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볼리외쉬르도르도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볼리외쉬르도르도뉴는 프랑스 코레즈 데파르트망 남쪽에 위치한 코뮌이다. 도르도뉴강 유역에 자리 잡고 있으며, 지명은 "살기 좋은 곳"을 의미하는 라틴어에서 유래되었다. 855년경 수도원이 세워지면서 역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이 되었고, 중세 시대에는 순례의 중심지이자 상업 도시로 번성했다. 이후 위그노 전쟁과 프랑스 혁명을 거치며 쇠퇴하였으나, 생 피에르 수도원 교회 등 문화 유산을 간직하고 있다. 현재는 딸기 생산지로도 알려져 있으며, 인구는 1,000명 이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레즈주의 코뮌 - 브리브라가야르드
    브리브라가야르드는 프랑스 코레즈주에 위치한 도시로, 1세기경 정착 이후 생 마르탱 레스파뇰 성당을 중심으로 성장했으며, 중세에는 요충지로서 백년전쟁의 중심에 섰고, 19세기 철도 개통과 2차 세계 대전 중 레지스탕스 활동을 거쳐 현재는 4만 명이 넘는 인구를 가진 스포츠와 산업이 발달한 도시이다.
  • 코레즈주의 코뮌 - 베사크
    베사크는 프랑스의 코뮌이며, 인구 변화를 겪었고, 에티엔 오베르와 쉬잔 라코르의 출생지로 알려져 있다.
  • 프랑스의 도시 - 몽펠리에
    몽펠리에는 프랑스 에로주에 위치한 중세 시대에 성립된 도시로,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길의 숙박 도시로 번영했으며, 1220년 설립된 의학부가 몽펠리에 대학교의 기원이 되었고, 아라곤 왕국과 프랑스 합병, 격변기를 거쳐 현재는 프랑스에서 큰 도시 중 하나이며 대학 문화와 관광 명소를 지닌 도시이다.
  • 프랑스의 도시 - 스트라스부르
    스트라스부르는 프랑스 동부 알자스 지방의 일 강과 라인 강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 도시로, 로마 요새에서 시작하여 프랑스와 독일 영토를 오가며 상업 및 종교 개혁의 중심지로 발전, 현재는 유럽 기관들이 위치한 국제 도시이자 유럽 통합의 상징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볼리외쉬르도르도뉴
지리
면적16.89 제곱킬로미터
일반 정보
명칭볼리외쉬르도르도뉴
프랑스어Beaulieu-sur-Dordogne
오크어Belluec
행정
국가프랑스
레지옹누벨아키텐
데파르트망코레즈주
아롱디스망브리브라게야르드 아롱디스망
캉통미디 코레지앵
코뮌볼리외쉬르도르도뉴
INSEE 코드19019
우편 번호19120
시장도미니크 카일
임기2020년 - 2026년
코뮌 간 연합미디 코레지앵
좌표44°58′45″N 1°50′21″E
인구
2018년1,290명
인구 밀도76명/제곱킬로미터
기타 정보
웹사이트볼리외쉬르도르도뉴 공식 웹사이트

2. 지리

마을을 가로지르는 도르도뉴강의 지류 중 하나


코뮌의 동쪽 경계는 도르도뉴강이 흐르며, 북쪽으로는 도르도뉴강의 지류인 메누아르강이 흐른다. 볼리외쉬르도르도뉴는 도르도뉴강을 따라 뻗어 있는 D940번 도로 상에 위치하며, 해당 지역권의 최남단에 자리 잡고 있다.

2. 1. 지명 유래

Beaulieu|볼리외fra라는 지명은 라틴어 bellus locus|벨루스 로쿠스lat프랑스어 lieu beau|리외 보fra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살기 좋은 곳"을 의미한다.

볼리외의 주민들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 Beaulieusard|볼리외사르fra
  • Beaulieurois|볼리외루아fra
  • Bellilocien|벨리로시앙fra
  • Bellieurain|벨리외랭fra
  • Bellilocois|벨리로코아fra
  • Belliloquois|벨리로쿠아fra
  • Belliloqueteux|벨리로케퇴fra
  • Belliquière|벨리키에르fra
  • Berlugan|베르루간fra
  • Beloudonien|벨루도니앙fra

3. 역사

도르도뉴 강을 따라 서 있는 페니탕 예배당


볼리외쉬르도르도뉴의 역사는 855년, 부르주 대주교 로돌프 드 튀렌이 서 프랑크의 왕 대머리 샤를을 지지하며 자신의 영지에 수도원을 세우기로 결정하면서 시작되었다. 벨리누스(Vellinus)라는 지역에 세워진 이 수도원은 그 아름다움으로 인해 Bellus Locus|벨루스 로쿠스la(아름다운 장소)라 불리게 되었고, 860년에 축성되었다.

초기 수도원은 퀘르시 백작, 튀렌 자작 등 여러 귀족들의 기증으로 빠르게 성장하여 저지 리무쟁 지역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성 프리므와 성 펠리시안의 성유물을 보유하게 되면서 중요한 순례지가 되었고, 리모주에서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로 향하는 길목의 필수적인 장소로 자리 잡았다. 1095년 이후 클뤼니 수도원에 병합되어 개혁을 거치면서 부흥기를 맞았고, 대규모 건축 사업이 진행되었다.

수도원의 번영과 함께 주변에 마을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13세기 말에는 수도원 주변으로 성벽과 해자로 둘러싸인 마을이 생겨났고, 성벽 밖으로도 여러 구역이 확장되었다. 볼리외는 중요한 상업 중심지로 발전하며 부유한 부르주아 계층이 형성되었으나, 이는 주변 영주들과의 갈등 요인이 되기도 했다. 13세기 이후 클뤼니 수도원의 영향력이 약화되면서 볼리외 수도원 역시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

16세기 위그노 전쟁은 볼리외에 큰 타격을 입혔다. 1569년과 1574년, 콜리니 제독이 이끄는 신교도 군대에 의해 마을과 수도원이 약탈당하고, 수도원 부속 교회는 한동안 신교 교회로 사용되기도 했다. 1622년 가톨릭 세력이 회복되면서 수도원은 베네딕토회의 생 모르 수도회에 의해 재건되었고, 마을도 다시 번영하여 화려한 저택들이 들어섰다. 그러나 프랑스 혁명 시기에 수도원 건물 대부분이 파괴되었고, 수도원 교회만이 교구 교회로 남아 현재에 이르고 있다.

볼리외-쉬르-도르도뉴의 파노라마

3. 1. 중세 시대

아키텐의 지도자 자리를 둘러싼 계승 전쟁이 한창이던 855년경, 부르주의 대주교이자 서 프랑크의 왕 대머리 샤를 지지파였던 로돌프 드 튀렌(Rodolphe de Turenne)은 자신의 가문 영지에 수도원을 세우기로 결정했다. 처음에는 베제느(Végennes)에 세우려 했으나 실패하고, 벨리누스(Vellinus)라는 지역을 선택했다. 수도원의 사본집에는 그 장소의 아름다움을 보고 로돌프 대주교가 bellus locus|벨루스 로쿠스la(아름다운 장소)라고 이름 붙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는 리모주 근처의 대규모 수도원인 솔리냐크 수도원에서 수도사들을 초빙하여 새로운 수도원을 세우도록 했고, 그의 친족들도 수도원 재산 형성에 기여했다. 수도원은 860년에 봉헌되었다.

볼리외의 생 피에르 수도원은 인근의 우제르슈나 리모주의 수도원처럼 베네딕토회 소속이었으며, 생 자크의 길과 가깝다는 이점 덕분에 크게 번성했다. 퀘르시 백작, 투렌 자작 등 많은 봉건 영주들의 기증으로 수도원의 영역은 저지 리무쟁(Bas-Limousin) 지역의 3분의 1에 달했고, 그 영향력은 현재의 로트주까지 미쳤다. 성 프리무스(Primus)와 성 펠리키아누스(Felicianus)의 유물을 보유하게 되면서 순례자들이 모여들었고, 세속적인 분쟁에도 불구하고 수도원은 상당한 성장을 이루었다. 볼리외는 리모주에서 오리악, 피작, 콩크, 모아사크, 툴루즈를 거쳐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로 가는 순례길의 중요한 경유지가 되었다.

그러나 부가 증가하면서 수도원의 독립은 주변 영주들의 위협을 받게 되었고, 리모주 주교의 보호를 받기도 했다. 1095년경 클뤼니 수도원에 통합된 후, 개혁을 통해 새로운 부흥기를 맞이했다. 이때 대규모 수도원 교회 건설이 시작되어 거의 반세기 동안 지속되었으며, 현재까지도 그 당시의 건축 양식과 조각들이 남아있다. 14세기에는 마을의 종루 역할도 겸하는 별도의 서쪽 탑이 세워졌다.

강력한 수도원이 비옥한 땅에 자리 잡으면서 주변에 마을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12세기 말부터 수도원 건물을 중심으로 마을이 발달했으며, 13세기 말에는 탑이 설치된 성벽과 해자로 둘러싸인 수도원 구역이 형성되었다. 성벽 밖으로는 여러 구역이 생겨났다. 도르도뉴 강 방향으로는 과거 병원이 있던 '파부르 드 라 그라브'(Faubourg de la Grave) 구역, 옛 벨리누스 마을 터에는 중심 지구가 형성되었고, 공동묘지가 있던 '바리 뒤 트루'(Barri du Trou), 수도원의 오래된 과수원 근처에는 미라벨(Mirabel) 지구가 발전했다. 볼리외는 중요한 상업 중심지로 성장하여 부유한 부르주아 계층이 등장했고, 이는 카스텔노(Castelnau)와 투렌 영주들의 관심을 끌었다.

1213년 이후 클뤼니 수도원의 영향력이 약화되면서 볼리외 수도원 역시 점차 힘을 잃기 시작했다. 수도원장, 부르주아 계층, 투렌 자작 사이에 권력 다툼이 벌어졌고, 15세기 초부터 수도원은 점차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

3. 2. 근현대

생 피에르 수도원 교회 앞에 있는 18세기 주택. 사라진 15세기와 16세기 건물에서 가져온 다양한 조각 요소로 장식되어 있다.


수도원은 백년 전쟁을 거치며 쇠퇴하기 시작했고, 위그노 전쟁으로 인해 그 쇠퇴는 더욱 가속화되었다. 위그노 전쟁 동안 수도원은 프로테스탄트 세력의 공격을 여러 차례 받았다. 1569년, 콜리니 제독이 이끄는 군대는 마을을 공격하여 8일 동안 교회와 수도원을 약탈했다.[3] 이 과정에서 목공예품, 성인 조각상, 수도원의 기록 보관소와 서적, 스테인드 글라스 창문, 종 등이 파괴되었고, 성 프라임과 성 펠리시안의 성유물도 빼앗겼다.[3] 프로테스탄트 군인들은 1574년과 1581년에도 다시 돌아와 수도원을 약탈했으며,[3] 이 시기 수도승들은 아스틸락에 있는 성으로 피신해야 했다.[3]

이후 수도원 교회는 프로테스탄트 사원으로 사용되었다. 당시 볼리외는 프로테스탄트였던 투렌 자작의 통제 하에 있었고, 마을에는 프로테스탄트 신앙이 자리 잡았다. 교회의 현관은 시장 건물 뒤로 가려졌고 서쪽 입구는 벽으로 막혔으며, 예배는 프랑스어로 진행되었다.[3] 그러나 1586년, 샤를, 마옌 공작이 이끄는 가톨릭 동맹 군대가 마을을 되찾았고, 수도원은 다시 수도승들에게 돌아갔다.[3]

1622년, 가톨릭 동맹의 영향으로 수도원은 다시 가톨릭 숭배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17세기에는 베네딕토회의 생모르 수도회에 의해 대대적으로 재건되었다. 1663년 에마뉘엘-테오도르 드 라 투르 도베르뉴가 수도원장으로 부임하면서 생모르 수도회의 영향력이 확고해졌고, 종교 전쟁으로 해이해졌던 수도원의 규율을 바로잡으려 했다.[3] 이 과정에서 주교들과 보르도 의회의 개입에 기존 수도승들이 저항하기도 했으나,[3] 결국 새로운 질서 아래 교회 수리, 조각상과 제단 설치, 수도원 건물 복구가 이루어졌다.[3] 수도원이 재건되면서 도시는 다시 번영하여 화려한 저택들이 들어섰다. 또한 주교들의 지원을 받아 여러 종교 단체가 설립되었는데, 예수회는 1622년에, 우르술라회는 1633년에 자리를 잡고 여학생 교육을 담당했다.[3]

프랑스 혁명 이전까지 볼리외는 투렌 자작령에 속해 자작의 통치를 받았으며, 프랑스 왕실에 세금을 납부하지 않는 특권을 누렸다.[3] 하지만 1738년, 당시 투렌 자작이 빚을 갚기 위해 자작령을 루이 15세에게 매각하면서 상황이 변했다. 볼리외를 포함한 자작령의 마을들은 프랑스 국왕의 직접 통치 하에 놓이게 되었고, 왕실의 세금 제도가 적용되었다.[3]

프랑스 혁명의 여파는 볼리외에도 미쳤다. 혁명기에 수도원 건물과 생모르 수도회(모리스파)가 세운 건축물들이 파괴되었으며, 당시 수도원에는 6명의 수도사만이 남아 있었다.[4] 다행히 수도원 교회 자체는 파괴를 면하고 교구 교회로 전환되어 명맥을 유지할 수 있었다.[4] 이후 1808년에는 교회의 아치형 천장 일부가 무너지는 일이 있었고, 1889년에는 수도원 교회 앞 광장이 정비되었다.[4]

4. 인구

20세기 초 볼리외쉬르도르도뉴의 인구는 2025명이었다.[5]

1962년1968년1975년1982년1990년1999년2006년2011년
16731592156015081265128612871223



참고 자료: 1999년까지 EHESS[6], 2004년 이후 INSEE[7][8]

5. 경제

볼리외쉬르도르도뉴와 그 일대는 딸기의 주요 생산지로, 연간 약 400ton을 생산한다. 이는 프랑스 전체 딸기 생산량의 거의 1%에 해당한다. 이 지역 딸기는 특히 인근 비아르-브르테누(Vayrac-Bouteilles)에 공장을 둔 안드로스(Andros group)에서 을 생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매년 5월 둘째 주 일요일에는 딸기 축제가 열리는데, 이 축제의 명물은 지름 8m의 거대한 타르트에 900kg의 딸기를 올려 만드는 딸기 타르트이다.

연례 딸기 축제에서 지름 의 딸기 파이

6. 문화유산

볼리외쉬르도르도뉴의 주요 문화유산으로는 9세기에 창설되어 로마네스크 양식으로 지어진 생 피에르 수도원 부속 교회[10][11]와 도르도뉴 강변에 위치하여 중세 시대 방어 역할을 했던 에스트레 성 등이 있다.

6. 1. 건축물

에스트레스 성


도르도뉴 강을 따라 중세 시대의 옹벽으로 지지된 테라스 위에 세워진 에스트레스 성(Château d'Estresse프랑스어)은 강으로부터의 침략으로부터 볼리외쉬르도르도뉴와 상류 계곡을 방어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실제로 889년에는 우드 왕이 이곳에서 노르만족의 침공을 막아낸 기록이 있다. 성은 14세기, 15세기, 16세기에 지어진 건물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입구 위로 튀어나온 브레테쉬가 여전히 남아 있다. 20세기 초까지 폐허 상태였으나 이후 복원되었고, 현재 사적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 소재지는 볼리외쉬르도르도뉴가 아닌 아스타야크이다.

생 피에르 수도원 교회


생 피에르 수도원 교회(Église Saint-Pierre프랑스어)는 9세기에 볼리외 영주이자 투렌 백작 가문의 로돌프에 의해 창건되었다.[10][11] 11세기에는 클뤼니 수도원에 소속되었다. 그레고리 개혁의 영향과 순례의 번성으로 인해 새로운 교회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1150년에는 새 교회의 성가대석과 트랜셉트가 완성되었으며 건축은 13세기까지 계속되었다.

교회는 다른 순례지의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 교회와 유사하게 라틴 십자 형태로 설계되었다. 중앙 네이브와 측랑, 그리고 순례자들이 제단에서의 성무일과를 방해하지 않고 후진 예배당에서 기도할 수 있도록 통로와 회랑을 갖추고 있다. 4개의 칸으로 이루어진 중앙 네이브, 성가대석, 트랜셉트의 남쪽 팔 부분은 초기 로마네스크 양식을 보여주며, 종탑과 중앙 탑은 후기의 고딕 건축 양식이다. 건축가 아나톨 드 보도가 복원 작업을 수행했다. 건물의 전체 길이는 71m, 트랜셉트의 너비는 38m이며, 중앙 네이브의 높이는 17m, 중앙 탑은 이보다 6m 더 높다.

교회의 가장 주목할 만한 특징은 정교하게 조각된 남쪽 포털의 팀파눔이다. 일반적인 최후의 심판 장면 대신, 그리스도의 영광스러운 귀환인 재림과 일반 부활을 묘사하고 있다. 높이 2.1m의 그리스도가 팔을 십자가 형태로 벌리고 서 있으며, 양옆에는 12명의 사도가, 위쪽에는 왕관과 못을 든 천사들이 있다. 다른 천사들은 나팔을 불어 죽은 자들을 깨우는 모습으로 조각되었다.

또 다른 중요한 특징은 1678년 수도원 재건 직후 만들어진 금박을 입힌 나무로 된 바로크 양식의 후진 벽(retable)이다. 이 제단화는 성모 승천을 묘사하고 있다. 교회 보물실에는 중세 시대의 중요한 유물들이 다수 소장되어 있는데, 은박 또는 금박으로 덮인 나무로 만들어진 성모자상과 팔 모양의 성유물함 2개가 대표적이다.

6. 2. 문화 행사

2017년 프랑스 국립 꽃의 도시 및 마을 위원회(Conseil national des villes et villages fleuris de France)는 꽃의 도시 및 마을 콘테스트(Concours des villes et villages fleuris)에서 이 코뮌에 꽃을 수여했다.

볼리외를 포함한 주변 지역은 딸기를 연간 400톤 생산하는 주요 산지이다. 이는 프랑스 전체 딸기 생산량의 거의 1%에 해당한다. 특히, 앙드로(Groupe Andros) 그룹이 인근 비알-부르테누(Vayrac-Bouteilles)의 공장에서 을 생산하고 있다.

매년 5월 둘째 주 일요일에는 딸기 축제가 열린다. 이 축제에서는 지름 8m 크기의 거대한 타르트에 900kg의 딸기를 올려 만드는 딸기 타르트가 명물이다.

7. 인물

마르보 장군 동상


볼리외쉬르도르도뉴와 관련된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 외스토르 드 볼리외 (1495년경–1552년): 프랑스 시인, 작곡가, 목사.
  • 장-앙투안 마르보 (1754년–1800년): 프랑스 장군이자 정치인. 군인으로 국왕 경호대에 소속되었으며, 프랑스 혁명 이후 정치가로 활동했다. 1800년 제노바 포위전에서 전사했다. 장군 아돌프 마르보와 마르셀랭 마르보의 아버지이다.
  • 아돌프 마르보 (1781년–1844년): 프랑스 장군.
  • 마르셀랭 마르보 (1782년–1854년): 프랑스 장군. 프랑스 제1제정 시대의 군인으로, 백일천하 기간에 장군이 되었다. 유명한 ''마르보 장군의 회고록''의 저자이다. 인근 아르티약 출신이며, 볼리외에는 그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 프리츠 타울로브 (1847년–1906년): 노르웨이 인상주의 화가.
  • 아셰르 페레스 (1934년–2005년): 이스라엘 물리학자.

참조

[1] 웹사이트 Répertoire national des élus: les maires https://www.data.gou[...] data.gouv.fr, Plateforme ouverte des données publiques françaises 2022-09-13
[2] 법령 Arrêté préfectoral https://www.legifran[...] 2018-06-28
[3] 서적 Guide Illustre de Beaulieu-sur-Dordogne.
[4] 서적 Le guide de la Corrèze http://archive.org/d[...] La Manufacture
[5] 서적 Le Lot
[6] 웹사이트 http://cassini.ehess[...]
[7] 웹사이트 http://www.statistiq[...]
[8] 웹사이트 http://www.insee.fr
[9] 웹사이트 La fraise de Beaulieu http://www.keldelice[...] 2012-05-16
[10] 서적 Quercy roman Éditions Zodiaque
[11] 서적 Limousin roman Éditions Zodiaque
[12] 웹사이트 INSEE: Beaulieu-sur-Dordogne https://www.insee.f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