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네치아 폴로 형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네치아 폴로 형제는 13세기에 활동한 이탈리아의 상인 가문으로, 동방 무역을 통해 명성을 얻었다. 마르코 폴로의 할아버지인 니콜로 마페오 폴로가 가문의 동방 무역 기반을 다졌으며, 니콜로와 마페오 폴로 형제는 1259년 또는 1260년에 동방으로 여행을 떠나 킵차크 칸국, 부하라를 거쳐 쿠빌라이 칸이 다스리는 원나라에 도착했다. 이후 마르코 폴로가 합류하여 17년 동안 원나라에서 활동했고, 《동방견문록》을 통해 동서양 문명 교류에 큰 영향을 미쳤다. 폴로 가문의 이야기는 다양한 그림과 기록으로 남아있으며, 영화, 드라마, 게임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의 소재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피사 공화국 - 루스티켈로 다 피사
    루스티켈로 다 피사는 피사 출신으로 아서왕 전설 작품을 쓰고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 집필에 관여한 인물로 알려져 있으나, 두 저자가 동일 인물이 아니라는 주장도 있다.
  • 동로마 제국의 역사 - 두 황제 문제
    두 황제 문제는 서로마 제국 멸망 후 여러 제국들이 로마 제국의 정통성을 주장하며 정치적, 종교적, 문화적으로 충돌한 갈등과 경쟁을 포괄하는 개념입니다.
베네치아 폴로 형제
인물 정보
이름니콜로 폴로
로마자 표기Niccolò Polo
다른 이름니콜라 폴로 (Nicola Polo)
출생1230년경
사망1294년경
직업상인, 탐험가
국적베네치아 공화국
형제마페오 폴로
아들마르코 폴로
인물 정보
이름마페오 폴로
로마자 표기Maffeo Polo
출생1230년경
사망1309년경
직업상인, 탐험가
국적베네치아 공화국
형제니콜로 폴로
조카마르코 폴로
주요 활동
활동 내용동방 무역, 원나라 방문
관련 저서동방견문록 (마르코 폴로 저술)

2. 폴로 가문의 기원과 초기 활동

니콜라 마페오 폴로(Nicola Maffeo Poloit, 1209년[12]~1261년[13][14])는 마르코 폴로의 할아버지로, 가문의 동방 무역 기반을 다졌다. 첫 번째 부인(1207년생~1243년졸, 피렌체 공화국 피렌체 출신[15]) 사이에서 니콜로 폴로(1230년[16]~1294년[17][18])를 낳았고, 재혼한 두 번째 부인(1225년생~1268년졸, 시에나 공화국 시에나 출신[22]) 사이에서 마테오 폴로(1248년[23]~1265년[24][25])와 마페오 폴로(1252년[26]~1309년[27][28])를 낳았다. 그의 동생은 마르코 마테오 폴로(1212년[29]~1240년[30][31])이다.

2. 1. 니콜라 마페오 폴로 (Niccolò Maffeo Polo)

니콜라 마페오 폴로(Nicola Maffeo Poloit, 1209년[12]~1261년[13][14])는 마르코 폴로의 할아버지로, 가문의 동방 무역 기반을 다졌다. 첫 번째 부인(1207년생~1243년졸, 피렌체 공화국 피렌체 출신[15]) 사이에서 니콜로 폴로(1230년[16]~1294년[17][18])를 낳았고, 재혼한 두 번째 부인(1225년생~1268년졸, 시에나 공화국 시에나 출신[22]) 사이에서 마테오 폴로(1248년[23]~1265년[24][25])와 마페오 폴로(1252년[26]~1309년[27][28])를 낳았다. 그의 동생은 마르코 마테오 폴로(1212년[29]~1240년[30][31])이다.

2. 2. 마르코 마테오 폴로 (Marco Matteo Polo)

3. 니콜로, 마테오 폴로 형제의 1차 동방 여행 (1259-1269)



1204년 제4차 십자군 원정 이후, 니콜로와 마페오 폴로는 콘스탄티노플의 베네치아 구역에서 거주하며 여러 특권을 누렸다.[5][6] 그러나 정치적 상황이 불안정해지자, 1259년 또는 1260년에 크림반도의 솔다이아로 거점을 옮겼다.[5] 이 결정은 1261년 미카일 8세 팔레올로고스가 니케아 제국의 통치자로 콘스탄티노플을 탈환하면서 베네치아 구역을 불태우고 파괴하면서 옳았음이 증명되었다.[7] 포로로 잡힌 베네치아인들은 눈이 멀었고,[7] 탈출한 사람들은 에게 해의 다른 베네치아 식민지로 도망치는 배에서 사망했다.

니콜로와 마페오 폴로는 베네치아 공화국을 떠나 콘스탄티노플에서 거주하다가, 정치적 상황이 불안정하다고 판단하여 1259년 또는 1260년에 사업을 크림반도의 솔다이아로 이전했다.[5][6] 솔다이아는 킵차크 칸국의 영토였으며, 폴로 형제는 사라이에서 킵차크 칸국의 통치자인 베르케 칸의 궁정에서 약 1년간 머물렀다. 그들은 베르케의 상인 파트너인 '오르토크'가 되어 그들에게 위탁된 상품을 판매했다.[9]

베르케와 그의 사촌 훌라구 칸 사이의 내전이나 베르케 칸과 비잔틴 제국 간의 관계 악화로 인해, 폴로 형제는 크림반도를 떠나 동쪽으로 이동했다. 티그리스강을 건너 아라비아 사막 북쪽 끝을 17일 동안 걸어 부하라에 도착했고, 그곳에서 3년 동안 머물렀다.[8]

부하라에서 훌라구의 사신을 만나 쿠빌라이 칸의 초청을 받아, 1266년 원나라의 수도 다두 (현재의 베이징)에 도착했다.[8] 쿠빌라이 칸은 이들을 환대하고 교황에게 보내는 편지를 써서 코케테이라는 몽골인을 대사로 함께 보냈다. 편지에는 기독교와 서양 문화를 가르칠 100명의 교육받은 사람과 예루살렘 성묘의 램프 기름을 요청하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9] 또한, '파이자'라는 금색 판을 주어 쿠빌라이 칸의 지배 아래에서 숙소, 말, 음식을 제공받을 수 있게 했다.

폴로 형제는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의 아야스를 거쳐 아크레로 항해했다.[9] 1269년 또는 1270년, 교황 클레멘스 4세의 사망으로 교황 선출이 지연되자, 테오발도 비스콘티의 제안대로 베네치아로 돌아와 새 교황 임명을 기다렸다. 이때 니콜로는 아들 마르코 폴로와 재회했다.

3. 1. 콘스탄티노플 체류와 솔다이아로의 이동

1204년 제4차 십자군 원정 이후, 니콜로와 마페오 폴로는 콘스탄티노플의 베네치아 구역에서 거주하며 여러 특권을 누렸다.[5][6] 그러나 정치적 상황이 불안정해지자, 1259년 또는 1260년에 크림반도의 솔다이아로 거점을 옮겼다.[5] 이 결정은 1261년 미카일 8세 팔레올로고스가 니케아 제국의 통치자로 콘스탄티노플을 탈환하면서 베네치아 구역을 불태우고 파괴하면서 옳았음이 증명되었다.[7] 포로로 잡힌 베네치아인들은 눈이 멀었고,[7] 탈출한 사람들은 에게 해의 다른 베네치아 식민지로 도망치는 배에서 사망했다.

3. 2. 킵차크 칸국과 부하라 체류



니콜로와 마페오 폴로는 베네치아 공화국을 떠나 콘스탄티노플에서 거주하다가, 정치적 상황이 불안정하다고 판단하여 1259년 또는 1260년에 사업을 크림반도의 솔다이아로 이전했다.[5][6] 솔다이아는 킵차크 칸국의 영토였으며, 폴로 형제는 사라이에서 킵차크 칸국의 통치자인 베르케 칸의 궁정에서 약 1년간 머물렀다. 그들은 베르케의 상인 파트너인 '오르토크'가 되어 그들에게 위탁된 상품을 판매했다.[9]

베르케와 그의 사촌 훌라구 칸 사이의 내전이나 베르케 칸과 비잔틴 제국 간의 관계 악화로 인해, 폴로 형제는 크림반도를 떠나 동쪽으로 이동했다. 티그리스강을 건너 아라비아 사막 북쪽 끝을 17일 동안 걸어 부하라에 도착했고, 그곳에서 3년 동안 머물렀다.[8]

3. 3. 쿠빌라이 칸과의 만남과 귀환



니콜로와 마페오 폴로는 베네치아를 떠나 콘스탄티노플에서 수년간 거주했다.[5][6] 이후 크림반도의 솔다이아로 이동했다가, 사라이에서 베르케 칸을 만난 후 베르케와 훌라구 칸 사이의 내전을 피해 동쪽으로 이동, 부하라에서 3년간 머물렀다.[8]

부하라에서 훌라구의 사신을 만나 쿠빌라이 칸의 초청을 받아, 1266년 원나라의 수도 다두 (현재의 베이징)에 도착했다.[8] 쿠빌라이 칸은 이들을 환대하고 교황에게 보내는 편지를 써서 코케테이라는 몽골인을 대사로 함께 보냈다. 편지에는 기독교와 서양 문화를 가르칠 100명의 교육받은 사람과 예루살렘 성묘의 램프 기름을 요청하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9] 또한, '파이자'라는 금색 판을 주어 쿠빌라이 칸의 지배 아래에서 숙소, 말, 음식을 제공받을 수 있게 했다.

폴로 형제는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의 아야스를 거쳐 아크레로 항해했다.[9] 1269년 또는 1270년, 교황 클레멘스 4세의 사망으로 교황 선출이 지연되자, 테오발도 비스콘티의 제안대로 베네치아로 돌아와 새 교황 임명을 기다렸다. 이때 니콜로는 아들 마르코와 재회했다.

4. 니콜로, 마테오, 마르코 폴로의 2차 동방 여행 (1271-1295)

1271년, 니콜로와 마페오 폴로가 쿠빌라이 칸의 서신을 교황 그레고리오 10세에게 전달하는 모습


니콜로, 마페오, 마르코 폴로가 쿠빌라이 칸의 궁정에 있는 모습, 트란퀼로 크레모나의 그림, 1863


교황 그레고리오 10세는 1271년 니콜로와 마테오 폴로로부터 쿠빌라이 칸의 서신을 받았다.[10] 쿠빌라이 칸은 100명의 선교사와 예루살렘 램프의 기름을 보내달라고 요청했고, 이에 두 폴로 형제는 17세의 마르코 폴로와 함께 몽골로 돌아갔다.[10] 이때 도미니코회 수사 두 명, 니콜로 데 비첸차와 트리폴리의 윌리엄이 동행하였으나, 이들은 두려움 때문에 여정을 마치지 못했다.[10] 폴로 형제는 일반적으로 북방 실크로드를 이용했다고 알려져 있지만, 남쪽 길을 이용했을 가능성도 제기되었다.[11] 이들은 칸발리크에 도착하여 1274년에 교황의 선물을 쿠빌라이에게 전달했다.[10]

폴로 일행은 이후 17년 동안 중국에 머물렀다.[11]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에 따르면, 쿠빌라이 칸은 이야기꾼이었던 마르코 폴로를 좋아하여 그를 제국 전역에 외교 임무를 수행하도록 했다. 마르코는 외교 임무를 수행했을 뿐만 아니라 그가 여행했던 지역에 대한 흥미로운 관찰로 칸을 즐겁게 했다. 폴로 일행은 여러 번 유럽으로 돌아갈 허가를 요청했지만, 대칸은 그들을 아껴서 그들의 출발에 동의하지 않았다.

1291년, 쿠빌라이는 마르코에게 몽골 공주 코코친(《동방견문록》에서는 ''코카친''으로 표기)을 그녀의 약혼자 아르군에게 호송하는 마지막 임무를 맡겼다. 일행은 바다로 여행하여 취안저우에서 출발하여 수마트라, 스리랑카와 인도를 거쳐 페르시아로 갔다. 1293년 또는 1294년에 폴로 일행은 일칸국에 도착했다. 아르군이 이미 사망한 후였기에 가이하투가 통치하고 있었고, 폴로 형제는 코코친을 새로운 일칸에게 맡겼다. 그 후 그들은 트라브존으로 이동하여 그곳에서 베네치아로 항해했다.

4. 1. 교황 사절단과의 동행과 칸발리크 도착

교황 그레고리오 10세쿠빌라이 칸의 요청에 따라 100명의 선교사와 예루살렘 램프의 기름을 보내고자 했다.[10] 1271년, 니콜로와 마페오 폴로는 17세의 마르코 폴로와 함께 도미니코회 수사 두 명과 동행하여 몽골로 향했다. 두 수사는 여정을 마치지 못했지만, 폴로 일행은 칸발리크에 도착하여 1274년에 교황의 선물을 쿠빌라이에게 전달했다.[10] 폴로 형제는 일반적으로 북방 실크로드를 이용했다고 알려져 있지만, 남쪽 길을 이용했을 가능성도 제기되었다.[11]

4. 2. 쿠빌라이 칸 치하에서의 활동

교황 그레고리오 10세는 1271년 니콜로와 마페오 폴로로부터 쿠빌라이 칸의 서신을 받았다.[10] 쿠빌라이 칸은 100명의 선교사와 예루살렘 램프의 기름을 보내달라고 요청했고, 이에 두 폴로 형제는 17세의 마르코 폴로와 함께 몽골로 돌아갔다.[10] 폴로 형제는 북방 실크로드를 이용했다고 알려져 있지만, 남쪽 길을 이용했을 가능성도 제기되었다.[11] 이들은 칸발리크에 도착하여 1274년에 교황의 선물을 쿠빌라이에게 전달했다.[10]

폴로 일행은 이후 17년 동안 중국에 머물렀다.[11]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에 따르면, 쿠빌라이 칸은 마르코 폴로의 이야기를 좋아하여 그를 제국 전역에 외교 임무를 수행하도록 했다. 마르코는 외교 임무를 수행했을 뿐만 아니라 그가 여행했던 지역에 대한 흥미로운 관찰로 칸을 즐겁게 했다. 폴로 일행은 여러 번 유럽으로 돌아갈 허가를 요청했지만, 대칸은 그들을 아껴서 그들의 출발에 동의하지 않았다.

1291년, 쿠빌라이는 마르코에게 몽골 공주 코코친을 그녀의 약혼자 아르군에게 호송하는 마지막 임무를 맡겼다. 일행은 바다로 여행하여 취안저우에서 출발하여 수마트라, 스리랑카와 인도를 거쳐 페르시아로 갔다. 1293년 또는 1294년에 폴로 일행은 일칸국에 도착하여 코코친을 새로운 일칸에게 맡기고 트라브존을 거쳐 베네치아로 항해했다.

4. 3. 귀환길

1291년, 쿠빌라이 칸마르코 폴로에게 그의 마지막 임무를 맡겼다. 그것은 몽골 공주 코코친(《동방견문록》에서는 ''코카친''으로 표기)을 그녀의 약혼자 아르군에게 호송하는 것이었다.[10] 일행은 취안저우에서 출발하여 바다로 여행했다.[10] 그들은 수마트라, 스리랑카와 인도를 거쳐 페르시아로 갔다.[10] 1293년 또는 1294년에 폴로 형제는 일칸국에 도착했다.[10] 아르군이 이미 사망한 후였기에 가이하투가 통치하고 있었고, 폴로 형제는 코코친을 새로운 일칸에게 맡겼다.[10] 그 후 그들은 트라브존으로 이동하여 그곳에서 베네치아로 항해했다.[10]

5. 마르코 폴로와 《동방견문록》

마르코 폴로(Marco Poloit, 1254년~1324년)는 베네치아 귀환 후 제노바와의 전쟁에 참전했다가 포로로 잡혔고, 감옥에서 자신의 지난 청년 시절의 몽골 제국 관련 아시아 여행담 등을 구술하였다. 이 구술을 피사 공화국 출신의 동료 수감자였던 시문학가 루스티켈로 다 피사(Rustichello da Pisait)가 표면적으로 집필한 실크 로드 여행 탐험 기행문 저서가 바로 《동방견문록(Il Milioneit)》이다.

5. 1. 《동방견문록》의 집필과 내용

마르코 폴로는 전쟁 포로 시절 동료 수감자들에게 자신의 청년 시절 몽골 제국 관련 아시아 여행담 등을 구술하였으며, 피사 공화국 출신의 시문학가 루스티켈로 다 피사가 이를 집필하여 실크 로드 여행 탐험 기행문 《동방견문록》을 저술하였다.

5. 2. 《동방견문록》의 영향과 의의

6. 폴로 가문의 유산과 대중문화

폴로 가문의 동방 여행은 동서양 문명 교류의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받으며,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서 영감을 제공하고 있다.

폴로 가문의 여정은 다양한 그림과 기록으로 남아있다. 1259년, 폴로 삼 형제가 비잔티움 제국 콘스탄티노폴리스를 방문하여 요안니스 군주와 섭정 미하일 공에게 의례를 갖추는 모습, 1262년 몽골 제국 킵차크 우즈베크국 부하라에서 군주 베르케 칸에게 의례를 갖추는 모습 등이 그림으로 묘사되어 있다. 마르코 폴로타타르 족 전통 복장을 한 모습, 1292년 이탈리아 제노바 해전 참전 직전의 모습, 만년의 모습도 그림으로 남아있다.

마르코 폴로의 만년 시절 모습


1271년에는 니콜로 폴로가 아들 마르코 폴로, 이복 아우 마페오 폴로와 함께 몽골 제국으로 실크 로드 여행을 떠나는 모습과 같은 해 쿠빌라이 칸의 비공식 외교 사절단 공동대표 성향으로써 그레고리오 10세 교황에게 정식으로 의례를 갖추는 모습도 그림으로 남아있다. 《동방견문록》의 여러 판본과 삽화들은 당시의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폴로 가문의 이야기는 영화, 드라마, 게임 등 다양한 장르에서 재해석되고 있다. 특히 넷플릭스 드라마 《마르코 폴로》, 게임 《어쌔신 크리드 레벨레이션》 등은 폴로 가문을 대중에게 널리 알리는 데 기여했다.

니콜로와 마페오 폴로는 1982년 미니시리즈 ''마르코 폴로''의 등장인물로, 각각 덴홀름 엘리엇과 토니 보겔이 연기했다. 1965년 영화 ''마르코 더 매그니피선트''에서는 마시모 지로티와 미차 오를로비치가 이들을 연기했다.

2011년 비디오 게임 ''어쌔신 크리드 레벨레이션''에서 니콜로와 마페오 폴로 형제는 알타이르 이븐-라 아하드에 의해 암살단에 입단한다. 알타이르는 형제에게 자신의 코덱스와 5개의 기억의 인장을 물려주었고, 이후 형제는 다양한 암살자 길드를 설립했다. 니콜로의 일기인 ''The Secret Crusade''도 이 게임에 등장한다.

6. 1. 폴로 가문 관련 기록과 유물

폴로 가문의 여정은 다양한 그림과 기록으로 남아있다. 1259년, 폴로 삼 형제가 비잔티움 제국 콘스탄티노폴리스를 방문하여 요안니스 군주와 섭정 미하일 공에게 의례를 갖추는 모습, 1262년 몽골 제국 킵차크 우즈베크국 부하라에서 군주 베르케 칸에게 의례를 갖추는 모습 등이 그림으로 묘사되어 있다. 마르코 폴로타타르 족 전통 복장을 한 모습, 1292년 이탈리아 제노바 해전 참전 직전의 모습, 만년의 모습도 그림으로 남아있다.

1271년에는 니콜로 폴로가 아들 마르코 폴로, 이복 아우 마페오 폴로와 함께 몽골 제국으로 실크 로드 여행을 떠나는 모습과 같은 해 쿠빌라이 칸의 비공식 외교 사절단 공동대표 성향으로써 그레고리오 10세 교황에게 정식으로 의례를 갖추는 모습도 그림으로 남아있다. 《동방견문록》의 여러 판본과 삽화들은 당시의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6. 2. 대중문화 속 폴로 가문

폴로 가문의 이야기는 영화, 드라마, 게임 등 다양한 장르에서 재해석되고 있다. 특히 넷플릭스 드라마 《마르코 폴로》, 게임 《어쌔신 크리드 레벨레이션》 등은 폴로 가문을 대중에게 널리 알리는 데 기여했다.

니콜로와 마페오 폴로는 1982년 미니시리즈 ''마르코 폴로''의 등장인물로, 각각 덴홀름 엘리엇과 토니 보겔이 연기했다. 1965년 영화 ''마르코 더 매그니피선트''에서는 마시모 지로티와 미차 오를로비치가 이들을 연기했다.

2011년 비디오 게임 ''어쌔신 크리드 레벨레이션''에서 니콜로와 마페오 폴로 형제는 알타이르 이븐-라 아하드에 의해 암살단에 입단한다. 알타이르는 형제에게 자신의 코덱스와 5개의 기억의 인장을 물려주었고, 이후 형제는 다양한 암살자 길드를 설립했다. 니콜로의 일기인 ''The Secret Crusade''도 이 게임에 등장한다.

참조

[1] 문서 Died before 1300.
[2] 문서 Also Matteo
[3] 문서 Died before 1318.
[4] 문서 Pliny the Elder, Letters 9.23.
[5] 서적 The Travels of Marco Polo 2014-01-09
[6] 문서 The exact date of their departure remains unknown.
[7] 서적 Vita di Marco Polo veneziano Rusconi Editore
[8] 서적 The Travels of Marco Polo http://archive.org/d[...]
[9] 간행물 Enerelt Enkhbold, 2019. "The role of the ortoq in the Mongol Empire in forming business partnerships", Central Asian Survey 38 (4), 1-17 https://www.tandfonl[...] 2019-09-07
[10] 문서 "Le Livre des Merveilles", p.5-17
[11] 문서 The Real Eve: Modern Man's Journey Out of Africa
[12] 문서 베네치아 공화국 베네치아 출생
[13] 문서 베네치아 공화국 베네치아에서 향년 52세로 별세.
[14] 문서 니콜라 마페오 폴로 - 1228년 첫 결혼하여 1243년 첫 부인을 상배한 후 1245년 재혼한 그는 3남(아들 3형제)을 둠.
[15] 문서 1228년 결혼 15년 후 1243년 병사.
[16] 문서 베네치아 공화국 베네치아 출생
[17] 문서 베네치아 공화국 베네치아에서 향년 64세로 별세.
[18] 문서 니콜로 폴로 - 1294년 베네치아 공화국 베네치아에서 향년 64세로 사망.
[19] 문서 베네치아 공화국 베네치아 출생
[20] 문서 베네치아 공화국 베네치아에서 별세.
[21] 문서 마르코 폴로는 훗날, 베로나(Verona)의 토박이 출신의 부인 도나타 바도에르 폴로와 사이에 3녀(3자매)를 둠.
[22] 문서 1245년 결혼 16년 후 1261년 부군 니콜라 마페오 폴로가 별세하였고 7년 후 1268년 사망.
[23] 문서 베네치아 공화국 베네치아 출생
[24] 문서 몽골 제국 카라코룸에서 향년 17세로 별세.
[25] 문서 마테오 폴로 - 1265년 몽골 제국 카라코룸에서 풍토병에 걸려 결국 향년 17세로 요절.
[26] 문서 베네치아 공화국 베네치아 출생
[27] 문서 베네치아 공화국 베네치아에서 향년 57세로 별세.
[28] 문서 마페오 폴로 - 1309년 베네치아 공화국 베네치아에서 향년 57세로 사망.
[29] 문서 베네치아 공화국 베네치아 출생
[30] 문서 피렌체 공화국 피렌체에서 향년 28세로 별세.
[31] 문서 마르코 마페오 폴로 - 1240년 피렌체 공화국 피렌체에서 홍역에 걸려 향년 28세로 요절.
[32] 문서 베네치아 공화국 베네치아 출생.
[33] 문서 베네치아 공화국 베네치아에서 향년 52세로 별세.
[34] 문서 베네치아 공화국 베네치아 출생
[35] 문서 형제들의 삼촌 마르코 마테오 폴로는 1240년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홍역에 걸려 향년 28세로 요절.
[36] 문서 피렌체 공화국
[37] 문서 베네치아 공화국
[38] 문서 베네치아 공화국
[39] 문서 베네치아 공화국
[40] 문서 베네치아 공화국
[41] 문서 몽골 제국
[42] 문서 몽골 제국
[43] 문서 베네치아 공화국
[44] 문서 이탈리아 베네치아
[45] 문서 베네치아 공화국
[46] 문서 베네치아 공화국
[47] 문서 베네치아 공화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