syn. 박쥐나무그리피티이)박쥐나무유닐로쿨라레
Alangium villosum박쥐나무빌로섬
Alangium yunnanense박쥐나무윤난엔세

[8]

6. 계통 및 진화

2011년 계통 발생 연구에서 DNA 염기 서열 분석 결과, ''박쥐나무속''은 ''층층나무속''의 자매군으로 밝혀졌다.[1] 1939년 이후 ''박쥐나무속''은 4개의 절로 나뉘었고, 일부 학자들은 이 중 일부를 속으로 승격하기도 했다.[2] 박쥐나무속의 목재, 열매, 꽃가루는 특징적이며, 화석영국북아메리카 서부의 에오세 지층에서 발견되었다.[2] 이를 통해 과거 박쥐나무속이 오늘날보다 훨씬 넓은 지역에 분포했음을 알 수 있다.

6. 1. 계통 발생

2011년 DNA 염기 서열을 분석한 계통 발생 연구 결과에 따르면, 박쥐나무속은 층층나무속자매군으로 밝혀졌다.[1] 1939년 이후 박쥐나무속은 Conostigma, Rhytidandra, Marlea, Alangium의 4개 절로 나뉘었다.[2] 일부 학자들은 Marlea와 Rhytidandra를 속의 분류군으로 승격하기도 했지만, 박쥐나무속 내의 생물 분류는 몇 가지 수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2]

6. 2. 진화사

박쥐나무속의 목재, 열매, 꽃가루는 특징적이다. 박쥐나무속의 화석영국 초기 에오세와 북아메리카 서부의 중기 에오세에서 발견되었다.[2] 과거에는 박쥐나무속이 오늘날보다 훨씬 더 널리 분포했다.

7. 이용

박쥐나무속 식물은 전통적으로 약용, 식용 등으로 다양하게 이용되어 왔다. 八角枫|bā jiǎo fēng중국어 종은 중의학에서 50가지 기본 약초 중 하나로 여겨진다.[4]

7. 1. 전통적 이용

八角枫|bā jiǎo fēng중국어 종은 중의학에서 50가지 기본 약초 중 하나로 여겨진다.[4]

참조

[1] 논문 Resolving and dating the phylogeny of Cornales - Effects of taxon sampling, data partitions, and fossil calibrations 2011
[2] 논문 Phylogeny and biogeography of Alangiaceae (Cornales) inferred from DNA sequences, morphology, and fossils 2009
[3] 간행물 Alangium
[4] 서적 The New Royal Horticultural Society Dictionary of Gardening The Macmillan Press,Limited: London. The Stockton Press: New York 1992
[5] 서적 CRC World Dictionary of Plant Names CRC Press: Boca Raton; New York; Washington,DC;, USA. London, UK 2000
[6] 간행물 Alangium International Plant Names Index
[7] 간행물 Encyclopédie Méthodique: botanique 1783
[8] 웹사이트 Alangium http://www.theplantl[...] 2014-04-02
[9] 서적 Alangium Science Press: Beijing, China;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t. Louis, MO, USA 2007
[10] 서적 Flora of China Illustrations Science Press: Beijing, China;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t. Louis, MO, USA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