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주차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주차장은 차량을 주차하기 위한 시설로, 도시 교통 혼잡 완화와 관련된 다양한 정책과 기술이 적용된다. 대한민국의 대도시에서는 노상 주차를 제한하고 주차장 설치를 의무화하며, 일본, 중국, 미국 등 다른 국가에서도 각기 다른 주차 시스템을 운영한다. 주차장은 장소, 요금, 시설, 구조, 계약 형태 등에 따라 종류가 구분되며, 주차 요금 지불 방식 또한 다양하다. 최근에는 주차 안내 시스템, 온라인 예약, 태양광 캐노피 등 첨단 기술이 활용되고 있으며, 환경 문제와 관련하여 수질 오염, 대체 포장 재료, 조경 등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가 이루어진다. 또한 주차장은 도시 계획, 기후 변화, 토지 사용, 자동차 소유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관련 기술과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차 시설 - 파크 앤드 라이드
    자동차를 이용하여 교외 대중교통 승강장에 주차 후 대중교통으로 목적지로 이동하는 파크 앤드 라이드는 도시 교통 체증 완화 및 교통 공해 억제를 목표로 하며, 교통량 감소와 배기가스 감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교통 정책이다.
주차장
주차장 정보
유형차량 주차 공간
용도차량 주차
위치도시 지역
건물 부지
기능 및 특징
주차 방식평면 주차
다층 주차
기계식 주차
운영 방식유료 주차
무료 주차
시간제 주차
부대 시설주차 요금 정산기
주차 관리 시스템
보안 시설
장애인 주차 구역
법규 및 규정
관련 법규주차장법
주차 구획 규격너비, 길이 등 규격 존재
주차장 설치 기준건물 용도 및 면적에 따라 다름
추가 정보
관련 용어모터풀
카풀
휴게소
기타주차장의 형태는 다양함
지도

2. 현황

스웨덴 외레브로 섬 코빅의 시골 주차장


세계 각국의 주차장 현황은 그 나라의 교통 환경, 법규, 문화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 '''대한민국'''은 대도시 도심지 교통 혼잡을 막기 위해 노상 주차를 제한하고, 주차장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서울특별시는 유료 주차장을 설치하고 있으며, 도시건축법에 따라 도심지 빌딩 건축 시 주차 시설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 '''일본'''은 대한민국과 비슷한 주차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오토바이 주차 관련 법규 개정을 준비 중이다.[42] 주차 요금은 엔화로 지불하며, 평행 주차장이 많다. 1957년 주차장법이 제정되었으며, 도심부 주차 문제 해결을 위해 주차장 건물, 도로 및 신축 건축물 지하 주차장화가 증가하고 있다. 주차장법에 따라 노상, 노외, 부설주차장, 도시계획주차장 등으로 분류된다. 지방자치단체는 도시계획 지역 내에 주차장 정비 지역을 지정하고, 주차장 정비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2006년 개정된 도로교통법에 따라 주차단속원·무단주차위반금 제도가 도입되어 주차장 수요가 확대되는 경향이 있다. 오사카부를 비롯한 서일본 및 중부지방 일부에서는 민간 주차장을 "모터풀"이라고 부르지만, 일본식 영어이다.
  • '''중국'''은 도로, 노상 주차를 법으로 금지하고, 공영 주차장을 운영하며, 일부 무료 주차장도 운영한다. 주로 다중 이용 시설 밀집 구역이나 건축물 안에 주차 시설을 설치한다.[1]
  • '''대만'''은 대한민국, 중국, 일본과 유사하게 주차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정비하고 있다.[42]
  • '''미국'''은 총기 난사 사건과 코로나19 감염병 예방 차원에서 드라이브스루 시설을 갖춘 대형 주차장을 운영하기도 하며, 일부는 자택 내에도 주차장이 설치되어 있다. 건물마다 곳곳에 주차 공간이 체계적으로 완비되어 있다.[43]
  • '''스웨덴'''과 '''덴마크'''는 도로변 주차와 사유지 주차 두 가지 유형이 있다. 도로변 주차 위반은 교통법 위반, 사유지 주차 위반은 계약 위반으로 간주되어 각각 벌금과 추가 주차 요금이 부과된다. 자동차 소유자는 항상 책임을 진다.[10]
  • '''영국'''은 공영 주차장과 사유지 주차장 두 가지 유형이 있다. 경찰은 공영 주차장 사고는 조사하지만, 사유지 주차장에서는 법적 의무가 없다. 도로교통법 1972 및 (개정)규정 1988 S.I. 1988/1036[8]에 따르면, 영국과 웨일스에서 "도로"는 모든 고속도로와 대중에게 개방된 다른 모든 도로, 도로가 지나는 다리를 포함한다.[9] 민간 집행관은 지방 자치 단체가 운영하는 공영 주차장에서 주차 규정을 집행한다.

2. 1. 대한민국

대부분의 대도시에서는 도심지 교통의 혼잡을 막기 위하여 노상 주차를 제한하고 있다. 그 방편으로 일정 지역에 주차장을 설치하여 주차장 이외의 노상 주차를 금지하고 있다.

서울특별시는 도심지 여러 곳에 유료 주차장을 설치하고 있는데, 이 도심지 유료 주차장을 이용하는 차는 주로 자가용 승용차가 대부분이다. 현재 도시건축법에 따라 도심지에 빌딩을 건축할 때에는 일정한 비율의 주차 시설을 건물 지하 또는 건물 내에 설치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이처럼 도심지의 노상 주차 금지와 건축법의 강제 의무 규정에 따라 각종 주차 기계 시설이 발달되고 있으며, 주차 전용 건물도 세워지고 있다.

2. 2. 일본

일본의 주차장은 대한민국과 비슷한 주차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오토바이 등 2륜 자동차에 대한 주차법까지 개정하려고 준비중에 있다. 주차비용은 대부분 엔화로 지불하며, 평행 주차장이 많이 존재하기도 한다.[42] 1957년(쇼와 32년)에 주차장법이 제정되었다. 도심부는 주차장 절대수 부족으로 인한 주차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주차장 건물이나 도로 및 신축 건축물의 지하 주차장화가 증가하고 있다.

주차장법에서는 일반 공공용 주차장에 대해 설치 장소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하고 있다.

  • 노상 주차장: 주차장 정비 지역 내 도로의 노면에 일정 구획을 한정하여 설치되는 자동차 주차 시설로서 일반 공공의 용도로 제공되는 것을 말한다. 주차미터 등에 의해 요금 징수가 가능하다.
  • 노외 주차장: 도로 노면 밖에 설치되는 자동차 주차 시설로서 일반 공공의 용도로 제공되는 것을 말한다. 주차장법 기타 법령에서 안전상의 기준이 정해져 있다.
  • 부설주차장: 노외 주차장의 일종. 연면적 2000㎡ 이상(경우에 따라 미만도 가능)의 건물에 주차장을 병설할 의무가 있다.
  • 도시계획주차장: 노외 주차장의 일종. 도로 교통이 현저하게 집중되어 혼잡한 지역에서 도로의 효용을 유지하고 원활한 도로 교통을 확보할 필요가 있는 지역(주차장 정비 지역)에서 그 지역 내 주차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도시계획에 의해 정해지는 주차장.


지방자치단체는 도시계획법에서 정하는 도시계획 지역 내에 주차장 정비 지역을 지정하고, 주차장법에서 정하는 “주차장 정비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약식 표시인 “P”는 주차장의 영어 표기 "'''p'''arking lot"의 약자이다.

점포 등에서는 이용자에게 부설 주차장을 무료로 대여하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업무지에 주차장이 없는 경우 등에는 별도로 일시적으로 주차하는 공간을 시간제로 대여하는 경우가 많다. 도시부에서는 건물의 부설 주차장이나 주차미터 외에도 불법적인 노상 주차를 방지하기 위해 간이 노외 주차장을 늘리는 움직임도 있다.

넓이상 주택·건물을 짓기에 부적합한 토지, 또는 넓이는 충분하지만 용도를 불확정으로 하고 있는 토지를 주차장에 충당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주차장 경영에 대한 전문가가 아닌 지주가 대형 주차장 경영 회사에 운영을 위탁하는 경우가 많다.

주차장법에 따르면, 명칭, 관리자의 성명 및 주소(주식회사에는 명칭·사무소 소재지·대표자의 성명 및 주소), 이용 시간, 주차 요금에 관한 사항 등을 관리 규정에 정하고, 이용 개시 후 10일 이내에 도도부현지사에 신고해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각 지자체에서는 주차장 정비 계획을 연동시켜 주차장 조례로 운영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2006년(헤이세이 18년) 6월 1일에 개정 시행된 도로교통법에 따라 주차단속원·무단주차위반금 제도가 도입되고, 주차 금지 단속이 도시부의 중점 노선에서 강화된 결과, 주차장 수요가 확대되는 경향이 있다.

오사카부를 비롯한 서일본 및 중부지방 일부에서는 민간 주차장을 “모터풀”이라고 부르지만, 어디까지나 일본식 영어이다. 원어(영어)의 "Motor pool"에는 주차장이라는 의미가 없고, 미군 등의 군용 차량 부대나 관청의 공용차의 대기소 또는 부대를 가리키는 말로, 현재도 미군 시설이나 자위대에서는 이것이 사용되고 있으며 일본 각지에 존재한다.

공공시설 등에는 보행이 어려운 사람을 위한 주차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장애인 주차구역).

2. 3. 중국

중국은 도로나 노상 주차를 법으로 금지하고, 공영 주차장을 운영하며, 일부 무료 주차장도 다수 운영한다. 주로 다중 이용 시설 밀집 구역이나 건축물 안에 주차 시설을 설치한다.[1]

2. 4. 대만

대만도 대한민국, 중국, 일본과 유사하게 주차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정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42]

2. 5. 미국

미국의 경우 총기 난사 사건과 코로나19 감염병 예방 차원에서 드라이브스루 시설을 갖춘 대형 주차장도 있고 일부는 자택 내에도 주차장이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그 외에도 건물마다 곳곳에 주차 공간이 체계적으로 완비되어 있다.[43]

2. 6. 스웨덴 및 덴마크

스웨덴과 덴마크에서는 법적으로 도로변 주차와 사유지 주차 두 가지 유형의 주차가 있다. 도로변 주차 위반은 교통법 위반으로 벌금이 부과된다. 사유지(시 소유의 경우도 포함) 주차 위반은 계약 위반으로 추가 주차 요금(kontrollavgift = 점검 수수료)이 부과된다. 자동차 소유자에게는 그 차이가 미미하며, 책임은 항상 소유자에게 있다.[10]

2. 7. 영국

영국에는 크게 공영 주차장과 사유지 주차장 두 가지 유형이 있다. 경찰은 공영 주차장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해서는 조사할 의무가 있지만, 사유지 주차장에서는 법적 의무가 없어 조사하지 않는다. 도로교통법 1972(Road Traffic Act 1972) 및 (개정)규정 1988 S.I. 1988/1036[8]에 따르면, 영국과 웨일스에서 "도로"는 모든 고속도로와 대중에게 개방된 다른 모든 도로를 의미하며, 도로가 지나는 다리도 포함한다. 이 문제에 대한 상원(House of Lords) 판결도 있다.[9]

민간 집행관(Civil enforcement officer)은 지방 자치 단체가 운영하는 공영 주차장에서 주차 규정을 집행한다. 여기에는 요금 지불을 위한 티켓 구매 실패(만약 있다면), 지정된 구역 외 주차, 기타 위반 행위 등이 포함된다.

3. 도시 계획과 주차장

도시 내 대규모 주차장의 영향은 오랫동안 논쟁거리였다. 주차장과 주차 공간 때문에 역사적인 건축물이 사라지면서 많은 도시에서 역사 보존 운동이 일어났다. 주차 공간은 보행 중심의 도시 구조를 방해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각 건물에 대한 편의성은 높지만, 건물 사이를 걸어 다니기는 어렵게 만든다. 넓은 주차장은 "주차 크레이터", "주차 사막" 등으로 불리며, 이러한 지역의 인구 감소와 보행 운동을 방해한다.

3. 1. 주차 최소 및 최대 기준

도시 계획 정책의 하나인 주차 최소 및 최대 기준은 사유 주차장의 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3. 2. 비판

도시 내 대규모 주차장의 영향은 오랫동안 논쟁의 대상이었다. 주차장과 주차 공간으로 역사적인 건축물이 대체되면서 많은 도시에서 역사 보존 운동이 일어났다. 주차에 할애되는 막대한 면적은 보행 중심의 도시 구조를 방해하는 것으로 널리 인식되고 있으며, 각 건물에 대한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반면 건물 간 보행자 통행을 저해한다. 넓은 포장 지역은 "주차 크레이터", "주차 사막" 등으로 불리며, 그러한 지역의 "인구 감소" 현상과 보행 운동에 대한 장벽을 강조한다.[1]

최근 살기 좋고 걸어 다니기 좋은 지역 사회에 대한 추세로 인해, 최소 주차 요건(각 건물이 최소 주차 공간 수를 확보하도록 요구하는 정책)은 살기 좋은 거리 운동가와 개발업체 모두로부터 비판을 받고 있다. 한때 영국 정부는 지방 의회가 자동차 사용을 줄이기 위해 최대 주차 기준을 설정하도록 권장했다.[2] 워싱턴 D.C.와 같은 미국 도시들은 현재 주민들을 위한 주택을 더 많이 공급하고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기 위해 최소 주차 요건을 없애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3]

3. 3. 자동차 의존도 감소 노력

베이징, 멕시코시티, 델리 및 캘리포니아의 여러 도시에서 자동차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주차장에 할애되는 공간을 줄이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29] 포틀랜드, 미니애폴리스, 오스틴은 최소 주차 요건을 폐지했다. 2023년 11월 2일 기준으로 오스틴(텍사스주)은 미국에서 이렇게 한 가장 큰 도시이며, 이는 걷기, 자전거 타기,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고 주택 비용을 낮추며 도시 지역에 건설할 수 있는 주택 수를 늘리기 위함이다.[7]

4. 주차장의 종류

도시 내 대규모 주차장의 영향은 오랫동안 논쟁의 대상이었다. 주차장과 주차 공간으로 역사적인 건축물이 대체되면서 많은 도시에서 역사 보존 운동이 일어났다. 주차에 할애되는 막대한 면적은 보행 중심의 도시 구조를 방해하는 것으로 널리 인식되고 있으며, 각 건물에 대한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반면 건물 간 보행자 통행을 저해한다. 넓은 포장 지역은 "주차 크레이터", "주차 사막" 등으로 불리며, 그러한 지역의 "인구 감소" 현상과 보행 운동에 대한 장벽을 강조한다.

4. 1. 장소에 따른 구분

건물 내부에 설치된 주차장을 실내 주차장, 건물 외부에 설치된 주차장을 실외 주차장, 건물 지하에 설치된 주차장을 지하 주차장, 건물 옥상에 설치된 주차장을 옥상 주차장이라고 한다.

4. 2. 요금에 따른 구분

주차장은 '''무료 주차장'''과 '''유료 주차장'''으로 구분된다.

유료 주차장을 이용하는 경우, 주차장 사용 계약 방식은 다음과 같다.

  • 시간제 주차장: 30분 또는 1시간 등 일정 시간마다 요금이 추가된다. 야간에는 요금이 저렴한 경우가 많으며, 철도역 등 다른 시설과 함께 설치된 주차장은 입고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출고하면 요금이 발생하지 않기도 한다. 시간제 주차장 중에는 최대 요금이 설정되어 있어, 최대 요금 도달 이후에는 요금이 추가되지 않는 곳도 있다. 단, 일정 시간 초과 시 다시 요금이 추가된다. 최대 요금은 장소, 입지 조건, 요일, 시간에 따라 다르며, 적용 횟수도 주차장마다 다르다.
  • 일일 주차장: 하루 단위로 계약한다. 철도역, 공항, 버스터미널 근처에 설치된 파크 앤드 라이드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 월정액 주차장: 부동산 임대 계약과 유사한 방식으로, 보통 1개월 후 갱신된다.
  • 연간 계약 주차장: 연간 단위로 계약한다.


주차장에 따라 장기 계약 차량용 구역과 일시 사용 구역을 같은 부지 내에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4. 3. 시설에 따른 구분


  • 독립 주차장
  • 부설 주차장

4. 4. 구조에 따른 구분 (일본)


  • 평면 주차장
  • : 지상에 있는 주차장으로, 토지 확보가 용이한 곳을 중심으로 주차장 유형 중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유형이다. 자동차 구획만 구분하여 주차 공간으로 만드는 경우가 많다.
  • 입체 주차장
  • : 자주식과 기계식이 있다. 도심이나 교외의 대규모 쇼핑센터의 경우 이 유형이 많으며, 빌딩, 맨션 등의 지하, 옥상에 주차장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이렇게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심에서 간편한 것으로는 철골로 조립되는 것도 있다.
  • : 일본에서 지하 주차장은 1960년(쇼와 35년)에 도쿄역마루노우치 빌딩(마루빌)과 신마루노우치 빌딩(신마루빌) 사이에 건설된 수용 대수 약 500대 분의 지하 주차장이 처음이라고 알려져 있다.
  • * 자주식
  • *: 여러 층이 경사로로 연결된 것으로, 주차 공간까지 직접 운전하여 이동한다. 일본에서 최초의 사례는 1929년(쇼와 4년) 6월에 개업한 도쿄의 「마루노우치 가라지」(철근 콘크리트 6층 건물 형식·주차 대수 208대. 1966년(쇼와 41년) 철거. 운영 회사는 신도쿄빌 주차장을 운영하고 있다.)이다. 평면 주차장의 차량 제한은 없는 경우가 많지만, 자주식 입체 주차장의 대부분은 특히 대규모 것을 제외하고 높이 제한을 두고 있다.
  • * 기계식
  • *: 운전자가 차에서 내려 기계를 조작하고, 무인이 된 차가 자동으로 운반되는 것으로, 1929년(쇼와 4년)에 오사카 거주자였던 각리길이 타워식 주차장의 실용신안을 취득했지만 실용화되지 않았고, 1962년(쇼와 37년)에 이르러 이시카와지마하리마중공업이 도쿄의 니혼바시고스미야에 순환 타워식을 설치한 것이 최초의 실제 사례이다. 다단식(39%), 2단식(25%), 수직 순환식(17%), 엘리베이터식(10%) 등[34]이 있으며, 자주식보다 엄격한 높이 제한(1,550mm 미만이 많음)과 차폭 제한(1,850mm 미만이 많음)을 두고 있어, 미니밴, 톨왜건, SUV, 경트럭을 포함한 캡오버형 소형 트럭 등에 볼 수 있는, 특히 전고나 차폭이 큰 고급차, 차고를 낮춘 개조차, 좌핸들차는 주차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좁은 부지에 건설되는 경우도 많아, 턴테이블(회전판)이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탑승한 채로 받침대를 회전시켜 주차층으로 운반하는 회전식이 있다. 일본에서는 예전에 도쿄, 교토, 삿포로에 있었지만, 삿포로시의 홋카이도 건설회관(1966년)의 「스타파크식 카 엘리베이터」가 유일하게 현존한다.[35] 그러나, 레이와 6년 8월, 건물의 폐관, 철거에 따라 철거될 예정이다.[36][37]

4. 5. 계약 형태에 따른 구분 (일본)

유료 주차장은 이용 계약 형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시간제 주차장'''
  • : 30분 또는 1시간 등 일정 시간마다 요금이 추가되는 방식이다. 동전으로 요금을 지불했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야간에는 요금이 더 저렴한 경우가 많으며, 다른 시설과 함께 설치된 주차장은 일정 시간 안에 출차하면 요금이 발생하지 않는 곳도 있다. 시간제 주차장 중에는 최대 요금이 설정된 곳도 있다. 최대 요금에 도달하면 요금이 더 이상 추가되지 않지만, 정해진 시간이나 시각을 넘으면 다시 요금이 추가된다. 최대 요금은 장소, 위치, 요일, 시간에 따라 다르며, 적용 횟수도 주차장마다 다르다.
  • '''일일 주차장'''
  • : 하루 단위로 계약하는 방식이다. 철도역, 공항, 버스터미널 근처에 설치된 파크 앤드 라이드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 '''월정액 주차장'''
  • : 부동산 임대 계약과 비슷한 방식으로, 보통 1개월 후에도 갱신되는 경우가 많다.
  • '''연간 계약 주차장'''
  • : 1년 단위로 계약하는 방식이다.


일부 주차장은 장기 계약 차량의 사용 구역과 일시 사용 구역을 같은 부지 안에 설치해 놓기도 한다.

4. 6. 주차 구획 (일본)

; 사선 주차구획

: 넥코 동일본에 따르면, 진행 방향을 잘못 잡지 않고 원활하게 합류할 수 있으며, 원활하게 주차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38]

; 직각 주차구획

: 공간 활용 효율이 좋다.[39]

; 아메리칸 타입(U자형)

: 승하차 공간을 확보하기 쉽다. 이 폭에 대해서는 일본 법률에는 규정이 없고 지자체의 판단에 맡겨져 있다.[40]

; 장애인 전용 주차구획

: 도로표지, 구획선 및 도로표시에 관한 명령(쇼와 35년 총리부·건설성령 제3호)에는, 「“주차장”, “엘리베이터”, “경사로” 및 “화장실”을 표시하는 안내 표지의 표시판에는, 필요한 경우, 다음에 도식한 것에 준하여 휠체어를 사용하는 자 등 고령자, 장애인 등의 원활한 이용에 적합한 시설임을 나타내는 기호를 표시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41]

5. 주차 요금 지불 방식

주차장 이용 요금을 부과하는 데는 다양한 기술이 사용된다.

많은 주차장에서 차단기가 사용된다. 고객은 차량으로 입구의 발권기에 도착하여 발권 요청 버튼을 누르고 티켓을 받으면 차단기가 올라가 주차장으로 진입할 수 있다. 주차장을 나갈 때 고객은 출구의 부스에 있는 직원에게 티켓을 제시하고 요금을 지불하면 직원이 차단기를 연다. 1954년에는 월 이용료를 지불하면 자기 키 카드를 가진 운전자가 차단기를 올리고 내려 주차장에 출입할 수 있는 최초의 자동 주차장이 건설되었다.[11]

더욱 현대적인 시스템은 자동 요금 지불기를 사용하는데, 운전자는 티켓을 제시하고 요금을 지불한 후 차량으로 돌아가 출구 단말기에 티켓을 제시한다. 티켓 요금을 지불하지 않았다면 차단기가 올라가지 않아 고객은 인터폰을 눌러 직원과 통화하거나 후진하여 요금 지불기나 매표소 부스에서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

미국 일부 주요 공항 주차장에서는 운전자가 티켓을 받는 대신 입구 발권기에 신용카드를 긁을 수 있다. 운전자가 주차장을 나갈 때 출구 단말기에 같은 신용카드를 긁으면 해당 주차 요금이 자동으로 계산되어 사용된 신용카드로 청구된다.

일부 주차장에서는 운전자가 별도의 매표소 또는 카운터(주차장 입구와 출구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음)에서 직원에게 티켓을 제시하고 요금을 지불한다. 요금을 지불하지 않으면 차단기가 올라가지 않는다. 최근 몇 년 동안 직원과 셔프 직원은 자동 기계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다. 또 다른 요금 지불 방식으로는 운전자가 주차장 입구에서 직원에게 요금을 지불하고, 출구는 일방통행 스파이크 스트립으로 보호되어 차량이 출구로 나갈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있다.

주차 미터도 사용될 수 있으며, 운전자는 주차된 구역에 필요한 시간을 미리 지불한다. 2007년 이스라엘에서 설립된 회사인 Pango("pay and go"의 변형)[12]는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유료 주차장을 찾고 요금을 지불할 수 있는 모바일 앱을 만들었으며, 이 앱은 주차장 주차 요금 지불에도 사용할 수 있다.[12] 사용자 계정은 결제 방법에 연결되며, 시스템은 차량이 주차된 위치를 기억하고 사용자가 페이스북 친구와 주차 시간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등록된 차량당 명목상의 월 이용료를 지불하여 유료 주차 시간이 만료되기 직전에 문자 알림을 보내는 알림을 구독할 수도 있으며,[13] 일부 자치구에서는 휴대전화를 통해 추가 유료 주차 시간을 구매할 수 있다. 필라델피아는 유료 주차 시간이 추가될 때 주차 요금을 인상하여 주차 공간 회전율을 높이고 있다.[14][15] 또 다른 앱인 Streetline은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운전자가 빈 주차 공간을 찾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며, 타이머가 포함되어 사용자가 주차 미터 시간이 만료되기 전에 돌아올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도로 주차 공간과 주차장 주차 공간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필터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휴대전화 카메라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자신의 차량 사진을 찍을 수 있다.[16]

다른 주차장은 선불 주차 시스템으로 운영되는데, 티켓 기계에서 티켓을 구입한 다음 차량 대시보드에 놓는다. 주차 단속원이 주차장을 순찰하여 요구 사항을 준수하는지 확인한다.

이와 유사한 시스템으로 휴대전화로 번호판 번호가 포함된 SMS 메시지를 보내 주차 요금을 지불하는 시스템이 있다. 이 경우 가상 매표소가 차량과 메시지 발송 시간을 예약하고, 시간이 만료될 때마다 새 SMS 메시지를 보내야 한다. 실제 결제는 휴대전화 요금을 통해 이루어진다.

1978년 영국 이후로 BCP와 같은 전문 회사를 통해 주차를 사전 예약할 수 있었다. 이는 모든 공항, 주요 항구 및 도시에서 널리 사용된다.

호텔 등 숙박 시설이나 상점 등 상업 시설 이용자에게 주차 요금을 할인하거나 면제하는 서비스를 유효화라고 한다.

6. 주차 관련 기술

현대적인 주차장은 운전자에게 편리한 주차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을 활용한다. 주차 안내 및 정보 시스템을 통해 비어 있는 주차 공간을 쉽게 찾고, 적응형 조명, 센서, 실내 위치 확인 시스템(IPS), 모바일 결제 옵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캘리포니아의 산타 모니카 플레이스 쇼핑몰은 각 주차 공간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주차 현황을 파악하고 차량 위치를 찾는 데 도움을 준다.[17]

실외 주차장에서는 GPS를 사용하여 차량 위치를 기억할 수 있다. 일부 앱은 스마트폰이 차량의 블루투스 연결과 끊어질 때 자동으로 위치를 저장하기도 한다. 실내 주차장에서는 여러 접속 지점의 신호 강도를 기록하거나,[18]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관성 항법, 차량 회전 감지, 이동 시간 상관 관계, 기계 학습 알고리즘 등을 활용하여 주차된 차량의 위치를 추론한다.[19][20]

온라인 예약 기술은 운전자가 자동화된 방식으로 장기 주차를 찾고, 미리 예약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돕는다. 실시간 재고 관리 확인 기술을 통해 가격과 공항과의 거리별로 이용 가능한 주차장을 보여준다. 온라인 예약 서비스와 유사하게 장기 주차 공간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앱도 있다. 일부 앱은 주차장 위치를 찾는 지도를 제공하며, ParkJockey가 대표적이다.

뉴헤이븐의 호텔 마르셀에 있는 태양광 캐노피 주차장. 캐노피 아래에는 전기차 2레벨 충전기가 있고, 뒤편에는 12개의 주차 공간을 갖춘 테슬라 슈퍼차저가 있다.


태양광 캐노피 주차장은 주차장 캐노피에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설치한 것이다. 일반적인 야외 태양광 발전 시스템보다 설치 비용이 더 들 수 있지만, 자동차를 극심한 날씨와 태양열로부터 보호하는 데 유용하다.[21]

7. 환경 문제

도시 내 대규모 주차장은 오랫동안 논쟁의 대상이었다. 주차장과 주차 공간으로 역사적인 건축물이 대체되면서 많은 도시에서 역사 보존 운동이 일어났다. 주차에 할애되는 막대한 면적은 보행 중심의 도시 구조를 방해하는 것으로 널리 인식되고 있으며, 각 건물에 대한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반면 건물 간 보행자 통행을 저해한다. 넓은 포장 지역은 "주차 크레이터", "주차 사막" 등으로 불리며, 그러한 지역의 "인구 감소" 현상과 보행 운동에 대한 장벽을 강조한다.[22]

나무로 조경된 주차장, 2009


핀란드 코트카(Kotka)의 거의 빈 주차장


2006년 캘리포니아주 산호세의 주차장으로, 조경과 일방 통행을 위해 설계된 대각선 주차 패턴이 있다.

7. 1. 수질 오염

주차장은 넓은 불투수성 표면 때문에 수질 오염의 원인이 된다. 증발되는 경우를 제외하면 거의 모든 빗물이 도시 유출수가 된다. 홍수와 안전하지 못한 운전 환경을 피하기 위해 주차장은 빗물을 배수하고 모으도록 설계된다.[22] 주차장은 도로와 함께 도시 지역의 주요 수질 오염 원인이 되기도 한다.[23]

자동차는 끊임없이 오염 물질을 배출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휘발유, 엔진 오일,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PAHs) 및 중금속이다. 이러한 물질들은 휘발유 연소 부산물뿐만 아니라 아스팔트와 콜타르 기반의 밀봉제에서도 발견된다. 많은 주차장은 또한 수로로 유입되는 쓰레기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24]

'''오염 처리:''' 전통적으로 유출수는 빗물 하수관, 하천, 건조정 또는 생활 하수관으로 직접 배출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대도시에서는 현재 새로운 주차장에 빗물 관리 시설을 설치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일반적인 시설에는 저류지, 침투지 및 투수 트렌치가 있다.[25] 일부 최신 설계에는 오염 물질을 흡수하고 여과하는 데 식물을 더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생물 정류 시스템이 포함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존 주차장에는 유출수를 제어하기 위한 시설이 제한적이거나 없다.

'''대체 포장 재료:''' 오늘날 대안적인 해결책은 벽돌, 투수 콘크리트, 돌, 특수 포장 블록 또는 타이어 트레드 직조 매트와 같은 투수성 포장 표면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재료는 비가 주차장 표면의 틈을 통해 지면에 스며들도록 한다. 그러면 지면이 주차장 표면에서 오염될 수 있지만, 이는 지면의 작은 영역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으며, 물이 스며들기 전에 효과적으로 여과한다. 그러나 오염 물질이 지하수로 스며들 경우, 특히 '하류'에서 식수 공급을 위해 지하수를 채취하는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7. 2. 조경

오늘날 많은 지역에서는 주차장에 최소한의 조경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주차장에 그늘을 제공하기 위해 나무를 심는 것을 의미한다. 고객들은 오랫동안 여름철 그늘진 주차 공간을 선호해 왔지만, 주차장 제공업체들은 주차장 청소 비용 증가 때문에 나무 심기를 오랫동안 반대해 왔다.

포장된 표면은 두 가지 방식으로 열섬 현상에 기여한다. 첫째는 과도한 열 축적이다. 어두운 재료와 도시 건물이 만들어내는 협곡은 태양 에너지를 더 많이 가둔다. 자연 표면에 비해 포장의 반사율은 중요한데, 반사율이 높을수록 온도가 낮기 때문이다. 가장 뜨거운 검은색 포장 도로의 태양 반사율은 5~10%이다. 밝은색 포장 도로의 태양 반사율은 25% 이상이다. 토양과 다양한 유형의 식물의 반사율은 5~45%이다.

열섬 현상의 두 번째 원인은 포장 및 건축 자재의 수분 함량이 낮다는 것이다. 이러한 자재는 방수성이 있기 때문에 증발을 통해 태양열을 발산할 수 있는 수분이 없다.[26]

나무 심기는 개방된 포장된 지역의 온도를 크게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앨라배마주에서 실시된 한 연구에 따르면, 맨땅 주차장 중앙에서는 여름철 낮 기온이 약 48.9°C로 기록된 반면, 작은 숲이 있는 곳에서는 기온이 약 31.7°C에 불과했다. 또한 추가로 나무를 심을 때마다 약 0.6°C의 온도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27]

7. 3. 토지 사용

도시 내 대규모 주차장은 오랫동안 논쟁의 대상이었다. 역사적인 건축물이 주차장과 주차 공간으로 대체되면서 많은 도시에서 역사 보존 운동이 일어났다. 주차에 할애되는 막대한 면적은 보행 중심의 도시 구조를 방해하는 것으로 널리 인식되고 있으며, 각 건물에 대한 편의성은 극대화하지만 건물 간 보행자 통행은 저해한다.[28] 넓은 포장 지역은 "주차 크레이터", "주차 사막" 등으로 불리며, 그러한 지역의 "인구 감소" 현상과 보행 운동에 대한 장벽을 강조한다.

주차장은 주차 공간 하나당 약 25m2의 상당히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대부분의 직원과 방문객이 자동차로 출퇴근하거나 방문하는 경우, 주차장은 사무실이나 상점 건물보다 더 넓은 부지를 필요로 한다. 즉, 넓은 지역을 아스팔트로 덮어야 한다는 뜻이다.[28]

7. 4. 기후 변화 영향

주차장은 자동차 운행 증가와 사용되는 건축 자재로 인해 도시열섬 현상을 악화시켜 온실가스 배출의 원인이 된다.[29]

8. 자동차 소유와 주차장 (일본)

일본의 주차 정책은 "주차는 도로 밖에"라는 원칙에 따라 정비되어 왔다.[42] 1957년 주차장법이 제정되어, 도심 주차 문제 해결을 위해 주차장 건물, 도로 및 신축 건물의 지하 주차장화가 증가하고 있다.

주차장법에서는 일반 공공용 주차장을 설치 장소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노상 주차장:''' 도로 노면에 설치되며, 주차미터 등으로 요금 징수가 가능하다. --
  • '''노외 주차장:''' 도로 노면 밖에 설치되며, 주차장법 등에 따른 안전 기준이 적용된다.
  • '''부설주차장:''' 노외 주차장의 일종으로, 일정 규모 이상 건물에 병설 의무가 있다.
  • '''도시계획주차장:''' 노외 주차장의 일종으로, 교통 혼잡 지역의 주차 수요 대응을 위해 도시계획에 의해 지정된다.


지방자치단체는 도시계획 지역 내에 주차장 정비 지역을 지정하고, "주차장 정비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주차장의 약식 표시는 "'''P'''"이다.

점포 등은 이용자에게 부설 주차장을 무료로 제공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시간제 주차 공간을 대여하는 경우가 많다. 도시부에서는 불법 노상 주차 방지를 위해 간이 노외 주차장을 늘리는 추세이다.

주택·건물을 짓기에 부적합한 토지나 용도가 불확정된 토지를 주차장으로 활용하기도 하며, 지주가 대형 주차장 회사에 운영을 위탁하는 경우가 많다.

주차장법에 따르면, 주차장 관리자는 이용 시간, 주차 요금 등을 관리 규정에 정하고, 도도부현지사에 신고해야 한다. 각 지자체는 주차장 조례를 운영한다.

2006년 개정된 도로교통법에 따라 주차단속원·무단주차위반금 제도가 도입되어 주차장 수요가 확대되는 경향이 있다.

오사카부서일본 및 중부지방 일부에서는 민간 주차장을 "모터풀"이라고 부르지만, 이는 일본식 영어이다. 공공시설 등에는 장애인 주차구역이 마련되어 있다.

8. 1. 차고 보유

많은 국가에서 자동차를 소유하는 경우, 가정용 자동차와 방문객용 자동차의 주차 공간을 확보하는 것은 주택 소유주의 책임이며, 주차 공간을 자택 부지 내에 마련하는 것이 기본으로 여겨진다.[44] 일본처럼 차고법(車庫法)이 정비된 사례도 있지만, 그러한 사례는 많지 않다.[44] 주차하기 위한 시설이나 건물은 "차고" 또는 "가라지(garage)"라고 불리며, 간단한 기둥지붕을 설치한 것은 "카포트(carport)"라고도 불린다.

일본에서는 1962년(쇼와 37년)에 자동차의 보관 장소의 확보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차량을 소유하는 자는 차량의 보관 장소를 확보하는 것이 의무화되어 있다. 아파트 등의 주민이나 기업의 자가용, 직원용 등의 소위 자가용 주차장에 대해서는, 차량을 도로에 주차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자동차의 보관 장소의 확보 등에 관한 법률(약칭 "차고법")이 적용된다. 이 법률에서는 자동차의 '''보관 장소'''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8. 2. 주민 주차 허가제

시애틀 등 유럽과 미국 도시에서는 주민 주차 허가제(Residential parking permit|레지덴셜 퍼밋영어)가 도입되는 경우가 있다.[45] 이 제도는 주로 주거 지역에서 도로변 주차를 제한하고 유료화하는 시스템이다.[45] 주민이나 근무자는 연간 사용료를 지불하면 자동차에 전용 스티커를 부착하여 도로변에 주차할 수 있다.[45] 외부 방문객은 일정 시간에 한해 도로변 주차가 허용되거나, 주차 미터기를 이용해야 한다.[45]

9. 기타

일부 주차 구역에는 전기 자동차 충전소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겨울이 매우 추운 지역에서는 엔진 블록 히터를 위한 전기를 대부분의 주차 공간에 제공하는데, 부동액만으로는 동파를 막기에 부족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리처드 3세의 유해는 영국 레스터의 주차장 아래에서 발견되었다.
  • 완보동물의 일종인 Macrobiotus shonaicus가 일본 쓰루오카의 주차장에서 발견되었다.
  • 웨스트 에드먼턴 몰은 세계에서 가장 큰 주차장을 보유하고 있다.[30][31]
  • 주차 미터
  • 유효화: 호텔 등 숙박 시설이나 상점 등 상업 시설 이용자에게 주차 요금을 할인하거나 면제하는 서비스

참조

[1] 웹사이트 How to Fix Off-Street Parking Policy, Before It's Too Late http://www.streetsbl[...] StreetsBlog NYC 2008-08-20
[2] 웹사이트 Communities.gov.uk http://www.communiti[...]
[3] 웹사이트 Out, Damned Spot! How D.C.'s Onerous Parking Requirements Slow Development http://www.washingto[...] 2013-03-21
[4] 웹사이트 Parking Management Software https://hamarisociet[...] Hamari Society 2018-12-11
[5] 웹사이트 Japan's crazy underground bike vaults https://edition.cnn.[...] 2016-10-19
[6] 웹사이트 Invisible Bicycles: Tokyo's High-Tech Underground Bike Parking http://weburbanist.c[...] Web Urbanist 2015-03-26
[7] 뉴스 To fight climate change and housing shortage, Austin becomes largest U.S. city to drop parking-spot requirements https://www.texastri[...] 2023-11-02
[8] 웹사이트 Road Traffic Act 1988 http://www.opsi.gov.[...]
[9] 웹사이트 House of Lords - Clark (A.P.) and Others v. Kato, Smith and General Accident Fire & Life Assurance Corporation PLCCutter v. Eagle Star Insurance Company https://publications[...]
[10] 웹사이트 ADA Accessibility Guidelines Parking and Passenger Loading Zones http://www.access-bo[...]
[11] 간행물 Key Card Inserted In Slot Opens Gate At Automated Parking Lot https://books.google[...] Hearst Magazines 1954-08
[12] 뉴스 Parking app Pango making tracks in NYC, adding 20 more garages over next few weeks (App that speeds up pick-ups and payments spreading to 110 Manhattan garages by year-end) http://www.nydailyne[...] 2013-08-06
[13] 뉴스 Mt. Vernon Launches Pango Mobile Payments for Parking on November 5 http://www.mypango.c[...] 2014-11-04
[14] 뉴스 Pango Mobile Parking App Coming to Philadelphia 2015-05-21
[15] 웹사이트 PANGO Mobile Parking http://www.parking-n[...]
[16] 웹사이트 Streetline app aims to end the hunt for a parking space http://www.mnn.com/g[...] 2012-10-11
[17] 뉴스 Servant or snoop in the parking garage? https://www.latimes.[...] 2011-01-23
[18] 웹사이트 Room-Level Wi-Fi Location Tracking https://www.cylab.cm[...] Carnegie Mellon Silicon Valley MRC-TR-2008-02 2008-11
[19] 논문 ParkLoc: Light-weight Graph-based Vehicular Localization in Parking Garages https://www.research[...] 2018-09-18
[20] 논문 Smartphone-Based Real Time Vehicle Tracking in Indoor Parking Structures 2017-07
[2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ww.youtube.[...]
[22] 간행물 The Importance of Imperviousness http://www.cwp.org/R[...]
[23] 간행물 Urban Stormwater Management in the United States http://www.epa.gov/n[...] United States.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2008-10-15
[24] 서적 Stormwater Effects Handbook: A Toolbox for Watershed Managers, Scientists, and Engineers http://unix.eng.ua.e[...] CRC/Lewis Publishers
[25] 간행물 Stormwater Best Management Practice (BMP) Handbooks http://www.cabmphand[...] California Stormwater Quality Association. Menlo Park, CA.
[26] 서적 Trees, Parking and Green Law: Strategies for Sustainability http://www.naturewit[...] USDA Forest Service, Southern Region Georgia Forestry Commission
[27] 웹사이트 Green Parking Lot Resource Guide https://nepis.epa.go[...] EPA 2008-02
[28] 뉴스 Shifting gears: why US cities are falling out of love with the parking lot https://www.theguard[...] 2022-12-26
[29] 웹사이트 To Tackle Climate Change, Cities Need to Rethink Parking https://www.itdp.org[...]
[30] 간행물 The World's Largest Parking Lots https://www.forbes.c[...] 2008-11-10
[31] 웹사이트 Largest car park http://www.guinnessw[...]
[32] 법률 都市の秩序ある整備を図るための都市計画法等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平成18年5月31日 法律第46号) https://www.mlit.go.[...]
[33] 웹사이트 大阪はモータープール なんでなん? 東京では消えた? https://www3.nhk.or.[...]
[34] 문서
[35] 웹사이트 旋回式立体駐車場・スターパーク式カーエレベーター http://www.h-kensets[...]
[36] 웹사이트 札幌にある国内唯一の旋回式駐車場「スターパーク式カーエレベーター」まもなく解体 https://www.hokkaido[...]
[37] Youtube 【イチバン!!】日本でイチバン珍しい『立体駐車場』設計に携わった92歳の男性と”再び”潜入!! https://www.youtube.[...]
[38] 웹사이트 なぜSA・PAは「斜め駐車枠」多い? 初見だと逆に戸惑う? 「前進」「後退」正解はあるのか https://kuruma-news.[...] 2023-10-10
[39] 논문 駐車場ITSにおける機能的な駐車場スペース設計の基礎的検討 https://doi.org/10.1[...] 2012
[40] 웹사이트 第35回全国駐車場政策担当者会議・駐車場関係施策に関する質問への回答等 https://www.mlit.go.[...]
[41] 웹사이트 道路標識、区画線及び道路標示に関する命令 https://laws.e-gov.g[...] 2023-10-10
[42] 서적 駐車学 交通研究協会 2015
[43] 서적 駐車学 交通研究協会 2015
[44] 서적 駐車学 交通研究協会 2015
[45] 서적 駐車学 交通研究協会 2015
[46] 웹사이트 アスファルト・スポット https://www.echigo-t[...] 越後妻有里山協働機構 2022-06-11
[47] 뉴스 日本一難しいと話題のパーキング、その正体に驚き どう駐めれば良いんだ… https://sirabee.com/[...] NEWSY 2022-06-03
[48] 뉴스 日本一難しいと話題の駐車場 その真相は”大地の芸術祭”のアート作品!?現地に行ってみた【十日町市】 https://www.fnn.jp/a[...] フジニュースネットワーク 2022-06-0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