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밥은 밥과 다양한 재료를 김으로 말아 만든 한국의 음식이다. 일제강점기 일본의 노리마키가 한국에 소개되어 변형된 것이 기원이라는 설이 유력하며, 김밥과 노리마키는 현재 서로 다른 요리로 인식된다. 김밥은 밥과 김을 기본으로, 단무지, 햄, 계란 지단 등 다양한 속 재료를 사용하며, 형태와 재료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현재 김밥은 한국에서 대중적인 음식으로, 김밥 전문점, 편의점 등에서 판매되며, 가정에서도 널리 만들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식 일본 요리 - 붕어빵
    붕어빵은 1930년대 일본의 타이야키에서 유래되어 밀가루 반죽에 팥 앙금을 넣어 붕어 모양으로 구운 한국의 대표적인 길거리 음식으로, 식량난 시대 큰 인기를 얻고 레트로 열풍과 함께 재등장하여 다양한 맛과 종류로 사랑받으며 붕어빵 지도까지 등장하는 등 사회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 한국식 일본 요리 - 가락국수
  • 한국의 밥 요리 - 주먹밥
    주먹밥은 쌀을 먹기 시작한 이후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한국에서는 조선 시대부터 도시락 등으로, 격변기에는 식량으로 활용되었고, 외환위기에는 저렴한 식사 대용으로, 2010년대 이후에는 다양한 형태로 상품화가 발전한 밥을 뭉쳐 만든 음식이다.
  • 한국의 밥 요리 - 볶음밥 (한국 음식)
    볶음밥은 밥에 여러 재료를 넣어 볶아 만드는 한국 요리로, 주재료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조리 방식 또한 다양하고, 한국식 중화 요리나 일본 요리의 영향을 받은 형태도 있다.
김밥 - [음식]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썰어 놓은 야채 김밥
국가한국
국가별 요리한국 요리
주요 재료, 밥
변형충무김밥, 삼각김밥
1인분100 g
영양 정보
열량170.4
단백질5.2
지방5.2
탄수화물25.6
한국어 이름
한글 표기김밥
로마자 표기gimbap
매큔-라이샤워 표기kimbap
예일 표기kimpap
국제 음성 기호,
일본어
가타카나킨파푸(키무바푸) 킨파푸(키무파푸)
영어
영어 표기kimbop

2. 역사

일제 강점기에 스시의 한 종류인 노리마키가 한국에 소개되어 변형된 것에서 유래했다고 추정된다. 김밥은 쌀식초 대신 참기름을 포함한 한국의 전통 맛을 활용하는 독특한 요리가 되었다.[41][42] 한국에서 김밥이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한 1935년 신문이 이 이론을 뒷받침한다.[43] 김밥과 마키즈시가 같은 마키스(巻きす, 김밥말이)를 사용해 원통형으로 말아 만든다는 점도 유사점으로 언급된다.[44]

한국학중앙연구원이 발간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는 김밥의 역사가 일본에서 온 것이라는 소개와 함께 김과 복쌈에 대한 소개를 통해 김밥과 두 음식의 연관성을 제시하였다.[45][46] 경상도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등 15세기경의 서적에 김밥의 주재료인 김의 생산이 기록되어 있고,[47][48] 1819년 김매선이 저술한 조선 서적인 열양세시기에는 밥을 지어 김에 싸서 먹는 복쌈이라는 음식이 기록되어 있다.[49][50]

''''(김한국어)은 과 방사무늬김속에 속하는 식용 해조류를 말한다. ''밥''(밥한국어)은 넓은 의미로 밥을 뜻한다. 복합어인 ''김밥''은 신조어이며, 20세기까지 한국어에 존재하지 않았다. 김밥이라는 용어는 1935년 한국 신문 기사[8]에서 사용되었지만, 당시에는 외래어인 ''노리마키''도 함께 사용되었다. ''노리마키''는 일제강점기 (1910–1945) 동안 한국어로 유입된 일본어 어휘의 일부였다. 두 단어는 김밥이 일본 식민주의의 잔재를 청산하고 한국어를 순화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보편적인 용어가 되기 전까지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었다.[9]

김밥의 기원과 관련된 더 자세한 내용은 #기원 논쟁 하위 섹션을 참조.

2. 1. 기원 논쟁

김밥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한다.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것은 일제 강점기에 일본의 스시 종류인 노리마키가 한국에 들어와 변형되었다는 설이다. 김밥은 쌀식초 대신 참기름을 사용하는 등 한국의 전통적인 맛을 살린 독특한 요리가 되었다.[41][42] 1935년 한국 신문에 김밥이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한 것이 이 이론을 뒷받침한다.[43] 또한 김밥과 마키즈시 모두 김밥말이(마키스)를 사용하여 원통형으로 만든다는 점도 유사하다. 이는 노리마키와 김밥의 제조법과도 일치하는데, 일제 강점기 이전 한반도에는 이러한 조리 도구나 이를 이용한 음식은 없었지만, 일본에서는 에도 시대부터 일식에 주로 사용되어 왔다.[44]

한국학중앙연구원이 발간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는 김밥의 역사가 일본에서 온 것이라는 소개와 함께 김과 복쌈에 대한 소개를 통해 김밥과 두 음식의 연관성을 제시하였다.[45][46] 15세기 문헌인 경상도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에는 김밥의 주재료인 김 생산이 기록되어 있고,[47][48] 1819년 김매선이 저술한 조선 서적 열량세시기에는 밥을 지어 김에 싸서 먹는 복쌈이라는 음식이 기록되어 있다.[49][50]

김을 펴서 돌돌 마는 '마키' 방식의 '김밥' 자체는 일제 강점기에 도입된 노리마키의 영향이 없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김밥 자른 모습


참깨를 뿌리지 않은 김밥


하지만, 김 섭취 시기나 '김쌈밥'이라는 용어 사용 등을 근거로 한국 고유의 음식 문화에서 김밥이 비롯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일본은 18세기 아사쿠사 노리 유행 전까진 김을 채취한 그대로인 죽 형태로 섭취했다는 기록밖에 없는 반면, 한국은 고려 말기와 조선왕조실록에 '종이김'에 대한 기록이 일본보다 수백 년 이상 앞서있다. 또한, 일제 강점기에 신문에 등장하는 노리마키 역시 '김쌈밥'이라는 용어로 서술된다. 여기서 김쌈밥은 김밥의 원형으로 추정되는 노리마키의 한국어 번역어가 아닌, 종류 중 하나인 김쌈을 의미한다.[51] 이는 보름날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 싸는 노적쌈, 복쌈, 볏섬 등으로 불리던 것이 점차 김이 보편화되며 김으로 쌈을 쌌다 하여 김쌈, 김쌈밥 등으로 명칭이 변화된 것으로, 일제시대 현지화된 노리마키즈시의 호칭에도 과거 김쌈밥의 이름이 그대로 사용되어 계승되었다. 이는 한반도 내에서는 일제시대에 퍼진 노리마키와 김쌈밥의 형태나 맛의 차이가 날지언정 당시 사람들한텐 두 음식을 꽤나 유사한 음식으로 인식하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52]

이러한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김밥과 노리마키는 현재 일본과 한국에서 서로 다른 요리로 구분된다. 전자는 일본어로 '기무파푸'(キムパプ일본어)라고 불리고, 후자는 한국어로 '노리마키'라고 불린다. 김밥은 보통 여러 재료를 넣고 말아서 참기름으로 양념을 하고, 마키즈시는 보통 한 재료(오이나 생참치)로 말아서 쌀식초로 양념을 한다.

삼국 시대 기원설도 있지만, 이는 잘못된 주장이다. 출처로 제시되는 『삼국유사』에는 연오라는 남자가 바다의 "藻"(말)를 채취하는 묘사만 있을 뿐이다.[33] "藻"가 아닌 "김"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5세기의 『경상도지리지』 및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있다.

2. 2. 현대의 발전

김밥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의 마키즈시가 한국에 전해지면서 유래했다는 설이 일반적이다.[2][11][12][13] 당시 한국은 벤토(도시락)나 마키즈시와 같은 일본 음식 문화를 받아들였다.[2][11][12][13] 이후 김밥은 쌀 식초 대신 참기름을 사용하고 전통적인 한국식 재료를 넣어 독자적인 음식으로 발전했다.[14][15] 1935년 한국 신문에서 '김밥'이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한 것도 이러한 설을 뒷받침한다.[8]

한국학중앙연구원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는 김에 밥과 반찬을 싸 먹던 전통에서 김밥이 유래했다는 다른 설을 제시한다.[10][16][17] 15세기 문헌인 ''경상도지리지''와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경상도전라도에서 을 생산했다는 기록이 있다.[18][19] 김매순이 1819년에 쓴 조선 시대 책 ''열양세시기''에는 김에 밥과 속을 넣어 만든 음식을 ''복쌈''(복쌈|縛占|박점한국어)이라고 언급했다.[6][20]

1950년대 이후 김밥은 점차 변모해 갔다. 1958년 3월 29일 동아일보 기사에서는 밥에 식초, 설탕, 소금, 글루탐산나트륨을 섞는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후 김밥 레시피에서 식초는 빠지고 참기름과 소금으로 간을 맞추게 되었다.

1990년대까지 "노리마키"라는 명칭이 남아 있었으나, 1995년 문화체육부(현 문화체육관광부)와 1996년 국립국어원이 일본식 표현인 "노리마키"를 "김밥"으로 순화하도록 추진하면서 "김밥"이라는 명칭이 정착되었다.[34]

오늘날 한국과 일본에서 '김밥'과 '마키즈시'는 서로 다른 음식을 가리킨다. 일본에서는 김밥을 '키무파푸'(キムパプ일본어)라고 부르고, 한국에서는 마키즈시를 '김초밥'(김초밥한국어) 또는 '노리마키'(노리마키한국어)라고 부른다. 김밥은 보통 여러 재료를 넣고 참기름으로 간을 하지만, 마키즈시는 한 가지 재료를 넣고 쌀 식초로 간을 한다.

3. 재료 및 조리법

김밥을 만들 때는 먼저 을 살짝 굽는다. 구운 김은 김밥 발 위에 펼쳐 놓고, 참기름과 소금으로 간을 한 밥을 얇게 펴서 올린다.[40] 그 위에 길이에 맞게 썰어 놓은 속재료를 가운데에 적당히 올린 후, 김밥 발을 이용해 돌돌 말아 원통형으로 만든다.[40] 다 말아진 김밥은 먹기 좋은 크기인 1cm 정도 두께로 썬다.[40]

일반적으로 김밥은 썰어서 바로 먹지만, 기호에 따라 참기름을 바르거나 깨를 뿌려 먹기도 한다.[40] 썰어 놓은 김밥에 달걀물을 입혀 프라이팬에 살짝 굽거나, 떡볶이 국물에 찍어 먹기도 한다.[35] 김치나 단무지 등 절임 음식, 또는 국과 함께 곁들이는 경우도 많다.

3. 1. 기본 재료

과 밥은 김밥의 두 가지 기본 재료이다. 일반적으로 단립종 백미가 가장 많이 사용되지만, 단립종 현미, 흑미 또는 기타 곡물도 속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김밥 속 재료는 다양하며, 채식 및 비건 옵션도 종종 있다.[22] 단무지 (노란색 절인 무), 햄, 쇠고기, 맛살, 계란 지단, 김치, 불고기, 시금치, 당근, 우엉, 오이, 참치 통조림, 깻잎 등이 자주 사용되는 재료이다.[23][24] 이 외에도 치즈, 매운 오징어볶음, 김치, , 돈가스, 고추, 또는 매운 참치가 들어가기도 한다. 김은 참기름을 바르거나 참깨를 뿌려 풍미를 더할 수 있다.[21]

김밥을 만들 때에는 김을 약한 불에 굽고, 밥은 소금과 참기름으로 살짝 간을 한다. 채소와 고기 재료는 양념하여 볶거나 지진다. 구운 김을 김밥 발 위에 올려놓고 얇게 펴 바른 밥을 올린 후, 그 위에 준비된 재료들을 올리고 원통형 모양으로 만다. 일반적으로 지름은 3cm~4cm 정도이며, 이렇게 말아진 김밥은 한 입 크기로 썰어 낸다.[25]

3. 2. 속 재료

김밥의 속 재료로는 소시지, , 게맛살, 시금치, 우엉, 단무지, 달걀, 참치, 쇠고기 등을 취향에 따라 이용할 수 있다.[21] 재료나 모양에 따라서 김밥의 이름을 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김 대신 밥이 밖으로 드러나게 만드는 김밥은 누드김밥이라고 부른다.

완성된 김밥


일부 김밥에는 치즈, 매운 오징어볶음, 김치, , 돈가스, 고추, 또는 매운 참치가 들어간다.[21] 김밥을 얇게 썰어 계란물을 입혀 살짝 튀기기도 하는데, 이렇게 하면 굳은 김밥도 먹을 수 있다.

속 재료는 다양하며, 채식 및 비건 옵션도 종종 있다.[22] 인기 있는 재료로는 단무지 (노란색 절인 무), 햄, 쇠고기, 맛살, 계란 지단, 김치, 불고기, 시금치, 당근, 우엉, 오이, 참치 통조림, 깻잎 등이 있다.[23][24]

고기가 들어간 김밥


마른 김 위에 참기름 등으로 간을 한 밥을 얇고 균일하게 편 다음, 그 위에 길쭉한 모양으로 다듬어진 재료를 올린다. 단무지, 얇게 부친 달걀, 당근, 우엉, 햄, 시금치, 오이 등이 일반적인 재료이며, 이 외에도 김치, 깻잎, 쇠고기, 참치, 맛살, 치즈, 창자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속 재료가 없는 김밥(충무김밥)이나 잘게 썬 마늘 장아찌 (간장 절임)만을 밥에 섞어 김으로 만 김밥도 있다.

3. 3. 조리법

김밥은 을 살짝 구워 김밥 발에 펼친 다음, 참기름과 소금으로 간을 맞춘 밥을 얇게 펴서 올린다.[40] 그 위에 길이에 맞게 썰어 놓은 속재료를 가운데 적당하게 올리고, 김밥을 말아서 형태를 만든다.[40] 완성된 김밥은 먹기 좋게 1cm 정도 두께로 썰어준다.[40] 기호에 따라 깨를 뿌리거나 참기름을 발라 먹기도 한다.[40]

김과 밥은 김밥의 두 가지 기본 재료이다. 일반적으로 단립종 백미가 가장 많이 사용되지만, 단립종 현미, 흑미 또는 기타 곡물도 사용할 수 있다.

김밥 속 재료는 매우 다양하며, 채식 및 비건 옵션도 있다.[22] 일반적으로 단무지, 햄, 쇠고기, 맛살, 계란 지단, 김치, 불고기, 시금치, 당근, 우엉, 오이, 참치 통조림, 깻잎 등이 사용된다.[23][24] 이 외에도 치즈, 매운 오징어볶음, 돈가스, 고추, 매운 참치 등이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 김은 참기름을 바르거나 참깨를 뿌려 사용하기도 한다.

김밥을 만들 때는 약한 불에 김을 굽고, 밥은 소금과 참기름으로 간을 한다. 채소와 고기 재료는 양념하여 볶거나 지진다. 구운 김을 김밥 발 위에 놓고 얇게 편 밥을 올린 후, 준비된 재료들을 밥 위에 놓고 원통형 모양으로 만다. 일반적으로 김밥의 지름은 3cm~4cm 정도이며, 한 입 크기로 썰어 낸다.[25]

속 재료가 없는 김밥(예: 충무김밥)이나 잘게 썬 마늘 장아찌 (간장 절임)만을 밥에 섞어 김으로 만 김밥도 있다. 완성된 김밥은 그대로 먹기도 하고, 구워 먹거나 달걀물을 묻혀 구워 먹기도 한다. 떡볶이 국물에 찍어 먹거나,[35] 김치나 단무지 등 절임 음식, 국과 함께 먹는 경우도 많다.

4. 종류

김밥은 속 재료, 형태, 지역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1990년대 중반까지는 고급 김밥이 인기였지만, IMF 경제 위기 이후부터는 간소한 김밥이 유행하기 시작했다.[36]

4. 1. 속 재료에 따른 분류

일반 김밥은 밥과 속 재료를 김으로 원통형으로 말아 만든다. 안에 들어가는 재료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이름으로 불린다. 여러 종류의 김밥을 모아놓은 '모듬 김밥', 참치가 많이 들어간 '참치 김밥', '야채 김밥', '치즈 김밥', '김치 김밥' 등이 일반적이다.[36]

줄김밥의 종류는 속 재료에 무엇이 포함되는가에 따라 나뉜다. 기본적인 줄김밥에는 달걀, , 당근, 단무지, 맛살, 오이, 우엉, 어묵 등이 들어가지만, 그 외에 특별한 재료가 포함될 시 그 재료의 이름을 따서 김밥의 이름을 붙인다. 참치김밥, 치즈김밥, 소고기김밥, 김치김밥, 멸치김밥, 콩나물김밥 등이 흔히 판매된다.

또한, 다수의 김밥 요리 서적에서는 기본적인 속 재료 외에도 아보카도, 파인애플, 아스파라거스, 망고 등 다소 이국적인 재료를 넣은 김밥들을 소개하고 있다. 요리 연구가들은 최근 국내에 소개된 다양한 식재료를 김밥에 접목시키는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53]

  • 충무김밥: 충무에서 유래되었으며, 얇게 썬 김밥으로 밥만으로 속을 채우고 간을 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매콤한 오징어무침과 석박지를 곁들여 먹는다.[26] 꼬마 김밥과 유사한 크기이지만 속 재료가 없고, 밥만 가지고 김으로 싼 김밥이다. 오징어 무침이나 김치 등 반찬을 곁들여 먹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밥 자체에도 간이 되어 있어 그냥 먹기도 한다.

  • 마약김밥: 서울 광장시장의 명물이다. "마약"이라는 이름은 중독성 있고 강렬한 맛을 비유한 것이다. 당근, 시금치, 단무지를 넣은 작은 김밥에 깨를 뿌려 간장과 겨자로 만든 소스에 찍어 먹는다.

  • 삼각김밥: 말 그대로 "삼각형 김밥"으로, 일본의 오니기리와 유사하며, 한국의 편의점에서 판매된다.[27] 기본적인 김밥과 달리 야채보다는 참치나 고기 등의 속 재료를 사용하며, 보통 비닐에 싸여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주로 1000원대의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하고 있다.[54]

  • 누드김밥: 일반 김밥과 달리 김과 속 재료가 안쪽으로 들어가고, 밥이 바깥으로 나와 전체를 감싸는 형태의 김밥이다. 캘리포니아 롤과 유사하다. 하지만 캘리포니아 롤과는 달리 누드김밥은 전통적인 김밥 재료를 사용한다.

  • 꼬마김밥: 속 재료가 간단하고 밥의 양이 현저히 적어 일반 김밥보다 작고 가늘다. 간편하게 사서 한 입에 먹을 수 있어 대표적인 길거리 음식으로 꼽힌다.

  • 육회김밥: 일본의 날생선 마키즈시와 유사하지만, 육회—무, 깻잎, 파를 넣은 한국의 날고기 요리—를 사용한다.


경주시의 '교리 김밥'은 속 재료의 90%를 계란 지단이 차지하고 있으며, 계란 지단 김밥이라고 불린다. 제주도에서는 꽁치를 통째로 넣은 '꽁치 김밥'을 판매한다.

4. 2. 형태에 따른 분류

일반 김밥은 밥과 여러 재료를 김으로 말아 원통형으로 만든다. 속 재료에 따라 '모듬 김밥', '참치 김밥', '야채 김밥', '치즈 김밥', '김치 김밥'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줄김밥은 기본적인 속 재료인 달걀, , 당근, 단무지, 맛살, 오이, 우엉, 어묵 등에 추가적인 재료를 넣어 만든다. 참치김밥, 치즈김밥, 소고기김밥, 김치김밥, 멸치김밥, 콩나물김밥 등이 흔히 판매된다.[53] 요리 연구가들은 아보카도, 파인애플, 아스파라거스, 망고 등 이국적인 재료를 김밥에 접목시키는 시도를 하기도 한다.[53]

누드김밥은 김이 안쪽에, 밥이 바깥쪽에 있는 형태이다. 과 비슷하지만, 한국식 김밥 재료를 사용하고 치즈나 소스를 곁들이기도 한다.

꼬마김밥은 속 재료가 간단하고 밥의 양이 적어 일반 김밥보다 작고 가늘다. 한 입에 먹을 수 있어 길거리 음식으로 인기가 많다.

충무김밥충무에서 유래되었으며, 속 재료 없이 밥만 김으로 싸서 만든다. 오징어무침이나 석박지를 곁들여 먹는다.[26]

삼각김밥은 삼각형 모양으로, 참치나 고기 등을 속 재료로 사용한다. 주로 편의점에서 저렴한 가격에 판매된다.[54]

마약김밥은 서울 광장시장의 명물로, 당근, 시금치, 단무지를 넣은 작은 김밥에 깨를 뿌려 간장과 겨자 소스에 찍어 먹는다.

육회김밥은 육회, 무, 깻잎, 파를 넣어 만든다.

경주시의 '교리 김밥'은 속 재료의 90%가 계란 지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주도에서는 꽁치를 통째로 넣은 '꽁치 김밥'을 판매한다.

4. 3. 지역별 특색 김밥



충무김밥


충무김밥


충무(현재 통영)에서 유래되었으며, 얇게 썬 김밥으로 밥만으로 속을 채우고 간을 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26] 꼬마 김밥과 유사한 크기이지만 속 재료가 없고, 밥만 가지고 김으로 싼 김밥이다. 오징어무침이나 석박지를 곁들여 먹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밥 자체에도 간이 되어 있어 그냥 먹기도 한다.

속 재료가 없는 한 입 크기의 주먹밥에 김을 싼 것을 오징어의 매콤한 무침이나 깍두기와 함께 먹는다. 경상남도의 충무(현 통영시)가 발상지로 알려져 있어 이 이름이 붙었다. 독립 후 한 어부가 배 위에서 김밥과 깍두기, 이이다코(쭈꾸미)의 매운 무침을 먹은 것이 시초라는 설이 있다. 이때의 김밥은 간을 하지 않은 김과 밥을 사용했다. 한번 바다로 나가면 며칠 동안 돌아오지 못하기 때문에 김밥 재료를 최소화하고 간을 하지 않았다고 한다.

본래 스타일은 반찬에 꼬치가 꽂혀 있어 '꼬지 김밥'이 통칭이었지만, 1981년 여의도에서 열린 전통 문화 축제 '국풍 81'을 담당한 전두환의 측근 허문도가 학창 시절의 추억의 맛이었던 꼬치 김밥을 '충무 김밥'이라는 이름으로 출품한 이후 통영의 명산품으로 그 이름이 널리 알려졌다. 출품자 여성에 따르면, 1947년에는 통영항에서 여객을 대상으로 꼬치 김밥 판매가 이루어졌다고 한다.[37]

  • '''마약김밥'''


서울 광장시장의 명물이다. "마약"이라는 이름은 중독성 있고 강렬한 맛을 비유한 것이다. 당근, 시금치, 단무지를 넣은 작은 김밥에 깨를 뿌려 간장과 겨자로 만든 소스에 찍어 먹는다.

채소 김밥


삼각형 모양의 김밥으로, 기본적인 김밥과 달리 야채보다는 참치나 고기 등의 속 재료를 사용한다. 보통 비닐에 싸여 이곳 편의점에서 판매된다. 대한민국에서는 주로 1000원대의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하고 있다.[54]

일본의 오니기리와 유사하며, 한국의 편의점에서 판매된다.[27] 속 재료는 매우 다양하며, 유통기한은 하루이며, 일반적으로 140kcal에서 200kcal의 열량을 제공한다.[28]

일본의 삼각 오무스비가 전래된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오니기리를 참조하라.

  • '''누드김밥'''


일반 김밥과 달리 김과 속 재료가 안쪽으로 들어가고, 밥이 바깥으로 나와 전체를 감싸는 형태의 김밥. 일본식 과 비슷한 형태이지만 한국식 일반 김밥에 쓰이는 재료들(햄, 맛살, 단무지, 시금치 등)을 그대로 사용하며, 치즈나 소스를 곁들이기도 한다.

캘리포니아 롤과 유사하지만, 캘리포니아 롤과는 달리 누드김밥은 전통적인 김밥 재료를 사용한다.

김을 싫어하는 서양인을 위해 미국에서 고안된 거꾸로 말기의 캘리포니아 롤과 비슷하게 만들어진 김밥. 한국에서 최근 등장한 비교적 새로운 종류이다.

  • '''육회김밥'''


일본의 날생선 마키즈시와 유사하지만, 육회—무, 깻잎, 파를 넣은 한국의 날고기 요리—를 사용한다.

  • '''꼬마김밥'''


속 재료가 간단하고 밥의 양이 현저히 적어 일반 김밥보다 작고 가늘다. 간편하게 사서 한 입에 먹을 수 있어 대표적인 길거리 음식으로 꼽힌다.

어린이한국어를 뜻한다.

  • '''기타 김밥'''


경주시의 '교리 김밥'은 속 재료의 90%를 달걀 지단이 차지하고 있으며, 달걀 지단 김밥이라고 불린다.

경주의 노포 "교리 김밥" 본점의 김밥


제주도에서는 꽁치를 통째로 넣은 '꽁치 김밥'을 판매한다.

줄김밥의 종류는 해당 김밥의 속재료에 무엇이 포함되는가에 따라서 나뉜다. 기본적인 줄김밥에는 기본 속재료인 달걀, , 당근, 단무지, 맛살, 오이, 우엉, 어묵 등이 들어가나, 그 이외의 특별한 재료가 포함될 시 그 재료의 이름을 따서 김밥의 이름을 붙인다. 이렇게 파생되어 분류되는 김밥의 종류 중 흔히 시중에서 판매되는 김밥은 다음과 같다: 참치김밥, 치즈김밥, 소고기김밥, 김치김밥, 멸치김밥, 콩나물김밥.

다수의 김밥 요리 서적에서는 기본적인 속재료 이외에도 다양한 재료를 넣은 김밥들을 소개하고 있다. 다소 이국적인 재료인 아보카도, 파인애플, 아스파라거스, 망고를 넣은 김밥 등이 존재하는데, 요리 연구가들은 이런 식으로 최근에 국내에 소개된 다양한 식재료를 김밥에 접목시키는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53]

5. 유통 및 소비

편의점에서는 줄김밥, 스틱김밥, 삼각김밥 등 여러 형태의 김밥을 판매한다. 특히 삼각김밥은 편의점의 대표 식품으로, 담배를 제외하면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하는 품목이다.[57] 각 편의점 업체에서는 매출을 위해 삼각김밥 진열대를 따로 마련하거나 매월 다른 종류의 삼각김밥을 출시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58]

김밥은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먹을 수 있으며, 특별한 도구 없이 손에 들고 먹을 수 있는 음식이다. 따라서 바쁜 아침 출근길에 간편하게 먹기 좋으며, 나들이용 도시락으로 인기가 많다. 출근 시간대[59]와 나들이철[60]의 편의점 김밥 판매량 증가는 이러한 문화를 반영한다.

한국의 많은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레스토랑은 김밥과 면 요리를 전문으로 한다. 이러한 프랜차이즈에는 김밥천국, 고봉민김밥人, 충무김밥ᄆᆞᆺ죽, 바르다 김선생, 김밥나라, 김家네, 고봉김밥, 종로김밥, 로링 라이스(Rolling Rice), 김밥 King, 찰스숯불김밥 등이 있다.[29]

초기에는 쌀과 김이 비쌌기 때문에 부유층의 음식이었으나, 최근에는 패스트푸드와 같은 형태로 한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의 한국인 커뮤니티에서 만들어지거나 판매되고 있다. 주식으로도, 간식으로도 즐길 수 있는 간편한 메뉴로, 한국 내에서는 널리 유통되며, 폭넓은 층에서 소비되고 있다. 가정에서는 식탁에 오르는 메뉴보다는 소풍이나 하이킹 등 야외 활동 시의 도시락 메뉴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포장마차편의점, 고속도로 휴게소, 등산객을 위한 시설 등에서도 김밥을 판매하고 있다. 역이나 열차 내에서는 도시락의 대표 메뉴가 되었다.

또한, 한국에는 김밥 전문 체인점이 존재한다. 1995년 인천에서 개업한 김밥천국은 김밥 시장의 대중화를 선도했다. 당시 김밥천국에서 판매된 "1000원 김밥"은 저렴하면서도 재료가 풍성하여 직장인들의 아침 식사로 애용되었다. 이 이후, 1000KRW의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하는 점포가 나타나 경쟁이 치열해졌다. 2000년대에는 50개 이상의 체인점이 전개되었고, 시장 규모는 6000억으로 추산되었다. 대형 체인점으로는 김가네, 종로김밥, 김밥천국, 김밥나라 등이 있다.

한국 외의 국가나 지역에서도 일본의 로손이나 무인양품에서 판매되고, 전문점이 각지에 늘어나는 등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일본은 원래 김밥에 익숙한 데다가, 2020년 이후의 코로나19 범유행으로 테이크아웃이 확대되면서 김밥이 테이크아웃하기 쉬운 음식이었던 점도 유행의 이유로 꼽힌다.[38]

6. 위생

일반적인 성인이 김밥 1인분(171g)을 섭취하는 것을 기준으로 황색포도상구균의 번식 시간을 고려하여 김밥의 최대 섭취 유효 시간을 산정했을 때, 구입 이후 28°C~30°C에서 방치할 경우 분식점은 3.9~4.6시간, 백화점은 6.7~7.9시간, 편의점은 7.4~8.7시간이다.[55] 구매한 김밥이 황색포도상구균에 의한 식중독으로부터 99% 안전할 최대 섭취 유효시간은 여름철 분식점 기준으로 30°C에서 1.9시간이며 15°C인 경우는 17.7시간이다.[55]

참조

[1] 웹사이트 주요 한식명(200개) 로마자 표기 및 번역(영, 중, 일) 표준안 https://www.korea.kr[...] 2014-07-30
[1] 간행물 주요 한식명 로마자 표기 및 표준 번역 확정안 공지 https://www.korean.g[...] 2014-05-02
[2] 서적 Encyclopedia of Modern Asia: China-India relations to Hyogo https://books.google[...] Charles Scribner's Sons 2021-05-03
[3] 서적 Algas/ Algae: Sabores Marinos Para Cocinar/ Marine Flavors for Cooking https://books.google[...] Editorial HISPANO EUROPEA 2021-05-03
[4] 웹사이트 김밥 http://100.nate.com/[...]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5] 서적 우리 문화 길라 잡이: 한국인 이 꼭 알아야할 전통 문화 233가지 https://books.google[...] 학고재 [Hakgojae] 2021-05-03
[6] 서적 Yeoryang Sesigi
[7] 뉴스 UK's new favourite takeaway has been revealed – and it's not what you'd think https://www.mirror.c[...] 2016-01-21
[8] 뉴스 휴지통 https://newslibrary.[...] 1935-01-14
[9] 웹사이트 노리마키(海苔卷) https://www.korean.g[...]
[10] 웹사이트 Kimbap: Colorful Korean Rolls Fit for a Picnic {{!}} Institute of Culinary Education https://www.ice.edu/[...] 2020-07-15
[11] 서적 Algas/ Algae: Sabores Marinos Para Cocinar/ Marine Flavors for Cooking https://books.google[...] Editorial Hispano Europea 2021-05-03
[12] 웹사이트 김밥 http://100.nate.com/[...]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13] 서적 Guide to Our Culture: 233 kinds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for you to know https://books.google[...] 학고재 [Hakgojae] 2021-05-03
[14] 웹사이트 日?フ?ズ株式?社 http://s03.megalodon[...]
[15] 뉴스 ''日本の太?きが由?で、近代以降に韓?でも食べられるようになりました。'' http://s03.megalodon[...] 西日本新聞 2005-05-13
[16] 웹사이트 https://encykorea.ak[...] 2015-08-18
[17] 웹사이트 What is the origin of kimbap? https://web.archive.[...] 2018-08-14
[18] 서적 Gyeongsang-do Jiriji
[19] 서적 Sinjeung Dongguk Yeoji Seungnam https://www.krpia.co[...]
[20] 뉴스 '[박정배의 한식의 탄생] 1819년엔 \'福쌈\'이라 불려… 이젠 프리미엄 김밥도' https://www.chosun.c[...] 2016-10-12
[21] 웹사이트 "[호텔앤레스토랑] [Dining Story] 우리의 소울 푸드, 김밥의 모든 것, 김밥 재료의 탄생부터 현재까지" http://www.hotelrest[...] 2024-03-23
[22] 뉴스 Asia's 10 greatest street food cities https://web.archive.[...] 2012-03-23
[23] 웹사이트 Kimbap: Colorful Korean rolls fit for a picnic https://www.salon.co[...] 2021-01-03
[24] 웹사이트 Kimbap Recipe https://cooking.nyti[...] 2020-09-09
[25] 웹사이트 gimbap https://web.archive.[...]
[26] 웹사이트 Chungmu-gimbap https://www.doopedia[...] Doosan Corporation
[27] 뉴스 Republic of convenience stores https://koreajoongan[...] 2017-05-18
[28] 논문 즉석섭취 삼각김밥에서의 Staphylococcus aureus 위해평가 연구 https://www.dbpia.co[...] 2020-12-20
[29] 뉴스 '[김밥 프랜차이즈 브랜드평판] 1위 김밥천국, 2위 고봉민김밥인, 3위 충무김밥' https://www.fntimes.[...] 2016-12-05
[30] 웹사이트 한국어표준발음듣기 서비스 참여자 인터뷰 https://archive.is/w[...] 2011-11-15
[31] 서적 カラー日本語版 韓国伝統文化事典 教育出版
[32] 뉴스 휴지통 1935-01-15
[33] wikisource Page:三國遺事 卷第一 1512年 奎章閣本.pdf/63
[34] 웹사이트 国語純化運動 https://megalodon.jp[...] 財団法人自治体国際化協会
[35] 웹사이트 キンパッ https://archive.is/1[...] 株式会社ソウルナビ
[36] 웹사이트 김밥 ―국내외 한식당 대표음식 125개 스토리텔링 (1번째) https://web.archive.[...] 文化体育観光部 2010-08-26
[37] 웹사이트 이택희의 맛따라기 단맛 물씬 활어회 천국 … 숙취 아침에 간절한 졸복국·메기탕 https://web.archive.[...] JoongAng Ilbo Co., Ltd. 2017-05-19
[38] 웹사이트 韓国「キンパ」が日本でこんなにも浸透したワケ https://archive.is/c[...] 2022-02-03
[39] 웹인용 새로운 일상, 가정간편식과 건강한 동행 https://www.mfds.go.[...] 식품의약품안전처 2020-12-08
[40] 웹인용 김밥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2015-09-11
[41] 문서 日?フ?ズ株式?社 http://s03.megalodon[...]
[42] 문서 "日本の太?きが由?で、近代以降に韓?でも食べられるようになりました。" http://s03.megalodon[...]
[43] 뉴스 휴지통 http://newslibrary.n[...] 1935-01-14
[44] 웹인용 巻きすの使い方は?代用方法についてもご紹介! https://delishkitche[...] 2022-12-23
[45] 웹인용 gimbap https://encykorea.ak[...] 2015-08-18
[46] 웹인용 What is the origin of kimbap? https://behgopa.com/[...] 2018-08-14
[47] 서적 Gyeongsang-do Jiriji
[48] 서적 Sinjeung Dongguk Yeoji Seungnam https://www.krpia.co[...]
[49] 서적 Yeoryang Sesigi
[50] 뉴스 1819년엔 '福쌈'이라 불려… 이젠 프리미엄 김밥도 http://news.chosun.c[...] 2016-10-12
[51] 웹인용 쌈 https://folkency.nfm[...] 2022-11-03
[52] 웹인용 김밥 https://m.terms.nave[...] 2023-03-04
[53] 서적 김밥대백과 삼성출판사
[54] 뉴스 덩어리 고기·대용량 삼각김밥…짠물소비 확산 https://www.hankyung[...] 2023-01-27
[55] 웹인용 Food MicroModel®과 황색포도상구균의 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한 시중 유통 김밥의 최대섭취유효시간 산정 http://www.foodhygie[...] 국립독성연구원 위해도평가과,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미생물과, 이화여자대학교 통계학과 null
[56] 간행물 시도/산업/매출액규모별 현황(2006~2009) 대한민국 통계청
[57] 웹인용 편의점 삼각김밥 20여종 중 '판매 넘버원'은? http://www.cvs.or.kr[...] 한국편의점협회 2011-06-03
[58] 뉴스 편의점 삼각김밥의 '당당한 독립' http://www.cvs.or.kr[...] 파이낸셜뉴스 2011-05-31
[59] 뉴스 편의점 '눈부신 아침 매출' http://www.fnnews.co[...] 파이낸셜뉴스 2010-03-04
[60] 뉴스 봄나들이에 편의점 매출 늘어 http://news.mk.co.kr[...] MK뉴스 2010-04-11
[61] 뉴스 광장시장 초입 '마약김밥' 아세요? http://www.freezonen[...] 프리존뉴스 2007-12-10
[62] 뉴스 시장에서 발견한 구성진 맛 http://biz.heraldm.c[...] 헤럴드경제 2010-11-12
[63] 뉴스 통영③ 한려수도가 차린 맛의 향연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03-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