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빌리 홀리데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빌리 홀리데이는 1915년 필라델피아에서 태어난 미국의 재즈 가수이다. 어린 시절의 불우한 환경과 성폭력 피해를 겪었으며, 1920년대 후반부터 뉴욕 할렘의 클럽에서 노래를 시작했다. 1930년대 초반 베니 굿맨, 테디 윌슨 등과 협업하며 이름을 알렸고, 듀크 엘링턴의 영화에 출연하기도 했다. 1930년대 후반부터 1940년대에 걸쳐 "스트레인지 프루트", "갓 블레스 더 차일드" 등 많은 히트곡을 발표하며 전성기를 누렸지만, 마약 중독과 법적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 1950년대에도 앨범을 발매하며 활동을 이어갔으나, 1959년 간경변으로 사망했다. 홀리데이는 독특한 음색과 감정 표현으로 재즈 보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으며, 인종차별과 성차별에 맞서 싸우며 20세기 가장 위대한 가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0년대 가수 - 제임스 브라운
    "소울의 대부"로 알려진 미국의 가수 제임스 브라운은 가스펠, R&B, 펑크, 소울을 융합한 독창적인 음악 스타일과 격렬한 무대 퍼포먼스로 흑인 음악에 큰 영향을 미치며 수많은 히트곡을 발표하고 그래미 평생공로상을 수상하는 등 소울 음악계의 거장으로 인정받았다.
  • 1950년대 가수 - 캐럴 킹
    캐럴 킹은 1960년대 제리 고핀과 함께 히트곡을 작곡하고 1970년대 솔로 가수로 성공했으며 그래미상과 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 등 음악적 업적을 인정받은 미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피아니스트이다.
빌리 홀리데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빌리 홀리데이와 그녀의 개 미스터, 다운비트, 뉴욕, 약 1947년 2월
홀리데이와 그녀의 개, 미스터
본명엘레노라 페이건
예명레이디 데이
출생일1915년 4월 7일
출생지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사망일1959년 7월 17일
사망지미국 뉴욕 뉴욕 시티
안장 장소세인트 레이먼드 묘지
배우자지미 먼로 (1941년–1947년, 이혼)
조 가이 (1951년–1957년, 이혼)
루이스 맥케이 (1957년)
직업가수
활동 기간–1959년
서명
음악 장르
장르재즈
스윙
블루스
전통 팝
음반 목록빌리 홀리데이 음반 목록
레이블브런즈윅
보컬리온
오케
블루버드
코모도어
캐피톨
데카
알라딘
버브
컬럼비아
MGM
공식 웹사이트빌리 홀리데이 공식 웹사이트
추가 정보
영향엘라 피츠제럴드
사라 본
레나 혼
활동 시기1935년-1959년
수상 내역
롤링 스톤 선정 역대 최고의 가수 200인2023년 1위
Q 매거진 선정 위대한 가수 100인2007년 선정

2. 생애

빌리 홀리데이(Billie Holiday)는 본명 엘레오노라 페이건(Eleanora Fagan)으로 1915년 4월 7일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태어난 재즈 가수이자 작곡가이다.[36] 불안정한 가정 환경과 어려운 볼티모어에서의 유년기를 보낸 후, 1929년뉴욕 할렘으로 이주하여 클럽에서 노래를 부르기 시작하며 '빌리 홀리데이'라는 예명을 사용했다.

초기 활동은 프로듀서 존 해먼드에게 발탁되어 베니 굿맨 등 당대 유명 재즈 뮤지션들과 녹음 작업을 하면서 시작되었다. 특히 테너 색소폰 연주자 레스터 영과의 깊은 음악적 교류는 그녀의 음악 스타일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영은 그녀에게 '레이디 데이(Lady Day)'라는 애칭을 붙여주었다.[6] 1930년대 중반 브런즈윅 레코드와 계약하고 테디 윌슨과 협업하며 "What a Little Moonlight Can Do" 등의 히트곡을 통해 점차 명성을 얻었다.

1930년대 후반에는 카운트 베이시, 아티 쇼와 같은 유명 빅밴드와 함께 활동하며 미국 남부 투어 중 극심한 인종차별을 겪기도 했다. 이러한 경험은 그녀의 음악 세계에 깊이 반영되었으며, 특히 1939년 발표한 린치를 고발하는 노래 "Strange Fruit"는 큰 사회적 반향을 일으키며 그녀의 대표곡이 되었다. 이 곡은 당시 주류 음반사였던 콜롬비아 레코드에서 녹음을 거부당했으나, 코모도어 레코드에서 발매되어 성공을 거두었다.

성공적인 경력에도 불구하고, 홀리데이의 삶은 마약 중독과 순탄치 않은 인간관계로 점철되었다. 1940년대 들어 헤로인 중독이 심화되었고, 이는 법적 문제로 이어져 1947년 마약 소지 혐의로 체포되어 수감되기도 했다. 이 사건으로 뉴욕 내 클럽 공연에 제약을 받게 되었으나, 출소 후 카네기 홀 복귀 콘서트를 성공적으로 개최하며 활동을 이어갔다.

1950년대에는 건강 악화 속에서도 유럽 투어를 성공시키고 자서전 ''레이디 싱스 더 블루스''(Lady Sings the Blues)를 출간했으며, 《Lady in Satin》과 같은 후기 명반을 남겼다. 그러나 오랜 약물 남용과 알코올 의존증으로 건강은 계속 악화되었고, 1959년 간경변 진단을 받았다. 결국 같은 해 7월 17일, 폐부종과 심부전으로 44세의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그녀의 독특한 음색과 깊은 감정 표현은 후대 재즈대중음악 보컬리스트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2. 1. 어린 시절 (1915-1929)

엘레오노라 페이건[36]1915년 4월 7일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세라 줄리아 "세이디" 페이건(당시 19세)이었고, 아버지는 재즈 기타리스트 클라렌스 홀리데이(당시 17세)였다.[36] 두 사람은 정식으로 결혼하지 않았으며, 아버지 클라렌스는 재즈 연주자로서의 경력을 쌓기 위해 가족을 거의 돌보지 않았다. 어머니 세이디는 임신 후 부모에게서 쫓겨나 필라델피아로 이주했고, 홀리데이가 태어난 후에는 그를 볼티모어에 있는 자신의 언니 에바 밀러(Eva Miller)나 에바의 시어머니 마사 밀러(Martha Miller)에게 맡겼다.

1917년, 두 살 때의 홀리데이


홀리데이는 주로 볼티모어에서 매우 어려운 유년 시절을 보냈다. 어머니 세이디는 당시 "운송업"이라 불리던 여객 철도 관련 일을 하며 생계를 유지했고, 홀리데이는 친척인 마사 밀러의 손에서 자라는 등 안정적인 보살핌을 받지 못했다. 어머니의 잦은 부재는 어린 홀리데이에게 정서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그녀가 훗날 출간한 자서전 ''레이디 싱스 더 블루스''(1956)에는 초기 생애에 대한 일부 부정확하거나 과장된 내용도 포함되어 있으나, 많은 부분이 후대 연구를 통해 사실로 확인되었다.

학교를 자주 결석했던 홀리데이는 9살 때 소년 법원에 출두하게 되었고, '선한 목자의 집'(House of Good Shepherd for Colored Girls)이라는 가톨릭 개선학교에 보내졌다. 그곳에서 잘못에 대한 벌로 시체가 안치된 방에 하룻밤 동안 갇히는 등 충격적인 경험을 했으며, 이는 오랫동안 악몽으로 남았다.[4][5] 1925년 10월 3일, 어머니의 노력으로 가석방되어 잠시 어머니가 운영하던 식당 일을 도왔으나, 결국 11세에 학교를 완전히 그만두었다.

1926년 12월 24일, 집에 돌아온 어머니는 이웃 남성이 홀리데이를 강간하려던 현장을 목격했다. 홀리데이는 저항하여 위기를 모면했고 남성은 체포되었으나, 당국은 홀리데이를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다시 '선한 목자의 집'으로 보냈다. 그녀는 1927년 2월, 12세가 되기 직전에야 풀려날 수 있었다.[38]

석방 후 홀리데이는 매음굴에서 심부름을 하거나, 이웃집의 대리석 계단이나 바닥을 청소하는 등의 일을 하며 생계를 이어갔다. 이 시기에 루이 암스트롱베시 스미스의 레코드를 처음 접하며 재즈 음악에 눈을 떴다. 특히 암스트롱의 "웨스트 엔드 블루스"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회상했다.

1928년 말, 어머니 세이디가 먼저 뉴욕 할렘으로 이주했고, 홀리데이는 1929년 초 어머니를 따라 할렘으로 갔다. 그러나 같은 해, 어머니와 함께 매춘 혐의로 경찰에 체포되어 잠시 구류되기도 했다.[40] 이 무렵부터 홀리데이는 할렘의 클럽 등지에서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으며, 존경하던 배우 빌리 도브의 이름과 아버지의 성(처음에는 Halliday, 후에 Holiday로 변경)을 따서 '빌리 홀리데이'라는 예명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2. 2. 활동 초기 (1929-1935)

1929년경부터 할렘나이트클럽에서 노래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존경하던 배우 빌리 도브(Billie Dove)와 아버지 클래런스 홀리데이(Clarence Holiday)의 성을 따서 "빌리 홀리데이(Billie Holiday)"라는 예명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활동 초기에는 테너 색소폰 연주자 케네스 홀란(Kenneth Hollan)과 함께 할렘에 있는 여러 클럽을 다니며 공연했고, 결국 콤비를 이루게 되었다. 홀리데이는 클럽에서 팁을 얻는 것에 만족했으며, 「Trav'lin' All Alone」과 「Them There Eyes」 같은 곡을 부르며 점차 인지도를 쌓고 돈을 모았다.

1933년, 콜롬비아 레코드의 프로듀서 존 해먼드(John Hammond)가 클럽 '모네츠(Monette's)'에서 공연하던 홀리데이의 노래를 듣고 그의 재능을 발견했다. 해먼드는 즉시 홀리데이를 콜롬비아 스튜디오로 초대하여 당시 이미 계약되어 있던 젊은 클라리넷 연주자 베니 굿맨(Benny Goodman)과의 녹음 세션을 주선했다. 이 세션에서 18세의 홀리데이는 "Your Mother's Son-In-Law"와 "Riffin' the Scotch" 두 곡을 녹음하고 35USD를 받았다. 특히 "Riffin' the Scotch"는 5,000장이 팔리는 성공을 거두며 그녀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듬해인 1934년, 홀리데이는 재능 있는 신인들이 모이는 것으로 유명했던 아폴로 극장에서 케네스 홀란과 함께 공연했다. 하지만 홀란이 기혼자였기 때문에 두 사람의 음악적 파트너십은 오래가지 못하고 결국 헤어졌다. 같은 해, 홀리데이는 플레처 헨더슨(Fletcher Henderson) 악단의 스타였던 테너 색소폰 연주자 레스터 영(Lester Young)을 만났다. 영은 홀리데이 어머니의 집에 하숙하면서 홀리데이와 매우 가까워졌고, 두 사람은 음악적으로 깊이 교감했다. 영은 훗날 "옛날 레코드들을 들어보면 마치 두 개의 같은 목소리처럼 들린다"고 회상할 정도로 서로에게 영향을 주었다. 영은 홀리데이에게 "레이디 데이(Lady Day)"라는 애칭을 붙여주었고, 홀리데이는 영을 "색소폰 연주자의 대표(President)"라는 의미로 "프레즈(Prez)"라고 불렀다.[6] 두 사람은 공연이 끝난 후 새벽까지 클럽을 돌아다니며 음악적 유대를 다졌다.

1935년, 홀리데이는 다시 존 해먼드의 주선으로 브런즈윅 레코드와 계약을 맺었다. 당시 성장하던 주크박스 시장을 겨냥하여 피아니스트 테디 윌슨(Teddy Wilson)과 함께 스윙 스타일의 팝 곡들을 녹음하기 시작했다. 이 세션에서 연주자들은 즉흥 연주를 할 수 있었는데, 홀리데이는 감정에 따라 멜로디를 자유롭게 변형하는 뛰어난 즉흥 연주 실력을 선보였다. 그들의 첫 협업 결과물 중 하나인 "What a Little Moonlight Can Do"는 큰 성공을 거두며 홀리데이에게 "명성을 안겨준 곡"으로 평가받는다. 이 곡의 성공 이후 브런즈윅 레코드는 홀리데이를 독립적인 아티스트로 인정하기 시작했다. 그녀는 해먼드와 버니 해니건(Bernie Hanighen)이 프로듀싱한 세션을 통해 보컬리온 레코드에서 자신의 이름으로 된 음반을 발매하기 시작했다.

해먼드에 따르면, 윌슨과 홀리데이가 함께한 1935년부터 1938년까지의 녹음들은 당시 파산 직전에 있던 브런즈윅 레코드에게 큰 자산이었다. 재정적 어려움 때문에 브런즈윅은 많은 재즈 곡을 녹음할 여력이 없었지만, 윌슨, 홀리데이, 영 등은 악보 없이 스튜디오에 들어와 즉흥 연주를 통해 녹음 비용을 절감했다. 또한 브런즈윅은 비용 절감을 위해 홀리데이에게 인세(royalties) 대신 고정된 금액만을 지급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I Cried for You"와 같은 곡은 1만 5천 장이나 팔리는 등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는데, 이는 당시 3천~4천 장 판매가 일반적이었던 것에 비하면 대단한 히트였다.

2. 3. 전성기 (1935-1947)

1935년 빌리 홀리데이는 듀크 엘링턴(Duke Ellington)의 단편 영화 《심포니 인 블랙》(Symphony in Black)에 출연하여 "Saddest Tale"을 불렀다.[6] 같은 해, 프로듀서 존 해먼드(John Hammond)의 주선으로 브런즈윅 레코드(Brunswick Records)와 계약을 맺고, 피아니스트 테디 윌슨(Teddy Wilson)과 함께 당시 성장하던 주크박스 시장을 겨냥한 스윙 스타일의 팝 곡들을 녹음하기 시작했다. 이 녹음 세션에서는 즉흥 연주가 허용되었으며, 홀리데이는 감정에 맞춰 멜로디를 즉흥적으로 바꾸는 데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이들의 첫 협업에는 "What a Little Moonlight Can Do"와 "Miss Brown to You"가 포함되었는데, 특히 "What a Little Moonlight Can Do"는 홀리데이가 명성을 얻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곡으로 여겨진다. 처음 브런즈윅은 홀리데이가 클리오 브라운(Cleo Brown)과 비슷하게 부르기를 원했기에 이 녹음 세션을 달가워하지 않았지만, 곡의 성공 이후 그녀를 독립적인 아티스트로 여기기 시작했다. 홀리데이는 해먼드와 버니 해니건(Bernie Hanighen)이 제작한 세션을 통해 1년 후 보컬리온 레코드(Vocalion Records)에서 자신의 이름으로 음반을 내기 시작했다. 해먼드에 따르면, 윌슨과 홀리데이가 함께한 레코드들은 파산 직전이었던 브런즈윅에 큰 자산이 되었다. 당시 브런즈윅은 재정적 어려움으로 많은 재즈 곡을 녹음할 여력이 없었기에, 윌슨, 홀리데이, 레스터 영(Lester Young) 등은 악보 없이 스튜디오에 들어와 녹음 비용을 절감했다. 브런즈윅은 비용 절감을 위해 홀리데이에게 인세(royalties) 대신 고정된 금액을 지급했다. "I Cried for You"는 1만 5천 장이 팔렸는데, 이는 당시 3~4천 장 판매가 일반적이었던 것에 비해 엄청난 성공이었다.

홀리데이는 테너 색소폰 연주자 레스터 영(Lester Young)과도 자주 협업했다. 영은 1934년 홀리데이 어머니의 집에 하숙하며 홀리데이와 친밀한 관계를 맺었다. 영은 홀리데이에게 "레이디 데이(Lady Day)"라는 별명을 지어주었고, 홀리데이는 그를 "프레즈(Prez)"라고 불렀다.[6]

1937년 후반, 홀리데이는 카운트 베이시(Count Basie) 빅밴드의 보컬리스트로 잠시 활동했다. 밴드의 이동 환경은 종종 열악했고, 여러 도시의 클럽에서 많은 원나잇 공연을 하며 안정성 없이 도시를 전전했다. 홀리데이는 자신이 부르는 노래를 직접 선택하고 편곡에도 참여하여 사랑에 불운한 여자라는 자신의 성격을 드러냈다. 그녀가 불렀던 곡에는 "I Must Have That Man", "Travelin' All Alone", "I Can't Get Started", 그리고 조지 거슈인(George Gershwin)의 ''포기와 베스(Porgy and Bess)''에 삽입되어 1936년 홀리데이의 히트곡이었던 "Summertime"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베이시는 홀리데이의 밴드 참여에 익숙해졌다. 그는 "그녀가 밴드와 리허설을 할 때, 그녀가 원하는 대로 곡을 맞춰주는 것만이 문제였다. 그녀는 자신이 어떤 소리를 내고 싶어하는지 알았고, 아무도 그녀에게 무엇을 해야 한다고 말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홀리데이가 베이시와 함께 연주했던 몇몇 노래("I Can't Get Started", "They Can't Take That Away from Me", "Swing It Brother Swing")는 녹음되었고 현재 시중에서 구할 수 있다. 홀리데이는 베이시와 함께 스튜디오에서 녹음할 수 없었지만, 테디 윌슨과의 녹음 세션에 그의 음악가들을 많이 참여시켰다.

같은 해 3월 1일, 홀리데이의 아버지 클라렌스 홀리데이(Clarence Holiday)가 텍사스주 댈러스 순회공연 중 감기가 폐렴으로 악화되어 사망했다. 남부에서 가장 인종차별이 심한 지역 중 하나였던 댈러스에서는 치료를 위해 찾아간 여러 병원에서 모두 진료를 거부당했다. 이에 대해 홀리데이는 자서전에서 "폐렴이 아버지를 죽인 것이 아니라, 텍사스주 댈러스가 아버지를 죽인 것이다."라고 적고 있다.

홀리데이는 당시 인기 가수였던 엘라 피츠제럴드(Ella Fitzgerald)와 직접 경쟁하게 되었지만, 두 사람은 나중에 친구가 되었다. 피츠제럴드는 베이시 밴드와 경쟁 관계에 있던 칙 웹(Chick Webb) 밴드의 보컬리스트였다. 1938년 1월 16일, 베니 굿맨(Benny Goodman)이 전설적인 카네기 홀 재즈 콘서트를 연 날, 베이시와 웹 밴드는 세보이 볼룸(Savoy Ballroom)에서 경연을 벌였다. 웹과 피츠제럴드는 ''메트로놈'' 잡지에서 승리자로 선포되었지만, ''DownBeat'' 잡지는 홀리데이와 베이시를 승리자로 발표했다. 피츠제럴드는 관객의 간이 여론 조사에서 3대 1의 압도적인 차이로 승리했다.

1938년 2월까지, 홀리데이는 더 이상 베이시를 위해 노래하지 않았다. 그녀가 해고된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명이 있다. 베이시의 남성 보컬리스트였던 지미 러싱(Jimmy Rushing)은 그녀를 비전문적이라고 불렀다. 올 뮤직 가이드(All Music Guide)에 따르면, 홀리데이는 "변덕스럽고 신뢰할 수 없다"는 이유로 해고되었다. 그녀는 낮은 급여와 열악한 근무 환경을 불평했고, 요청받은 노래를 거부하거나 자신의 스타일을 바꾸기를 거부했을 수도 있다.

홀리데이는 카운트 베이시 밴드에서 해고된 지 한 달 만에 아티 쇼(Artie Shaw)에게 고용되었다. 이것은 그녀를 백인 오케스트라와 함께 일한 최초의 흑인 여성 중 한 명으로 만들었고, 당시에는 이례적인 일이었다. 또한 흑인 여성 가수가 백인 밴드 리더와 함께 미국의 인종 차별이 만연했던 미국 남부를 정규 투어로 순회한 최초의 사례이기도 했다. 홀리데이가 인종차별에 직면했을 때, 쇼는 종종 자신의 보컬리스트를 옹호했다. 그녀의 자서전에서 홀리데이는 인종차별 정책 때문에 다른 보컬리스트들과 함께 무대에 앉을 수 없었던 사건을 설명한다. 쇼는 그녀에게 "나는 당신이 헬렌 포레스트(Helen Forrest), 토니 파스터(Tony Pastor)와 다른 모든 사람들처럼 무대에 서기를 바랍니다."라고 말했다. 남부를 순회 공연할 때, 홀리데이는 때때로 관객들로부터 야유를 받았다. 켄터키주 루이빌(Louisville, Kentucky)에서 한 남자가 그녀를 "니거 창녀"라고 부르며 다른 노래를 부르라고 요청하자, 홀리데이는 화를 내고 무대에서 내려와야 했다. 짐 크로우 법(Jim Crow laws)의 격렬한 미국 남부 주에서는, 흑인인 빌리는 그들과 함께 노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악단원과 같은 호텔을 예약하거나, 레스토랑에 들어가는 것조차 할 수 없었다.

1938년 3월까지, 쇼와 홀리데이는 뉴욕시의 강력한 라디오 방송국 WABC(현재 WCBS인 원래 WABC)에서 방송되었다. 그들의 성공으로 인해 4월에는 추가 방송 시간을 할당받아 방송 노출이 증가했다. ''뉴욕 암스테르담 뉴스''(New York Amsterdam News)는 방송을 검토하고 홀리데이의 공연 향상을 보도했다. ''메트로놈''은 쇼의 밴드에 홀리데이가 추가됨으로써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고 보도했다. 홀리데이는 베이시의 공연에서처럼 쇼의 공연에서 자주 노래할 수 없었다. 레퍼토리는 보컬이 적은 악기 연주가 더 많았다. 쇼는 또한 홀리데이와 사이가 좋지 않았지만 무대를 공유해야 했던 백인 가수 니타 브래들리(Nita Bradley)를 고용하라는 압력을 받았다. 1938년 5월, 쇼는 토미 도르시(Tommy Dorsey)와 레드 노르보(Red Norvo)를 상대로 밴드 경연에서 승리했고, 관객들은 홀리데이를 선호했다. 쇼는 자신의 밴드에서 홀리데이의 노래를 칭찬하며 그녀에게 "놀라운 귀"와 "놀라운 박자 감각"이 있다고 말했지만, 그녀의 밴드 활동은 끝나가고 있었다. 1938년 11월, 홀리데이는 뉴욕시의 링컨 호텔에서 호텔 투숙객들이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대신 서비스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라는 요청을 받았는데, 이는 호텔의 백인 손님들이 불평했기 때문이다. 이것이 그녀에게 마지막 결정타였을 수도 있다. 그녀는 얼마 지나지 않아 밴드를 떠났다. 홀리데이는 몇 주 후에 이 사건에 대해 이야기하며 "나는 다른 밴드 멤버들처럼 바나 식당을 방문할 수 없었고... 주방을 통해 출입해야 했습니다."라고 말했다. 쇼의 밴드와 함께 홀리데이의 생존 라이브 녹음은 없다. 그녀가 다른 음반사와 계약을 맺었고, 어쩌면 그녀의 인종 때문에 홀리데이는 쇼와 함께 "Any Old Time" 한 곡만 녹음할 수 있었다. 그러나 쇼는 1936년 7월 10일 뉴욕에서 그녀가 녹음한 "Did I Remember?", "No Regrets", "Summertime", 그리고 Billie's Blues 네 곡에서 클라리넷을 연주했다.

1930년대 후반까지 홀리데이는 카운트 베이시와 아티 쇼와 함께 투어를 다녔고, 테디 윌슨과 함께 일련의 라디오 및 소매 히트곡을 기록했으며, 음반 산업에서 확고한 아티스트가 되었다. 그녀의 노래 "What a Little Moonlight Can Do"와 "Easy Living"은 미국 전역의 가수들이 모방했고 빠르게 재즈 스탠더드가 되었다. 1938년 9월, 홀리데이의 싱글 "I'm Gonna Lock My Heart"는 그 달 가장 많이 재생된 노래 6위를 기록했다. 그녀의 음반사인 보컬리온(Vocalion)은 같은 달 가장 많이 팔린 싱글 4위로 기록했으며, 조엘 휘트번(Joel Whitburn)의 ''Pop Memories: 1890–1954''에 따르면 팝 차트 2위까지 올랐다.

밴드에서 독립하여 뉴욕으로 돌아온 홀리데이는 다시 클럽에서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고, 출연자와 관객 모두 인종에 관계없이 함께할 수 있었던 당시 미국에서는 혁신적인 클럽이었던 카페 소사이어티(Café Society) 전속 가수로 활동했다. 이 시기부터 홀리데이의 음주량이 늘어나 무대 중간중간에 마리화나를 피우기 시작했고, 레즈비언과의 관계를 맺으면서 "미스터 홀리데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1939년 3월, 홀리데이는 젊은 고등학교 교사인 루이스 앨런(Abel Meeropol)이 작사·작곡한 미국 남부의 인종차별 참상을 노래한 곡 "Strange Fruit (기묘한 과실)"을 접하게 되어 자신의 레퍼토리에 추가하게 되었다. 콜럼비아 레코드는 빌리 홀리데이에게 반린치 항의곡인 이 곡의 녹음을 거부했다. 밀트 게이블러는 그녀에게 소규모 전문 레이블인 코모도어 레코드(Commodore Records)에 녹음하도록 권유했고, 1939년 4월 20일에 녹음했다. 이후 이 곡은 카페 소사이어티와 홀리데이의 테마송이 되었고, 곧 발매된 레코드는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41년에 홀리데이는 1930년대헝가리어에서 영어로 번역된 "Gloomy Sunday (어두운 일요일)"을 녹음했고, 이 곡은 '기묘한 과실'에 이어 히트곡이 되었다.

2. 4. 마약 중독과 법적 문제 (1947-1952)

1941년 트롬본 연주자이자 마약 밀매범이었던 지미 몬로와 결혼하면서 아편코카인을 처음 접하게 되었다. 이후 트럼펫 연주자 조 가이를 만나면서 그의 영향으로 헤로인에 중독되기 시작했다. 성공 가도를 달리며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무대에 서고 데카 레코드와 계약하는 등 최고의 인기를 누렸지만, 그녀는 조 가이의 영향력 아래 있었고 헤로인 중독은 심화되었다. 빌리 홀리데이는 당시 상황을 “나는 순식간에 그 주변에서 가장 많은 돈을 버는 노예 중 한 명이 되었습니다. 일주일에 1000USD를 벌었지만, 버지니아에서 목화를 따는 노예만큼 자유롭지 못했습니다.”라고 회상했다.[41]

점차 홀리데이 주변에서는 “계약을 지키지 않는다”, “자주 공연에 늦는다”, “가사를 틀린다”는 소문이 돌기 시작했다. 이를 불식시키기 위해 1945년 조 가이는 ‘빌리 홀리데이와 그녀의 오케스트라’라는 대규모 투어를 기획했지만, 투어 시작 직후 홀리데이의 어머니 세이디가 사망하면서 홀리데이는 깊은 우울증에 빠졌고 알코올과 마약 의존도가 더욱 심해져 결국 투어는 중단되었다.

1947년 초, 매니저 조 글레이저는 홀리데이를 사립 클리닉에 입원시켜 해독 치료를 받게 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결국 몇 주 후, 홀리데이는 마약 불법 소지 혐의로 체포되어 1년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같은 해 지미 몬로와 이혼하고 조 가이와도 헤어진 그녀는 웨스트버지니아주 앨더슨 연방 교도소에서 8개월간 복역해야 했다. 이 사건으로 뉴욕의 카바레 출입증이 무효화되어, 이후 12년 동안 알코올을 판매하는 카바레 무대에 설 수 없게 되었다. 또한 이 무렵 조 가이와 다시 만나면서 LSD에도 손을 대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마약 관련 스캔들은 끊이지 않았고 홀리데이는 경제적으로도 큰 어려움을 겪었다. 1948년 3월 16일, 모범수로 인정받아 출소했지만 그녀의 몸과 마음은 이미 심각하게 손상된 상태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출소 일주일 만인 1948년 3월 27일, 카네기 홀에서 성공적인 복귀 콘서트를 열었다.

2. 5. 재기와 말년 (1952-1959)

1950년대에 들어서면서 빌리 홀리데이의 건강은 약물 남용, 알코올 중독, 그리고 폭력적인 남성들과의 관계로 인해 악화되었다.

1954년, 홀리데이는 첫 유럽 순회공연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1956년에는 자서전 《Lady Sings the Blues》를 출간했으며, 같은 해 동명의 앨범을 발표하여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다.

1957년, 홀리데이는 조직 폭력배로 알려진 루이스 맥케이(Louis McKay)와 결혼했으나, 이 결혼 생활 역시 순탄치 않았다. 맥케이는 홀리데이의 수입을 통제하고 그녀의 약물 문제를 방치하거나 조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58년, 그녀는 현악 오케스트라와 함께 녹음한 앨범 《Lady in Satin》을 발표했다. 이 앨범은 그녀의 약해진 목소리를 여실히 드러냈지만, 특유의 감정 표현으로 많은 이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으며, 그녀의 마지막 명반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1959년 초, 홀리데이는 간경변 진단을 받았다. 건강이 급격히 악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공연을 계속하려 했으나, 결국 같은 해 5월 31일 간 질환과 심장 질환으로 뉴욕 메트로폴리탄 병원에 입원하게 되었다. 그러나 입원 중에도 마약 소지 혐의로 병상에서 체포되는 비극을 겪었다. 경찰은 그녀의 병실을 지켰고, 방문객을 제한했다.

결국 1959년 7월 17일, 빌리 홀리데이는 간경변으로 인한 폐부종과 심부전으로 44세의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그녀의 장례식에는 수천 명의 조문객이 참석하여 그녀의 마지막 길을 애도했다.

3. 예술성

빌리 홀리데이는 독특한 보컬 스타일과 뛰어난 곡 해석 능력으로 재즈 보컬 역사에 큰 획을 그었다. 카운트 베이시 빅밴드 시절(1937년 후반)부터 자신이 부를 노래를 직접 고르고 편곡에도 참여하며 사랑에 상처 입은 여성의 페르소나를 구축했다. 그녀가 부른 "I Must Have That Man", "Travelin' All Alone", "I Can't Get Started", 조지 거슈인의 ''포기와 베스'' 중 "Summertime" 등은 이러한 특징을 잘 보여준다. 카운트 베이시는 홀리데이가 "자신이 어떤 소리를 내고 싶어하는지 알았고, 아무도 그녀에게 무엇을 해야 한다고 말할 수 없었다"고 회고하며 그녀의 확고한 음악적 주관을 인정했다.

아티 쇼 역시 홀리데이의 "놀라운 귀"와 "놀라운 박자 감각"을 높이 평가했다. 그녀의 독창성은 당대에도 널리 인정받아, 1943년 ''라이프''(Life) 지는 홀리데이가 "어떤 인기 가수보다도 가장 독특한 스타일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가수들에게 모방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녀의 히트곡 "What a Little Moonlight Can Do"와 "Easy Living" 등은 빠르게 재즈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홀리데이의 예술성은 개인적인 경험과 깊이 연결되어 있었다. 어머니 세이디와의 금전 문제로 다툰 경험은 아서 허조그 주니어와 함께 "God Bless the Child"를 작곡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곡은 홀리데이의 가장 유명한 곡 중 하나이자 그녀의 대표적인 성공작으로, 1941년 차트 25위에 올랐고, 빌보드 연간 차트에서 3위를 차지하며 백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 1976년, 이 노래는 그래미 명예의 전당에 추가되었다.[7] 또한, "Lover Man"을 녹음할 때는 자신의 음악적 비전을 관철하기 위해 현악 세션 추가를 강력히 요구하기도 했다. 남편 지미 먼로의 옷깃에 묻은 립스틱 자국을 보고 "Don't Explain"을 작곡하기도 했다.

하지만 1940년대 후반으로 가면서 홀리데이는 느리고 감상적인 발라드를 주로 녹음하기 시작했는데, 이에 대해서는 엇갈린 평가가 존재했다. 일부 비평가들은 그녀의 공연에서 멜로디나 템포의 변화가 부족하다며 아쉬움을 표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독보적인 음색과 감정 표현, 즉흥적인 스타일은 재즈 보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4. 유산

프랭크 시나트라나 애비 링컨과 같은 동료 가수들은 생전의 빌리 홀리데이에게 찬사를 보냈으며, 특히 애비 링컨은 홀리데이의 말년에 가까운 친구가 되었다.

홀리데이 사후, 그녀의 삶은 여러 차례 영화화되었다. 1972년에는 다이애나 로스가 홀리데이 역을 맡은 전기 영화 레이디 싱스 더 블루스가 개봉되어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고, 다이애나 로스는 이 영화로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8] 2022년에는 홀리데이가 인종차별을 고발하는 노래 "스트레인지 프루츠"를 부른다는 이유로 FBI의 표적이 되었던 실화를 다룬 영화 더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vs. 빌리 홀리데이가 공개되었다. 이 영화는 당초 극장 개봉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로 공개되었다. 또한, 2019년에는 언론인 린다 리프낙 큐어가 1960년대에 홀리데이의 주변 인물들을 인터뷰한 방대한 녹음 테이프를 바탕으로 제작된 다큐멘터리 영화 빌리(BILLIE)가 공개되기도 했다.

홀리데이의 음악적 영향력 또한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가수 메이시 그레이1999년 인터뷰에서 "빌리 홀리데이는 나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내가 진지하게 공부했던 첫 번째 가수는 그녀였다"라고 밝히며 홀리데이에 대한 존경심을 표했다.[46] 아일랜드의 록 밴드 U21987년 홀리데이를 추모하는 곡 "Angel of Harlem"을 발표했다.

생전에는 엘라 피츠제럴드나 사라 본과 같은 동시대의 다른 재즈 가수들만큼 대중적인 명성을 누리지는 못했지만, 빌리 홀리데이는 재즈 역사상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평생에 걸쳐 인종차별과 성차별에 맞서 싸웠으며,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자신만의 음악 세계를 구축한 그녀는 오늘날 20세기 가장 위대한 가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녀의 이름은 종종 흑인 인권 운동 및 성소수자 권리 운동의 맥락에서도 언급되며, 차별에 맞서 자신의 목소리를 냈던 선구적인 인물로 기억되고 있다.

5. 음반 목록

1949년 칼 반 베크텐(Carl Van Vechten)이 촬영한 홀리데이


빌리 홀리데이는 여러 레이블에서 광범위하게 녹음했다. 주요 활동 레이블과 시기는 다음과 같다.

홀리데이의 많은 초기 녹음은 78rpm 레코드 싱글 형태로 발매되었으며, 그녀 생전에 LP 앨범 형태로 발매된 것은 주로 클레프, 버브, 컬럼비아 레이블에서 나온 것들이었다. 사후에는 많은 편집 앨범과 종합 박스 세트, 라이브 녹음 등이 발매되었다.

5. 1. 스튜디오 LP


  • ''빌리 홀리데이 싱스(Billie Holiday Sings)'' (1952)
  • ''빌리 홀리데이와 함께하는 저녁(An Evening with Billie Holiday)'' (1953)
  • ''빌리 홀리데이'' (1954)
  • ''뮤직 포 토칭'' (1955)
  • ''벨벳 무드(Velvet Mood)'' (1956)
  • ''레이디 싱스 더 블루스'' (1956)
  • ''바디 앤드 소울'' (1957)
  • ''송스 포 디스팅귀 럽버스(Songs for Distingué Lovers)'' (1957)
  • ''스테이 위드 미'' (1958)
  • ''올 오어 낫씽 앳 올'' (1958)
  • ''레이디 인 새틴(Lady in Satin)'' (1958)
  • ''마지막 녹음(Last Recording)'' (1959)

5. 2. 주요 히트곡

빌리 홀리데이는 그녀의 독특한 목소리와 감성적인 표현력으로 수많은 히트곡을 남겼다. 초기 경력에서 그녀는 주로 테디 윌슨 오케스트라의 보컬리스트로 활동하며 음반을 발매했으나, 1936년부터는 자신의 이름("Billie Holiday & Her Orchestra")으로 음반을 내기 시작했다. 1940년 빌보드가 현대적인 팝 차트 집계를 시작했지만, 초기에는 상위 10위 정도만 발표했기 때문에 홀리데이의 곡들이 이 차트에 오르기는 어려웠다. 그러나 1942년부터 R&B 차트가 발표되면서 그녀의 곡들이 차트에 진입하며 R&B 분야에서의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그녀의 주요 히트곡들은 다음과 같다.

발표 연도곡명주요 성과 및 특징
1933Riffin' the Scotch베니 굿맨 오케스트라 명의로 발매된 홀리데이의 첫 주요 발매곡으로, 5,000장의 판매고를 올렸다.
1935What a Little Moonlight Can Do테디 윌슨과 함께 브런즈윅에서 녹음한 곡. 홀리데이에게 처음으로 큰 명성을 안겨준 곡으로 평가받으며, 이후 재즈 표준이 되었다.
1936Summertime조지 거슈인의 오페라 포기와 베스 수록곡을 커버했다. 홀리데이 자신의 이름으로 발매되어 히트했으며, 당시 팝 차트 12위에 올랐다. 이 곡이 차트에 진입한 최초의 사례 중 하나이다.
1937Carelessly홀리데이가 피처링 보컬리스트로서 1930년대 팝 차트에서 유일하게 1위를 기록한 곡이다.
1937사랑은 나를 따스하게 해요(I've Got My Love to Keep Me Warm)여러 아티스트가 녹음한 인기곡으로, 홀리데이 버전은 1937년 연말 싱글 차트 6위를 기록했다.
1939Strange Fruit코모도어 레이블에서 발매되어 가장 많이 팔린 음반. 미국 남부의 린치(lynching)를 고발하는 강력한 메시지로 큰 사회적 반향을 일으켰으며, 팝 차트 16위에 올랐다.
1941신의 축복을 아이에게(God Bless the Child)백만 장 이상 판매된 홀리데이의 대표곡 중 하나로, 1941년 빌보드 연말 최고 인기곡 차트에서 3위를 차지했다.
1942Travlin Light폴 휘트먼 오케스트라와 함께 녹음한 곡. 1942년 신설된 빌보드 R&B 차트(당시 Harlem Hit Parade)에서 1위를 기록했으며, 빌보드 연말 차트 18위에 올랐다.
1944Lover Man빌보드 R&B 차트 5위를 기록하며 꾸준한 인기를 증명했다.


6. 출연 영화

빌리 홀리데이는 몇몇 영화에 단역으로 직접 출연했으며, 그녀의 극적인 삶은 여러 차례 영화와 연극으로 제작되었다.

'''직접 출연'''


  • 황제 존스 (The Emperor Jones, 1933) - 단역
  • 검은 교향곡 (Symphony in Black, 1935) - 단편 영화
  • 뉴올리언스 (New Orleans, 1947)
  • 슈가 칠리 로빈슨, 빌리 할리데이, 카운트 베이시 섹스텟 (Sugar Chile Robinson, Billie Holiday, Count Basie and His Sextet, 1950) - 단편 영화


'''홀리데이의 삶을 다룬 작품'''

  • '''레이디 싱스 더 블루스''' (Lady Sings the Blues, 1972년): 홀리데이의 자서전 레이디 싱스 더 블루스를 바탕으로 제작된 전기 영화이다.[8] 가수 다이애나 로스가 빌리 홀리데이 역을 맡았으며, 이 영화는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아카데미상에서는 여우주연상 후보에 오른 다이애나 로스를 포함하여 총 5개 부문에 후보로 지명되었다.
  • '''엠머슨 바 앤 그릴에서의 레이디 데이''' (Lady Day at Emerson's Bar and Grill): 라니 로버트슨이 음악을 작곡한 연극으로, 1959년 3월 필라델피아 남부를 배경으로 한다. 1986년 얼라이언스 극장에서 초연되었으며 여러 차례 재연되었다. 오드라 맥도널드가 주연을 맡은 브로드웨이 공연은 2016년 HBO에서 촬영 및 방영되었고, 맥도널드는 에미상 후보에 올랐다.[29] 2014년에는 토니상을 수상했다.[30]
  • '''빌리''' (Billie, 2019년): 다큐멘터리 영화로, 1970년대 언론인 린다 립낵 퀴얼이 홀리데이에 관한 책을 쓰기 위해 주변 인물들과 진행했던 방대한 인터뷰 녹음 자료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퀴얼의 책은 끝내 완성되지 못했다.
  • '''빌리 홀리데이 대 미국''' (The United States vs. Billie Holiday, 2021년): 가수 안드라 데이가 홀리데이 역을 맡은 전기 영화이다. 이 영화는 요한 하리의 저서 ''스크림을 쫓아서''를 원작으로 하며, 특히 홀리데이가 인종차별 고발 노래 "스트레인지 프루트"를 부르면서 FBI의 표적이 되었던 사건에 초점을 맞춘다. 감독 리 대니얼스는 홀리데이가 단순히 마약 중독자나 재즈 가수를 넘어선 시민권 운동가였음을 보여주고자 했다고 밝혔다. 영화는 홀리데이의 양성애와 배우 탈룰라 뱅크헤드와의 관계도 묘사한다. 안드라 데이는 이 영화로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 후보에 올랐으며,[23][24] 2021년 골든 글로브상 드라마 영화 부문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25][26][27][28] 원래 극장 개봉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인터넷 스트리밍으로 공개되었다.


홀리데이는 드라마 ''천사의 손길''의 "갓 블레스 더 차일드" 에피소드에서 배우 폴라 자이 파커가 연기하기도 했다.[31]

참조

[1] 잡지 The 200 Greatest Singer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2023-08-19
[2] 웹사이트 Billie Holiday Biography https://www.biograph[...] A&E Television Networks 2022-11-30
[3] 웹사이트 Who Gave Billie Holiday the Nickname Lady Day? https://www.cheatshe[...] 2024-05-21
[4] 잡지 Good Morning Heartache: The Life and Blues of Billie Holiday https://www.vanityfa[...] 2021-02-08
[5] 서적 Lady Sings the Blues 1956
[6] 서적 Lady Sings the Blues 1956
[7] 웹사이트 GRAMMY Hall Of Fame http://www.grammy.or[...] 2010-11-13
[8] 웹사이트 AFI Catalog https://catalog.afi.[...] 2023-10-21
[9] 웹사이트 Flicklives https://www.flickliv[...] 2023-10-21
[10] 웹사이트 Billie Holiday's Strange Fruit Is Both A Testament to the Power of Dissent And An Illustration of Government Hostility to Black Political Power https://www.rightsan[...] 2023-10-21
[11] 서적 A to Z of American Women in the Performing Arts https://books.google[...] Infobase 2014-05-14
[12] 웹사이트 Billie Holiday Biography http://www.biography[...] 2023-02-07
[13] 웹사이트 Michael P. Grace (Producer, Lyricist, Composer) https://playbill.com[...]
[14] British Library Sound and Moving Image Catalogue: Adelaide Hall interviewed by Max Jones, 1988: Part 1 and Part 2 http://sami.bl.uk/uh[...]
[15] 웹사이트 Adelaide Hall's secret visit to Billie Holiday's bedside before her death https://syncopatedti[...] 2022-10-16
[16] 서적 Mr S Harper Entertainment
[17] 서적 The NPR Curious Listener's Guide to Jazz https://books.google[...] Perigee Books 2024-10-12
[18] 웹사이트 "Baltimore Uproar" https://explore.balt[...] Baltimore Heritage 2024-11-03
[19] 웹사이트 Reading Frank O'Hara's Lunch Poems After Fifty Years https://www.poetryfo[...] 2023-11-30
[20] 웹사이트 The Day Lady Died https://www.poetryfo[...] 2023-11-30
[21] 웹사이트 On "The Day Lady Died" http://maps-legacy.o[...] 2023-11-30
[22] 웹사이트 Behind the Song: U2, "Angel of Harlem" https://americansong[...] 2023-08-08
[23] 웹사이트 Andra Day nominated for Best Actress Academy Award https://www.warnerre[...] 2024-10-13
[24] 웹사이트 Real talk: Here's why Andra Day lost the Oscar for Best Actress https://www.goldderb[...] 2024-10-13
[25] 웹사이트 Andra Day https://goldenglobes[...] 2024-10-13
[26] 웹사이트 Andra Day tearfully accepts Golden Globe as first Black Best Actress winner in 35 years https://ew.com/award[...] 2024-10-13
[27] 웹사이트 Andra Day Tearfully Thanks Billie Holiday After Winning Golden Globe: 'She Transformed Me' https://people.com/m[...] 2024-10-13
[28] 웹사이트 Andra Day Becomes the Second Black Woman to Win Golden Globe for Best Actress Drama https://variety.com/[...] 2024-10-13
[29] 웹사이트 Audra McDonald https://www.emmys.co[...] 2023-01-25
[30] 웹사이트 WINNERS (MCDONALD) https://www.tonyawar[...] Tony Award Publications 2022-09-23
[31] 웹사이트 God Bless the Child https://www.imdb.com[...] 2024-10-13
[32] 웹사이트 Jazz Pianists of the Swing Era https://rwjazz.stanf[...] Stanford University 2022-09-23
[33] 웹사이트 Title -> "C" -> ''Carelessly'' http://ntl.matrix.co[...] 2010-11-13
[34] 서적 ホリデイ、ビリー L.ナンシー
[35] 웹사이트 Rocklist.net...Q Magazine Lists.. http://www.rocklistm[...] 2007-04
[36] 서적 レディ・シングス・ザ・ブルース 晶文社
[37] 서적 Birī horidei : Ongaku to shōgai https://www.worldcat[...] 日本テレビ放送網 1997
[38] 서적 Birī horidei : Ongaku to shōgai https://www.worldcat[...] 日本テレビ放送網 1997
[39] 서적 ビリー・ホリディ 日本テレビ放送網 1994
[40] 웹사이트 Bio https://billieholida[...] 2024-04-08
[41] 서적 レディ・シングス・ザ・ブルース 1956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私自身のための優しい回想 新潮社 1984
[45] 음반 レディ・イン・サテン 1997
[46] 웹사이트 http://www.humanite.[...]
[47] 웹사이트 Billie Holiday > Biography http://www.allmusi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