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사마르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사마르주는 필리핀 동비사야스 지역에 위치한 주로, 사마르 섬 북부를 차지한다. 1965년 사마르 섬이 분할되면서 북사마르, 동사마르, 사마르주로 나뉘었다. 스페인 식민 시대에는 마닐라 갤리언의 항로에 위치하여 왕립 항구가 건설되었으며, 미국 식민 시대와 일본 점령 시대를 거쳐 필리핀 독립 이후 1968년에 정식으로 주가 되었다. 면적은 3,692.93km²이며, 주도는 카타르만이다. 주민들은 주로 와라이어를 사용하며, 가톨릭 신자가 다수를 차지한다. 주요 산업은 관광이며, 페리를 통해 솔소곤 주와 연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비사야스 지방 - 남레이테주
남레이테주는 필리핀 레이테섬 남쪽 1/4에 위치하며 마아신 시를 주도로 하는 주로, 마젤란 탐험대의 상륙과 필리핀 최초의 미사가 거행된 역사적인 장소이며 농업과 관광업이 주요 산업이고 18개의 지방 자치체와 1개의 도시로 이루어져 있다. - 동비사야스 지방 - 빌리란주
필리핀 비사야 제도 동부의 빌리란 섬에 위치한 빌리란주는 레이테 주의 하위 주에서 1992년 독립된 주로, 필리핀에서 네 번째로 작은 주로 화산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어업, 농업이 주요 산업이고 관광 산업이 떠오르고 있다. - 필리핀의 주 - 리살주
리살주는 1901년에 설립되어 필리핀 역사 속에서 행정 구역 변경을 거쳐 현재 1개의 시와 13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 칼라바르존 지역의 주이며, 구릉지대와 산악지형, 라구나 데 바이 호숫가를 포함하고 메트로 마닐라와 인접하여 경제적으로 발전했지만 지역 간 발전 불균형 문제를 가진 곳이다. - 필리핀의 주 - 라구나주
라구나주는 필리핀 칼라바르존 지역에 위치하며 라구나 데 바이 호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쳐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 필리핀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의 출생지이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북사마르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 | |
![]() | |
![]() | |
![]() | |
![]() | |
위치 | 필리핀 비사야 |
설립일 | 1965년 6월 19일 |
중심지 | 카타르만 |
주지사 | 에드윈 C. 옹추안 (PFP) |
부주지사 | 클라렌스 E. 다토 (PFP) |
의회 | 북사마르 주 의회 |
면적 | 3,692.93 km² |
인구 (2020년) | 639,186명 |
행정 구역 | |
도시 | 0 |
자치시 | 알렌 바시 바탈랑 보본 카팔롱안 카타르만 가못 라우앙 라스나바스 레알 리베르타드 마리아노 몬도곤 파그빌라오 팔라팍 핀다피 로사리오 산이시드로 산호세 산로케 산비센테 실비노 로보스 빅토리아 산안토니오 |
바랑가이 | 569 |
하원 의원 지역 | 북사마르 주의 입법 지구 |
지리 | |
최대 고도 | 514 m (사아몽 산) |
기타 정보 | |
시간대 | PHT |
언어 | 와라이어 이나바크논 타갈로그어 영어 |
고속도로 노선 | [[파일:AH26 (N1) sign.svg|21px]] 아시안 하이웨이 26호선 [[파일:N670 (Philippines).svg|21px]] 필리핀 국도 670호선 [[파일:N671 (Philippines).svg|21px]] 필리핀 국도 671호선 [[파일:N672 (Philippines).svg|21px]] 필리핀 국도 672호선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사마르의 다투 이베레인은 1543년 금 장식을 한 노꾼들과 함께 스페인 배로 이동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당시 사마르는 '라완의 빙기'라는 서사시에 등장할 정도로 번성한 지역이었다. 1596년 스페인 사람들이 도착하기 전에는 사말, 이바바오, 탄다야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고, 스페인 점령 초기에는 세부의 관할이었다.
1614년 예수회는 팔라파그에 선교 거점을 세웠으나, 1768년 예수회 추방으로 프란체스코회가 이를 대신했다. 산 베르나르디노 해협은 마닐라와 멕시코 아카풀코를 잇는 갤리언 무역선의 항로였기에 팔라파그에는 왕립 항구가 건설되었다. 16세기 초 팔라파그 주민들은 카비테 조선소로 차출되어 갤리언 건조에 동원되었으며, 이들은 수모로이 반란을 일으켜 비사야스와 민다나오 지역의 봉기로 이어졌다.
1735년 사마르와 레이테는 세부에서 분리되었다가 다시 합쳐졌고, 1768년에 다시 분리되어 별도의 주가 되었다. 1777년 마지막으로 분리되었고, 1799년부터 효력이 발생했다.
1898년 미국인들이 카타르만에 상륙했을 때, 비센테 루크반 장군이 이끄는 혁명군이 저항했지만 패배했다. 태평양 전쟁 동안 북사마르 주민들은 의용군 소대를 조직하고, 독립을 위한 국가 위원회 자금 조달에 참여했다. 필리핀-미국 전쟁 중에는 1900년4월 15일 북사마르주 카투비그(Catubig, Northern Samar)에서 카투비그 포위전(Siege of Catubig)이 발발하기도 했다.
1963년 엘라디오 T. 발리테, 페르난도 R. 벨로소, 펠리페 J. 아브리고 사마르 국회의원은 사마르를 세 개의 주로 분할하는 ''공화국 법 제4221호''를 발의했고, 1965년 국민투표를 통해 북사마르가 설립되었다. 초대 지방 공무원들은 1968년에 취임했다.
2. 1. 스페인 식민 시대
역사가 윌리엄 헨리 스콧은 "1543년, 이베레인이라는 사마르 다투가 금으로 된 깃을 한 노꾼들에 의해 자신의 항구에 정박해 있던 스페인 배로 노를 저어 갔으며, 그는 귀걸이와 목걸이를 착용하고 있었다."라고 기록했다.[4] 스콧의 기사에 따르면, '시데이'라는 지역 서사시인 '라완의 빙기'에서 라완은 사마르, 특히 북부 지역의 번성한 라카나테였다.[4] 다투 하디 이베레인은 라완의 라카나테 출신이었다.[4]1596년, 스페인 사람들이 도착하기 전에 사마르 섬에는 사말, 이바바오, 탄다야와 같은 많은 이름이 붙여졌다.[4] 그러나 일부 역사가들은 사마르라는 이름이 라완에 정착한 레키오스 부족의 고향인 사마리아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고 믿는다.[4] 스페인 점령 초기에 사마르는 세부의 관할 하에 있었다.[4]
1614년, 예수회는 이바바오 주민들 사이에 팔라파그에 선교 거점을 세웠다.[4] 이 선교사들은 17세기 후반까지 머물다가 1768년 필리핀에서 추방되었고, 그 자리는 프란체스코회가 채웠다.[4]
산 베르나르디노 해협은 마닐라와 멕시코 아카풀코 사이를 오가는 스페인 갤리언의 항로에 있었기 때문에, 팔라파그에는 풍랑과 거친 바다로부터 풍부한 화물을 실은 마닐라 갤리언을 보호하는 왕립 항구가 세워졌다.[4]
16세기 초, 갤리언과 섬 방어용 선박 건조를 위해 팔라파그에서 카비테 조선소로 선박 건조자들이 차출되었다.[4] 또한 이 시기에 이 차출된 사람들이 수모로이 반란을 일으켰는데, 이는 비사야스와 민다나오에서 스페인에 대한 전반적인 봉기를 알리는 신호였다.[4] 이 반란은 북쪽으로 알바이까지, 남쪽으로 민다나오 북부 해안과 세부까지 동시에 확산되었다.[4] 스페인 사람들이 반란을 진압하는 데는 1년 이상이 걸렸다.[4]
1735년 사마르와 레이테는 세부에서 분리되었다.[4] 1747년에는 분리되었다가 예수회의 항의에 따라 스페인 국왕의 승인을 받아 1762년에 다시 합쳐졌다.[4] 사마르 주는 1768년 레이테 주에서 분리된 후 별도의 주로 설립되었다.[4] 1777년 사마르와 레이테는 마지막으로 분리되었고, 1786년 마드리드에서 승인되어 1799년부터 효력이 발생했다.[4]
2. 2. 미국 식민 시대와 일본 점령 시대
1898년 후반, 미국인들이 카타르만 해변에 상륙했을 때, 대포와 소총으로 무장한 침략자들에 맞서 볼로와 "팔틱"으로만 무장한 비센테 루크반이 이끄는 혁명군이 조직되었다.[1] 비록 패배했지만, 그들은 게릴라전을 통해 미국인들을 계속 괴롭혔다.[1]태평양 전쟁 동안, 북사마르 주민들은 자발적인 기부로 지원받는 의용군 소대를 조직했다.[2] 이 부대는 마닐라에 있는 필리핀 국민 방위군의 일부가 되었다.[2] 또한 이 주는 국민당과 민주당의 연합이 결성된 후 마누엘 L. 케손이 조직한 독립을 위한 국가 위원회 자금 조달을 위해 발행된 상당량의 채권을 구매함으로써 정부를 지원했다.[2]
필리핀-미국 전쟁 중 1900년 4월 15일, 북사마르주 카투비그(Catubig, Northern Samar)에서 필리핀 게릴라가 미국군 부대를 급습하여 4일간 마을을 점령했다(카투비그 포위전(Siege of Catubig)).[3] 미국군 부대는 증원이 올 때까지 버텼다.[3]
2. 3. 필리핀 독립 이후
사마르 국회의원 엘라디오 T. 발리테(제1선거구), 페르난도 R. 벨로소(제2선거구), 펠리페 J. 아브리고(제3선거구)는 1963년 의회에서 승인된 ''공화국 법 제4221호''를 발의했다. 1965년 6월 19일 국민투표에서 비준된 이 법은 사마르를 북사마르, 동사마르, (서부) 사마르의 세 개 주로 분할했다.[5] 북사마르의 초대 지방 공무원들은 단독 선거구 국회의원을 제외하고 1967년 11월 14일에 선출되었으며, 1968년 1월 1일에 공식적으로 취임했다.3. 지리
북사마르 주는 동비사야스 지역 사마르 섬 북부에 있으며, 총 면적은 3692.93km2이다. 필리핀에서 37번째로 큰 주로, 필리핀 전체 면적의 약 1.2%를 차지한다. 전체 면적의 약 52%는 숲, 42%는 처분 가능한 토지로 분류된다.
북쪽으로는 산베르나르디노 해협, 동쪽으로는 태평양, 서쪽으로는 사마르 해, 남서쪽으로는 사마르 주, 남동쪽으로는 동사마르 주와 접한다.
주는 주로 낮고 험준한 언덕과 작은 저지대로 구성되어 있다. 해안을 따라 작고 불연속적인 지역이 있으며, 강은 일반적으로 충적 평야와 계곡을 동반한다. 대부분의 작물이 자랄 수 있는 비교적 비옥한 토양을 가지고 있다.
지형은 평야와 계곡이 제한적이고 매우 험준하다. 강 계곡은 저지대에 위치하며 종종 언덕에 의해 끊어진다. 나머지 지역은 완만한 구릉과 산지로 이루어져 있다. 본토 내륙은 매우 험하게 갈라진 언덕과 산봉우리로 구성되어 있다. 낮은 언덕은 팔라파그 해안 평야, 가마이 강 계곡, 카투비그 계곡 사이에 위치한다. 피니피시칸 폭포와 석호, 호수(친코 숲)는 카투비그 근처에 있다.
사마르 섬 북부에 위치하며, 남쪽으로는 동사마르 주와 사마르 주, 서쪽에는 사마르 해가 있다. 여러 개의 섬이 있지만, 대부분 이 주의 영역이다. 섬 남쪽에는 빌리란 주, 서쪽에는 비콜 지방의 마스바테 주, 북쪽에는 산베르나르디노 해협을 사이에 두고 솔소곤 주와 인접해 있다.
3. 1. 기후
북사마르 주는 뚜렷한 건기와 우기가 없는 중간형 기후에 속한다. 강우량이 가장 많은 달은 10월에서 1월까지이고, 가장 건조한 달은 5월이다.[1]3. 2. 행정 구역
북사마르 주는 24개의 기초 지방 자치체(Municipalities)로 구성되어 있으며, 독립시(Independent cities)나 구성 도시(Component cities)는 없다. 569개의 바랑가이로 구성되어 있다.북사마르 주는 발리쿠아트로 지역, 중앙 지역, 카투비그 계곡을 포함하는 태평양 지역의 세 개의 주요 지리적 구역으로 나뉜다. 이 주는 두 개의 입법 지구로 나뉘는데, 첫 번째 지구는 발리쿠아트로와 중앙 지역 대부분을 포함하고, 두 번째 지구는 중앙 지역의 일부, 태평양 지역 및 카투비그 계곡을 포함한다.
지방 자치 단체 | 구역 | 인구 (2020년) | 면적 (km²) | 인구 밀도 (명/km²) | 바랑가이 수 |
---|---|---|---|---|---|
앨런 | 1st | 25,228 | 47.6km2 | 530 | 20 |
비리 | 1st | 11,274 | 24.62km2 | 458 | 8 |
보본 | 1st | 25,964 | 130km2 | 200 | 18 |
카풀 | 1st | 12,323 | 35.56km2 | 347 | 12 |
카타르만 | 1st | 97,879 | 464.43km2 | 211 | 55 |
카투비그 | 2nd | 32,174 | 214.99km2 | 150 | 47 |
가마이 | 2nd | 23,367 | 115.1km2 | 203 | 26 |
라오앙 | 2nd | 60,607 | 246.94km2 | 246 | 56 |
라피니그 | 2nd | 11,844 | 57.3km2 | 207 | 15 |
라스 나바스 | 2nd | 36,621 | 282.61km2 | 130 | 53 |
라베자레스 | 1st | 29,390 | 119.5km2 | 246 | 26 |
로페 데 베가 | 1st | 14,690 | 280km2 | 52 | 22 |
마파나스 | 2nd | 14,234 | 117.85km2 | 121 | 13 |
몬드라곤 | 1st | 41,415 | 288.9km2 | 143 | 24 |
팔라파그 | 2nd | 34,034 | 179.6km2 | 189 | 32 |
팜부한 | 2nd | 35,532 | 163.9km2 | 217 | 26 |
로사리오 | 1st | 10,949 | 31.6km2 | 347 | 11 |
산 안토니오 | 1st | 8,882 | 27km2 | 329 | 10 |
산 이시드로 | 1st | 27,867 | 255.9km2 | 109 | 14 |
산 호세 | 1st | 17,641 | 29.85km2 | 591 | 16 |
산 로케 | 2nd | 29,882 | 152.98km2 | 195 | 16 |
산 비센테 | 1st | 6,928 | 15.8km2 | 438 | 7 |
실비노 로보스 | 2nd | 15,100 | 224.2km2 | 67 | 26 |
빅토리아 | 1st | 15,361 | 186.7km2 | 82 | 16 |
4. 인구
2020년 인구 조사에서 북사마르주의 인구는 639,186명이었으며, 인구 밀도는 1km2당 170명이었다.
북사마르 주민들은 과거 '이바바오논' 또는 '레퀴오스'라고 불렸으나, 1965년 사마르 섬이 3개 주로 분할되면서 현재는 스스로를 '니노르테 사마레뇨' 또는 '노르테하논'이라고 부른다. 이들은 주로 와라이족이며, 와라이-와라이어를 사용한다. 인접한 소르소곤과 마스바테에서 온 비콜라노족과 마스바테뇨족 주민들도 북사마르에 많이 거주한다.
북사마르주는 필리핀 통계청 분류에 따르면 2등급 지방이며, 필리핀 재무부 부서 명령 제23-08호(2008년 7월 29일 발효)에 따른 것이다. 주도인 카타르만은 행정, 무역, 상업, 산업의 중심지이다. 이 주는 매우 시골 지역으로 간주되며, 인구의 65%가 시골에 거주하고 있다.
4. 1. 언어
북사마르 주 주민 대다수는 와라이어의 북사마르 방언을 사용한다. 특히 섬 지역의 약 4.5%는 산안토니오를 포함해 세부아노어를 사용한다. 카풀 섬 주민들은 독특한 언어인 아바크논어를 사용하는데, 이 언어는 현재까지 가장 잘 보존된 언어 중 하나로 여겨진다.[6]북사마르어는 발리쿠아트, 중부, 태평양 화자로 세분화된다.[6]
타갈로그어와 영어도 북사마르에서 널리 사용되고 이해된다.[6]
4. 2. 종교
이 지방의 공동체는 가톨릭 신자가 대다수(80%)이다. 그 외 종교 단체로는 하나님의 국제성회 회원 교회(Members Church of God International), 이기레시아 니 크리스토, 필리핀 독립 교회(Iglesia Filipina Independiente),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 여호와의 증인,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와 그 외 기독교 종파가 있다. 소수의 인구는 이슬람교 신자이다.5. 경제
필리핀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북사마르주의 빈곤율을 확인할 수 있다.[15]
5. 1. 빈곤율
'''북사마르주의 빈곤율'''연도 | 2006 | 2009 | 2012 | 2015 | 2018 | 2021 |
---|---|---|---|---|---|---|
빈곤율 (%) |
6. 교통
북사마르주는 루손섬과 사마르섬을 연결하는 주요 교통로 역할을 한다.
6. 1. 페리
솔소곤 주 마토노그와 노던사마르 주 알렌을 잇는 페리 노선이 있다.7. 관광
북사마르주는 관광객들에게 아직 발견되지 않은 여러 관광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는 오래된 교회, 폭포, 강, 동굴, 원시림 및 해변이 포함된다.
국내 마지막 미개척지 중 하나인 북사마르주의 태평양 연안을 따라 뻗어 있는 석회암 절벽은 역사적인 랜드마크이다. 스페인 식민지 시대 동안 사마르 섬은 마닐라 갤리언이 아카풀코에서 출발하여 오랜 항해를 마치고 다가올 때 처음으로 발견한 필리핀의 상륙 지점이었다.
필리핀 제도의 바다에 들어선 갤리언은 사마르 인근의 요새화된 카풀 섬에 기항하여 예수회 교회에서 안전한 횡단을 감사하고, 좁은 산베르나르디노 해협의 거친 물길을 지나 최종 목적지인 마닐라로 향했다.
카풀은 또한 멕시코의 아카풀코로 향하는 길고 위험한 태평양 횡단 항해를 앞두고 출발하는 갤리언의 필리핀 마지막 기착지이기도 했다.
8. 정치
북사마르주의 문장은 이 지역의 정치, 지리, 역사, 경제, 사회를 나타내는 상징과 아이디어를 담고 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1]
- 문자 "N"과 "S": 북사마르주
- "북사마르주 지도": 5개의 섬 마을을 포함한 이 지역의 24개 지방 자치 단체
- "갤리선": 1640년 팔라파그 왕립 항구를 통해 기독교 복음을 전파하고 로마 가톨릭교 교리를 전파하며 시민 정부를 도입하기 위해 이바바오 땅에 도착한 스페인 정복자들
- "부부야 산"(팔라파그 메사): 팔라파그에서 가장 높은 산맥으로, 아구스틴 수무로이와 그의 부하들이 미겔 발베란 신부를 살해한 후 후퇴하여 주둔한 곳이며, 이곳에서 수무로이 반란이 시작됨
- "논", "마닐라 삼", "목재", "코코넛": 경제적 표현
- "파란색": 광대한 해양 및 수생 자원
- "귤색": 이 지역 사람들의 쾌활함, 활기, 낙관주의
- "노란색": 풍성한 수확과 풍부한 자원
- "흰색": 투명한 정부
- "횃불": 이 지역을 밝히고 지방 정부의 주요 추진력인 양질의 교육으로 불을 지피는 것
- "로프": 원형 모양으로 문장을 묶어 권리와 정의의 평등, 평화와 발전을 위한 단결
8. 1. 역대 주지사
재임 기간 | 이름 |
---|---|
1967년–1971년 | 아이린 발리테(Irene Balite) |
1971년–1980년 | 에딜베르토 A. 델 발레(Edilberto A. del Valle) |
1980년–1986년 | 레날도 A. 델 발레(Reynaldo A. del Valle) |
1986년–1988년 | 저스티니아노 M. 싱존(Justiniano M. Singzon) |
1988년–1998년 | 할린 아바욘(Harlin Abayon) |
1998년–2001년 | 매들린 M. 옹(Madeleine M. Ong) |
2001년–2010년 | 라울 A. 다자(Raul A. Daza) |
2010년–2013년 | 폴 R. 다자(Paul R. Daza) |
2013년–2019년 | 호세 L. 옹 주니어(Jose L. Ong, Jr.) |
9. 저명한 인물
- 아구스틴 수무로이(후안 수무로이로 더 잘 알려짐): 북사마르 주 팔라파그 출신의 필리핀 영웅이자 와라이족 출신으로, 1649~1650년 동부 비사야스에서 일어난 원주민 필리핀의 스페인 식민지 세력에 대항한 수무로이 반란의 지도자이다.[1]
- 사무엘 마르티레스: 북사마르 주 팔라파그 출신의 필리핀 변호사. 2005년부터 2017년까지 산디간바얀 부판사, 필리핀 대법원 부판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필리핀 옴부즈맨이다.[2]

- 리키 로: 북사마르 주 라스 나바스 출신의 엔터테인먼트 편집자이자 칼럼니스트 (Funfare, The Philippine Star) 겸 TV 진행자 (The Buzz, Star Talk)이다.[3]
- 엔젤 아키노: 필리핀 패션 모델, TV 진행자, FAMAS 및 가와드 우리안 상 후보에 오른 영화 및 TV 배우이다.[4]
참조
[1]
웹사이트
List of Provinces
http://www.nscb.gov.[...]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2013-04-12
[2]
웹사이트
Mapa ng mga Wika (Rehiyon) - Rehiyon VIII
https://kwf.gov.ph/m[...]
Commission on the Filipino Language
2021-09-23
[3]
서적
Cracks in the parchment curtain and other essays in Philippine history
https://books.google[...]
New Day Publishers
[4]
웹사이트
Samar History and Information
https://samar.lgu-ph[...]
2024-10-15
[5]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4221 - An Act Creating the Provinces of Northern Samar, Eastern Samar and Western Samar
http://www.chanroble[...]
2016-04-16
[6]
웹사이트
Table 4. Household Population by Ethnicity and Sex: Northern Samar, 2000
https://www.census.g[...]
[7]
웹사이트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8]
간행물
2000
[9]
간행물
2003
[10]
간행물
2006
[11]
간행물
2012
[12]
간행물
2015
[13]
간행물
2018
[14]
간행물
2021
[15]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16]
간행물
2000
[17]
간행물
2003
[18]
간행물
2006
[19]
간행물
2012
[20]
간행물
2015
[21]
간행물
2018
[22]
간행물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