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만 호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만 호다는 8세기 초 중앙아시아에서 활동한 인물로, 사산 왕조의 미흐란 가 출신이며 조로아스터교 신자였으나 이슬람으로 개종했다. 그의 후손들은 아바스 왕조의 지원을 받아 마와라안나흐르 지역을 다스렸고, 사만 왕조를 건국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사만 호다는 "주인인 사만"이라는 뜻을 가지며, 소그드 지역 영주의 칭호에서 유래되었다. 그는 이슬람 왕조 건국의 시조로 평가받으며, 그의 후손인 이스마일 사마니는 타지키스탄에서 민족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8세기 이란 사람 - 아부 하니파
아부 하니파는 7~8세기 활동한 이슬람 학자이자 하나피 법학 학파의 창시자이며, 상업 활동과 학문 연구를 병행하며 이슬람 율법을 정립하고 법적 재량과 관습을 중시했으며, 하나피 학파를 통해 이슬람 법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8세기 이란 사람 - 아사드 이븐 사만
아사드 이븐 사만은 중앙아시아의 역사적 인물로, 고대 및 중세 시대의 기록 부족으로 인해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 어려워 다양한 학설이 존재한다. - 사만 아미르 - 이스마일 이븐 아흐마드
이스마일 이븐 아흐마드는 9세기 사만 왕조의 아미르로, 부하라를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하고 호라즘을 정복하여 사만 왕조의 지배력을 강화했으며, 쿠란의 페르시아어 번역과 수니파 신학 발전에 기여했다. - 사만 아미르 - 야히아 이븐 아사드
- 9세기 사람 - 자야바르만 2세
자야바르만 2세는 앙코르 시대의 기초를 세운 크메르 제국의 건국왕으로, 802년 독립을 선포하고 힌두교 신앙과 데바라자 신앙을 확립하여 캄보디아 역사에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했다. - 9세기 사람 - 브라기 보다손
브라기 보다손은 9세기 스칼드 시인으로, 드로트크베트 운율을 발명하고 라그나르 로드브로크 등 세 왕의 궁정 시인으로 활동했으며, 《라그나르스드라파》를 주요 작품으로 남겼다.
사만 호다 | |
---|---|
기본 정보 | |
이름 | 사만 후다 |
다른 이름 | 사만 코다트 |
출생 | 8세기 |
사망 | 9세기 |
활동 시기 | 9세기 |
종교 | 조로아스터교 |
업적 | |
직업 | 데흐칸 |
창시 | 사만 왕조 |
역할 | 사만 왕조의 창시자 |
가문 | |
자녀 | 아사드 이븐 사만 누흐 아흐마드 야흐야 |
2. 생애
사만 호다는 사산 인들의 역사에 중대한 영향을 남긴 미흐란 가의 출신이자, 사산 왕조의 통치자였던 바흐람 코빈의 후손이다.[7][8] 그는 발흐 지역의 조로아스터교 신자였으나,[9] 호라산(:en:Greater Khorasan)의 칼리파 아사드 이븐 압드 알라 알콰스리(Asad ibn ‘Abd Allah al-Qasri, 723 ~ 727)에게 감명받아 이슬람으로 개종하였다.[10] 이슬람의 지지자라는 명목으로 아들에게 아사드 이븐 사만이라는 이름을 붙였으며, 8세기 초 칼리파 아사드 이븐 압드 알라 알콰스리의 시대에는 메르브 지역에서 거주했다. 또한 아프가니스탄 북부 발흐 지역의 소유자였다.
wikitable
우마이야 왕조의 호라산 총독이었던 아사드 이븐 압둘라에 의해 조로아스터교에서 이슬람교로 개종했다고 전해지며, 전승에 따르면 그는 사산 왕조 후기에 황제가 된 바흐람 추빈의 현손이며, 동 왕조의 유력한 일족이었다고 한다. 이슬람 이전부터 대대로 이어져 온 마와라안나흐르 지방의 토착 영주(디흐칸 dihiqān/دهقانfa)의 일족이었다고 한다.
819년, 아바스 왕조의 칼리파 알마문(al-Mamun, 786 ~ 833)은 아사드 이븐 사만의 네 아들에게[11] 라피의 반역을 저지한 대가로 사마르칸트, 페르가나, 타슈켄트, 헤라트의 통치자가 되는 것을 약속하였다.[12] 그의 아들 아사드는 아바스 왕조칼리파 마문의 치세에 귀순하였고, 타히르 왕조(821년 - 891년)의 시조이자 마문의 칼리파 지위 탈취에 공헌한 호라산 총독 타히르 빈 후세인에 의해 이 지역의 지배를 안도받았다. 마문은 이 4명에게 마와라안나흐르의 주요 도시를 각각 안도했다고 한다. 즉, 누흐에게는 사마르칸트를, 아흐마드에게는 페르가나를, 야흐야에게는 차추(타슈켄트)를, 일리아스에게는 헤라트의 지배권을 인정받았다. 873년에 타히르 왕조가 멸망하고 호라산 일대가 혼란에 빠지자, 875년에 아흐마드의 아들 나스르(나스르 1세)가 아바스 왕조 칼리파 무타미드에 의해 다시 마와라안나흐르 지방의 지배권을 인정받아, 여기에 사만 왕조가 성립했다. 나스르의 형제 이스마일 빈 아흐마드(이스마일 사마니) 시대에 수도를 부하라로 옮겼다. 사만 왕조는 여기에서 시작되었으며, 나스르 1세의 치세엔 공식적으로 독립하고, 이스마일의 통치 시대엔 사파르 왕조를 격퇴하고 호라산을 병합하는 등 정점에 다다랐다.
"사만 후다"라는 말 자체는 페르시아어로 "주인인 사만" 정도의 의미를 지니지만, 무그 문서 등 8세기경의 소그드어 문서에 따르면 소그디아나의 오아시스 도시와 그 주변의 촌락을 지배하던 영주들은 소그드어로 "후브"() 또는 "후타우"(wtw'w)라고 불렸다(아람어의 훈독 어휘에서는 MR'Y מראי로 표기됨). 사만 후다의 "후다"(Khudā/خداهfa)는 "후타우"의 페르시아어 형태이므로, 소그드인들이 사용하던 "토착 영주의 칭호"가 그대로 사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현재, 페르시아어로 Khudā/خداfa라고 단독으로 말할 경우, "주"를 의미하는 아랍어 랍 rabb/ربّar와 동의어, 즉 알라의 존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오늘날 타지키스탄에서는 타지크인의 기원을 사만 후다에서 찾고 있다. 타지키스탄의 수도인 두샨베에는 사만 후다의 후손이자 사만 왕조의 2대 군주인 이스마일 사마니(이스마일 1세)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3. 가계
바흐람 구슈나스프 colspan="13" style="border-left: 1px solid black; border-right: 1px solid black; border-bottom: 1px solid black;" | colspan="13" style="border-right: 1px solid black;" | 마르단시나 알 수 없음 바흐람 초빈 고르디야 고르두야 colspan="7" style="border-left: 1px solid black;" | colspan="6" style="border-right: 1px solid black; border-bottom: 1px solid black;" | colspan="2" style="border-left: 1px solid black;" | colspan="2" style="border-right: 1px solid black;" | 노스라드 미르한 바흐람-이 초빈 샤푸르 시야바흐시 토그마트 조트만 사만 후다
3. 1. 가계도
바흐람 구슈나스프 | |||||||||||||||||||||||||
colspan="13" style="border-left: 1px solid black; border-right: 1px solid black; border-bottom: 1px solid black;" | | colspan="13" style="border-right: 1px solid black;" | | ||||||||||||||||||||||||
마르단시나 | 알 수 없음 | 바흐람 초빈 | 고르디야 | 고르두야 | |||||||||||||||||||||
colspan="7" style="border-left: 1px solid black;" | | colspan="6" style="border-right: 1px solid black; border-bottom: 1px solid black;" | | colspan="2" style="border-left: 1px solid black;" | | colspan="2" style="border-right: 1px solid black;" | | ||||||||||||||||||||||
노스라드 | 미르한 바흐람-이 초빈 | 샤푸르 | 시야바흐시 | ||||||||||||||||||||||
토그마트 | |||||||||||||||||||||||||
조트만 | |||||||||||||||||||||||||
사만 후다 |
4. 명칭의 의미
5. 평가 및 영향
사만 호다는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이슬람 왕조 건국의 시조로 평가받는다. 8세기 전반의 인물로, 우마이야 왕조의 호라산 총독이었던 아사드 이븐 압둘라에 의해 조로아스터교에서 이슬람교로 개종했다고 전해진다. 그의 이슬람 개종과 후손들이 이룬 업적은 이슬람 세계의 동쪽 경계를 넓히는 데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평가받는다.
오늘날 타지키스탄에서는 타지크인의 기원을 사만 호다에서 찾고 있다. 타지키스탄의 수도인 두샨베에는 사만 후다의 후손이자 사만 왕조의 2대 군주인 이스마일 사마니(이스마일 1세)의 동상이 건립되어 있다.
참조
[1]
서적
The New Islamic Dynasties: A Chronological and Genealogical Manual
https://books.google[...]
[2]
웹사이트
History of Zoroastrianism
http://www.avesta.or[...]
1938
[3]
서적
Encyclopaedic Survey of Islamic Culture
[4]
간행물
To the Question of the Origin of the Samanids
http://www.transoxia[...]
2005-07
[5]
서적
History of Bukhara
[6]
서적
The Golden Age of Persia
Butler & Tanner Ltd.
1996
[7]
서적
The Golden Age of Persia
Butler & Tanner Ltd.
1996
[8]
서적
History of Bukhara
[9]
웹사이트
History of Zoroastrianism
http://www.avesta.or[...]
1938
[10]
서적
Encyclopaedic Survey of Islamic Culture
[11]
문서
사만 호다의 손자로 누(nuh), 아흐마드(ahmad), 야히아(yahya), 엘리아스(elyas)의 네 명.
[12]
간행물
To the Question of the Origin of the Samanids
http://www.transoxia[...]
2005-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