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이사이드 플레이스 하카타 부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이사이드 플레이스 하카타 부두는 일본 후쿠오카현 하카타항에 위치한 복합 시설이다. 1991년 개장하여 한때 연간 400만 명 이상이 방문했으나 경영난을 겪었고, 2005년 운영사의 파산으로 민사 재생 절차를 거쳤다. 이후 큐덴코에 인수되어 2010년 재개장했으며, 하카타 부두 제1, 2 터미널, 아쿠아리움, 상업 시설, 공공 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쿠오카현의 관광지 - 모지코 레트로
    모지코 레트로는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 국제 무역항으로 번성했던 모지항 주변 지역으로, 레트로 프로젝트를 통해 복원된 건축물과 관광 시설, 그리고 다양한 먹거리와 행사로 유명한 기타큐슈시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이다.
  • 부두 (시설) - 피셔맨스워프 (샌프란시스코)
    피셔맨스워프는 샌프란시스코에 위치한 미국 서부의 인기 관광지로, 1884년 워프 건설 후 관광 명소로 재개발되어 피어 39, 기라델리 광장, 해양 국립 역사 공원 등의 명소와 해산물 레스토랑, 특히 바다사자 서식지로 유명하며 주요 행사도 개최된다.
  • 부두 (시설) - 산타모니카 피어
    산타모니카 피어는 캘리포니아주 산타모니카에 있는 인기 있는 부두로, 놀이 시설, 상점, 레스토랑을 갖추고 1909년과 1916년에 합쳐져 현재 모습을 갖췄으며, 시민 노력으로 보존되어 1996년 퍼시픽 파크 개장 후 다양한 대중문화 콘텐츠에 등장하며 연중 온화한 기후를 자랑한다.
  • 하카타구 - 하카타항
    하카타항은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에 있는 항만으로, 고대부터 국제 교류의 중심지이자 방어 요충지였으며 현재는 국제 무역항으로서 국제 여객 수 기준으로 일본 내 1위를 기록하고 있다.
  • 하카타구 - 기온역 (후쿠오카현)
    기온역은 1983년에 개업한 후쿠오카 시 지하철 1호선(공항선)의 역으로, 하카타역과 지하 연락 통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추고, 주변은 상업 지역이다.
베이사이드 플레이스 하카타 부두
지도
기본 정보
종류부두, 상업 시설
소재지일본,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하카타구
좌표33°36′54.8″N 130°24′24.3″E
개요
특징후쿠오카시 하카타구에 위치한 부두 시설 겸 상업 시설이다.
주요 시설여객 터미널
상업 시설
레스토랑
이벤트 공간
교통하카타역에서 버스로 약 15분 거리에 위치한다.
운영 주체불명

2. 역사

1991년 하카타항부두 중 하나인 하카타 부두에 베이사이드 플레이스 하카타가 개장했다. 샌프란시스코의 피셔맨즈 워프를 본뜬 디자인으로, 시설은 워터프론트 분위기를 연출하며, 종합 프로듀서는 하마노 야스히로이다.

하카타 돈타쿠 항구 축제 첫날 오전에 개회식이 열린다.

2011년 3월 27일부터 수상 버스 '후쿠하쿠 항구 만남 배'가 운행되었으나(자세한 내용은 나카가와 #수상 버스 참조)[1][2], 2014년 10월 말 운행이 중단되었다.[3]

2. 1. 개발 배경 및 초기 역사 (1988년 ~ 2005년)

하카타항의 여러 부두 중 하나인 '''하카타 부두'''에 1991년 '''베이사이드 플레이스 하카타'''가 개장했다. 이는 하카타 항만 재개발의 일환으로, 1988년에 후쿠오카시와 지역 기업들이 출자하여 설립한 제3섹터 '선 피어 하카타'가 주도했다.

샌프란시스코의 피셔맨즈 워프를 본뜬 디자인으로, 개장 초기에는 연간 400만 명이 넘는 방문객을 기록하며 큰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교통 접근성 부족과 시사이드 모모치 등과의 경쟁으로 인해 방문객이 감소하여 2000년 3월까지 적자가 계속되었다.

2002년 11월, 대형 온천 시설 '하카타 제일 목욕탕'과 '하카타 포장마차 거리' 등이 개장하며 방문객 수가 다소 회복되었지만, 2005년 6월 운영사의 경영 악화로 인해 선 피어 하카타는 민사 재생법 적용을 신청하게 되었다. 부채 총액은 약 39억에 달했고, 후쿠오카 시로부터의 융자 3.4억은 채권 포기되었다. 이는 후쿠오카 시 출자 제3섹터의 첫 파산 사례로, 야마자키 당시 시장에 대한 불신임으로 이어지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4]

2. 2. 경영난과 민사 재생 (2005년 ~ 2010년)

베이사이드 플레이스는 하카타 항만의 재개발 일환으로 계획되었다. 1988년 후쿠오카시 등이 출자하여 자본금 4억 엔으로 '선 피어 하카타'가 설립되었고, 1991년 6월 베이사이드 플레이스 하카타가 개장했다. 개장 당시에는 연간 400만 명이 넘는 방문객을 기록했으나, 교통 접근성 부족과 다른 대형 상업 시설과의 경쟁으로 2000년 3월까지 적자가 지속되었다.[4]

2002년 11월, 대형 온천 시설 '하카타 제일 목욕탕' 등이 개장하여 연간 방문객 수가 300만 명대로 회복되었지만, 2005년 6월 운영사인 베이사이드 시티(주)가 급격한 경영 다각화로 인해 자기 파산을 신청했다. 이는 임대료 수입에 크게 의존하던 선 피어 하카타에 큰 타격을 주었고, 결국 2005년 9월 민사 재생법 적용을 후쿠오카 지방 법원에 신청하여 수리되었다. 부채 총액은 약 39억이었으며, 이 중 후쿠오카 시로부터의 융자 3.4억은 채권 포기되었다. 이는 후쿠오카 시가 출자한 제3섹터의 첫 파산 사례였으며, 야마자키 시정에 대한 불신임으로 이어지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4]

파산 후, 선 피어 하카타의 자산은 큐덴코에 매각되어 부채 정리에 사용될 예정이었다. 큐덴코는 모리 빌딩 계열의 모리 빌딩 도시 기획과 공동으로 상업 시설을 운영할 계획이었으나 중단되었다. 이후 지역 농수산물 시장과 레스토랑을 중심으로 2010년 3월에 리뉴얼 오픈했다.[5] 이 과정에 cross fm이 참여하여 이와타야 텐진 본점 신관의 스튜디오를 폐지하고 베이사이드 플레이스로 이전했다. 2010년 7월에는 지역 유력 기업 등에 의해 '베이사이드 플레이스 하카타 협력회'가 설립되었다.[6]

2. 3. 큐덴코 인수와 재개장 (2010년 ~ 현재)

2005년 9월, 경영 모체였던 후쿠오카시 출자의 제3섹터 선 피어 하카타가 경영 파탄을 맞았다.[4] 이후 관리 운영은 큐덴코 자회사 큐덴코 넷 프로듀스로 이관되었으며, 현재는 주식회사 베이사이드 플레이스 하카타에 의해 영업이 계속되고 있다.

파산 후, 선 피어 하카타의 자산은 큐덴코에 매각되어 부채 정리에 사용되었다. 큐덴코는 롯폰기 힐즈 등을 취급하는 모리 빌딩 계열의 모리 빌딩 도시 기획과 공동으로 상업 어뮤즈먼트 시설을 운영할 계획이었지만 중단되었다. 그 후, 지역 농수산물을 취급하는 시장과 레스토랑을 중심으로 2010년 3월에 리뉴얼 오픈했다.[5] 이 재생 계획에 경영 재건 중인 민방 FM 라디오 방송국 cross fm이 참여하게 되어, 재개와 함께 이와타야 텐진 본점 신관 1층에 설치했던 텐진 키라메키 거리 스튜디오를 폐지하고 베이사이드 플레이스로 이전했다. 2010년 7월에는 베이사이드 플레이스의 이용 촉진과 주변 지역의 정비를 추진하기 위해, 지역의 유력 기업 등에 의한 '베이사이드 플레이스 하카타 협력회'가 설립되었다.[6]

3. 주요 시설

베이사이드 플레이스 하카타는 상업 시설, 항만 시설, 공공 시설, 신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분시설명설명
상업 시설아쿠아리움높이 8m, 지름 9m의 원통형 수조. 수족관을 제외한 상업 시설 내 수조로는 일본 최대 규모.
베이사이드 홀대회의실
일시 위탁 보육 시설
어린이 유희 시설
음식점
물품 판매민예품, 식재료, 매점, 잡화점 등
cross fm 후쿠오카 영업소 겸 스튜디오C동 3층
항만 시설하카타 포트 타워높이 100m, 전망실 높이 70m. 선박 출입항 정보 제공 및 하카타만과 후쿠오카시 전망 가능.
하카타항 베이사이드 뮤지엄하카타항 역할 소개, 컨테이너 크레인 조작 체험, 무역선 모형 및 수출품 전시. 2007년 9월 30일 하카타 포트 타워 1층으로 이전.
1호 상옥
공공 시설선셋 파크 (하카타 부두 녹지)하카타 부두 돌단부의 공원
하카타 부두 파출소
주차장베이사이드 주차장 제1, 제2, 제3
시영 축항 주차장
신사櫛田神社浜宮하카타 총수호신 쿠시다 신사의 하마미야. 하카타 기온 야마가사에서 봉 씻기 의식 진행.


3. 1. 하카타 부두

하카타항에는 여러 개의 부두가 있으며, 그 중 하나가 '''하카타 부두'''이다. 하카타 부두에는 두 개의 여객 터미널이 있는데, 제1 터미널과 함께 식당, 잡화점 등 임차인이 입주하는 건물이 '''베이사이드 플레이스 하카타'''이다. 하카타 부두 파출소에 인접한 A동, 중앙의 B동, 제1 터미널이 있는 C동의 3개 동으로 구성된다. 보통은 제1 터미널과 임차인 건물, 하카타 포트 타워 등 하카타 부두에 있는 모든 시설을 통틀어 '베이사이드 플레이스'라고 부른다.

이 시설은 워터프론트 분위기를 살려 디자인되었다. 종합 프로듀서는 하마노 야스히로이며, 샌프란시스코의 피셔맨즈 워프와 비슷한 느낌이다.

1991년 문을 열었고, 처음에는 후쿠오카시가 출자한 제3섹터인 선 피어 하카타가 운영했지만, 2005년 9월 경영난으로 파산했다(자세한 내용은 후술). 이후 큐덴코 자회사인 큐덴코 넷 프로듀스가 관리 운영을 맡았고, 현재는 주식회사 베이사이드 플레이스 하카타가 영업을 이어가고 있다.

하카타 돈타쿠 항구 축제 첫날 오전에 개회식이 열린다.

2011년 3월 27일부터 수상 버스 '후쿠하쿠 항구 만남 배'가 운항(~텐진·후쿠하쿠 만남 다리[1][2], 자세한 내용은 나카가와 #수상 버스 참조)했지만, 2014년 10월 말에 중단되었다[3]

상업 시설과 잔교


; 베이사이드 플레이스 하카타

  • 아쿠아리움: 높이 8m, 지름 9m의 원통형 수조. 수족관을 제외하면 상업 시설 내 수조로는 일본 최대 규모다.
  • 베이사이드 홀 (대회의실)
  • 일시 위탁 보육 시설
  • 어린이를 위한 놀이 시설
  • 음식점
  • 물품 판매 (민예품・식재료・매점・잡화점 등)
  • cross fm 후쿠오카 영업소 겸 스튜디오 (C동 3층)


; 항만 시설

  • 하카타 포트 타워: 높이 100m, 전망실 높이 70m. 배의 출입항을 살피고, 하카타항 VHF 해안국 "하카타 포트 라디오"를 통해 선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전망실에서는 하카타만과 후쿠오카시를 한눈에 볼 수 있다.
  • 하카타항 베이사이드 뮤지엄: 하카타항의 역할을 소개하는 시설로, 컨테이너 크레인 조작 체험도 가능하다. 고대부터 현대까지의 무역선 모형과 하카타항에서 수출된 물품도 전시하고 있다. 처음에는 제1 터미널 안에 있었으나, 2007년 9월 30일 하카타 포트 타워 1층으로 옮겼다.
  • 1호 상옥


; 상업 시설

  • 미나토 온천 "나미하노유": 자기 파산한 베이사이드 시티 주식회사가 운영하던 슈퍼 목욕탕 "하카타 이치반후로"를 재단장하여 2008년 11월 28일 문을 열었다. 이 장소는 후쿠오카 방송 (FBS)의 초대 본사(1968년 ~ 1979년)였다.


; 공공 시설

  • 선셋 파크 (하카타 부두 녹지): 하카타 부두 돌출부의 공원.
  • 하카타 부두 파출소
  • 주차장
  • * 베이사이드 주차장 제1・제2・제3
  • * 시영 축항 주차장


; 신사

  • 쿠시다 신사 하마미야: 하카타의 수호신 쿠시다 신사의 하마미야. 하카타 기온 야마가사 때 이곳에서 봉을 씻는 의식을 한다.

3. 1. 1. 제1 터미널

후쿠오카시 교통국의 "킨인"(니시토사키・시카노시마행), "뉴 겐카이"(겐카이섬행), 야스다 산업 기선의 "우미나카 라인"(우미노나카미치행), 규슈 유센이키쓰시마 항로 제트포일 "비너스", 니시테츠 호텔즈의 하카타만 크루즈선 "마리에라" 등이 발착한다. 잔교는 5개의 선석이 있다.

3. 1. 2. 제2 터미널

규슈 유센의 이키・쓰시마(이즈하라) 항로 페리 "페리 치쿠시", "페리 키즈나" 및 히타카쓰(가미쓰시마) 항로 페리 "페리 겐카이", 노모 상선의 고토 항로 페리 "타이코" 등이 발착한다.[1]

3. 2. 상업 시설

베이사이드 플레이스 하카타는 1991년 6월에 개장한 복합 상업 시설이다. 후쿠오카시를 포함한 지역 기업들의 출자로 설립된 '선 피어 하카타'가 운영을 맡았다. 개장 초기에는 연간 400만 명이 넘는 방문객을 기록하며 큰 인기를 끌었다.[4]

하지만, 교통 접근성이 좋지 않고, 시사이드 모모치 등 다른 대형 상업 시설과의 경쟁으로 인해 방문객이 감소하면서 경영난을 겪게 되었다. 2002년에는 온천 시설 '하카타 제일 목욕탕' 등이 개장하며 방문객 수가 일시적으로 회복되기도 했지만, 2005년 운영사인 베이사이드 시티(주)가 파산하면서 경영에 큰 타격을 입었다.[4] 결국, 선 피어 하카타는 민사 재생법 적용을 신청하고, 부채 총액 약 39억 중 일부는 채권 포기되었다. 이는 후쿠오카 시가 출자한 제3섹터의 첫 파산 사례로, 야마자키 당시 후쿠오카 시장에 대한 불신임으로 이어지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이후, 선 피어 하카타의 자산은 큐덴코에 매각되었고, 2010년 3월에는 지역 농수산물 시장과 레스토랑을 중심으로 리뉴얼 오픈했다.[5] 이 과정에서 cross fm이 참여하여 스튜디오를 이전해왔다. 또한, 2010년 7월에는 지역 기업들이 '베이사이드 플레이스 하카타 협력회'를 설립하여 시설 이용 촉진과 주변 지역 정비를 추진하고 있다.[6]

베이사이드 플레이스 하카타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시설들이 있다.

  • '''아쿠아리움''': 높이 8m, 직경 9m의 원통형 수조가 있으며, 상업 시설 내 수조로는 일본 최대 규모이다.
  • '''베이사이드 홀''' (대회의실)
  • '''일시 위탁 보육 시설'''
  • '''어린이를 위한 유희 시설'''
  • '''음식점'''
  • '''물품 판매''' (민예・식재・매점・잡화점 등)
  • '''cross fm 후쿠오카 영업소 겸 스튜디오''' (C동 3층)
  • '''미나토 온천 "나미하노유"''': 2008년 11월 28일에 개업. 이전에는 "하카타 이치반후로"라는 슈퍼 목욕탕이 있었으며, 후쿠오카 방송(FBS)의 초대 본사 자리였다.[4]

3. 2. 1. 베이사이드 플레이스 하카타

하카타항에는 여러 개의 부두가 있으며, 그 중 하나가 '''하카타 부두'''이다. 하카타 부두에는 두 개의 여객 터미널이 있는데, 제1 터미널과 병설된 외식점, 잡화점 등 임차인이 입주하는 건물이 '''베이사이드 플레이스 하카타'''이다. 하카타 부두 파출소에 접한 A동, 중앙의 B동, 제1 터미널을 둔 C동의 3개 동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는 제1 터미널과 임차인 건물을 포함하여 하카타 포트 타워 등 하카타 부두에 있는 모든 시설을 통칭하여 '베이사이드 플레이스'라고 부른다.

시설은 워터프론트의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종합 프로듀서는 하마노 야스히로이며, 샌프란시스코의 피셔맨즈 워프를 연상시키는 디자인이다.

1991년에 개장했다. 경영 모체는 후쿠오카시가 출자한 제3섹터인 선 피어 하카타였으나, 2005년 9월에 경영 파탄되었다. 이후 관리 운영은 큐덴코 자회사 큐덴코 넷 프로듀스로 이관되었으며, 현재는 주식회사 베이사이드 플레이스 하카타에 의해 영업이 계속되고 있다.

하카타 돈타쿠 항구 축제에서는 첫날 오전 개회식이 열린다.

2011년 3월 27일부터 수상 버스 '후쿠하쿠 항구 만남 배'도 발착(~텐진·후쿠하쿠 만남 다리[1][2]·자세한 내용은 나카가와 #수상 버스 참조)했지만, 2014년 10월 말로 휴지되었다[3]

'''베이사이드 플레이스 하카타'''의 시설은 다음과 같다.

  • 하카타 부두 제1 터미널

: 후쿠오카시 교통국의 "킨인"(니시토사키・시카노시마행), "뉴 겐카이"(겐카이섬행), 야스다 산업 기선의 "우미나카 라인"(우미노나카미치행), 규슈 유센이키쓰시마 항로 제트포일 "비너스", 니시테츠 호텔즈의 하카타만 크루즈선 "마리에라" 등이 발착한다. 잔교는 5개의 선석이 있다.
: 높이 8m, 직경 9m의 원통형 수조. 수족관을 제외한 상업 시설 내의 수조로서는 일본 최대 규모이다.

  • 베이사이드 홀 (대회의실)
  • 일시 위탁 보육 시설
  • 어린이를 위한 유희 시설
  • 음식점
  • 물품 판매 (민예・식재・매점・잡화점 등)
  • cross fm 후쿠오카 영업소 겸 스튜디오 (C동 3층)

3. 2. 2. 미나토 온천 "나미하노유"



미나토 온천 "나미하노유"는 자기 파산한 베이사이드 시티 주식회사가 운영하던 슈퍼 목욕탕 "하카타 이치반후로"를 개장하여 2008년 11월 28일에 개업했다.[4] 같은 장소는 후쿠오카 방송(FBS)의 초대 본사였다(1968년 ~ 1979년).

3. 3. 기타 시설


  • 베이사이드 플레이스 하카타

:* 하카타 부두 제1 터미널: 후쿠오카시 교통국의 "킨인"(니시토사키・시카노시마행), "뉴 겐카이"(겐카이섬행), 야스다 산업 기선의 "우미나카 라인"(우미노나카미치행), 규슈 유센이키쓰시마 항로 제트포일 "비너스", 니시테츠 호텔즈의 하카타만 크루즈선 "마리에라" 등이 발착한다. 잔교는 5개의 선석이 있다.[1]

:* 아쿠아리움: 높이 8m, 직경 9m의 원통형 수조이다. 수족관을 제외한 상업 시설 내의 수조로서는 일본 최대 규모이다.[1]

:* 베이사이드 홀 (대회의실)[1]

:* 일시 위탁 보육 시설[1]

:* 어린이를 위한 유희 시설[1]

:* 음식점[1]

:* 물품 판매 (민예・식재・매점・잡화점 등)[1]

:* cross fm 후쿠오카 영업소 겸 스튜디오 (C동 3층)[1]

  • 항만 시설

:* 하카타 부두 제2 터미널 (2호 상옥): 규슈 유센의 이키・쓰시마(이즈하라) 항로 페리 "페리 치쿠시" "페리 키즈나" 및 히타카쓰(가미쓰시마) 항로 페리 "페리 겐카이", 노모 상선의 고토 항로 페리 "타이코" 등이 발착한다.[1]

:* 1호 상옥[1]

  • 상업 시설

:* 미나토 온천 "나미하노유": 자기 파산한 베이사이드 시티 주식회사가 운영하던 슈퍼 목욕탕 "하카타 이치반후로"를 개장하여 2008년 11월 28일에 개업했다. 같은 장소는 후쿠오카 방송 (FBS)의 초대 본사였다 (1968년 ~ 1979년).[1]

  • 공공 시설

:* 하카타 부두 파출소[1]

:* 주차장[1]

:** 베이사이드 주차장 제1・제2・제3

:** 시영 축항 주차장

3. 3. 1. 하카타 포트 타워

하카타 포트 타워는 전체 높이 100m, 전망실 높이 70m의 타워이다. 입출항하는 선박의 동정을 파악하고, 하카타항 VHF 해안국 "하카타 포트 라디오"를 설치하여 선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전망실에서는 하카타만후쿠오카시를 한눈에 볼 수 있다.[1]

3. 3. 2. 하카타항 베이사이드 뮤지엄

하카타항 베이사이드 뮤지엄은 하카타항의 역할을 소개하는 시설이다. 컨테이너 크레인 조작을 체험할 수 있다. 또한 고대부터 현대까지의 무역선 모형과 하카타항에서 수출된 물품을 전시한다. 당초에는 제1 터미널 내에 있었지만, 2007년 9월 30일에 하카타 포트 타워 1층으로 이전했다.[1]

3. 3. 3. 선셋 파크 (하카타 부두 녹지)

하카타 부두 돌단부에 있는 공원이다.

3. 3. 4. 쿠시다 신사 하마미야

하카타 총수호신 쿠시다 신사의 하마미야이다. 하카타 기온 야마가사에서는 여기서 봉 씻기를 한다.[1]

4. 교통

참조

[1] 웹사이트 (링크 끊김) http://sankei.jp.msn[...] 2024-01
[2] 웹사이트 (출처 무효) http://yokanavi.com/[...] 2024-01-16
[3] 웹사이트 水上バス休止のお知らせ https://baysidesapph[...]
[4] 뉴스 倒産情報(速報) 東京商工リサーチ 2005-06-10
[5] 웹사이트 ベイサイドプレイスに春が来る/九電工 - JC-NET http://n-seikei.jp/2[...] 2024-01-16
[6] 웹사이트 ベイサイドプレイス博多協力会 設立について http://www.kyudenk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