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백선 (피부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선은 피부사상균에 의해 발생하는 표재성 진균 감염으로, 족부 백선(무좀), 손발톱 백선, 체부 백선, 샅 백선 등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난다. 주요 원인균은 Trichophyton과 Microsporum 속의 곰팡이이며, 감염 부위와 증상에 따라 분류된다. 진단은 병력, 신체 검사, KOH 현미경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항진균 국소 제제 또는 경구 항진균제를 사용하여 치료한다. 백선은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에게도 발생하며, 전 세계적으로 흔하게 나타나는 피부 질환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균성 피부 질환 - 칸디다증
    칸디다증은 칸디다 효모 감염에 의해 피부, 구강, 질 등에서 발생하며, 면역 저하자에게 심각한 증상을 유발하고, 습한 환경, 면역력 저하, 항생제 사용 등이 원인이며, 항진균제로 치료하고 면역력 강화 및 위생 관리가 예방에 중요하다.
  • 진균성 피부 질환 - 히스토플라스마증
    히스토플라스마증은 히스토플라스마 캡슐라툼 곰팡이에 의해 발생하며, 오염된 토양에서 포자를 흡입하여 감염될 수 있고, 무증상부터 호흡기 증상, 심각한 합병증까지 유발하며, 항진균제로 치료하는 감염 질환이다.
  • 고양이 질병 - 골육종
    골육종은 뼈, 특히 장골의 골간단 부위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밤에 심해지는 통증, 부종, 병적 골절 등의 증상을 보이며,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수술 및 항암화학요법을 통해 치료하며, 예후는 병기 및 치료 반응에 따라 달라진다.
  • 고양이 질병 - 크립토스포리디움증
    크립토스포리디움증은 크립토스포리디움 속 원생동물에 의해 발생하며, 설사, 복통 등의 증상을 보이고 오염된 물, 음식 등을 통해 감염되며, 위생 관리와 대증요법을 통해 관리한다.
백선 (피부병)
일반 정보
인간 다리에 생긴 백선
인간 다리에 생긴 백선
분야피부과, 내과학
증상빨갛고, 가렵고, 비늘진 원형의 피부 발진
원인진균 감염
위험 요인공용 샤워실 사용, 접촉 운동, 과도한 땀, 동물과의 접촉, 비만, 억제된 면역 기능
진단증상, 미생물 배양, 현미경 검사에 근거하여 진단
감별 진단피부염, 건선, 장미색 비강진, 어루러기
예방피부를 건조하게 유지, 공공장소에서 맨발로 다니지 않기, 개인 물품을 다른 사람과 함께 쓰지 않기
치료항진균 크림 (클로트리마졸, 미코나졸)
빈도인구의 20%
질병 이름
영어 이름dermatophytosis, ringworm, tinea
기타 이름링웜

2. 원인균

피부사상균증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균은 다음과 같다.[1]


  • Trichophyton rubrumla (적색 백선균)
  • Trichophyton mentagrophytesla (백선균)
  • Trichophyton tonsuransla (트리코피톤 톤수란스)
  • Microsporum canisla (개소포자균)
  • Microsporum gypseumla (토양소포자균)
  • Trichophyton verrucosumla (우모상 백선균)


이 중 ''Trichophyton rubrumla''와 ''Trichophyton mentagrophytesla''가 일반적인 백선균 감염증의 원인균이다. ''Trichophyton tonsuransla''는 10대 유도·레슬링 선수처럼 피부 접촉이 많은 경우에 감염이 확산될 수 있다. ''Microsporum canisla''는 고양이에 기생하여 소아나 고양이 사육자에게, ''Microsporum gypseumla''는 토양에 기생하여 흙놀이를 좋아하는 소아에게 감염되기 쉽다. ''Trichophyton verrucosumla''은 등에 기생하여 축산업 종사자에게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

2. 1. 종류

다수의 다양한 곰팡이 종이 피부사상균증과 관련되어 있다. 피부사상균 속의 ''Trichophyton''과 ''Microsporum''이 가장 흔한 원인균이다. 이러한 곰팡이는 신체의 다양한 부위를 공격하여 아래와 같은 질병을 유발한다.[1]

  • 피부사상균증
  • * 족부 백선 (무좀): 발의 곰팡이 감염
  • * 손발톱 백선: 손톱과 발톱, 그리고 조상(nail bed)의 곰팡이 감염
  • * 체부 백선: 팔, 다리, 몸통의 곰팡이 감염
  • * 샅 백선 (사타구니 완선): 사타구니 부위의 곰팡이 감염
  • * 수부 백선: 과 손바닥 부위의 곰팡이 감염
  • * 두부 백선: 두피와 머리카락의 곰팡이 감염
  • * 안면 백선 (얼굴 곰팡이): 얼굴의 곰팡이 감염
  • * 수염 백선: 얼굴 털의 곰팡이 감염
  • 기타 표재성 진균증 (고전적인 백선은 아니며, 피부사상균에 의해 발생하지 않음)
  • * 어루러기: ''Malassezia furfur''에 의해 발생
  • * 흑색손발톱진균증: ''Hortaea werneckii''에 의해 발생


백선의 원인이 되는 주요 균은 다음과 같다.[1]

  • Trichophyton rubrumla(적색 백선균): 만성적인 족부백선, 조갑백선, 체부백선, 샅백선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원인균이다.
  • Trichophyton mentagrophytesla(백선균): 급성 염증성 족부백선, 소수포형 족부백선, 체부백선, 샅백선을 유발한다.
  • Trichophyton tonsuransla(트리코피톤 톤수란스): 10대 유도·레슬링 선수 등에게서 유행하는 두부백선의 원인균으로, 시합이나 연습에서 피부 접촉을 통해 감염이 확산된다.
  • Microsporum canisla(개소포자균): 주로 고양이에 기생하며, 소아·고양이 사육자에게서 두부백선, 체부백선을 유발한다.
  • Microsporum gypseumla(토양소포자균): 토양에 기생하며, 흙놀이를 좋아하는 소아에게 감염되기 쉽다.
  • Trichophyton verrucosumla(우모상 백선균): 등 가축에게 기생하며, 축산업 종사자에게 감염될 수 있다.

3. 유형 (병형)

피부사상균증은 감염 부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질병감염 부위주요 증상 및 특징원인균
족부백선 (무좀)발가락 사이 갈라짐, 물집, 심한 가려움증, 발바닥 붉은 반점과 인설 등[38]Trichophyton rubrum영어 (가장 흔함), Trichophyton mentagrophytes영어
손톱백선(조갑 백선)손톱, 발톱, 손발톱바닥일반적으로 "손발톱 무좀"이라고 불림대부분 Trichophyton rubrum영어, 드물게 Trichophyton mentagrophytes영어
체부 백선팔, 다리, 몸통머리카락이 있는 부분, 손, 발, 사타구니 이외 부위, 둥근 고리 모양의 붉은 반점Trichophyton rubrum영어 (가장 흔함), Trichophyton mentagrophytes영어
완선 (샅백선)사타구니완고한 백선균이라는 의미로 "완선"이라고도 불림Trichophyton rubrum영어 (가장 흔함), Trichophyton mentagrophytes영어
손백선, 손바닥
두부 백선두피, 머리카락모낭을 파괴하여 난치성 탈모증(케르수스 농가진) 유발 가능, 고양이 사육자, 낙농가는 주의 필요Microsporum canis영어, Trichophyton verrucosum영어 (비율 높음), 그 외 Trichophyton rubrum영어, Trichophyton mentagrophytes영어, Trichophyton tonsurans영어
안면백선(얼굴 백선)얼굴
수염 백선얼굴 털



그 밖의 표면 진균증은 피부사상균증에 의해 발병하는 것이 아니므로 일반적인 백선은 아니다. 어루러기는 말라세지아 푸르푸르에 의해 발병하며, 흑색선은 ''Hortaea werneckii''에 의해 발병한다.

3. 1. 피부사상균증


  • 족부 백선(무좀): 발의 곰팡이 감염이다. 심한 가려움증, 발가락 사이 갈라짐, 물집, 발바닥 붉은 반점과 인설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38]
  • 손톱백선(조갑 백선): 손톱, 발톱, 손발톱바닥의 곰팡이 감염이다. 일반적으로 "손발톱 무좀"이라고 불린다.
  • 체부 백선: 팔, 다리, 몸통의 곰팡이 감염이다. 둥근 고리 모양의 붉은 반점이 특징이다.
  • 완선(샅백선): 사타구니 부위의 곰팡이 감염이다.
  • 손백선: , 손바닥 부위의 곰팡이 감염이다.
  • 두부 백선: 두피, 머리카락의 곰팡이 감염이다. 모낭을 파괴하여 난치성 탈모증(케르수스 농가진)을 일으킬 수 있다.
  • 안면백선(얼굴 백선): 얼굴의 곰팡이 감염이다.
  • 수염 백선: 얼굴 털의 곰팡이 감염이다.

3. 2. 기타 표재성 진균증

어루러기는 말라세지아 푸르푸르에 의해 발병하며, 흑색선은 ''Hortaea werneckii''에 의해 발병한다.[1]

4. 증상

피부사상균증의 일반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다.


  • 신체에 나타나는 감염은 전형적인 링웜의 붉고 융기된 둥근 고리 모양을 나타낼 수 있다.
  • 발 피부의 감염은 무좀을, 사타구니 부위의 감염은 샅백선을 유발할 수 있다.
  • 손발톱 감염은 손발톱진균증이라고 한다.
  • 개와 고양이를 포함한 동물 또한 백선에 감염될 수 있으며, 이 질환은 동물과 인간 사이에서 전염될 수 있으므로 인수공통감염병이다.


특정 증상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나타날 수 있다.

  • 붉고, 비늘 모양이며, 가렵거나 융기된 반점
  • 반점의 가장자리가 더 붉거나 고리 모양을 띨 수 있음
  • 진물이 나거나 물집이 생기기 시작하는 반점
  • 두피에 감염이 발생하면 탈모 반점이 나타날 수 있음

5. 진단

피부사상균 감염은 병력, 신체 검사 및 수산화칼륨(KOH) 현미경 검사를 통해 쉽게 진단할 수 있다.[10] 의료 기관에서 피부 표면을 긁어 인설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피부 진균 검사를 실시하여 확진한다. 실제 검사에서는 인설에 수산화칼륨 용액을 넣어 피부를 녹이고, 녹지 않고 남는 백선균을 확인한다. 손발톱 백선에 한해 병변 조직을 채취하여 10분 정도 만에 백선균 유무를 판정하는 검사 키트가 있다.

반려동물의 경우, 수의사는 다음과 같은 검사를 통해 백선 감염 여부와 원인균을 확인한다.


  • 우즈 검사: 돋보기 렌즈가 달린 자외선을 사용한다. ''Microsporum canis''의 50%만이 모발 축에서 사과 녹색 형광을 나타내지만, 다른 진균은 나타나지 않는다. 감염된 피부는 형광을 내지 않는다.
  • 현미경 검사: 감염 부위 주변의 모발을 채취하여 염색 용액에 넣어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진균 포자를 모발 축에서 직접 관찰할 수 있지만, 피부사상균의 종을 식별할 수는 없다.
  • 배양 검사: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시간이 오래 걸린다. 반려동물의 모발이나 칫솔 등을 사용하여 진균 포자를 채취하여 진균 배지에 접종하여 배양한다. 배양물을 현미경으로 관찰하거나 병리 실험실로 보내 진균의 종을 확인한다.

6. 예방

피부사상균증 예방을 위한 일반적인 조치는 다음과 같다.


  • 의류, 스포츠 장비, 수건, 시트 등을 함께 사용하지 않는다.
  • 백선에 노출된 것으로 의심될 경우 옷을 살진균성 비누를 사용하여 뜨거운 물로 세탁한다.
  • 맨발로 걷는 것을 피하고, 탈의실에서는 적절한 보호 신발을 착용하고 해변에서는 샌들을 착용한다.[11][12][13]
  • 털이 없는 부위가 있는 애완동물을 만지지 않는다. 털 없는 부위는 종종 곰팡이의 보균자이다.

6. 1. 백신

현재 사람에게 승인된 백신은 없다. , , 고양이의 경우, 여러 트리코피톤 및 미크로스포룸 곰팡이 균주에 대해 일시적인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Insol Dermatophyton'' (Boehringer Ingelheim)이라는 불활성화 백신이 승인되어 있다.[14] 소의 경우, 전신 백신 접종을 통해 백선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었다. 1979년부터 러시아의 생백신(LFT 130)이 사용되었고, 이후 소 백선에 대한 체코슬로바키아의 생백신이 사용되었다. 스칸디나비아 국가에서는 가죽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예방 조치로 백선 예방 접종 프로그램이 사용된다. 러시아에서는 모피 동물(은여우, 여우, 북극여우) 및 토끼도 백신으로 치료되었다.[15]

7. 치료

항진균제 치료에는 미코나졸, 테르비나핀, 클로트리마졸, 케토코나졸, 톨나프테이트와 같은 국소 제제를 사용하며, 증상이 사라질 때까지 하루에 두 번 바른다. 보통 1~2주 안에 증상이 호전되지만, 재발을 막기 위해 증상이 사라진 후에도 7일 동안 더 사용해야 한다.[16][17] 따라서 전체 치료 기간은 보통 2주[18][19]에서 최대 3주까지 될 수 있다.[20]

심하거나 두피에 백선이 생긴 경우에는 이트라코나졸, 테르비나핀, 케토코나졸과 같은 먹는 약을 사용한 전신 치료를 할 수 있다.[21]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병변을 만지지 말고, 손과 몸을 깨끗하게 씻어 위생을 철저히 해야 한다.[22]

한방에서는 십미패독탕을 사용하기도 한다.[40] 꿀(아카시아)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이 항진균제와 비슷한 효과를 보였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41]

항진균제 외용제는 약국이나 드럭스토어에서도 구입할 수 있다.[39] 하지만 손발톱 백선이나 광범위한 진균 감염증에는 경구약을 복용해야 하며, 이 경우에는 의사의 진단과 처방전이 필요하다. 시판되는 항진균 연고, 크림, 분말을 사용할 때는 감염이 좋아지기까지 몇 주가 걸릴 수 있고, 재발하는 경우도 흔하다. 몇 주가 지나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으면 병원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고 항진균제를 처방받는 것이 좋다.[38]

8. 역학

전 세계적으로 인구의 약 20~25%가 피부사상균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며, 평생 동안 인구의 10~15%가 피부사상균에 감염되는 것으로 생각된다.[31][32] 표재성 진균증 중 가장 높은 발생률은 열대 지역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피부사상균증 때문에 발생한다.[31][33] 무좀, 손발톱 진균증, 체부백선, 머리백선은 전 세계적으로 인간에게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피부사상균증이다.[34] 머리백선은 어린이에게서 더 높은 유병률을 보인다.[31] 유럽과 아메리카 전역에서 피부사상균 증가로 머리백선 유행이 발생하고 있다.[34]

아프리카 대륙의 여러 연구에서 머리백선이 어린이에게 가장 흔하게 감염되는 피부사상균으로 밝혀졌다.[32] 피부사상균증은 4세에서 11세 사이의 어린이에게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며, 여성보다 남성에게 더 많이 감염된다.[32]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는 머리백선의 위험 요인이다.[32] 아프리카에서 피부사상균증은 덥고 습한 기후와 과밀 지역에서 흔하게 발생한다.[32]

만성 질환은 인도에서 피부사상균증의 흔한 결과이다.[33] 인도에서 피부사상균증 유병률은 지역, 임상 아형 및 피부사상균 분리주에 따라 36.6%에서 78.4% 사이이다.[33] 21~40세의 개인이 가장 흔하게 감염된다.[33]

반려동물 중에서는 고양이가 피부사상균증에 가장 많이 감염된다.[35]

9. 역사

1906년 이전에는 백선을 수은 화합물이나 유황, 아이오딘 등으로 치료했다. 털이 있는 피부 부위는 치료하기 어려워 두피는 X선으로 치료하고 항진균제를 사용했다.[23] 비슷한 시기에 아라로바 가루를 바르는 치료법도 있었다.[24]

10. 기타 동물

, , , 고양이, 등 다양한 동물에서도 피부사상균증이 발생한다.[25][26] ''Trichophyton verrucosum''은 소에서 흔한 원인균이다.[25] 반려동물의 경우 무증상 보균 상태일 수 있으며, 면역 결핍 상태가 될 때만 질병이 나타날 수 있다.

수의사는 백선 감염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검사를 수행한다.

검사설명
우즈 검사돋보기 렌즈가 달린 자외선을 사용한다. Microsporum canis의 50%만이 모발 축에서 사과 녹색 형광을 나타낸다.[26]
현미경 검사감염 부위 주변의 모발을 채취하여 염색 용액에 넣어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진균 포자를 모발 축에서 직접 관찰할 수 있다.
배양 검사반려동물의 모발을 채취하거나, 칫솔 등을 사용하여 진균 포자를 채취하여 진균 배지에 접종하여 배양한다.



반려동물 감염에 관련된 진균의 종을 식별하는 것은 감염원 통제에 도움이 될 수 있다. ''M. canis''는 집고양이에서 더 흔하게 발생하며, 고양이 감염의 98%가 이 생물에 의해 발생한다. ''T. mentagrophytes''는 설치류에 주요 저장소를 가지고 있다. ''M. gypseum''은 토양 생물이며 정원과 같은 장소에서 종종 감염된다.[27]

치료에는 테르비나핀, 플루코나졸 또는 이트라코나졸을 이용한 전신 경구 투여와 국소 "딥(dip)" 요법을 병행한다.[28] 묽게 희석한 석회 유황 딥 용액으로 애완동물을 일주일에 두 번 목욕시키는 것은 곰팡이 포자를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다.[29] 가정의 딱딱한 표면은 1:10 가정용 차아염소산 나트륨 표백제 용액으로 씻으면 포자를 죽이는 데 효과적이다.[30]

참조

[1] 서적 In a Page: Pediatrics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7
[2] 웹사이트 Definition of Ringworm https://www.cdc.gov/[...] 2015-12-06
[3] 웹사이트 Symptoms of Ringworm Infections https://www.cdc.gov/[...] 2015-12-06
[4] 웹사이트 Ringworm Risk & Prevention https://www.cdc.gov/[...] 2015-12-06
[5] 웹사이트 Diagnosis of Ringworm https://www.cdc.gov/[...] 2015-12-06
[6] 웹사이트 Treatment for Ringworm https://www.cdc.gov/[...] 2015-12-06
[7] 서적 Antifungal Therapy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9-11-24
[8] 서적 The 5-Minute Clinical Consult 2014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3
[9] 서적 Dermatology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2
[10] 논문 Dermatophyte Infections https://www.aafp.org[...]
[11] 뉴스 Keeping footloose on trips http://www.suburbanc[...] 2008-04-02
[12] 웹사이트 Fort Dodge Animal Health: https://web.archive.[...]
[13] 웹사이트 Ringworm In Your Dog, Cat And Other Pets https://vetspace.2nd[...] 2020-11-14
[14] 웹사이트 Insol Dermatophyton 5x2 ml http://www.grovet.co[...] GROVET - The veterinary warehouse 2016-02-01
[15] 논문 Antifungal agents of use in animal health - practical applications
[16] 논문 Topical therapy for fungal infections
[17] 논문 Terbinafine. An update of its use in superficial mycoses 1999-07
[18] 웹사이트 Tinea
[19] 웹사이트 Tinea Corporis
[20] 논문 Antifungal agents for common paediatric infections 2008-01
[21] 논문 Update in antifungal therapy of dermatophytosis
[22] 웹사이트 Ringworm on Body Treatment http://www.emedicine[...]
[23] 논문 The Varieties of Ringworm and Their Treatment http://www.bmj.com/c[...]
[24] 서적 A Modern Herbal http://www.botanical[...]
[25] 서적 Colour Atlas of Animal Dermatology Blackwell
[26] 서적 Colour Atlas of Animal Dermatology Blackwell Publishing Professional
[27] 웹사이트 General ringworm information http://www.ringworm.[...] Ringworm.com.au 2011-01-10
[28] 웹사이트 Facts About Ringworm http://www.newmanvet[...] 2011-10-03
[29] 웹사이트 Veterinary treatment site page http://www.marvistav[...] Marvistavet.com 2011-01-10
[30] 웹사이트 Persistence of spores http://www.ringworm.[...] Ringworm.com.au 2011-01-10
[31] 논문 Clinical, epidemiological, and therapeutic profile of dermatophytosis https://doi.org/10.1[...]
[32] 논문 Epidemiology of human dermatophytoses in Africa
[33] 논문 Expert Consensus on The Management of Dermatophytosis in India (ECTODERM India) https://doi.org/10.1[...]
[34] 논문 Dermatophytosis, Trends in Epidemiology and Diagnostic Approach https://doi.org/10.1[...]
[35] 논문 Descriptive epidemiology of companion animal dermatophytosis in a Canadian Pacific Northwest animal shelter system
[36] 간행물 Epidemiology and etiology of dermatophytosis in Goiânia, GO, Brazil Revista da Sociedade Brasileira de Medicina Tropical 2002
[37] 간행물 Molecular epidemiology of dermatophytosis in Tehran, Iran, a clinical and microbial survey https://doi.org/10.3[...] Medical Mycology (Oxford) 2013
[38] 웹사이트 Skin in the game: Two common skin problems and solutions for men https://www.health.h[...] 2021-12-01
[39] 웹사이트 華陀膏 https://www.iskra.co[...]
[40] 웹사이트 十味敗毒湯 https://www.shinwa-s[...]
[41] 논문 Antifungal efficacy of Brazilian green propolis extracts and honey on Tinea capitis and Tinea versicolor
[42] 서적 In a Page: Pediatrics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7
[43] 웹인용 Definition of Ringworm https://www.cdc.gov/[...] 2015-12-06
[44] 웹인용 Symptoms of Ringworm Infections https://www.cdc.gov/[...] 2015-12-06
[45] 웹인용 Ringworm Risk & Prevention https://www.cdc.gov/[...] 2015-12-06
[46] 웹인용 Diagnosis of Ringworm https://www.cdc.gov/[...] 2015-12-06
[47] 웹인용 Treatment for Ringworm https://www.cdc.gov/[...] 2015-12-06
[48] 서적 Antifungal Therapy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9-11-24
[49] 서적 The 5-Minute Clinical Consult 2014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3
[50] 서적 Dermatology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