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좀은 피부사상균에 의해 발생하는 흔한 곰팡이 감염으로, 만성 사지간형, 족저형, 급성 궤양형, 수포성 등 다양한 증상으로 나타난다. 발가락 사이, 발바닥, 발 등에 주로 발생하며, 가려움, 발적, 궤양, 물집 등의 증상을 보인다. 무좀은 전염성이 강하며, 개인 위생 관리, 공공장소 위생 수칙 준수, 예방적 치료 등을 통해 예방할 수 있다. 치료에는 국소 항진균제, 경구 항진균제, 열 요법 등이 사용되며, 증상이 심하거나 재발하는 경우 경구 항진균제를 복용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 질환 - 동창 (질병)
동창은 추위에 노출되어 발가락, 손가락 등에 물집, 가려움, 통증 등의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보온과 혈액 순환 개선을 통해 예방하며, 온찜질, 비타민 E 섭취 등으로 치료한다. - 발 질환 - 참호족
참호족은 제1차 세계 대전의 참호전 환경에서 비롯되어 습하고 추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된 발에 발생하는 질환으로, 얼얼함, 가려움, 무감각, 통증을 유발하며 심할 경우 괴사 및 궤양으로 이어질 수 있고, 발을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하는 것으로 예방이 가능하다. - 진균성 피부 질환 - 칸디다증
칸디다증은 칸디다 효모 감염에 의해 피부, 구강, 질 등에서 발생하며, 면역 저하자에게 심각한 증상을 유발하고, 습한 환경, 면역력 저하, 항생제 사용 등이 원인이며, 항진균제로 치료하고 면역력 강화 및 위생 관리가 예방에 중요하다. - 진균성 피부 질환 - 히스토플라스마증
히스토플라스마증은 히스토플라스마 캡슐라툼 곰팡이에 의해 발생하며, 오염된 토양에서 포자를 흡입하여 감염될 수 있고, 무증상부터 호흡기 증상, 심각한 합병증까지 유발하며, 항진균제로 치료하는 감염 질환이다.
무좀 | |
---|---|
질병 개요 | |
이름 | 무좀 |
영어 이름 | Athlete's foot |
기타 이름 | 백선균증 족부 백선 모카신 족부 완선 |
분야 | 피부과학 감염병학 |
국제 질병 분류 (ICD-10) | B35.3 |
국제 질병 분류 (ICD-9) | 110.4 |
온라인 멘델 유전형질 데이터베이스 (OMIM) | 해당 없음 |
메쉬 식별자 (MeSH ID) | D014008 |
증상 및 징후 | |
주요 증상 | 발의 가려움증 각질 홍반 |
원인 | |
원인균 | 백선균 (Trichophyton) 표피균 (Epidermophyton) 소포자균 (Microsporum) |
진단 | |
진단 방법 | 증상 기반, 미생물 배양 또는 현미경 검사로 확인 |
감별 진단 | 해당 없음 |
예방 | |
예방 방법 | 공공 샤워실에서 맨발로 걷지 않기 발톱을 짧게 유지하기 넉넉한 신발 착용 매일 양말 갈아신기 |
치료 | |
치료 방법 | 피부에 바르는 항진균제 경구 항진균제 |
예후 | |
예후 | 해당 없음 |
역학 | |
유병률 | 인구의 15% |
합병증 | |
합병증 | 해당 없음 |
기타 정보 | |
![]() |
2. 증상
무좀은 만성사지간형, 족저형(만성 각질형, 모카신족), 급성 궤양형,[18] 수포성[9][11][12]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 사지간형은 발가락 사이, 족저형은 발바닥에 발생한다. 궤양성 질환은 각질성 가장자리가 있는 습윤된 병변을 포함한다.[18] 수포성 질환은 수포와 대수포(물집)가 특징이며, 이들은 체액이 차 있는 병변으로 크기에 따라 구분된다.[13]
무좀은 발가락 사이, 특히 넷째와 다섯째 발가락 사이에서 가장 자주 발생한다.[14][15][16]
현미경 검사로 2~3회 확인해도 발견되지 않으면 땀띠 모양 습진, 홍색 농피증, 옴, 긁어서 생긴 상처, 외용약 접촉성 피부염 등을 고려해야 한다. 무좀 증상을 호소하며 진료받은 환자의 13~33%가 실제로는 무좀(족부 백선)이 아니었고, 대부분 습진이나 피부염이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무좀과 같은 증상을 일으키는 백선균 감염 질환은 감염 부위에 따라 이름이 다르다.
2. 1. 사지간형
무좀은 발가락 사이(사지간)에서 가장 자주 발생하며, 넷째와 다섯째 발가락(새끼발가락과 그 옆 발가락) 사이가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14][15][16] ''Trichophyton rubrum''에 의한 사지간 무좀은 증상이 없거나, 가려움증이 있거나, 발가락 사이 피부가 붉어지거나 궤양성(각질이 생기고, 비늘이 생기며, 피부가 젖은 상태로 유지되면 부드럽고 흰색임)[3][17]을 띨 수 있다. ''T. mentagrophytes''에 의한 사지간 무좀의 급성 궤양성 변이는 통증, 피부 습윤, 피부 침식 및 균열, 딱지, 그리고 이차적인 세균 감염으로 인한 악취가 특징이다.[12]2. 2. 족저형 (모카신형)
족저 무좀(모카신족)은 보통 ''T. rubrum''에 의해 발생하며, 발바닥(족저면)에 증상이 없는 약간 붉은색을 띠는 판(피부의 발적 부위)을 형성하고, 미세하고 분말 같은 각화증성 인설로 덮여 있는 경우가 많다.[9][12] 발바닥 전체에 걸쳐 각질이 두꺼워지고 붉어지는 유형이다. 가려움증은 심하지 않지만, 만성적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2. 3. 수포형
수포성 무좀은 ''T. mentagrophytes''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홍반성 기저부에 가려운 물집과 수포가 갑자기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며,[3] 주로 발바닥에 나타난다. 이러한 유형의 무좀은 화농연쇄구균이나 황색포도상구균에 의한 2차 세균 감염으로 이어지기도 한다.[12]2. 4. 합병증
병이 진행됨에 따라 피부가 갈라져 세균성 피부 감염[12] 및 림프관 염증[18]을 유발할 수 있다. 무좀균이 오랫동안 방치되면 발톱[19]으로 퍼져 케라틴을 먹고 사는데, 이를 조갑진균증이라고 한다.[20]무좀은 가려움증을 유발하여 긁게 만들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감염된 부위를 본인이 알기 전에 긁을 수 있다. 긁는 행위는 피부 손상을 더욱 악화시키고 균이 더 쉽게 퍼지고 번식할 수 있도록 하여 상태를 악화시킨다. 무좀과 관련된 가려움증은 매우 심해 환자가 심하게 긁어 찰과상을 입을 수 있으며, 이는 세균 감염에 취약하게 만든다. 계속 긁으면 딱지가 제거되어 낫는 것을 방해할 수도 있다. 감염된 부위를 긁으면 균이 손가락과 손톱 밑으로 퍼질 수도 있다. 곧 씻어내지 않으면 손가락과 손톱에 감염되어 피부와 손톱에서 자랄 수 있다. 긁은 후에는 사람이 만지는 모든 곳(신체의 다른 부위와 주변 환경 포함)으로 퍼질 수 있다. 또한 긁으면 감염된 피부 각질이 주변으로 떨어져 더 퍼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무좀균이나 감염된 피부 입자가 긁거나 떨어지거나 문지르는 등의 방법으로 옷, 신발, 욕실 등으로 퍼지면 다른 사람에게 감염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래 감염자에게 재감염(또는 추가 감염)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감염된 발은 양말과 신발을 오염시키고, 다시 신을 때 발을 균과 포자에 더 노출시킨다.
균이 신체의 다른 부위(손가락 등)로 쉽게 퍼지는 것은 또 다른 합병증이다. 균이 신체의 다른 부위로 퍼지면 발을 치료한 후에도 쉽게 발로 다시 퍼질 수 있다. 그리고 각 부위에서 발생하는 질환의 이름이 다르기 때문에(예: 체부 백선(완선) 또는 사타구니 백선(샅가려움증)) 감염된 사람은 같은 병이라는 것을 알지 못할 수 있다.
어떤 사람들은 균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인 이차 반응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이때 손, 가슴, 팔과 같은 부위에 수포나 물집이 나타날 수 있다.[21] 기저 감염을 치료하면 일반적으로 이차 반응도 사라진다.[21]
3. 원인
무좀은 피부사상균이라는 곰팡이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진균증의 한 형태이다.[9] 피부사상균은 사람을 숙주로 선호하며 피부의 죽은 세포층에 서식하며 케라틴을 분해하는 인체 기생성 곰팡이이다.
백선균은 각질 내부로 침입하여 서식하는데, 이 영역에서는 백혈구에 의한 제거가 불가능하다. 또한 피부 신진대사 속도보다 빠르게 침입하기 때문에 자연 치유는 불가능하다.
족부백선은 통풍이 잘 안되는 가죽 신발을 장시간 신는 경우가 많은 샐러리맨 남성에게서 많이 발생하여 '성인 남성의 질병'으로 인식되기도 하지만, 여성도 부츠 등 통풍이 나쁜 신발을 신으면 쉽게 감염될 수 있다. 백선균은 자연계에 많이 존재하는 진균(곰팡이)의 일종으로, 주변에 감염자가 있다면 감염될 가능성이 높아지지만, 감염 여부는 습도와 발의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3. 1. 주요 원인균
무좀은 피부의 죽은 세포층에 서식하며 케라틴을 분해하는 곰팡이인 피부사상균에 의해 발생한다.[9] 피부사상균은 인체 기생성으로, 사람을 숙주로 선호한다. 무좀은 가장 흔하게 ''Trichophyton rubrum''과 ''T. mentagrophytes''로 알려진 곰팡이에 의해 발생하지만,[22] ''Epidermophyton floccosum''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23][24]일반적으로 무좀의 대부분은 ''T. rubrum''에 의해 발생하지만, 운동선수에게서 발생하는 무좀의 대부분은 ''T. mentagrophytes''에 의해 발생한다.[12]
3. 2. 감염 경로
무좀은 전염성이 매우 강하며, 직접 및 간접 접촉을 통해 퍼질 수 있다.[25] 감염 부위를 직접 만지거나, 오염된 물건(옷, 수건 등)이나 표면(욕실, 샤워실 또는 탈의실 바닥 등)과 접촉하여 감염될 수 있다. 무좀을 일으키는 곰팡이는 환경으로 쉽게 퍼져나가, 감염된 피부 입자와 비늘은 양말, 신발, 옷, 다른 사람, 애완동물(애완동물을 쓰다듬을 때), 침구류, 욕조, 샤워기, 싱크대, 카운터, 수건, 러그, 바닥 및 카펫으로 퍼질 수 있다.곰팡이가 애완동물에게 퍼지면, 애완동물을 쓰다듬는 사람의 손과 손가락으로 퍼질 수 있다.
신체의 다른 부위에 먼저 곰팡이 감염이 생기고, 그 후에 발로 퍼지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몸통이나 사지에 감염된 경우는 체부 백선, 사타구니에 감염된 경우는 사타구니 백선으로 알려져 있다. 옷, 체온, 땀은 피부를 따뜻하고 촉촉하게 유지하여 곰팡이가 번식하기 좋은 환경을 만든다.
백선균은 피부의 각질 내부로 침입하여 서식하며, 백혈구에 의한 제거가 불가능하다. 또한 피부의 신진대사 속도보다 빠르게 침입하기 때문에 자연 치유는 불가능하다.
족부백선은 통풍이 잘 안되는 가죽 신발을 장시간 신는 경우가 많은 샐러리맨 남성에게 많이 발생하여 '성인 남성의 질병'으로 인식되기도 하지만, 여성도 부츠 등 통풍이 나쁜 신발을 신으면 쉽게 감염될 수 있다. 백선균은 자연계에 많이 존재하는 진균(곰팡이)의 일종으로, 주변에 감염자가 있다면 감염될 가능성이 높아지지만, 감염 여부는 습도와 발의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3. 3. 위험 요인
이전에 무좀을 앓았던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감염될 가능성이 더 높다. 성인이 어린이보다 무좀에 걸릴 가능성이 더 높고, 남성이 여성보다 무좀에 걸릴 확률이 더 높다.[26] 당뇨병이나 면역 체계가 약화된 사람들[26]은 이 질병에 더 취약하다. HIV/AIDS는 면역 체계를 손상시키고 무좀에 걸릴 위험을 증가시킨다. 다한증(비정상적으로 땀이 많이 나는 증상)은 감염 위험을 증가시키고 치료를 더 어렵게 만든다.[27]4. 진단
의사를 방문했을 때 기본적인 진단 절차가 적용된다. 여기에는 환자의 병력 및 의무 기록에서 위험 요소 확인,[18] 의사가 질문하는 (가려움증과 긁는 행위에 대한 질문 등) 의학적 면담 및 신체 검사가 포함된다.[18] 무좀은 일반적으로 피부의 육안 검사와 가려움증과 같은 덜 명확한 증상을 확인하여 진단할 수 있다.
우드 램프(블랙라이트)는 두피의 진균 감염(진균성 두피 감염증)을 진단하는 데 유용하지만, 이 질병을 일으키는 일반적인 피부사상균이 자외선 아래에서 형광을 발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무좀 진단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4. 1. KOH 도말 검사
진단이 불확실한 경우, 피부 각질을 긁어서 만든 수산화칼륨 도말 표본을 직접 현미경 검사(KOH 검사)하여 무좀 진단을 확인하고, 칸디다증, 용해성 각질증, 적색표피증, 접촉성 피부염, 습진, 건선과 같은 다른 원인을 배제할 수 있다.[12][24][28] 무좀을 일으키는 피부사상균은 현미경 검사에서 다중 분지형 격막 균사를 보인다.[12]4. 2. 감별 진단
진단이 불확실한 경우, 피부 소량을 긁어서 만든 수산화칼륨 도말 표본을 직접 현미경 검사(KOH 검사)하여 무좀 진단을 확인하고, 칸디다증, 용해성 각질증, 적색표피증, 접촉성 피부염, 습진, 건선과 같은 다른 원인을 배제할 수 있다.[12][24][28] 무좀을 일으키는 피부사상균은 현미경 검사에서 다중 분지형 격막 균사를 보여준다.[12]현미경으로 2~3회 확인해도 발견되지 않으면 다른 질환을 고려해야 한다. 땀띠 모양 습진, 홍색 농피증, 옴, 긁어서 생긴 상처, 외용약 접촉성 피부염 등이 그것이다. 무좀 증상을 호소하며 진료받은 환자의 13~33%가 무좀(족부 백선)이 아니었고, 대부분은 습진이나 피부염이었다는 데이터가 있다.
무좀(족부 백선)과 같은 증상을 일으키는 백선균 감염 질환은 감염 부위에 따라 명칭이 다르다.
5. 예방
무좀 예방을 위해서는 발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습기를 제거하며,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좀을 유발하는 곰팡이(균류)는 따뜻하고 습한 환경을 좋아한다. 짚신이나 나막신과 같이 발의 온도와 습기를 낮추는 신발을 신으면 예방 효과가 있다. 신발이 가져오는 온도와 습기가 백선균을 증식시키기 때문이다.[17] 이미 감염된 사람과는 발 주변의 직접, 간접 접촉을 피하고, 감염될 수 있는 기회를 줄여야 한다. 또한, 확실한 치료를 통해 다른 사람에게 감염되는 것을 예방해야 한다.
양말과 신발을 깨끗하게 유지하고(세탁 시 표백제 사용), 부츠와 신발을 공유하지 않는 것도 전염을 예방하는 방법이다. 무좀은 감염된 사람과 신발을 공유함으로써 전염될 수 있다. 수건, 특히 축축한 수건을 통해 곰팡이가 전염될 수 있지만, 이는 덜 흔한 경우이다.
5. 1. 개인 위생
무좀을 관리하는 데에는 위생이 중요하다. 균은 축축한 환경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발과 신발을 마른 상태로 두고 수건을 함께 쓰지 않는 것이 감염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준다.[54]무좀을 예방하고 재발을 줄이기 위한 발 위생 예방책은 다음과 같다.[6][12][29][30]
- 발을 건조하게 유지한다.
- 발톱을 짧게 자른다.
- 감염된 발톱에는 별도의 손톱깎이를 사용한다.
- 통풍이 잘 되는 면 소재 또는 땀을 흡수하는 합성 소재의 양말을 사용한다.
- 꽉 끼는 신발을 피한다.
- 양말을 자주 갈아 신는다.
- 체육관 샤워실이나 탈의실과 같은 공용 공간을 걸어 다닐 때 샌들을 신는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에 따르면 "발톱은 짧게 자르고 깨끗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발톱에는 감염이 숨어 있고 감염이 퍼질 수 있습니다."[31] 무좀의 재발은 발에 항진균제 분말을 사용하여 예방할 수 있다.[12]
발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은 백선균이 서식하고 있는 각질이 오랫동안 부착되는 것을 막아준다. 양말을 자주 갈아 신고 통기성이 좋은 신발을 신는 것도 발의 습도를 낮추는 데 효과가 있다. 오발가락 양말을 신는 것도 예방에 도움이 된다. 화학 섬유 양말은 흡습성이 나빠 발의 땀이 흡수되지 않고 백선균의 증식을 촉진한다. 목면, 실크와 같은 흡습성이 좋은 천의 양말은 무좀 예방 효과가 있다.
5. 2. 공공장소 위생
무좀을 일으키는 균류는 샤워실 바닥[52], 젖은 수건이나 신발[52]에서 서식하며, 수건 등을 함께 사용하면 사람 간에 전염될 수 있다.[53] 따라서 공공 샤워실, 수영장, 치료용 욕조 등에서는 감염 위험이 증가한다.[17]차아염소산나트륨은 소독제이자 가정용 세척제로 곰팡이를 죽이며, 욕조, 샤워실, 욕실 바닥 등을 표백제로 청소하면 재감염을 포함한 질병 확산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공공장소에서는 개인 슬리퍼나 샌들을 착용하고,[6][12][29][30] 공용 수건이나 발 매트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다.
5. 3. 기타
오발가락 양말을 신으면 발가락 사이의 습기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발에 항진균 파우더를 뿌려 건조하게 유지한다.[12]6. 치료
무좀 치료에는 여러 방법이 사용된다. 4주간 테르비나핀 연고[55]는 87.52%[55], 6주간 클로트리마졸 연고[56]는 65.61%[56]의 족부 백선 치료 효과를 보인다. 6주간 테르비나핀 250mg을 매일 복용하거나, 8주간 이트라코나졸 400mg을 매일 복용하는 방법도 효과적이다.[58]
일반적인 치료법으로는 하루에 한두 번 발을 깨끗이 씻은 후 국소 항진균제를 바르는 것이 있다. 피부 재생을 위해 증상이 사라진 후에도 2~6주 동안 국소 치료를 계속하는 것이 중요하다. 곰팡이를 없애고 재감염을 막으려면 발을 건조하게 유지하고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또한, 양말은 표백제를 넣거나 60°C의 물로 세탁한다.[34]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발뿐만 아니라 발톱, 손, 몸통 등 감염된 모든 부위를 치료해야 한다.
알릴아민계 약물(테르비나핀 등)이 아졸계 약물보다 무좀 치료에 더 효과적이다.[35] 심하거나 오래 지속되는 경우에는 경구 항진균제를 사용해야 할 수 있다.
2012년 체계적 문헌 고찰에 따르면, 케토코나졸, 터비나핀, 부테나핀, 비호나졸, 클로트리마졸, 미코나졸, Econazole|에코나졸영어, 옥시코나졸, Sertaconazole|세르타코나졸영어, Tioconazole|티오코나졸영어, Naftifine|나프티핀영어, 시클로피록스[44]등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민간요법은 효과나 부작용이 불명확하므로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1]
6. 1. 국소 항진균제
크림, 연고, 스프레이, 파우더 등 다양한 제형의 국소 항진균제가 있으며, 하루 1~2회 환부에 바른다. 외피가 손상되어 재감염되기 쉬우므로, 증상이 사라진 후에도 2~6주 동안 국소 치료를 계속하여 피부의 모든 층이 재생될 때까지 사용해야 한다.[33] 곰팡이를 죽이고 재감염을 예방하려면 발을 건조하게 유지하고 위생을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주요 성분으로는 미코나졸 질산염, 클로트리마졸, 톨나프테이트(합성 티오카르바메이트), 터비나핀염산염,[17] 부테나핀염산염, 운데실렌산 등이 있다. 부테나핀과 같은 항진균 크림을 1주일 동안 하루에 한 번, 또는 터비나핀을 2주일 동안 하루에 한 번 국소 도포하는 것은 대부분의 무좀 사례에 효과적이며, 미코나졸이나 클로트리마졸을 도포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이다.[24]
발바닥형 무좀은 발바닥에 두꺼워진 각질 과다증 피부가 있기 때문에 국소 치료에 더 저항성이 있다.[12] 요소가 함유된 크림, 살리실산(휘트필드 연고), 젖산과 같은 각질용해제 및 보습제는 유용한 보조 약물이며 두꺼워진 피부에 항진균제의 침투를 개선한다.[12]
알릴아민계 약물(테르비나핀 등)이 무좀 치료에 있어 아졸계 약물보다 더 효과적이다.[35]
1% 과망간산칼륨 수용액을 뜨거운 물에 녹인 용액은 항진균제의 대안이 될 수 있다.[36] 과망간산칼륨은 염이며 강력한 산화제이다.
일본에서는 1986년부터 하루 한 번 도포하는 외용 항진균제가 등장했다.[45] 처음에는 항균 스펙트럼(살균 대상)을 확대하고, 다음으로 사용하기 쉬운 하루 한 번 제제가 개발되었으며, 그 후에는 피부에 남기 쉬운 성분 개발로 이어졌다. 외용약을 사용하여 증상이 완화되면 중단하면 각질 내에 곰팡이가 생존한 채로 남아 재발한다.[45]
하루 한 번 사용하는 외용 항진균제는 다음과 같다:
- 아모롤핀 (페키론)
- 터비나핀 (라미실)
- 부테나핀 (볼레이, 멘탁스)
- Lanoconazole|라노코나졸영어 (아스타트)
- 리라나프타트 (제프나트)
- 루리코나졸 (루리콘)
6. 2. 경구 항진균제
국소 항진균제로 치료되지 않는 심하거나 오래 지속되는 무좀, 또는 발톱 무좀이 동반된 경우에는 경구 항진균제를 사용해야 할 수 있다.[9]주요 경구 항진균제 성분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약물들은 위장 장애와 같은 부작용이 보고되기도 하며,[9] 간 기능 장애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의사의 처방에 따라 복용해야 한다.
심한 무좀 감염에는 플루코나졸 또는 이트라코나졸을 경구 복용할 수도 있다.[9] 병원에서는 현미경으로 곰팡이균이 확인되지 않을 경우, 스테로이드 외용제를 사용하여 무좀이 아닌 피부염은 치료되지만, 무좀인 경우에는 곰팡이균이 증가하므로 1~2주 후에 현미경으로 재검사한다.
각질증식형 무좀에는 1~2개월 동안 내복 항진균제를 사용한다.[58]
6. 3. 열 요법
40도 이상의 온도로 2시간 동안 열을 가하는 방법이 있지만, 저온화상의 위험성도 있으므로 보조적으로 사용한다.[48]난로나 화기에 환부를 가까이 하거나, 뜨거운 물을 붓는 등의 민간요법이 존재한다. 작가 안베 죠지는 복역 중 심각한 무좀으로 고생했지만, 동료 수감자에게서 배운 방법으로 하루 두 번 뜨거운 밀랍을 환부에 떨어뜨려 10일 만에 완치된 경험을 기록하고 있다.[48]
6. 4. 민간요법
민간요법은 통계적 조사나 검증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효과나 부작용이 불명확한 부분이 많다.[1]7. 역학
전 세계적으로 진균 감염증은 인구의 약 15%, 성인의 20%에 영향을 미친다.[22][37] 인구의 70%는 일생 동안 어느 시점에 무좀을 경험한다.[38] 무좀은 고무 장화나 비닐 신발과 같이 통풍이 되지 않는 신발을 신는 사람들에게서 흔하다.[22][39] 직업적으로 광부, 군인, 운동선수 사이에서 무좀의 유병률이 높다.[40] 마라톤과 같은 활동에서도 무좀 유병률이 증가한다.[38] 맨발로 다니는 것이 더 흔한 국가와 지역에서는 무좀 발생률이 낮다.[41] 남성이 여성보다 2~4배 더 자주 감염된다.[37]
무좀 사례는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6년경 처음으로 기록되었는데, 당시 군인들 사이에서 감염이 흔했다.[42] 1928년까지 거의 천만 명의 미국인이 무좀에 걸린 것으로 추산되었다.[42] 1930년대에는 특히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사람들 사이에서 유병률이 증가했다.[42] 1990년대에는 알릴아민계 항진균제가 개발되어 무좀 치료 효과가 향상되었다.[42]
8. 기타
백선균은 피부 각질 내부에 침입하여 서식하며, 이 영역에서는 백혈구에 의한 제거가 불가능하다. 또한 피부의 신진대사 속도보다 빠르게 침입하기 때문에 자연 치유는 불가능하다.[1]
족부백선은 오랫동안 통풍이 나쁜 가죽신발을 장시간 신고 있는 경우가 많은 샐러리맨 남성에게 많았기 때문에 사회적으로는 ‘성인 남성의 질병’으로 이해되는 측면이 있지만, 성별과는 전혀 관계없이 여성도 부츠 등 통풍이 나쁜 신발을 신으면 감염되기 쉽다. 백선균 자체는 자연계에 많이 존재하는 진균(곰팡이)이다. 가까운 곳에서 대책을 세우지 않은 감염자가 있다면 감염될 기회는 많아지지만, 감염되기 쉬운 정도는 습도와 발의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1]
참조
[1]
서적
Dermatology: 2-Volume Set
Mosby
[2]
웹사이트
Symptoms of Ringworm
https://www.cdc.gov/[...]
2016-01-24
[3]
논문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inea
2012-07
[4]
웹사이트
Hygiene-related Diseases
https://www.cdc.gov/[...]
2016-01-24
[5]
논문
Superficial Fungal Infections
2015-12
[6]
논문
Superficial fungal infections in children
2014-04
[7]
웹사이트
People at Risk for Ringworm
https://www.cdc.gov/[...]
2015-12-06
[8]
서적
Fungal disease in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1850–2000 : mycoses and modernit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3
[9]
논문
Oral treatments for fungal infections of the skin of the foot
2012-10
[10]
서적
Antifungal Therapy.
https://books.google[...]
Informa Healthcare
2009
[11]
웹사이트
Athlete's Foot
http://dermatology.a[...]
2010-05-26
[12]
논문
Skin conditions in figure skaters, ice-hockey players and speed skaters: part II - cold-induced, infectious and inflammatory dermatoses
2011-11
[13]
논문
Histopathological analysis of vesicular and bullous lesions in Kaposi sarcoma
2012-12
[14]
논문
Dermatology for the practicing allergist: Tinea pedis and its complications
2004-03
[15]
논문
Dermatophyte infections
2003-01
[16]
논문
Pustular tinea pedis
2000-01
[17]
논문
Common dermatologic infections in athletes and return-to-play guidelines
2011-06
[18]
웹사이트
The Merck Manual Professional Edition tinea pedis page
http://www.merckmanu[...]
2015-01-16
[19]
웹사이트
Athlete's Foot
http://www.nhs.uk/co[...]
2015-01-14
[20]
논문
Nail and skin disorders of the foot
2014-03
[21]
논문
Cutaneous id reactions: a comprehensive review of clinical manifestations, epidemiology, etiology, and management
2012-08
[22]
논문
Epidemiological trends in skin mycoses worldwide
2008-09
[23]
논문
Back to the future for dermatophyte genomics
2012-10
[24]
논문
Common tinea infections in children
http://www.aafp.org/[...]
2008-05
[25]
웹사이트
National Health Service's webpage on Athlete's Foot causes
http://www.nhs.uk/Co[...]
2015-01-14
[26]
웹사이트
Mayo Clinic website, Athlete's Foot Risk Factors
http://www.mayoclini[...]
2015-02-07
[27]
웹사이트
The Merck Manual Professional Edition. Tinea Pedis
http://www.merckmanu[...]
2015-01-28
[28]
논문
Trends in the treatment of dermatophytosis
http://www.dermatoph[...]
2007-10-10
[29]
논문
Skin manifestations of athletes competing in the summer Olympics: what a sports medicine physician should know
2012-05
[30]
간행물
Help Clients Prevent Athlete's Foot
https://www.nailsmag[...]
2019-02-05
[31]
웹사이트
Centers for Disease Control webpage on Athlete's Foot
https://www.cdc.gov/[...]
2015-01-11
[32]
웹사이트
Over-the-Counter Foot Remedies
http://www.aafp.org/[...]
2007-09-29
[33]
논문
Topical treatments for fungal infections of the skin and nails of the foot
2007-07
[34]
웹사이트
Fungal Infections
https://www.walsallh[...]
National Health Service
2017-09-25
[35]
논문
Efficacy and safety of topical antifungals in the treatment of dermatomycosis: a systematic review
2012-05
[36]
웹사이트
Potassium Permanganate
http://www.dermnetnz[...]
2011-03-31
[37]
논문
Oral treatments for fungal infections of the skin of the foot
2012-10-01
[38]
논문
Consensus for the Treatment of Tinea Pedis: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2022-03-01
[39]
논문
Common tinea infections in children
http://www.aafp.org/[...]
2008-05-01
[40]
논문
Topical treatments for fungal infections of the skin and nails of the foot
2007-07-01
[41]
논문
A review of the epidemiology of tinea unguium in the community
1999-02-01
[42]
서적
Athlete's Foot
https://www.ncbi.nlm[...]
Palgrave Macmillan
2013-01-01
[43]
서적
靴が人を不健康にする
株式会社希望
2019-01-01
[44]
논문
Efficacy and safety of topical antifungals in the treatment of dermatomycosis: a systematic review
2012-05-01
[45]
논문
新規外用抗真菌薬ルリコナゾールクリーム1%・液1%の臨床試験成績を中心として
https://doi.org/10.1[...]
2005-01-01
[46]
웹사이트
華陀膏
https://www.iskra.co[...]
イスクラ産業
[47]
웹사이트
華陀雪華晶
https://www.iskra.co[...]
イスクラ産業
[48]
간행물
塀の中の懲りない面々3
[49]
서적
Dermatology: 2-Volume Set
Mosby
[50]
논문
Interdigital tinea pedis (dermatophytosis simplex and complex) and treatment with ciclopirox 0.77% gel
[51]
논문
Secondary bacterial infection always accompanies interdigital tinea pedis
[52]
논문
Recovery of dermatophytes from shoes and a shower stall
[53]
뉴스
Athlete's Foot, Toe Fungus a Family Affair
http://www.healthsco[...]
2006-09-29
[54]
웹인용
발톱무좀에 그런 제품 쓰니깐 더 악화되죠..
https://m.post.naver[...]
2023-08-10
[55]
웹사이트
허가 의약품
http://www.druginfo.[...]
[56]
웹사이트
허가 의약품
http://www.druginfo.[...]
[57]
웹사이트
허가 의약품
http://www.druginfo.[...]
[58]
논문
Topical treatments for fungal infections of the skin and nails of the foot
https://www.ncbi.nl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