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음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회복음주의는 1879년 찰스 올리버 브라운이 헨리 조지의 저서 《진보와 빈곤》에 대해 처음 사용한 용어로, 19세기 말 미국 개신교에서 빈곤과 열악한 생활 환경에 대한 문제 해결을 위한 종교적 근거를 제공하며 큰 영향을 미쳤다. 사회복음주의는 아동 노동 폐지, 노동 시간 규제 등 노동 개혁을 중시했으며, 덴버, 시애틀 등지에서 사회 복지 운동의 중심지가 되었다. 뉴딜 정책과 시민권 운동에도 영향을 미쳤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신정통주의의 부상으로 쇠퇴했다. 사회복음주의는 기독교 민주주의 정치 이념 형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자유주의 개신교와 사회 봉사 기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신학 - 예수의 동정녀 탄생
예수의 동정녀 탄생은 기독교의 핵심 교리로서 예수가 인간 아버지 없이 성령으로 마리아에게 잉태되어 태어났다는 신념이며, 예수의 신성을 강조하고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전승을 바탕으로 하지만 역사적 근거에 대한 학계의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며, 기독교 미술, 전례, 마리아 공경, 서구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기독교 신학 - 신정론
신정론은 전지전능하고 선한 신의 존재 하에 세상의 악과 고통의 존재 이유를 설명하고 신의 선함과 전능함을 정당화하려는 이론으로, 다양한 해석과 비판적 시각, 그리고 대안적 접근 방식들이 제시되고 있다.
사회복음주의 | |
---|---|
개요 | |
이름 | 사회 복음주의 |
로마자 표기 | sahoe bogeumjuui |
영문명 | Social Gospel |
유형 | 사회 운동 |
목표 | 기독교 윤리를 사회 문제에 적용, 사회 정의 실현 |
신학적 기반 | 기독교 사회주의 자유주의 신학 |
영향 | 진보주의 시대 사회 개혁 운동 시민 권리 운동 노동 운동 |
역사적 배경 | |
발상 시기 | 19세기 후반 |
발상 장소 | 미국 |
주요 인물 | 워싱턴 글래든 월터 라우셴부시 제인 아담스 찰스 먼로 셸던 |
신학적 특징 | |
핵심 가치 | 사회 정의 평등 인간 존엄성 공동체 의식 |
죄에 대한 관점 | 개인의 죄뿐만 아니라 사회 구조적 죄에도 주목 |
구원관 | 개인의 영혼 구원과 사회 변화를 통한 구원 강조 |
종말론 | 사회 개선을 통해 하느님의 나라를 이 땅에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영향 및 유산 | |
사회 운동 | 노동 운동 지원 빈곤 문제 해결 노력 여성 참정권 운동 지지 인종 차별 반대 운동 |
정치적 영향 | 진보주의 시대의 사회 개혁 정책에 영향 |
현대적 의의 | 현대 기독교 사회 참여 운동의 중요한 배경 |
비판 | |
주요 비판 | 복음의 사회적 의미를 지나치게 강조하여 개인의 구원을 경시한다는 비판 정치적 이상주의에 치우쳐 현실적인 문제 해결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비판 자유주의 신학에 기반하여 성경의 권위를 약화시킨다는 비판 |
2. 역사
찰스 올리버 브라운은 1879년 헨리 조지의 논문 ''진보와 빈곤''에 대해 "사회복음주의"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으며,[1] 이는 단일세 운동에 불을 지폈다.
19세기 말, 많은 개신교인들은 빈곤과 열악한 생활 환경에 혐오감을 느꼈다. 사회복음 운동은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한 종교적 근거를 제공했으며, 의무 교육과 같은 공공 조치를 통해 빈곤층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했다. 이들은 아동 노동 폐지, 여성 노동 시간 규제와 같은 노동 개혁을 중요하게 생각했으며, 1920년에는 US 스틸 노동자들의 12시간 노동제에 반대하는 운동을 벌였다.
2. 1. 미국에서의 사회복음주의
미국 개신교에 큰 영향을 미친 사회복음주의는 19세기 말, 빈곤과 열악한 생활 환경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사회복음 운동은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한 종교적 근거를 제공했으며, 공공 조치와 의무 교육을 통해 빈곤층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했다.[1] 이들은 아동 노동 폐지, 여성 노동 시간 규제와 같은 노동 개혁을 주장했으며, 1920년에는 US 스틸(U.S. Steel) 노동자들의 12시간 노동제에 반대하는 운동을 벌이기도 했다.미국 회중교회 목사인 워싱턴 글래든(1836–1918)은 사회복음의 선구자로 불리며, 노동자와 노동조합 조직 권리를 옹호했다.[1] 그는 기독교의 법이 삶의 모든 관계를 포괄한다고 믿었으며,[1] 1877년 저서 ''크리스천의 길: 어디로 인도하며 어떻게 나아갈 것인가''를 통해 기독교적 가치의 보편적 적용을 주장했다.
헬스 키친(Hell's Kitchen)의 독일 침례교 교회 목사인 월터 라우센부쉬(Walter Rauschenbusch, 1861–1918)는 사회복음 운동의 또 다른 대표적인 신학자였다.[2] 1892년, 그는 사회 복음의 선구자 및 작가들과 함께 왕국 형제단을 결성하여 사회 복음에 대해 토론하고 실행했다.[3][4] 1907년, 그는 저서 『기독교와 사회적 위기』를 출판하여 사회 복음 사상을 널리 알렸다.[5] 라우센부쉬는 자본주의의 이기심을 비판하고 기독교 사회주의를 옹호하며 노동조합과 협동 경제 창출을 지지했다.
사회복음 운동은 통일된 운동은 아니었지만,[5] 라우센부쉬는 "사회 복음에 걸맞고 이를 뒷받침할 만큼 충분히 활력이 넘치는 체계적인 신학"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사회 복음을 위한 신학''(1917)을 저술했다. 그는 개인주의적 복음이 제도화된 죄악성을 간과한다고 지적하며, "하나님의 왕국" 교리로 돌아갈 것을 촉구했다. 그는 "하나님의 왕국"이 교회를 시험하고 교정할 수 있으며, 혁명적이고 사회적인 힘이라고 주장했다.[6]
제인 애덤스가 운영한 시카고의 헐 하우스와 같은 정착촌은 사회 복지 운동의 주요 활동 거점이었다. 이들은 빈민과 이민자들에게 보육, 교육,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며 삶의 개선을 도왔다. YMCA 또한 사회 복음의 도구로 활용되었으며,[7] 아프리카 감리교 감독 교회(AME)와 아프리카 감리교 시온 교회(AMEZ)를 포함한 흑인 교파들도 사회 복음을 지지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했다.[7]
콜로라도주 덴버는 사회 복음주의 활동의 중심지였다. 토마스 우젤은 무료 진료소, 직업 중개소, 여름 캠프, 야간 학교 등을 설립했으며, 마이론 리드는 노동 조합의 대변인이었다. 침례교 목사 짐 굿하트는 직업 중개소와 부랑자를 위한 시설을 운영했다.
마크 A. 매튜스(1867–1940)는 시애틀 제일 장로교회 목사로 도시 개혁을 주도했으며, 그의 교회는 미국에서 가장 큰 장로교회였다. 그는 야간 학교, 실업 중개소, 유치원, 결핵 방지 진료소 등을 갖춘 모델 교회를 건립했다.
미국 남부에서는 금주 운동을 중심으로 사회 복음이 전개되었으며, 여성의 역할 확대와 공공 도덕 개선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다.[7]
사회복음은 미국 노동 연맹(AFL)을 비롯한 노동 운동에도 영향을 미쳤다. 필라델피아에서는 노동 조합에 반대하는 부흥사 빌리 선데이가 초청되기도 했다.
회중교회 목사 찰스 셸던의 소설 ''그리스도의 발자취를 따라''(1897)와 ''개혁가''(1902)는 사회복음주의 주제를 반영하며, "예수님이라면 어떻게 하실까?"라는 모토를 만들었다. 월터 라우센부쉬는 셸던의 소설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밝혔다.
왕국 형제단 회원들은 월터 라우센부쉬의 ''기독교와 사회 문제''(1907)와 ''사회 질서의 기독교화''(1912) 등 사회복음주의 운동의 신학을 정의하고 대중에게 알리는 저술을 펴냈다.[4]
사회 복음주의는 자유주의 개신교에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15][16][17] 미국의 많은 봉사 및 구호 기관에서도 그 요소를 찾아볼 수 있다.
2. 2. 사회복음주의와 진보주의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미국에서 사회의 불의, 고통, 빈곤에 맞서 싸우는 것을 목표로 하는 진보주의 운동의 종교적 측면이 사회 복음이었다.[7] 콜로라도주 덴버는 사회 복음주의 활동의 중심지였다. 토마스 우젤은 1885년부터 1910년까지 감리교 인민 성막을 이끌었다. 그는 응급 의료를 위한 무료 진료소, 구직자를 위한 직업 중개소, 어린이를 위한 여름 캠프, 야간 학교, 이민자를 위한 영어 강좌를 설립했다. 제1 회중 교회 소속의 마이론 리드는 1884년부터 1894년까지 근로자 보상 문제 등 노동 조합의 대변인이 되었다. 그의 중산층 교인들은 그가 사회주의자가 되자 리드에게 떠날 것을 권유했고, 그는 초교파 교회를 조직했다. 침례교 목사 짐 굿하트는 직업 중개소를 설립하고 그가 운영하는 선교 시설에서 부랑자와 떠돌이들에게 음식과 숙소를 제공했다. 그는 1918년에 덴버시의 목사이자 공공 복지 국장이 되었다. 이러한 개신교 외에도 개혁 유대교와 가톨릭교는 20세기 초 덴버의 사회 복지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기여했다.마크 A. 매튜스(1867–1940)는 시애틀 제일 장로교회의 목사로, 매춘 지구와 범죄 현장을 조사하고 부패한 정치인, 사업가, 술집 주인을 비난하는 등 도시 개혁을 주도했다. 10,000명의 신자를 거느린 그의 교회는 당시 미국에서 가장 큰 장로교회였으며, 1912년에는 전국 총회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야간 학교, 실업 중개소, 유치원, 결핵 방지 진료소 및 미국 최초의 교회 소유 라디오 방송국을 갖춘 모델 교회를 건립했다. 매튜스는 태평양 북서부 지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성직자이자 미국에서 가장 활동적인 사회 복음주의자 중 한 명이었다.
미국 남부에는 사회 복음의 자체 버전이 있었으며, 특히 금주 운동에 초점을 맞추었다. 다른 개혁으로는 돈을 버는 젊은 여성들을 성매매로부터 보호하고, 공공 장소에서의 욕설, 권투, 투견 및 이와 유사한 도덕적 감정에 대한 모욕을 금지하는 것이 있었다. 남감리교회는 1886년 남부 감리교 여성 목사관 및 가정 선교 협회(Southern Methodist Woman's Parsonage and Home Mission Society)를 시작으로 선교 여성의 역할 확대 및 전문화를 통해 새로운 책임을 떠맡았다. 역사가 에드워드 에이어스에 따르면 1900년까지 남부의 모든 교파 중에서 가장 보수적이었던 백인 침례교도들이 "절제, 도박, 불법 부패, 공공 도덕, 고아 및 노인"에 대한 입장을 취하면서 사회 문제에 점점 더 관심을 갖게 되었다.
2. 3. 뉴딜 정책과 사회복음주의
1930년대 뉴딜 정책 동안, 해리 홉킨스, 윌 알렉산더, 메리 맥클레오드 베쑨의 활동에서 사회 복음주의의 주제가 나타났으며, 이들은 아프리카계 미국인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더했다. 1940년 이후, 이 운동은 쇠퇴했지만,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와 시민권 운동과 같은 흑인 지도자들에 의해 1950년대에 다시 활기를 띠었다. 1980년 이후에는 주류 교회 내부에서 주요 세력으로서 다시 약화되었고, 실제로 그러한 교회들은 힘을 잃어가고 있었다.사회 복음주의의 지속적인 영향력은 짐 왈리스의 소저너스(Sojourners) 단체의 '갱신을 위한 외침(Call to Renewal)'과 버지니아 종교 간 센터(Virginia Interfaith Center)와 같은 더 지역적인 조직에서 찾아볼 수 있다. 또 다른 현대적인 예는 1970년부터 1997년까지 워싱턴 D.C.의 루터 플레이스 기념 교회(Luther Place Memorial Church)의 담임 목사였던 존 스타인브루크의 활동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그는 사회 복음주의의 명확하고 열정적인 설교자였으며, 노숙자, 중앙 아메리카 난민, 박해와 편견의 희생자들을 위해 지역 및 전국적으로 선도적인 목소리를 냈다.
2. 4. 사회복음주의의 유산
사회복음주의는 미국 개신교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10년 미국 장로교는 교회의 목적이 복음 선포, 신자 양육, 예배, 진리 보존, 사회적 의 증진, 그리고 세상에 천국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밝혔다. 19세기 말, 많은 개신교인들은 빈곤과 열악한 생활 환경에 문제의식을 느꼈고, 사회복음 운동은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한 종교적 기반을 제공했다. 이들은 공공 조치와 의무 교육을 통해 빈곤층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했으며, 아동 노동 폐지, 노동 시간 규제와 같은 노동 개혁을 주요 관심사로 삼았다.워싱턴 글래든은 사회복음의 선구자로 불리는 미국 회중교회 목사로, 노동자와 노동조합 조직 권리를 옹호했다. 그는 기독교의 법이 삶의 모든 관계를 포괄한다고 믿었으며, 그의 저서 ''크리스천의 길: 어디로 인도하며 어떻게 나아갈 것인가''는 기독교적 가치의 보편적 적용을 촉구하며 사회복음 운동의 시작을 알렸다. 월터 라우센부쉬는 헬스 키친의 독일 침례교 교회 목사로, 1892년 왕국 형제단을 결성하여 사회복음에 대한 논의와 실천을 이끌었다. 1907년 출판된 그의 저서 『기독교와 사회적 위기』는 사회복음 사상의 정수로 평가받으며, 자본주의의 이기심을 비판하고 기독교 사회주의를 옹호했다.
사회복음 운동은 통일된 운동은 아니었지만, "효과를 내기 위한 신학"과 "신학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사회복음"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라우센부쉬는 ''사회 복음을 위한 신학''(1917)에서 개인의 죄악성뿐만 아니라 제도화된 죄악성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며, "하나님의 왕국" 개념을 통해 사회복음 신학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하나님의 왕국"이 교회를 시험하고 교정할 수 있는 예언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이데올로기이며, 사회 질서를 구원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보았다.
사회복음 운동은 제인 애덤스의 헐 하우스와 같은 정착촌 운동, YMCA 활동, 해외 선교 활동 등 다양한 사회 복지 운동에 영감을 주었다. 아프리카 감리교 감독 교회와 아프리카 감리교 시온 교회와 같은 흑인 교회들도 적극적으로 사회복음 운동을 지원했다. 콜로라도주 덴버에서는 토마스 우젤, 마이론 리드, 짐 굿하트와 같은 목회자들이 사회복음주의 활동을 주도했으며, 개혁 유대교와 가톨릭교도 덴버의 사회 복지 시스템 구축에 기여했다. 마크 A. 매튜스는 시애틀에서 도시 개혁을 이끈 영향력 있는 사회복음주의자였다. 미국 남부에서는 금주 운동을 중심으로 사회복음 운동이 전개되었으며, 여성의 역할 확대와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 증대로 이어졌다.
1930년대 뉴딜 정책 기간 동안 해리 홉킨스, 윌 알렉산더, 메리 맥클레오드 베쑨과 같은 인물들의 활동에서 사회복음주의의 영향이 나타났으며, 1950년대 시민권 운동과 함께 다시 활기를 띠었다. 1980년대 이후 주류 교회 내에서 사회복음의 영향력은 약화되었지만, 짐 왈리스의 소저너스(Sojourners) 단체, 버지니아 종교 간 센터(Virginia Interfaith Center), 존 스타인브루크 목사와 같은 인물들을 통해 그 유산이 이어지고 있다.
사회복음은 노동 운동에도 영향을 미쳐, 미국 노동 연맹(AFL)의 노동 전진 운동을 촉발했다. 사회복음 운동의 쇠퇴 시점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지만, 제1차 세계 대전의 영향과 신정통주의의 부상이 주요 요인으로 거론된다. 사회복음은 미국의 주류 교파 정책, 연방 교회 협의회 결성, 미국 여성 참정권, 미국 금주법 등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린든 B. 존슨 대통령의 위대한 사회 정책과 외교 정책에도 영감을 주었다.
사회복음 운동은 "세계 기독교에 대한 가장 독특한 미국의 기여"로 평가받으며,[1] 1945년 이후 유럽의 기독교 민주주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사회복음의 아이디어는 1960년대 시민권 운동과 빈곤 반대 기독교인과 같은 새로운 운동에 영감을 주었다.
라인홀드 니부어는 20세기 서구 민주주의 역사가 사회복음주의자들의 낙관적인 인간관을 입증하지 못했다고 주장했으며, 노동 역사가들은 이 운동이 노동 운동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고 평가한다. 폴 루비니에키는 사회복음이 주로 백인 미국 개신교 중산층에게 호소력이 있었으며, 노동 계급과의 연결에 실패했다고 지적한다. 사회복음 교회들은 빈민가를 떠나 부유한 동네로 이전하는 경향이 있었고, 이는 가톨릭 교구가 노동자 계급 지역에 설립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또한, 사회복음 운동은 반가톨릭주의와 반유대주의로 인해 매력이 제한되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사회복음주의 주제는 회중교회 목사 찰스 셸던의 소설 ''그리스도의 발자취를 따라''(1897)와 ''개혁가''(1902)에 반영되었으며, 그는 "예수님이라면 어떻게 하실까?"라는 모토를 만들었다. 월터 라우센부쉬는 자신의 신학이 셸던의 소설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밝혔다. 왕국 형제단 회원들은 사회복음주의 신학을 정의하고 대중화하는 데 기여한 많은 저술을 남겼다.[4]
미국에서 사회복음주의는 여전히 자유주의 개신교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15][16][17] 사회복음주의적 요소는 미국의 개신교 교파 및 가톨릭 교회와 관련된 많은 봉사 및 구호 기관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2. 5. 비판 및 논쟁
사회 복음 운동은 20세기 초에 절정에 달했지만, 학자들은 이 운동이 쇠퇴하기 시작한 시점에 대해 논쟁을 벌이고 있다. 일부 학자들은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파괴와 트라우마가 많은 사람들을 사회 복음의 이상에 환멸을 느끼게 했다고 주장하는 반면,[2] 다른 학자들은 전쟁이 사회 복음주의자들의 개혁 노력을 자극했다고 주장한다.[3]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사회 복음의 쇠퇴에 관한 이론들은 종종 신정통주의의 부상을 이 운동 쇠퇴의 요인으로 꼽는다.[4]사회 복음은 역사적으로 짧은 기간 동안 존재했지만, 미국의 대부분의 주류 교파의 정책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대부분의 교파는 사회 개혁 프로그램을 시작했고, 이는 1910년 연방 교회 협의회를 결성하면서 에큐메니컬 협력으로 이어졌다. 비록 이러한 협력이 사회 문제에 관한 것이었고, 이는 종종 사회주의라는 비난으로 이어졌다.[5] 사회 복음이 사람들의 강한 지도력을 강조한 것은 미국 여성 참정권으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높으며, 도덕성을 강조한 것은 미국 금주법으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높다.[5]
라인홀드 니부어는 20세기 서구 민주주의의 역사가 사회 복음주의자들이 계몽주의와 공유했던 인간 본성에 대한 낙관적인 관점을 입증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8] 노동 역사가들은 이 운동이 노동 운동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며, 이러한 실패를 전문적인 엘리트주의와 운동의 집단적 성격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돌린다. 노동자들은 사회 복음주의자들을 알지 못했기 때문에 거부한 것이 아니라, 그들의 전술과 아이디어가 부적절하다고 여겨졌기 때문에 거부했다.[9]
폴 루비니에키는 "일부 역사가들의 분석과 달리, 역사적 증거는 [사회 복음] 운동이 노동자의 주요 목소리가 되고 도시 이민 대중을 개종시키려는 캠페인에서 실패했음을 보여주었다"고 썼다.[10] 루비니에키는 사회 복음이 주로 백인 미국 개신교 중산층에게 호소했고 궁극적으로 노동 계급보다 중산층과 더 관련이 있다고 지적한다.[11] 사회 복음 목사들은 고군분투하는 소수 민족 도시 빈민과 연결되지 않았고, 사회 복음 교회들은 종종 빈민가를 버리고 부유한 동네로 교구를 이전했다. 그 결과 가톨릭 교구는 대신 노동자 계급 지역에 설립되었다.[12] 루비니에키는 또한 사회 복음 운동이 반가톨릭주의와 반유대주의로 인해 매력을 제한했다고 주장했다. 라우셴부시는 사회적 관심사가 비개신교인에 의해 충분히 해결될 수 없다고 말했고, 가톨릭교를 본질적으로 반민주적이며 개인의 자유라는 미국의 가치에 반하는 것으로 여겼다. 마찬가지로, 일부 사회 복음 목사들은 유대인과 가톨릭교도가 미국의 사회 질서를 위협한다고 믿었다.[10]
3. 한국에서의 사회복음주의
주어진 원본 자료에는 '한국에서의 사회복음주의'에 대한 내용이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섹션에는 원본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할 내용이 없다.
3. 1. 주요 인물
워싱턴 글래든(1836–1918)은 미국 회중교회 목사로, 사회복음의 "선구자"로 불린다.[1] 그는 노동자와 노동조합 조직 권리를 옹호했으며,[1] 1877년 저서 ''크리스천의 길: 어디로 인도하며 어떻게 나아갈 것인가''를 통해 일상생활에서 기독교적 가치를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사회복음 운동의 리더십을 시작했다.[1]월터 라우센부쉬(1861–1918)는 헬스 키친, 뉴욕에 있는 제2 독일 침례교 교회의 침례교 목사였다.[2] 1892년, 라우센부쉬는 사회 복음의 선구자 및 작가들과 함께 왕국 형제단을 결성했다.[3] 1907년에는 『기독교와 사회적 위기』를 출판하여 사회 복음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5] 그는 자본주의의 이기심을 비판하고 기독교 사회주의를 옹호했다.
콜로라도주 덴버는 사회 복음주의 활동의 중심지였다. 토마스 우젤은 감리교 인민 성막을 이끌며 무료 진료소, 직업 중개소, 여름 캠프, 야간 학교 등을 설립했다. 제1 회중 교회의 마이론 리드는 노동 조합의 대변인이었으며, 침례교 목사 짐 굿하트는 직업 중개소를 설립하고 부랑자들에게 숙식을 제공했다.
마크 A. 매튜스(1867–1940)는 시애틀 제일 장로교회 목사로, 도시 개혁을 주도했다. 그의 교회는 미국에서 가장 큰 장로교회였으며, 그는 야간 학교, 실업 중개소, 유치원, 결핵 방지 진료소 등을 갖춘 모델 교회를 건립했다.
미국 남부에서는 금주 운동을 중심으로 사회 복음 운동이 전개되었다. 남감리교회는 1886년 남부 감리교 여성 목사관 및 가정 선교 협회를 시작으로 선교 여성의 역할을 확대했다.[7]
3. 2. 주요 단체
협동연방연맹은 1930년대에 신민당으로 재편성된 정당으로, 감리교 목사이자 앨버타 국회의원인 J. S. 우드워스와 윌리엄 어빈에 의해 사회복음주의 원칙에 따라 창당되었다. 우드워스는 1904년부터 1913년까지 위니펙에서 이민자 빈민가 주민들과 함께 일하면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사회복음에 대해 광범위하게 글을 썼다. 그의 글은 하나님의 왕국을 "지금 여기서" 실현할 것을 요구했다.[13] 이 정당은 1944년 서스캐처원주에서 권력을 잡았으며, 침례교 목사인 토미 더글러스가 이끌었다. 이 단체는 보편적 의료 보험, 가족 수당, 노령 연금을 도입했다. 이 정당은 이후 종교적 기반을 거의 잃고 세속적인 사회 민주주의 정당이 되었다.사회봉사위원회(SSC)는 "캐나다 개신교의 개혁적 기구"였으며, 사회복음주의 사상을 널리 알렸다. 샬롯 휘턴의 지도 아래, 캐나다 아동 복지 위원회는 "사회 보장 보호의 확대"에 반대했고 "지방의 어머니 연금 시행을 계속 방해"하면서, 대신 "전통적인 사립 자선" 모델을 고수했다. 샬롯 휘턴은 "어려운 부모에게 돈을 지불하는 대신" 아이들을 집에서 데려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크리스티와 고보가 지적하듯이, 샬롯 휘턴은 또한 SSC의 회원이었다. SSC의 임무에는 "캐나다의 집중적인 기독교 정복"이 포함되어 있었다.
사회복음주의는 1919년 매니토바주 브랜던에서 인민 교회의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알버트 에드워드 스미스라는 감리교 목사가 시작한 인민 교회는 스미스가 사회 문제에 무관심하다고 여겼던 전통적인 교회에 대한 대안을 제공하려 했다. 스미스는 자서전 ''나의 모든 삶''에서 인민 교회를 시작하기 전 마지막 설교에 대해 "교회는 부유하고 권력 있는 사람들을 화나게 할까 두려워했다"고 묘사했다. 인민 교회는 한동안 성공을 거두어 밴쿠버, 빅토리아, 에드먼턴, 캘거리에 인민 교회가 설립되었다. 위니펙에서는 감리교 목사이자 사회 복음주의자인 윌리엄 아이번스가 1918년에 또 다른 노동자 교회인 "노동 교회"를 시작했다.[14] 스미스와 아이번스 모두 감리교 사역에서 휴가를 받으려고 했고, 처음에는 허가되었다. 그러나 모든 특별 사례를 감리교 파견 위원회에 회부하기로 결정하면서 결정은 철회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Biography
http://www.washingto[...]
Washington Gladden Society
2018-07-24
[2]
서적
Encyclopedia of Populism in America: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2014
[3]
서적
The age of social responsibility: the social gospel in the progressive era, 1900–1920
Mercer University Press
1988
[4]
서적
Theology in a Global Context: The Last Two Hundred Years
Wm. B. Eerdmans Publishing
2005
[5]
서적
The Social Gospel in American Religion: A History
NYU Press
2017
[6]
서적
A Consuming Faith: The Social Gospel and Modern American Culture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2001
[7]
서적
A Crown of Service: A story of women's work in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South, from 1878–1940
https://archive.org/[...]
Parthenon Press
1960
[8]
논문
Walter Rauschenbusch in historical perspective.
1958
[9]
논문
Walter Rauschenbusch and labor reform: A social Gospeller's approach.
1970
[10]
간행물
Social Reconstruction: American Catholics Radical Response to the Social Gospel Movement and Progressives
https://digitalcommo[...]
LMU Loyola Law School
[11]
문서
[12]
간행물
Evolution of Catholic Lay Leadership, 1820-1920
[13]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NDP
http://www.ncf.ca/ip[...]
2009-10-14
[14]
웹사이트
Memorable Manitobans: William 'Bill' Ivens (1878–1957)
http://www.mhs.mb.ca[...]
Manitoba Historical Society
2018-07-24
[15]
서적
Encyclopedia of Protestantism
Infobase Publishing
2005
[16]
서적
Encyclopedia of Global Religion
Sage
2012
[17]
서적
The Social Gospel in American Religion: A History
NYU Press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