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벡스코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벡스코역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있는 철도역으로, 동해선과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이 지난다. 동해선 벡스코역은 1996년 우일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2016년 벡스코역으로 역명을 변경하고 광역철도 개통과 함께 전철역으로 운영을 시작했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벡스코역은 2002년 시립미술관역으로 개통하여 2016년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다. 역 주변에는 부산시립미술관, 부산전시컨벤션센터(BEXCO) 등이 위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해운대구의 전철역 - 신해운대역
    신해운대역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1934년 해운대역으로 시작하여 2013년 현재 위치로 이전하고 2016년 동해선 편입과 함께 역명이 변경되었으며,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등의 일반 열차와 동해선 광역전철이 운행하고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다.
  • 부산 해운대구의 전철역 - 센텀역
    센텀역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있는 동해선 전철역으로, 1934년 수영역으로 개업하여 역명 변경과 기능 변화를 거쳐 2016년 센텀역으로 변경되었으며, 현재 쌍섬식 승강장에서 ITX-마음, 무궁화호, 동해선 광역전철이 정차한다.
  • 동해선 광역전철의 역 - 신해운대역
    신해운대역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1934년 해운대역으로 시작하여 2013년 현재 위치로 이전하고 2016년 동해선 편입과 함께 역명이 변경되었으며,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등의 일반 열차와 동해선 광역전철이 운행하고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다.
  • 동해선 광역전철의 역 - 부전역 (한국철도공사)
    부전역은 한국철도공사 소속의 철도역으로, 1943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동해선, 경전선, 경부선 등의 열차 시·종착역이며, 2016년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과 함께 전철역으로도 기능하고, 부산 도시철도 1호선과 환승 가능하다.
  • 2002년 개업한 철도역 - 도라산역
    도라산역은 경의선 상의 역으로, 남북 철도 연결을 목표로 건설되었으며, 민간인 출입 통제 구역 내에 위치해 셔틀 전동열차와 DMZ-TRAIN이 운행되고 주변 관광 코스와 연계되어 유동적으로 운영된다.
  • 2002년 개업한 철도역 - 랑시퐁루즈역
    랑시퐁루즈역은 프랑스 레만호 지역에 위치하여 레지오익스프레스와 레만 익스프레스가 정차하며, 레지오익스프레스는 안네마스-브베 구간을, 레만 익스프레스는 코페-안네마스 구간을 운행하고, 운행 간격은 시간대와 요일에 따라 다르다 (2023년 12월 시간표 기준).
벡스코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한국철도공사 역사
주소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로 351 (동해선)
주소 (지하철)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로 지하396
노선부산 도시철도 2호선
동해선
구조지상 (동해선), 지하 (2호선)
개업일1996년 4월 1일 (동해선, 구 역사)
2002년 8월 29일 (2호선)
이전 역명 (2호선)부산시립미술관역
이전 역명 (동해선)우일역
역 번호 (2호선)205
역 번호 (동해선)K119
운영 기관 (2호선)부산교통공사
운영 기관 (동해선)한국철도공사
노선 정보 (2호선)
이전역204 동백역
다음역206 센텀시티역
영업 거리장산역 기점 4.1 km
인접역 (2호선)line1: 2
left1: 동백
right1: 센텀시티
노선 정보 (동해선)
이전역K118 센텀역
다음역K120 신해운대역
영업 거리부산진역 기점 15.4 km (부전역 기점 10.8 km)
인접역 (동해선)line2: 동해
left2: 센텀
right2: 신해운대
기타 정보 (동해선)
관리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부전관리역
등급보통역 (3급)
비고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2. 역 구조

벡스코역은 동해선 광역전철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환승역이다. 동해선 역은 지상에, 2호선 역은 지하에 위치하며, 두 노선 모두 상대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환승 통로를 통해 두 노선 간 이동이 가능하다.

2. 1. 동해선 벡스코역

방면행선지
상행태화강 방면
하행부전 방면


2. 1. 1.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으로 운영되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동해선 광역전철 승강장
승강장 번호방면주요 경유역
1부전 방면 (상행)센텀 · 교대 · 거제 · 부전
2태화강 방면 (하행)신해운대 · 기장 · 일광 · 태화강


2. 2.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벡스코역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벡스코역은 센텀시티역동백역 사이에 위치한다.

방면행선지
상행 (남쪽)장산역 방면
하행 (북쪽)양산역 방면 →


2. 2. 1. 승강장

벡스코역은 지하 2층 규모의 지하역으로, 승강장은 지하 2층에 위치한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운영되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개찰구는 각 승강장별로 분리되어 있어, 승강장 사이를 이동하려면 개찰구를 다시 통과해야 한다.

방면행선지
상행 (장산 방면)동백 · 해운대 · 중동 · 장산 방면
하행 (양산 방면)수영 · 서면 · 사상 · 덕천 · 호포 · 양산 방면


3. 역사

동해선 벡스코역은 과거 동해남부선 시절 현재 위치에서 약 1.1km 떨어진 곳에 있던 '''우일역'''에서 유래한다. 우일역은 1996년 임시승강장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나, 동서통근열차 운행 중단과 여객 취급 중단을 거쳐 2016년 동해선 복선전철화 사업에 따라 현재 위치로 이전하고 '''벡스코역'''으로 역명을 변경하여 광역철도 역으로 영업을 재개했다.[3][4]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벡스코역은 2002년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개통과 함께 '''시립미술관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이후 2016년 동해선 벡스코역 개통에 따른 환승 편의와 역명 혼선 방지를 위해 '''벡스코(시립미술관)역'''으로 역명을 변경하였다.[6]

3. 1. 동해선 벡스코역

원래 1996년에 현재 위치에서 약 1.1km 떨어진 곳에 동해남부선임시승강장인 '''우일역'''(佑一驛)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2002년 동서통근열차 운행이 중단되었고, 2008년에는 여객 취급이 완전히 중단되었다. 이후 동해선 복선전철화 사업으로 선로가 역 북쪽 터널로 옮겨지면서 기존 역사와 승강장은 철거되었다.

3. 2.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벡스코역

4. 역 주변

5. 승차량 변동

석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2호선승차21166029574154365389513654545474572758595760622166016328[7]동해선승차미개통1,9212,8733,3943,7532,9883,4515,0445,549[8]하차2,2593,1883,7654,1853,3063,8025,6076,183


6. 사진

역명판 (동해선)


임시승강장 시절의 우일역


시립미술관역 시절 벽화


시립미술관역 시절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전)


벡스코역 (2호선) 출입구

7. 인접한 역

동해선
센텀
(부전 방면)
← K119 벡스코 →신해운대
(태화강 방면)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동백
(장산 방면)
← 205 벡스코 →센텀시티
(양산 방면)


참조

[1] 문서 부전 기점 10.8 km
[2]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3-652호 http://gwanbo.mois.g[...] 2013-11-07
[3]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224호 https://gwanbo.mois.[...] 2016-04-29
[4] 웹인용 동해선(부전~일광) 광역전철 영업개시 알림(12.30.~) http://www.letskorai[...] 2017-01-01
[5] 웹인용 시립미술관역 역명 개정 알림 http://gall.dcinside[...] 2016-12-18
[6] 뉴스 부산지하철 '시립미술관역→벡스코(시립미술관역)' 변경 https://www.yna.co.k[...] 2021-01-16
[7] 웹사이트 부산 도시철도 승객량 통계 http://www.humetro.b[...]
[8] 웹인용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2022-04-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