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분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분식은 곡물을 가루로 만들어 조리하는 음식으로,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이후 식량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장려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전쟁 군량 확보를 위해, 한국전쟁 이후에는 미국의 원조 밀가루를 활용하여 분식을 장려했으며, 1960년대에는 쌀 부족으로 정부 주도의 분식 장려 정책이 시행되었다. 이러한 정책을 통해 국수, 수제비, 빵, 떡볶이, 짜장면 등 다양한 음식이 개발되었으며, 쫄면, 닭강정, 어묵 등은 지역별 특색을 갖추며 분식 메뉴로 자리 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분식 - 어묵
    어묵은 생선살을 주원료로 하여 쪄내거나 튀겨 만든 한국의 대표적인 수산가공품으로, 일제강점기 이후 부산을 중심으로 발전하여 현재는 다양한 종류로 생산 및 소비되며, 부산 어묵은 한국을 대표하는 지역 특산물이다.
  • 분식 - 순대
    순대는 돼지 창자에 다양한 재료를 넣어 찐 한국의 전통 음식이며, 몽골의 영향으로 유래되었고, 한국 전쟁 이후 대중화되어 다양한 종류와 요리로 활용된다.
분식
개요
종류한국 요리
주요 재료밀가루, , 채소, 고기, 해산물 등
특징저렴하고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대중적인 음식
역사
기원1960년대, 경제 성장과 함께 등장한 간편식 문화
발전1970년대 이후, 다양한 메뉴 개발과 프랜차이즈 확산으로 대중화
종류
면류라면
칼국수
잔치국수
쫄면
우동
밥류김밥
볶음밥
덮밥
비빔밥
튀김류튀김 (오징어튀김, 새우튀김, 고구마튀김 등)
만두
핫도그
떡류떡볶이
라볶이
기타순대
어묵
호떡
토스트
분식점
특징저렴한 가격, 빠른 서비스, 다양한 메뉴 제공
대표적인 분식점김밥천국 (프랜차이즈)
기타
관련 용어분식회계: 회사의 회계정보 등을 왜곡하는 것 (다른 뜻)

2. 유래

여러 열매나 곡물을 가루로 내어 조리하는 것은 세계 모든 문화에서 볼 수 있는 조리 방식의 하나이다. 신석기 문화의 유물인 갈돌과 갈판에서는 도토리를 비롯한 여러 종류의 것들을 갈았던 흔적이 발견되었고, 청동기 시대에 들어 곡물을 갈아 가루를 만든 흔적이 일반화되었다.[6] 갈아낸 도토리가루는 매우 떫기 때문에 물에 우려내어 사용해야 한다. 신석기 시대 사람들 역시 가루를 물에 우려내고 다양한 방법으로 조리한 음식을 먹었을 것이다.[7] 한국은 오래전부터 가루 음식을 만들어 왔지만 밀가루는 흔하지 않았기 때문에 조선 전기까지도 국수는 귀한 사치품에 가까웠다.[8]

이러한 상황 속에서 싸고 쉽게 구할 수 있었던 밀가루는 가래떡을 이용한 떡볶이, 두툼한 면을 쓰는 짜장면과 같은 여러 음식에 두루 쓰였고 쫄면과 같은 새로운 요리가 나오면서 현재의 분식에서 볼 수 있는 메뉴가 하나둘 갖춰졌다.[14] 한때 분식 장려 정책의 같은 부류로 묶였던 빵은 베이커리 산업의 발달과 함께 다른 종류의 것으로 취급받고 있다. 분식이 여전히 저렴한 음식의 자리를 차지하는 동안 베이커리는 점차 고급화되는 추세이고 이제는 카페, 디저트 등의 음식 부류로 묶인다.[15]

2. 1. 일제강점기와 혼분식 장려 정책

분식이 오늘날과 같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싼 음식으로 여겨지기 시작한 것은 일제강점기부터이다. 일제는 계속되는 전쟁의 군량 확보와 늘어나는 인구에 따른 수요 억제를 위해 쌀과 여러 곡물을 섞어 먹는 혼식과 대량 수입이 가능하게 된 밀가루 등을 이용한 분식을 장려하였다.[9]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면서 식량 수입이 크게 줄어들자 밀가루 역시 그리 쉽게 구할 수 있는 품목은 아니었다. 일제는 조선에서 생산되는 쌀을 의무적으로 정부에 팔도록 하는 공출 제도를 도입하는 한편,[10] 대체할 식량을 배급제로 운영하였으나 충분하지 못하였다.[11]

해방 이후 한국은 쌀의 수출을 재개할 정도로 농업이 회복되었지만 한국전쟁으로 경제 기반이 붕괴되면서 극심한 식량위기를 겪었다. 한국의 식량 원조 요청에 미국은 잉여 농산물을 지원하였고 막대한 양의 밀가루가 국내로 유입되어 배급과 판매에 사용되었다. 정부 역시 부족한 미곡을 충당하기 위해 혼식과 분식을 장려하였다. 당시 들여온 밀가루를 이용한 각종 음식이 오늘날 현대적인 분식의 시초라고 할 수 있다.[12] 미국이 원조한 밀가루로 만든 대표적인 음식은 국수수제비 등으로 오늘날에도 간편하게 사먹을 수 있는 저렴한 국수집들이 운영되는 시초가 되었다.[13]

혼식과 분식의 장려는 식생활의 변화와 농업 생산량 증가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쌀이 남게 되는 1980년대 중반까지 지속되었다.[9] 분식 장려 정책은 국수나 수제비 뿐만 아니라, 우유의 소비도 포함되어 있었고 이들 역시 분식으로 불렸다.[4] 이러한 상황 속에서 싸고 쉽게 구할 수 있었던 밀가루는 가래떡을 이용한 떡볶이, 두툼한 면을 쓰는 짜장면과 같은 여러 음식에 두루 쓰였고 쫄면과 같은 새로운 요리가 나오면서 현재의 분식에서 볼 수 있는 메뉴가 하나 둘 갖춰졌다.[14] 한때 분식 장려 정책의 같은 부류로 묶였던 빵은 베이커리 산업의 발달과 함께 다른 종류의 것으로 취급받고 있다.

1960년대, 대한민국에서는 이 부족했고, 정부는 대안으로 분식을 장려하게 되었다.[3] 각 지역에 위원회를 설치하여 공공기관, 학교, 정부 기관이 이 운동을 주도하도록 장려했다. 음식점들은 보리와 밀가루 사용을 늘리도록 지도받았고, 쌀을 주재료로 한 음식의 판매는 주중 특정일에 금지되었다. 관공서 내 정부 운영 식당에서는 쌀 요리의 판매가 완전히 금지되었다. 이러한 노력은 1976년까지 지속되었다.[3]

2. 2. 해방 이후와 미국의 원조

해방 이후 한국은 한국전쟁으로 경제 기반이 붕괴되면서 극심한 식량위기를 겪었다. 한국의 식량 원조 요청에 미국은 잉여 농산물을 지원하였고 막대한 양의 밀가루가 국내로 유입되어 배급과 판매에 사용되었다. 정부 역시 부족한 미곡을 충당하기 위해 혼식과 분식을 장려하였다. 당시 들여온 밀가루를 이용한 각종 음식이 오늘날 현대적인 분식의 시초라고 할 수 있다.[12] 미국이 원조한 밀가루로 만든 대표적인 음식은 국수수제비 등으로 오늘날에도 간편하게 사 먹을 수 있는 저렴한 국수집들이 운영되는 시초가 되었다.[13]

혼식과 분식 장려는 식생활의 변화와 농업 생산량 증가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쌀이 남게 되는 1980년대 중반까지 지속되었다.[9] 분식 장려 정책은 국수나 수제비뿐만 아니라, 우유의 소비도 포함되어 있었고 이들 역시 분식으로 불렸다.[4] 1960년대, 대한민국에서는 이 부족했고, 정부는 대안으로 분식을 장려하게 되었다.[3] 각 지역에 위원회를 설치하여 공공기관, 학교, 정부 기관이 이 운동을 주도하도록 장려했다. 음식점들은 보리와 밀가루 사용을 늘리도록 지도받았고, 쌀을 주재료로 한 음식의 판매는 주중 특정일에 금지되었다. 관공서 내 정부 운영 식당에서는 쌀 요리의 판매가 완전히 금지되었다. 이러한 노력은 1976년까지 지속되었다.[3]

2. 3. 1960년대 정부 주도의 분식 장려 정책

한국전쟁으로 경제 기반이 붕괴되면서 한국은 극심한 식량위기를 겪었다. 한국의 식량 원조 요청에 미국은 잉여 농산물을 지원하였고, 막대한 양의 밀가루가 국내로 유입되어 배급과 판매에 사용되었다. 정부 역시 부족한 미곡을 충당하기 위해 혼식과 분식을 장려하였다. 당시 들여온 밀가루를 이용한 각종 음식이 오늘날 현대적인 분식의 시초라고 할 수 있다.[12] 미국이 원조한 밀가루로 만든 대표적인 음식은 국수수제비 등이며, 오늘날에도 간편하게 사 먹을 수 있는 저렴한 국숫집들이 운영되는 시초가 되었다.[13]

1960년대 대한민국에서는 이 부족했고, 정부는 대안으로 분식을 장려하게 되었다.[3] 각 지역에 위원회를 설치하여 공공기관, 학교, 정부 기관이 이 운동을 주도하도록 장려했다. 음식점들은 보리와 밀가루 사용을 늘리도록 지도받았고, 주중 특정일에 쌀을 주재료로 한 음식 판매가 금지되었다. 관공서 내 정부 운영 식당에서는 쌀 요리 판매가 완전히 금지되었다. 이러한 노력은 1976년까지 지속되었다.[3]

혼식과 분식 장려는 식생활의 변화와 농업 생산량 증가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쌀이 남게 되는 1980년대 중반까지 지속되었다.[9]

3. 음식 종류

분식집에서 판매되는 음식들은 저마다 다른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유행하면서 분식 메뉴로 자리 잡았다.

분식으로 취급되는 음식은 다음과 같다.

3. 1. 대표적인 분식 메뉴

쫄면이나 닭강정은 인천의 신포국제시장에서 개발되어 전국으로 확산되었고[16] 마복림이 만든 떡볶이신당동을 분식점 집결지로 바꾸었다.[17] 분식 장려 정책이 폐지되자 분식집에는 쌀을 이용한 김밥덮밥이 메뉴로 추가되었다.[5] 어묵은 일제강점기 시기 일본에서 유입된 음식으로 해방 이후 부산을 중심으로 확산하여 전국적으로 퍼져 나갔고 대구의 양념어묵과 같이 여러 변화가 추가되었다.[18]

분식으로 취급되는 음식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3. 2. 지역별 특색 분식

쫄면이나 닭강정은 인천 신포국제시장에서 개발되어 전국으로 확산되었고[16], 마복림이 만든 떡볶이신당동을 분식점 집결지로 바꾸었다.[17] 어묵은 일제강점기 일본에서 유입된 음식으로 해방 이후 부산을 중심으로 확산하여 전국적으로 퍼져 나갔고, 대구의 양념어묵과 같이 여러 변화가 추가되었다.[18]

참조

[1] 웹사이트 Bunsik http://krdic.naver.c[...]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2] 웹사이트 김밥천국 http://kimbab1009.co[...] 2021-04-12
[3] 웹사이트 Bunsik encouragement https://web.archive.[...] Britannica Korea 2011-06-10
[4] 뉴스 오랜 세월 대중과 함께해온 분식 https://www.hynews.a[...] 한대신문 2009-11-22
[5] 뉴스 분식 고찰 https://www.vogue.co[...] 보그 코리아 2023-02-20
[6] 웹사이트 신석기 시대 사람들은 무엇을 갈았을까 https://www.museum.g[...] 국립중앙박물관
[7] 웹사이트 신석기시대의 생업과 사회 - 야생식물의 채취 http://contents.hist[...] 우리역사넷
[8] 웹사이트 옥수수로 만든, 국수 아닌 국수 https://www.cha.go.k[...] 문화재청
[9] 웹사이트 혼분식 장려 운동 https://encykorea.ak[...]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0] 웹사이트 공출 https://encykorea.ak[...]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1] 웹사이트 배급 https://encykorea.ak[...]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2] 웹사이트 미 잉여 농산물 원조, 쌀과 밀의 다툼 http://contents.hist[...] 우리역사넷
[13] 웹사이트 해방 이후 쌀값 폭등으로 많이 먹게된 밀가루 수제비 https://ncms.ncultur[...] 지식N문화
[14] 뉴스 ‘52년 인천生 곰표’…70년 식생활을 바꾸다! https://news.kbs.co.[...] 한국방송 2021-07-26
[15] 뉴스 코로나19 속 한식·외국식·커피·베이커리 양극화 뚜렷 https://www.foodbank[...] 식품외식경제 2020-11-17
[16] 뉴스 쫄면·만두·닭강정 먹거리 천국… 100년 역사 인천 신포국제시장 ‘입이 즐겁다’ https://www.segye.co[...] 세계일보 2023-05-05
[17] 뉴스 연탄불에 보글보글 끓던 빨간 국물 - 신당동 떡볶이 골목 탄생시킨 마복림 할머니의 즉석떡볶이 https://www.hani.co.[...] 한겨레 2012-01-19
[18] 웹사이트 양념오뎅 http://www.grandcult[...] 대구역사문화대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