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가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가젤은 몸길이 101~115cm, 몸무게 17~29.5kg의 가젤속에 속하는 종으로, 가젤 중에서 가장 가냘픈 몸을 가졌다. 털은 황갈색부터 짙은 갈색까지 다양하며, 배와 엉덩이는 흰색이다. 수컷은 암컷보다 크며, 뿔의 크기에도 차이가 있다. 산가젤은 최고 80km/h의 속도로 달릴 수 있다. 낮에 주로 활동하며, 풀, 식물, 관목 등을 먹는다. 3~8마리 정도의 무리를 이루어 생활하며, 서식지에 따라 번식 시기가 다르다.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서식지 파괴, 불법 포획 등의 위협을 받고 있다. 현재 이스라엘을 중심으로 보존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66년 기재된 포유류 - 야크
    야크는 티베트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고산 환경에 적응한 육중한 체격의 소속 포유류이며, 젖, 털, 고기 등을 얻기 위해 몽골과 티베트 등지에서 가축화되어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전통 축제나 관광 상품으로도 활용된다.
  • 1766년 기재된 포유류 - 카피바라
    카피바라는 남아메리카의 수생 서식지에 서식하는, 현존하는 설치류 중 가장 큰 반수생 초식성 포유류로, 뭉툭한 주둥이와 물갈퀴가 있는 발을 가지고 있으며, 무리를 지어 생활하고 인간과도 접촉하지만 사냥되기도 하며, 인터넷 밈 문화에서도 인기를 얻고 있다.
  • 영양아과 - 부탄타킨
    부탄타킨은 부탄, 중국, 인도에 서식하며 해발 1,000~4,500m 고도의 숲에서 풀, 새싹, 나뭇잎 등을 먹는 주행성 포유류로, 불법 사냥과 서식지 파괴로 위협받고 있으며 부탄의 국가 동물이다.
  • 영양아과 - 스프링복
    스프링복은 남아프리카 건조 지역에 서식하는 영양으로, 등 중앙의 피부 주름, 잎을 주식으로 하는 점, 프롱킹이라는 도약 행동을 보이는 특징을 가지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상징 동물로도 활용된다.
산가젤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산가젤 (수컷)
산가젤 (수컷)
상태멸종 위기 (EN)
상태 기준IUCN 3.1
학명Gazella gazella
명명자(팔라스, 1766)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우제목
소과
아과영양아과
영양족
가젤속
산가젤 (G. gazella)

2. 특징

산가젤은 가젤속의 다른 종들보다 가냘프고 목과 다리가 길다. 수컷과 암컷 모두 뿔이 있는데, 수컷 뿔이 더 크고 고리 모양이 뚜렷하다. 암컷 뿔은 가늘고 짧으며 불규칙하다. 수컷이 암컷보다 몸집이 큰 성적 이형성을 보인다.[8] 산가젤은 최고 80km/h의 속도로 달릴 수 있다.[9]

2. 1. 신체적 특징

산가젤은 몸길이가 101~115cm이고 몸무게는 17~29.5kg이다. 가젤속에 속하는 모든 종 중에서 가장 가냘픈 몸을 가진 종으로 목과 다리가 비교적 길다.[30][31] 털은 황갈색부터 등과 목, 머리의 짙은 갈색까지 다양하지만 배와 엉덩이는 선명한 흰색을 띤다. 옆구리 쪽은 이 두 가지 뚜렷한 색이 얇고 짙은 줄무늬로 구분된다.[30][31][32][33] 여름철에는 털이 짧고 부드러우며 햇빛을 많이 받기 때문에 윤이 난다. 대신 겨울철에는 털이 굵고 길어져서 방수가 되기 때문에 이스라엘 북부 지역의 집중적인 겨울 강수량(800mm~1000mm)을 견딜 수 있다. 그러나 사막에 서식하는 아종은 계절성 털 변화가 덜 분명하다. 얼굴에는 눈부터 콧구멍까지 이어지는 뚜렷이 보이는 두 개의 흰 줄무늬가 있고, 아래에 짙은 갈색 또는 검은색 가장자리로 경계를 이룬다. 코 바로 위 주둥이에 검은 반점이 있다.[30][31][33]

수컷의 뿔은 꽤 길고(22~29.5cm) 수직으로 곧으며 밑 부분이 더 굵고 약간 말쑥한 모습을 띠고 두드러진 고리를 갖고 있다. 반면에 암컷 뿔은 보통 짧고(5.8~11.5cm) 부드러우며 불규칙적인 모습을 보이며 구부러지거나 휘고 부러지곤 한다.[30][31] 북부 지역 아종의 수컷은 남부 지역 아종보다 더 긴 뿔을 갖고 있으며, 더 짧고 좀 더 바깥쪽으로 향하는 뿔은 페르시아만 지역 표본에서 발견된다. 팔레스타인 북부 지역 아종(''G. g. gazella'')은 보통 산악 지역 아종보다 큰 반면에 남부 사막 지역 아종은 더 작고(몸무게가 12~16kg에 불과하다) 더 긴 다리와 몸, 귀를 갖고 있다.[30]

산가젤 수컷과 암컷 모두 뿔을 가지고 있다. 수컷은 주변에 고리가 있는 훨씬 더 큰 뿔을 가지고 있다. 암컷 또한 뿔을 가지고 있지만, 더 가늘고, 매끄럽고 짧다. 뿔과 함께, 산가젤은 크기에서도 성적 이형성을 보이며, 수컷이 암컷보다 더 크다. 다 자란 수컷은 17~29.5kg이며, 암컷은 16~25kg이다.[8] 산가젤은 최고 80km/h의 속도로 달릴 수 있다.[9]

2. 2. 털과 무늬

산가젤의 털은 황갈색부터 등, 목, 머리의 짙은 갈색까지 다양하지만, 배와 엉덩이는 선명한 흰색을 띤다. 옆구리 쪽은 이 두 가지 뚜렷한 색이 얇고 짙은 줄무늬로 구분된다.[30][31][32][33] 여름철에는 털이 짧고 부드러우며 햇빛을 많이 받기 때문에 윤이 난다. 겨울철에는 털이 굵고 길어져 방수가 되기 때문에 이스라엘 북부 지역의 겨울철 강수량(800mm~1000mm)을 견딜 수 있다. 그러나 사막에 서식하는 아종은 계절에 따른 털 변화가 덜 뚜렷하다. 얼굴에는 눈부터 콧구멍까지 이어지는 뚜렷한 흰색 줄무늬 두 개가 있으며, 아래는 짙은 갈색 또는 검은색 가장자리로 경계를 이룬다. 코 바로 위 주둥이에는 검은 반점이 있다.[30][31][33]

3. 생태

산가젤은 주로 낮에 활동하지만, 사람의 활동으로 습성이 바뀐 지역에서는 보름달이 뜬 밤에도 풀을 뜯는다.[30] 새벽과 해질녘에 주로 활동하며, 더운 낮에는 휴식을 취한다.[31] 먹이는 서식지에 따라 다양한 풀, 식물, 관목 등이며, 특히 아카시아 잎과 새싹을 좋아한다. 물이 부족한 곳에서는 식물 뿌리 등으로 수분을 보충한다.[30]

3~8마리 정도의 작은 무리를 이루어 생활하며, 수컷은 자신의 영역을 지키고 암컷과 새끼는 함께 무리를 이루거나, 젊은 수컷들은 따로 무리를 짓기도 한다. 수컷들은 영역 다툼을 벌이는데, 때로는 심각한 부상을 입기도 한다.[34]

번식기는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이스라엘 사막에서는 연중 짝짓기가 가능하고 주로 봄과 가을에 새끼가 태어난다.[35] 암컷은 출산 전후로 무리를 떠나 혼자 지내며, 약 180일의 임신 기간을 거쳐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는 태어나자마자 걸을 수 있지만, 몇 주 동안은 어미의 보호를 받으며 자란다. 암컷은 1~2세, 수컷은 15~20개월이면 성적으로 성숙해지지만, 수컷은 3세 정도가 되어야 짝짓기를 한다.[30] 야생 수명은 8년, 포획 상태에서는 13년까지 살 수 있다.[30]

수컷과 암컷 모두 뿔을 가지고 있으며, 수컷의 뿔이 더 크다. 수컷은 17~29.5kg, 암컷은 16~25kg으로 수컷이 더 크다.[8] 최고 80km/h의 속도로 달릴 수 있다.[9]

3. 1. 행동 양식

산가젤은 주로 낮에 활동하는 주행성 동물이지만, 사람들의 활동 때문에 습성이 바뀐 지역에서는 보름달이 뜬 밤에 풀을 뜯기도 한다.[30] 보통 새벽과 해질녘에 풀을 뜯고 뜨거운 낮 시간에는 휴식을 취하지만,[31] 예멘 마리브 근처 고지대에서는 낮 시간에만, 호데이다 근처 평야에서는 일몰이나 밤에만 관찰되기도 한다.[30]

산가젤은 3~8마리, 또는 그 이상으로 작은 무리를 지어 생활한다. 사회 구조는 자신의 영역에서 일년 내내 지내면서 주로 땅 위에서 독거 생활을 하는 수컷과 한 마리 또는 그 이상의 암컷, 그리고 그들의 새끼, 아직 가족을 이루지 못한 수컷 무리로 이루어진 일시적이거나 상당히 영구적인 무리로 구성되어 있다. 수컷들은 영역을 통제하기 위해 서로 경쟁하지만, 두 이웃 사이의 경계 갈등은 폭력보다는 좀 더 의례적인 경쟁으로 이루어진다. 경쟁자들은 30cm 거리에 있을 때 정면으로 돌진하고 멈추는 일련의 모의 싸움을 벌인다.[31][32] 그러나 영역을 소유한 가젤과 장소를 빼앗으려는 젊은 상대 사이의 전투에서는 다리가 부러지는 등 심각한 부상을 입을 수도 있다.[34]

수컷들은 자신들의 영역과 그들 무리 안에서 풀을 뜯는 암컷들 뒤를 따른다. 암컷은 출산 며칠 전에 무리를 떠나 다음 두 달 동안 새끼와 함께 혼자 지낸다. 약 180일 동안의 임신 기간이 지나면 한 마리의 새끼가 태어나고, 태어나자마자 바로 걸을 수 있다. 처음 몇 주 동안 새끼는 눈을 뜨지 않은 채 은신처에서 가만히 누워 지낸다. 어미는 근처에서 풀을 뜯으며 새끼를 보호하고, 작은 포식자(여우)를 공격하거나 더 큰 포식자(자칼, 늑대)를 유인한다. 생후 3~6주가 되면 새끼는 어미와 함께 천천히 걷고 단단한 먹이를 먹기 시작한다. 모유 수유 기간은 3~4개월, 드물게는 더 오래 지속되기도 한다.[30] 암컷 새끼는 평생 어미와 함께 지낼 수 있지만, 수컷 새끼는 생후 6개월 정도가 지나면 모계 무리에서 떠나 젊은 수컷 무리에 합류한다.[31] 암컷은 한 살 또는 두 살이 되면 처음 출산을 할 수 있고, 수컷은 생후 15~20개월이면 성적으로 성숙해지며, 대략 3살 정도가 되면 자신의 영역을 차지하고 짝짓기를 한다. 기대 수명은 포획 상태에서 13년이지만 야생에서는 8년을 넘지 않는다.[30] 산가젤은 최고 80km/h의 속도로 달릴 수 있다.[9]

3. 2. 먹이

산가젤은 서식지에 자생하는 풀, 식물, 관목을 먹이로 삼지만, 일부 식물은 거의 버리지 않고 먹는다. 아라비아반도이스라엘에서는 아카시아나무 분포 지역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아카시아 잎과 새싹은 산가젤에게 매우 중요한 먹이가 된다. 뒷다리로 서서 앞다리로 나무 줄기를 지탱하고 아카시아 가지에 있는 잎과 새싹을 먹는다.[30]

물이 부족한 곳에서는 수액이 많은 식물의 알뿌리, 알줄기, 땅속 부분을 파내어 수분을 섭취한다.[30] 풀과 관목은 산가젤의 가장 흔한 먹이이며, 풀을 뜯는 것을 선호한다. 또한 낮은 가지와 어린 싹도 먹으며, 특히 아카시아 나무가 있는 곳에서 더욱 그렇다. 산가젤은 물 없이도 오랜 기간 생존할 수 있는데, 다육 식물과 이슬 방울에서 수분을 얻는다.[8]

3. 3. 사회 구조와 번식

산가젤은 보통 3~8마리씩 무리를 지어 생활한다. 수컷은 자신의 영역에서 일년 내내 홀로 생활하며, 암컷은 한 마리 이상, 그리고 새끼들과 함께 무리를 이루거나, 아직 가족을 이루지 못한 젊은 수컷들은 별도의 무리를 이룬다. 수컷들은 영역 다툼을 벌이는데, 이웃 간의 경계 갈등은 대개 의례적인 싸움으로 그치지만,[31][32] 영역을 차지하려는 젊은 수컷과의 싸움에서는 심각한 부상을 입기도 한다.[34]

수컷은 자신의 영역 안에서 풀을 뜯는 암컷들을 따라다닌다. 이스라엘 사막의 아카시아가젤(''G. g. Acaciae'')은 연중 짝짓기가 가능하지만, 주로 봄(3~5월)과 가을(10월)에 새끼가 태어난다. 그러나 가을에 태어난 새끼는 대부분 곧 죽으며, 더운 여름과 추운 겨울에는 새끼를 거의 낳지 않는다.[35] 오만에서는 일 년에 두 번 번식하기도 한다.[36] 반면 팔레스타인산가젤(''G. g. Gazella'')의 북부 개체군은 4~6월에 새끼를 낳으며, 대개 일 년에 한 번만 출산한다.[30]

암컷은 출산 며칠 전 무리를 떠나 약 두 달 동안 새끼와 단둘이 지낸다. 약 180일의 임신 기간 후, 보통 한 마리의 새끼가 태어나자마자 걸을 수 있다. 처음 몇 주 동안 새끼는 은신처에 누워 지내고, 어미는 근처에서 풀을 뜯으며 여우 같은 작은 포식자를 공격하거나 자칼, 늑대 등 큰 포식자를 유인한다. 3~6주 후, 새끼는 어미와 함께 걷고 단단한 먹이를 먹기 시작하며, 3~4개월간 젖을 먹는다.[30] 암컷 새끼는 평생 어미와 함께 지내지만, 수컷 새끼는 6개월쯤 지나면 젊은 수컷 무리에 합류한다.[31] 암컷은 한두 살, 수컷은 15~20개월이면 성적으로 성숙해지지만, 수컷은 대략 세 살이 되어야 영역을 차지하고 짝짓기를 한다. 야생에서의 기대 수명은 8년을 넘기 힘들지만, 포획 상태에서는 13년까지 살 수 있다.[30]

3. 4. 수명

산가젤의 기대 수명은 야생에서 8년을 넘지 않지만, 포획 상태에서는 최대 13년까지 살 수 있다.[30] 적절한 관리를 받는다면 사육 상태에서 최대 15년까지도 살 수 있다.[15]

4. 분포 및 서식지

산가젤은 주로 낮은 산악 지대에 서식하며, 접근하기 어려운 지형에서도 발견되지만 바위가 많은 토양은 피한다. 평원, 구릉 지대, 산 사이의 계곡, 삼림 지역 등을 선호하며,[30][31] 아라비아반도에서는 험준한 산악과 구릉 지대에서 주로 서식한다.[40] 특이하게도 진짜 사막이나 모래 언덕 사이에서도 발견되기도 한다.[28] 극한의 기후 조건에도 잘 적응하여, 정오 기온이 45°C까지 올라가는 요르단 계곡, 네거브 사막, 네푸드 사막, 도파르 사막과 같은 건조한 지역에서도 발견된다.[30]

건조하고 메마른 환경에 적응한 가젤은 섭취하는 식물에서 수분을 얻지만, 물 없이 오래 버티지는 못한다. 주로 산, 언덕, 계곡의 평평한 꼭대기나 능선에서 시간을 보내며, 연평균 기온 21°C~23°C에 적응하여 더위를 피해 바람이 잘 통하는 높은 곳에서 잠을 잔다. 해 질 녘이나 해 뜰 녘에는 숲, 들판, 바위 고원 등에서 먹이를 찾는다.[8]

도르카스가젤과 비교했을 때, 산가젤은 고지대를 선호하여 덥고 건조한 환경에 덜 적응한 것으로 보인다. 홀로세 후기 기후 온난화 시기에 영양의 일종인 도르카스가젤이 일부 서식지에서 산가젤보다 경쟁 우위를 점하기도 했다.

4. 1. 분포 지역

산가젤은 한때 아라비아반도 전역뿐만 아니라 이집트, 요르단, 레바논, 시리아까지 널리 분포했지만, 오늘날은 수많은 지역에서 완전히 사라졌다.[30] 현재는 홍해 해안가와 사우디 아라비아 아시르 산악 지역,[37][38] 사우디 아라비아 남서부 해안 근처 홍해에 위치하고 있는 파라산 제도,[28] 예멘오만,[36] 아랍에미리트 해안과 산악 지대에 아직 서식하고 있다.[39] 페르시아만이란 파루르섬에 살고 있는 가젤도 산가젤에 속한다. 이스라엘에는 2종의 다른 아종이 분포한다. 팔레스타인산가젤(''G. g. gazella'')은 팔레스타인 북부 구릉 지대와 산악 지역에 서식하고 아라바가젤(''G. g. acaciae'')은 아라바 계곡(네거브) 사막 지대에 아주 일부가 남아 있다.[30]

역사적으로 레반트 지역에 분포했던 산가젤은 현재 이스라엘에 가장 많이 서식하며, 팔레스타인의 서안 지구, 골란 고원, 터키에도 존재한다.[20][10] 작은 고립된 개체군은 요르단,[11] 가자 지구 일부에서도 발견되며, 레바논, 이집트, 골란 고원 외 지역의 시리아에도 존재할 수 있지만 (가능성은 낮음) 보고된 바는 없다.[2]

산가젤은 이스라엘 법에 따라 멸종 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으며, 이스라엘은 레반트 지역에서 이 종의 "마지막 보루"로 묘사된다.[7]

최근의 국가별 개체수 추정 및 서식지는 다음과 같다.

산가젤의 국가별 개체수 추정 및 서식지
국가개체수세부 정보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자치 지역 및 골란 고원5,000약 3,000마리의 가젤 개체군은 나프탈리, 야브니엘, 라모트 이사카르, 길보아 산, 동부 갈릴리, 골란 고원에 서식한다. 약 850마리의 또 다른 개체군은 유대 언덕과 예루살렘 지역에 서식한다. 일련의 더 작은 개체군은 이스라엘과 서안 지구의 지중해 지역, 그리고 사해 근처에 서식한다.[20] 가끔 가자 지구에서 목격되기도 한다.[12]
요르단존재; 개체수 미상소수의 산가젤이 야르무크와 요르단 강 근처에서 관찰되었지만, 개체수는 수십 년 동안 감소했으며 마지막으로 확인된 목격은 2015년이었다.[11]
터키1,331터키의 산가젤 개체군은 시리아 국경에 위치한 하타이 주의 크리크한 지역에 서식한다. 2009년 150마리에서 2020년에는 1,140마리 이상으로, 2023년에는 1331마리로 개체수가 증가했다.[13][10][14]


4. 2. 서식 환경

산가젤은 낮은 산악 지대에 서식하며, 때로는 접근하기 어려운 지형에서도 살지만 바위가 많은 토양은 피한다. 평원, 구릉 지대, 산 사이의 계곡 또는 삼림 지역을 좋아하며,[30][31] 진짜 사막과 모래 언덕에서도 발견되기도 한다.[28] 아라비아 반도에서는 보통 험준한 산악과 구릉 지대가 많은 지역에서 서식한다.[40]

산가젤은 극한의 기후 조건을 견딜 수 있다. 정오 기온이 45°C에 달하는 건조한 요르단 계곡과 네거브 사막, 네푸드 사막, 도파르 사막에서도 발견된다.[30]

가젤은 건조하고 메마른 환경에 적응했다.[2] 섭취하는 식물을 통해 많은 수분을 얻지만, 물 없이 오래 버틸 수는 없다. 산, 언덕, 계곡의 평평한 꼭대기와 능선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낸다. 연평균 기온 21°C–23°C에 적응한 가젤은 하루의 더위를 피하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높은 지역에서 잠자기를 선호한다. 해 질 녘과 해 뜰 녘 무렵에는 가젤이 가벼운 숲, 들판 또는 바위가 많은 고원을 조심스럽게 다니며 먹이를 찾는 모습을 볼 수 있다.[8]

고지대를 선호하는 점을 고려할 때, 가젤은 도르카스가젤과 같은 다른 굽있는동물보다 덥고 건조한 환경에 덜 적응한 것으로 보인다. 이 작은 영양홀로세 후기, 기후 온난화 기간 동안 서식지 일부 지역에서 산가젤보다 경쟁 우위를 차지한 것으로 보인다.

5. 아종

(아카시아가젤)G. g. acaciaeMendelssohn, Groves & Shalmon, 1997이스라엘 남부아라비아산가젤G. g. coraC. H. Smith, 1827아라비아반도파루르가젤G. g. darehshouriiKarami & Groves, 1993이란 파루르섬노이만가젤G. g. erlangeriNeumann, 1906예멘[29]파라산섬가젤G. g. farasaniThoulless and Al Basari, 1991파라산제도무스카트가젤G. g. muscatensisBrooke, 1874오만


6. 역사

산가젤은 후기 플라이스토세 동안 여러 차례 크기 변화를 겪었다. 초기 및 중기 후기 구석기 시대에는 가장 작았고, 전기 후기 구석기 시대에 가장 컸다. 이후 크기가 약간 줄어들다가 중기 무토기 신석기 시대에 안정되었다. 초기와 후기 나투프 문화 시대에 인간의 사냥과 정착 생활로 가젤 개체 수가 감소하면서 평균 체격이 커졌을 수 있다. 이후, 농업으로 식량과 물 공급이 안정되고 가젤이 인간과 가축을 피하면서 개체 수가 줄고 종내 경쟁이 완화되어 개별 동물이 더 크게 성장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7]

2024년 4월, 다리가 여섯 개인(다지증) 이스라엘 산가젤이 나할 하베소르 강둑을 따라 목격되었다.[19]

6. 1. 개체 수 변동

20세기 초, 무분별한 총기 사냥으로 산가젤 개체 수가 급감했다.[20] 1948년까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자치구의 개체 수는 약 500마리였다.[20] 1950년대 이스라엘은 1955년 야생 동물법에 따라 산가젤을 보호하기 시작했다. 농업 확산과 포식자 제거 등의 영향으로 1980년대까지 개체 수가 약 10,000마리로 증가했다.[20]

그러나 1980년대 중반, 남부 골란 고원과 라마트 이사카르에서 구제역이 발생하여 약 3,500마리의 가젤이 사망했다.[20] 이후 포식자의 귀환, 밀렵, 차량 사고 등의 요인이 겹쳐 2001년까지 개체 수는 약 3,000마리로 감소했다.[20]

이스라엘은 향후 구제역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골란 고원에 암컷 개체 수를 1,000마리로, 라마트 이사카르에 700마리로 안정화하는 계획을 수립했다.[18] 2020년 현재, 이스라엘 자연 공원 관리청 등은 이스라엘 전국에 약 5,000마리의 가젤이 서식하며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고 기록했다.[20]

산가젤 국가별 개체 수 현황
국가개체수세부 정보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자치 지역 및 골란 고원5,000약 3,000마리의 가젤 개체군은 나프탈리, 야브니엘, 라모트 이사카르, 길보아 산; 동부 갈릴리, 골란 고원에 서식한다. 약 850마리의 또 다른 개체군은 유대 언덕과 예루살렘 지역에 서식한다. 일련의 더 작은 개체군은 이스라엘과 서안 지구의 지중해 지역, 그리고 사해 근처에 서식한다.[20] 가끔 가자 지구에서 목격되기도 한다.[12]
요르단존재; 개체수 미상소수의 산가젤이 야르무크와 요르단 강 근처에서 관찰되었지만, 개체수는 수십 년 동안 감소했으며 마지막으로 확인된 목격은 2015년이었다.[11]
터키1,331터키의 산가젤 개체군은 시리아 국경에 위치한 하타이 주의 크리크한 지역에 서식한다. 2009년 150마리에서 2020년에는 1,140마리 이상으로, 2023년에는 1331마리로 개체수가 증가했다.[13][10][14]


7. 위협 및 보존

산가젤은 여러 위협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를 보존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산가젤은 1955년 이스라엘에서 사냥이 불법화되었으나 여전히 불법 포획이 이루어지고 있다. 주요 위협 요인으로는 서식지 파괴, 서식지 단편화, 자동차 충돌, 들개황금자칼 등의 포식, 서안 지구 분리 장벽 건설로 인한 서식지 분리 등이 있다.[20][21][22]

이에 대응하여 기존 개체군 및 개체군 재건, 서식지 개발 승인 취소, 법의학적 식별 연구, 가젤 밸리와 같은 보호 구역 조성 등의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23][24][25]

7. 1. 위협 요인

산가젤은 1955년 이스라엘에서 사냥이 금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019년 기준으로 연간 300~1300마리가 불법 포획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20]

산가젤의 서식지가 도시화되면서 개체 수에 대한 여러 위협이 발생하고 있다. 서식지 파괴, 서식지 단편화, 자동차와의 충돌은 모두 산가젤에게 가해지는 인위적인 위협이다.[20] 인간의 간섭이 심한 지역에서 가젤은 들개의 포식에 직면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개체군의 충원률을 낮춘다. 황금자칼은 역사적으로 가젤의 포식자였으며, 이스라엘 중부 브리타니아 공원에서 황금자칼의 식단을 연구한 결과, 유제류가 자칼 식단의 70%를 차지했으며, 이 중 유제류 생물량의 14%가 가젤이었다.[21] 가젤은 또한 화재 위험을 줄이기 위해 소 방목이 사용되는 지역에서 황금자칼과 멧돼지로부터 더 쉽게 포식당할 수 있다.[22]

현재 진행 중인 보존 노력에는 기존 개체군 보호 및 가젤 개체군 재건이 포함된다. 2008년 이스라엘 대법원은 ''Gazella gazella gazella''가 대법원 소송의 청원인으로 등재된 주요 서식지에 대한 주택 개발 승인을 뒤집었다.[23] 산가젤과 그 근연종인 도르카스 가젤 및 아카시아 가젤에 대한 추가 연구를 통해 야생 동물 법의학 과학자와 법 집행 기관이 야생 동물 보호법을 시행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가젤의 법의학적 식별이 가능해지고 있다.[24] 예루살렘의 가젤 밸리에 12마리의 산가젤이 방사되었으며, 이곳에서 개체수는 3마리에서 25헥타르의 울타리가 쳐진 공원 구역 내 약 80마리로 회복되었으며, 이 구역에서는 포식자와 자동차 충돌로부터 보호받고 있다.[25]

이스라엘이 2000년부터 2005년 사이에 건설한 서안 지구 분리 장벽은 양쪽의 많은 토착 종의 개체군을 분리하여 큰 생태적 난제를 제기한다. 산가젤이 그 중 하나이다.[20]

7. 2. 보존 노력

산가젤은 식용으로 사냥되었으나, 1955년 이스라엘에서 산가젤 사냥이 불법화되었다. 2019년 추산에 따르면 연간 300~1300마리의 가젤이 불법 포획될 가능성이 있다.[20]

산가젤의 서식지가 점점 도시화되면서 서식지 파괴, 서식지 단편화, 자동차와의 충돌과 같은 위협으로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20] 인간의 간섭이 심한 지역에서 가젤은 들개의 포식에 직면하여 개체군의 충원률이 낮아진다. 황금자칼은 역사적으로 가젤의 포식자였으며, 이스라엘 중부 브리타니아 공원에서 황금자칼의 식단을 연구한 결과, 유제류가 자칼 식단의 70%를 차지했으며, 이 중 유제류 생물량의 14%가 가젤이었다.[21] 가젤은 화재 위험을 줄이기 위해 소 방목이 사용되는 지역에서 황금자칼과 멧돼지로부터 더 쉽게 포식당할 수 있다.[22]

현재 진행 중인 보존 노력에는 기존 개체군 보호 및 가젤 개체군 재건이 포함된다. 2008년 이스라엘 대법원은 ''Gazella gazella gazella''가 대법원 소송의 청원인으로 등재된 주요 서식지에 대한 주택 개발 승인을 뒤집었다.[23] 산가젤과 그 근연종인 도르카스 가젤 및 아카시아 가젤에 대한 추가 연구를 통해 야생 동물 법의학 과학자와 법 집행 기관이 야생 동물 보호법을 시행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가젤의 법의학적 식별이 가능해지고 있다.[24] 예루살렘의 가젤 밸리에 12마리의 산가젤이 방사되었으며, 이곳에서 개체수는 3마리에서 25ha의 울타리가 쳐진 공원 구역 내 약 80마리로 회복되었으며, 이 구역에서는 포식자와 자동차 충돌로부터 보호받고 있다.[25]

이스라엘이 2000년부터 2005년 사이에 건설한 서안 지구 분리 장벽은 양쪽의 많은 토착 종의 개체군을 분리하여 큰 생태적 난제를 제기한다. 산가젤이 그 중 하나이다.[20]

참조

[1] MSW3
[2] 간행물 "''Gazella gazella''" 2021-11-11
[3] 서적 Bovids of the World: Antelopes, Gazelles, Cattle, Goats, Sheep, and Relative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9-10-06
[4] 서적 Antelopes: North Africa, the Middle East, and Asia https://books.google[...] IUCN 2019-10-06
[5] 웹사이트 Palestine mountain gazelle now endangered, say scientists http://www.theguardi[...] 2022-07-23
[6] 웹사이트 The story of gazelles in Jerusalem and what I want for them… – Kaitholil.com http://kaitholil.com[...] 2019-01-11
[7] 뉴스 Six-legged gazelle born with rare genetic defect spotted in Israel's south https://www.timesofi[...] 2024-04-08
[8] 웹사이트 Gazella gazella mountain gazelle http://animaldiversi[...] 2018-04-09
[9] 웹사이트 Gazella gazella http://animaldiversi[...] 2011-08-22
[10] 학술지 The status and distribution of Gazella gazella (Artiodactyla: Mammalia), and other mammals of the Hatay province in southern Turkey https://brill.com/vi[...] 2017-02-07
[11] 학술지 Wild ungulates in Jordan: past, present, and forthcoming opportunities https://threatenedta[...] 2021-08-27
[12] 문서 The mammalian, reptilian and amphibian fauna of Al-Mawasi ecosystem, south-western Gaza Strip-Palestine 2019
[13] 웹사이트 Vulnerable mountain gazelle population continues to grow in southern Turkey's Hatay https://www.dailysab[...] 2023-08-02
[14] 학술지 Helminths of captive and free-ranging populations of the mountain gazelle ( Gazella gazella ): Evidence from faecal examination 2024
[15] 학술지 NOTES ON THE POPULATION STRUCTURE AND BIOMASS OF THE MOUNTAIN GAZELLE, GAZELLA GAZELLA GAZELLA https://www.tandfonl[...] 1974-01
[16] 웹사이트 Mountain gazelle (Gazella gazella) https://www.arkive.o[...] 2018-04-30
[17] 학술지 Revisiting Late Pleistocene-Early Holocene mountain gazelle (Gazella gazella) body size change in the southern Levant: A case for anthropogenic impact 2022-08-31
[18] PDF Mountain gazelle management in northern Israel in relation to wildlife disease control http://www.oie.int/d[...]
[19] 웹사이트 Mountain gazelle https://www.jerusale[...] 2024-04-09
[20] 학술지 The plight of the Endangered mountain gazelle Gazella gazella 2021-09
[21] 학술지 Diet Composition of Golden Jackals in Israel http://www.bioone.or[...] 2011-04
[22] 학술지 Cattle grazing effects on mountain gazelles in Mediterranean natural landscapes: Indirect Grazing Effects on Gazelles https://onlinelibrar[...] 2017-11
[23] 학술지 Finding Safe Passage through a Wave of Extinctions: Israel's Endangered Mountain Gazelle
[24] 학술지 Before they are gone - improving gazelle protection using wildlife forensic genetics
[25] 웹사이트 Endangered gazelles spring back in Jerusalem park https://phys.org/new[...] 2023-03-14
[26] 웹사이트 ADW: Gazella gazella: INFORMATION http://animaldiversi[...]
[27] 간행물 "''Gazella cuvieri''" 2021-11-11
[28] 간행물 Gazella gazella https://dx.doi.org/1[...] 2017
[29] MSW3
[30] 문서 Gazella gazelle 1995
[31] 웹사이트 Animal Diversity Web http://animaldiversi[...] 2006-05
[32] 서적 The New Encyclopedia of Mammals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2001
[33] 웹사이트 Arabian Wildlife https://web.archive.[...] 2006-05
[34] 문서 Acacia gazelle increases with habitat improvement 2000
[35] 문서 Births and mortality of young in Gazella gazella in various seasons 2003
[36] 서적 Mammals of Arabia Ernest Benn 1968
[37] 간행물 Wildlif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in Saudi Arabia. Proceedings of the First Symposium, Riayadh 1987 National Commission for Wildlif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NCWCD) 1989
[38] 논문 The taxanomic status of the Farasan Island gazelle 1991
[39] 서적 Mammals of the southern Gulf Motivate Publishing 1987
[40] 간행물 Arabian gazelles National Commission for Wildlif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199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