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티아고 (필리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티아고는 필리핀 이사벨라 주에 위치한 도시로, 1743년 설립되어 카가얀 밸리의 상업 및 무역 중심지 역할을 한다. 가당족과 이바낙족이 초기 거주민이었으며, 스페인 식민지 시대와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성장을 거듭했다. 1994년 독립 구성 도시가 되었으나, 1999년 대법원 판결로 독립 도시 지위를 회복했다. 현재는 여러 사업체, 금융 기관, 교육 기관, 제조 회사가 위치한 곳으로, 농업 또한 중요한 경제 활동이다. 다양한 축제와 관광 명소가 있으며, 필리핀 북동부 루손 지역으로 들어가는 관문 역할을 한다.

2. 역사

카리그(Carig)는 1743년 현재의 이사벨라주와 누에바 비스카야주 사이의 달라야그산(mount Dalayag) 기슭에 처음 설립되었다. 몇 년 후, 현재 위치에서 15km 떨어진 곳으로 이전되었다. 카리그는 또한 스페인인들이 현재의 이푸가오주키리노주에서 정복되지 않은 부족들을 상대로 원정을 벌이고, 누에바비스카야주로 가는 산길을 지키기 위해 설치한 군사 기지의 장소이기도 했다.[6]

초기 거주민은 가당과 이바낙이었다. 1583년 랄로를 수도로 하여 카가얀주(전체 카가얀 밸리 지역 포함)가 정치적 하위 구역으로 재편되면서 산티아고는 원래 카가얀주의 일부였다.

1839년 누에바 비스카야주가 설립되면서 산티아고는 이 주의 일부가 되었고, 1856년 5월 1일 이사벨라주가 왕령으로 분리되면서 산티아고는 새로 설립된 주에 속하게 되었다. 1927년 지적 조사 이후 처음 5개의 바리오(barrio)는 파툴, 바탈, 나브완, 부에나비스타, 두비난이었다.

1917년 당시 산티아고에는 필리핀인이 소유한 사리사리 상점(소규모 잡화점)이 3개 정도밖에 없었다. 카가얀강과 가까운 에차게에 있는 중국 상인들이 산티아고와 다른 마을로 가는 상품의 상륙 지점이었기 때문에, 정착민들은 대부분의 상품과 물품을 그곳에서 조달했다.

빌라베르데 트레일이 개통되면서 루손섬의 여러 주에서 카가얀 밸리로 이민자들이 유입되었고, 산티아고는 이들을 많이 흡수했다. 이 새로운 경로는 성장의 원동력이 되었고, 새로운 기술과 사업 기회를 도입하여 산티아고를 서로 다른 문화의 용광로로 만들었다.

1942년 제2차 세계 대전일본군이 산티아고를 점령했다. 1945년, 필리핀 연방 육군 제1, 2, 12, 13, 15 보병 사단과 USAFIP-NL 제11 보병 연대, 필리핀 헌병대 제1 헌병 연대, 그리고 인정된 게릴라 부대가 이 도시를 해방했다. 산티아고는 전쟁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지만, 이후 카가얀 밸리의 주요 무역 및 상업 도시로 발전했다.

2. 1. 어원

산티아고는 옛 카리그강(현재 디아디강) 기슭에 있던 원주민 정착지였으며, 그곳에서 원래 이름인 카리그가 유래되었다. 스페인 사람들이 정착했을 때, 이곳은 푸에블로 데 산티아고 아포스톨 데 카리그(Pueblo of Santiago Apostol de Carig)로 명명되었으며, 산티아고는 사도 야고보의 스페인식 이름이었다. 1950년대 초, 지방자치단체장인 비센테 카레온(Vicente Carreon)은 이름을 간단히 산티아고로 변경했다.[1]

2. 2. 초기 역사

산티아고의 초기 거주민은 가당과 이바낙이었다.[6]

1583년 누에바 세고비아(현재의 랄로)를 수도로 하여 카가얀주(전체 카가얀 밸리 지역을 포함)가 정치적 하위 구역으로 재편되면서 산티아고는 원래 카가얀주의 일부였다.[6]

카리그(Carig)는 1743년 현재의 이사벨라주와 누에바 비스카야주 사이의 달라야그산(mount Dalayag) 기슭에 처음 설립되었다. 몇 년 후, 현재 위치에서 15km 떨어진 곳으로 이전되었다. 카리그는 또한 스페인인들이 현재의 이푸가오주와 키리노주에서 정복되지 않은 부족들을 상대로 원정을 벌이고, 누에바 비스카야로 가는 산길을 지키기 위해 설치한 군사 기지의 장소이기도 했다.[6]

2. 3. 스페인 식민지 시대

산티아고의 초기 거주민은 가당과 이바낙이었다.[6] 1583년 누에바 세고비아(현재의 랄로)를 수도로 하여 카가얀주(전체 카가얀 밸리 지역을 포함)의 일부로 정치적 하위 구역으로 재편되었다.[6]

1839년 누에바 비스카야주가 설립되면서 산티아고는 이 주의 일부가 되었고,[6] 1856년 5월 1일 이사벨라주가 왕령으로 분리되면서 산티아고는 새로 설립된 주에 속하게 되었다.[6] 1927년 지적 조사 이후 처음 5개의 바리오(barrio)는 파툴, 바탈, 나브완, 부에나비스타, 두비난이었다.[6]

1917년 당시 산티아고에는 필리핀인이 소유한 사리사리 상점(소규모 잡화점)이 3개 정도밖에 없었다.[6] 카가얀강과 가까운 에차게에 있는 중국 상인들이 산티아고와 다른 마을로 가는 상품의 상륙 지점이었기 때문에, 정착민들은 대부분의 상품과 물품을 그곳에서 조달했다.[6]

빌라베르데 트레일(Villaverde Trail)이 개통되면서 루손섬의 여러 주에서 카가얀 밸리로 이민자들이 유입되었고, 산티아고는 이들을 많이 흡수했다.[6] 이 새로운 경로는 성장의 원동력이 되었고, 새로운 기술과 사업 기회를 도입하여 산티아고를 서로 다른 문화의 용광로로 만들었다.[6]

2. 4. 제2차 세계 대전

1942년 제2차 세계 대전일본군이 산티아고를 점령했다.[6] 1945년, 필리핀 연방 육군 제1, 2, 12, 13, 15 보병 사단과 USAFIP-NL 제11 보병 연대, 필리핀 헌병대 제1 헌병 연대, 그리고 인정된 게릴라 부대가 이 도시를 해방했다.[6] 산티아고는 전쟁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지만, 이후 카가얀 밸리의 주요 무역 및 상업 도시로 발전했다.[6]

2. 5. 독립 구성 도시

1993년 12월 17일, 당시 시장 호세 "펨페" 미란다의 주도로 산티아고를 독립 구성 도시로 전환하는 법안이 하원을 통과했다. 1994년 2월 23일, 상원 지방 정부 위원회는 또 다른 공청회를 승인했다.[7]

1994년 5월 5일, 피델 V. 라모스 대통령은 공화국 법 7720호에 서명했다. 1994년 7월 6일에 실시된 국민투표에서 유권자들은 이 전환에 찬성하여 산티아고를 카가얀 계곡 최초의 도시이자 코타바토 시, 다구판, 나가, 오르모크에 이어 5번째 독립 구성 도시로 만들었다.[7]

1998년 2월 14일, 공화국 법 8528호는 이 법령을 폐지하여 산티아고를 구성 도시로 변경했으나,[8] 1999년 12월 29일, 필리핀 대법원은 이 법을 무효화하고 산티아고의 독립 도시 지위를 회복시켰다.[8]

제13대 국회에서, 이사벨라주 제4선거구의 안토니 C. 미란다 하원 의원은 공화국 법 7720호의 특정 조항을 개정하려는 하원 법안 제3709호를 제출했지만 통과되지 못했다.[9]

3. 지리

산티아고는 필리핀 이사벨라 주에 위치한 도시로, 다양한 지리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북위 16º35’00”에서 16º47’30”, 동경 121º25’00”에서 121º37’00” 사이에 위치하며, 시에라 마드레 산맥과 코르디예라 산맥 사이에 있는 카가얀 계곡의 광활한 지역에 자리 잡고 있다. 도시의 80%는 평평하거나 거의 평평한 지형이며, 마갓 강이 흐른다.[25]

3. 1. 위치 및 지형

산티아고는 도시 북서부, 동부 및 서부 지역의 80%가 평평하거나 거의 평평한 지형이다. 인접 지역은 완만한 기복과 구릉이 있으며, 나머지 지역은 가파른 기복과 구릉 지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리욱 언덕은 도시에서 가장 높은 지점이다.

산티아고는 주도인 일라간에서 남쪽으로 72km, 메트로 마닐라에서는 북쪽으로 326km 떨어져 있다. 이 도시는 카가얀 계곡의 광활한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남쪽으로는 나맘파랑 산맥, 동쪽으로는 시에라 마드레 산맥, 서쪽으로는 코르디예라 산맥과 인접해 있고, 마갓 강이 흐른다.

산티아고는 북위 16º35’00”에서 16º47’30”, 동경 121º25’00”에서 121º37’00” 사이에 위치해 있다.

3. 2. 기후

산티아고는 뚜렷한 건기나 우기가 없는 기후를 보인다. 일반적으로 이 도시는 강수량이 최소화된 상당히 건조한 기후를 보인다. 연평균 기온은 24.9°C로 측정된다. 연간 및 일일 기온 변동은 미미하다. 기온 범위는 일반적으로 18°C에서 35°C 사이이다.[25]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27°C27°C29°C28°C27°C25°C26°C27°C31°C29°C27°C27°C
평균 최저 기온 (℃)20°C20°C21°C20°C21°C20°C21°C22°C23°C23°C21°C21°C
평균 강수량 (mm)162mm156mm90mm60mm144mm201mm159mm108mm111mm237mm276mm171mm
평균 강수일141211111619161416181815

[10]

3. 3. 행정 구역

산티아고는 37개의 바랑가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바랑가이는 푸로크로 구성되어 있고 일부는 시티오를 가지고 있다.[1]

바랑가이2020년 인구2015년 인구
아브라1,7561,580
암발라투간1,5471,376
발린토카톡 (다리우크)3,7773,598
발루아르테5,2254,282
반나와그 노르테1,4361,177
바탈8,4617,994
부에나비스타 (시티오 카루부코드)4,0103,776
카불라이3,3203,452
칼라오 이스트 (포블라시온)3,2594,111
칼라오 웨스트 (포블라시온)1,4111,024
칼라오칸 (탈라브)6,4966,176
빌라 곤자가 (카라렛)1,7231,619
센트럴 이스트 (포블라시온)1,2231,823
센트럴 웨스트 (포블라시온)1,1852,375
디비소리아 (란타란)4,3734,372
두비난 이스트1,8882,485
두비난 웨스트3,1033,312
루나 (팔라시안)1,1001,003
마비니6,2237,724
말바르3,5083,305
나부안3,4173,040
나가시칸5,5605,379
파툴5,4594,621
플라리델 (둘릿)6,2456,531
리잘13,80312,709
로사리오 (파크레트)11,44111,364
사가나 (카미누리안)4,4733,667
살바도르 (카파야칸)1,9911,687
산 안드레스1,7471,371
산 이시드로1,050848
산 호세 (마퉁가-퉁가오)1,1951,032
시닐리 (카실리한)1,4091,335
신사욘3,1723,246
산타 로사 (마루보-루보)703605
빅토리아 노르테4,7075,055
빅토리아 수르2,3482,166
비야시스1,0261,584


4. 인구

산티아고 시의 인구는 2020년 기준으로 148,580명이다.[1][2][3] 1918년 5,596명에서 꾸준히 증가하였으나, 1939년에서 1948년 사이에는 인구가 감소하기도 하였다.

4. 1. 인구 통계

산티아고 시의 인구
연도인구±% p.a.
19185,596
193934,154+9.17%
194822,550-4.18%
196041,985+5.28%
197049,688+1.70%
197559,247+3.59%
198069,877+3.31%
199090,787+2.66%
199598,542+1.56%
2000110,531+2.53%
2007126,244+1.85%
2010132,804+1.86%
2015140,712+1.13%
2020148,580+1.09%
출처: 필리핀 통계청[1][2][3]


4. 2. 종교

산티아고 시의 주 종교는 로마 가톨릭이다. 바랑가이 센트로 웨스트의 성 야고보 사도 본당과 바랑가이 리잘의 성 프란치스코 아시시 본당이 있다. 예수 그리스도 교회, 연합 감리 교회, 그리스도의 오순절 선교 교회(제4시계), 예수는 주 교회, 크라이스트 더 록 교회,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와 같은 다른 기독교 종파도 산티아고에 존재한다. 인도인, 무슬림, 중국인 등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여, 중국 사찰, 이슬람 사원, 구루드와라 자갓 수다르 인도 시크 사원과 같은 종교 시설도 대중에게 공개되어 있다.

5. 경제

산티아고는 필리핀 카가얀 계곡 지역의 상업 및 무역 중심지이자 북부의 투자 허브로 지정되었다.[11] 2016년 도시 경쟁력 지수에 따르면 필리핀 전체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지역 경제이며, 전국 모든 도시 중 경제 규모 51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 도시에는 데 베라 의료 센터, 칼랑 종합 병원 및 의료 센터, 산티아고 어드벤티스트 병원 등 사립 병원과 서던 이사벨라 의료 센터(가장 큰 공립 병원), 플로레스 기념 병원 및 의료 센터(가장 오래된 병원) 등 이 지역에서 가장 큰 병원들이 있다. 또한 폐 및 정형외과 관련 전문 병원인 렌마 전문 병원과 산티아고 메디컬 시티도 있다. 이 도시의 위치는 렌마 병원 및 코라도 병원과 같은 소규모 병원의 성장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5. 1. 상업 및 무역

산티아고는 여러 사업체, 금융 기관, 교육 기관 및 제조 회사의 본거지로, 카가얀 계곡의 상업 및 무역 중심지로 여겨지며 북부의 투자 허브로 지정되었다.[11]

2020년 5월 현재 로빈슨 플레이스 산티아고


로빈슨 랜드 코퍼레이션은 카가얀 계곡 최초의 쇼핑몰인 로빈슨 플레이스 산티아고를 개장했다. 비스타 랜드 앤 라이프스케이프는 카멜라 이사벨라 커뮤니티스와 함께 계곡에 첫 번째 수평형 주택 단지를 건설했다. 2013년에는 카멜라 산티아고라는 이름의 또 다른 프로젝트를 시작했고, 2018년에는 확장되어 카멜라 산티아고 트레일스로 명명되었다. 카가얀 계곡 지역에는 플래그십 쇼핑몰인 비스타 몰 산티아고를 건설하고 있다. 또 다른 다국적 부동산 개발업체가 곧 프라임월드 랜드 홀딩스가 소유한 고급 주택 단지인 프라임월드 서브버브를 건설할 예정이다.

이 지역에서 가장 큰 토착 기업인 그룹 마릴렌스의 본사는 산티아고에 있다. 농화학 회사인 알제이는 이 도시에 진출해 있으며, 가금류 및 돼지 사료에 사용되는 농화학 제품, 비료 및 사료를 생산하는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 공장은 이 지역 유일의 비료 및 농화학 제품 제조 공장이다.

필리핀에서 가장 큰 3개의 TV 네트워크(예: ABS-CBN, GMA7, TV5)가 이 도시에 지역 네트워크와 중계소를 두고 있다. 산 미구엘사, 펩시 콜라, 퓨어푸드, 디지털 텔레커뮤니케이션스 필립스, PLDT도 이 도시에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5. 2. 산업

산티아고는 카가얀 계곡의 상업 및 무역 중심지이자 북부의 투자 허브로, 여러 사업체, 금융 기관, 교육 기관 및 제조 회사의 본거지이다.[11]

로빈슨 랜드 코퍼레이션은 카가얀 계곡 최초의 쇼핑몰인 로빈슨 플레이스 산티아고를 개장했다. 비스타 랜드 앤 라이프스케이프는 카멜라 이사벨라 커뮤니티스와 함께 계곡에 첫 번째 수평형 주택 단지를 건설했고, 2013년에는 카멜라 산티아고라는 또 다른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2018년에는 카멜라 산티아고가 확장되어 카멜라 산티아고 트레일스로 명명되었다. 카가얀 계곡 지역에 플래그십 쇼핑몰인 비스타 몰 산티아고를 건설하고 있다. 또 다른 다국적 부동산 개발업체가 곧 프라임월드 랜드 홀딩스가 소유한 고급 주택 단지인 프라임월드 서브버브를 건설할 예정이다.

이 지역에서 가장 큰 토착 기업인 그룹 마릴렌스의 본사가 산티아고에 있다. 농화학 회사인 알제이는 이 도시에 진출해 있으며, 가금류 및 돼지 사료에 사용되는 농화학 제품, 비료 및 사료를 생산하는 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 지역 유일의 비료 및 농화학 제품 제조 공장이다.

ABS-CBN, GMA7, TV5와 같은 필리핀의 가장 큰 3개의 TV 네트워크가 이 도시에 지역 네트워크와 중계소를 두고 있다. 산 미구엘사(San Miguel Corp.), 펩시 콜라, 퓨어푸드, 디지털 텔레커뮤니케이션스 필립스, PLDT도 이 도시에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급속한 산업화에도 불구하고 농업은 여전히 주요 생계 수단이다. 주요 작물은 쌀, 옥수수, 고부가가치 과일 및 채소이다. 이 도시에는 웅장한 곡물 보관소가 있으며, 제분소가 많다. 이곳은 이푸가오, 칼링가, 퀴리노, 누에바 비스카야, 그리고 이사벨라 일부 지역의 수확물을 누에바 에시하, 불라칸, 팡가시난 또는 바탕가스로 운송하는 작물의 중심지이다. 이 도시의 제품 외에도 지방 정부가 수출을 장려하고 있는 흑설탕이 있다.

5. 3. 농업

급속한 산업화에도 불구하고, 농업은 여전히 산티아고 시의 주요 생계 수단이다. 주요 작물은 쌀, 옥수수, 그리고 고부가가치 과일 및 채소이다. 이 도시에는 웅장한 곡물 보관소가 많이 있으며, 제분소도 많다. 산티아고는 이푸가오, 칼링가, 퀴리노, 누에바 비스카야, 그리고 이사벨라 일부 지역에서 수확한 작물을 누에바 에시하, 불라칸, 팡가시난 또는 바탕가스로 운송하는 중심지 역할을 한다. 이 도시의 제품 외에도 지방 정부가 수출을 장려하고 있는 흑설탕이 있다.[11]

6. 문화 및 관광

대다수의 주민들은 타갈로그어일로카노어를 사용한다. 영어는 학교 교육과 상업계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산티아고는 필리핀 북동부 루손 지역의 관문으로, 키리노 주, 마갓 댐(이사벨라), 바나우에 계단식 논(이푸가오), 오로라 주의 태평양 해변 등 인근 관광 명소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1]

6. 1. 축제

발람반 댄스 페스티벌(구 발람반 버터플라이 페스티벌)은 2014년에 산티아고의 도시 지위를 기념하기 위해 시 정부에서 기획한 축제이다. 발람반은 나비를 뜻하며, 산티아고에서 유래된 저지대 기독교인들의 문화 춤이다. 이 춤은 다리우크 언덕의 향기로운 정원을 가득 채운 나비의 우아한 움직임과 날갯짓을 묘사한다. 보통 산티아고의 결혼식 축하 행사에서 춘다.[1]

파타라데이 페스티벌은 2006년부터 2013년까지 산티아고 시 창립 기념일에 기념되었다. 파타라데이는 이바나그어로 단결을 의미한다. 이바나그족은 역사적으로 이 지역의 최초 정착민으로 알려져 있다. 이 축제는 제2지역의 문화 용광로를 만들기 위해 도시에 합류한 다양한 민족 언어 집단의 단결을 기념했다. 이 축제는 필리핀 관광청 협회가 주최하는 필리핀 최고의 관광 행사 선정에서 명예의 전당에 올랐다. 전국 각지에서 온 많은 거리 댄스팀이 참여하는 다양한 축제를 선보였다.[2]

성 야고보 축일(산티아고 데 카리그)은 매년 7월 25일에 기념되는 축제로, 도시의 수호성인인 사도 성 야고보 축일이다. 이 축제는 모로족에 대항하여 기독교인을 구원하는 수호성인의 일대기를 다루며, 이는 클라비호 전투에서 성 야고보가 "산티아고 마타모로스" 또는 무어 킬러 성 야고보로 나타난 것을 바탕으로 한다. 사르수엘라와 "그랜드 바탈라"(그랜드 전투) 또는 모로-모로, 즉 전투를 묘사하는 춤 안무를 선보인다.[3]

6. 2. 관광 명소

산티아고는 필리핀 북동부 루손 지역으로 들어가는 관문 역할을 하며, 관광 산업이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시내에는 많은 랜드마크가 개발되었으며, 인근 지역에도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있다. 주요 관광 명소는 다음과 같다.

  • 키리노 주
  • 마갓 댐 (이사벨라)
  • 바나우에 계단식 논 (이푸가오)
  • 오로라 주의 태평양을 마주한 백사장 해변


시내 중심지

7. 교통

산티아고는 카가얀 계곡 평원으로 통하는 관문이다. 이 지역의 지방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하며, 시내에는 빅토리 라이너, 노스이스트 루손 버스 라인(구 넬부스코), GV 플로리다 교통, 파이브 스타 버스 컴퍼니 등 다양한 버스 터미널이 있다.[1]

인근 지방 및 지역에서 시로 운행하는 지프니, 버스, 밴 등을 수용하기 위해 통합 교통 터미널 및 상업 단지가 설립되었다.[1]

7. 1. 도로

필리핀 횡단 고속도로를 비롯한 다음 주요 도로가 시를 가로질러 여러 지방을 연결한다.[1]

  • 필리핀 횡단 고속도로
  • 산티아고 - 투게가라오 도로
  • 산티아고 - 사구데이 도로
  • 산티아고 - 디푼 도로(파툴 도로)
  • 산티아고 우회 도로(신사욘~리잘)
  • 산티아고 우회 도로(리잘~디비소리아)
  • 산티아고 우회 도로(신사욘~발루아르테; 계획)
  • 산티아고 우회 도로(발루아르테~디비소리아; 계획)
  • 산티아고 시 도로
  • 알바레즈 대로


이 도로는 카가얀 계곡 평원으로 통하는 관문 역할을 한다. 시내에는 빅토리 라이너, 노스이스트 루손 버스 라인(구 넬부스코), GV 플로리다 교통, 파이브 스타 버스 컴퍼니 등 수많은 버스 터미널이 있다.[1] 통합 교통 터미널 및 상업 단지도 설립되어 인근 지방 및 지역에서 시로 운행하는 모든 공공 유틸리티 지프니, 버스 및 밴을 수용한다.[1]

7. 2. 대중교통

산티아고는 카가얀 계곡 평원으로 통하는 관문이다. 시를 가로질러 여러 지방을 연결하는 주요 도로는 다음과 같다.

  • 필리핀 횡단 고속도로
  • 산티아고 - 투게가라오 도로
  • 산티아고 - 사구데이 도로
  • 산티아고 - 디푼 도로(파툴 도로)
  • 산티아고 우회 도로(신사욘~리잘)
  • 산티아고 우회 도로(리잘~디비소리아)
  • 산티아고 우회 도로(신사욘~발루아르테; 계획)
  • 산티아고 우회 도로(발루아르테~디비소리아; 계획)
  • 산티아고 시 도로
  • 알바레즈 대로


이 지역의 지방 네트워크 연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산티아고 시내에는 빅토리 라이너, 노스이스트 루손 버스 라인(구 넬부스코), GV 플로리다 교통, 파이브 스타 버스 컴퍼니, EMC LBS 버스 노선, GMW 트랜스 등 수많은 버스 터미널이 있다.

인근 지방 및 지역에서 시로 운행하는 모든 공공 유틸리티 지프니, 버스 및 밴을 수용하기 위해 통합 교통 터미널 및 상업 단지도 설립되었다.

8. 교육

산티아고 시에는 성 야고보 사도 학교(구 라 살레 초등학교), 산티아고 문화 연구소(중국 학교), Children First School, Infant Jesus Montessori School, AMA 컴퓨터 칼리지 산티아고 시 캠퍼스, TAPS, Patria Sable Corpus College, 라 살레 대학교, 노스이스턴 칼리지 등 주요 교육 기관들이 있다. 노스이스턴 칼리지는 이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학교 중 하나이다. 사우스 이사벨라 예술 및 기술 대학은 시에서 운영되는 가장 큰 직업 학교이다. 또한, 시에는 수많은 국제 학교가 운영되고 있다.

산티아고 시 학교 행정실은 시의 공립 교육 시스템을 관리한다. 이 행정실은 카가얀밸리 지역 필리핀 교육부(DepEd)의 현장 사무소이다.[15] 이 사무실은 시 전역의 공립 초등학교와 공립 고등학교를 관리한다.

9. 매체

산티아고 시에서는 다음과 같은 라디오 및 TV 방송을 이용할 수 있다.[16][17] 일부 방송국은 운영되지 않을 수 있다.

라디오 방송국[18]
주파수콜사인방송국명사업자비고
828 kHzDZRH 전국DWRH마닐라 방송 회사중계
864 kHzDWSI손샤인 라디오 산티아고손샤인 미디어 네트워크 인터내셔널
1143 kHzDZMR미션 라디오극동방송
1179 kHzDWEY라이프 라디오 산티아고종말 시대 선교 방송 서비스
92.9 MHzDWYI브리가다 뉴스 FM 카우아야브리가다 매스 미디어 코퍼레이션이 사벨라주 카우아야 및 확장 지역에 방송
93.7 MHzDWTR라디오 나틴 산티아고마닐라 방송사/라디오 나틴 네트워크
94.5 MHzDWIP러브 라디오 산티아고마닐라 방송사
96.9 MHz빅 라디오라자 방송 네트워크방송 예정
97.7 MHzDWMX스위트 라디오사운드스트림 방송사/가톨릭 미디어 네트워크
100.1 MHzDWIZ 이 사벨라알리우 방송사 및 Barangay Rizal LPFM 자체 운영
102.1 MHzDZRC라디오 마리아 이 사벨라라디오 마리아 필리핀/가톨릭 미디어 네트워크중계기
104.9 MHzXFM팔라완 방송사/Yes2Health 광고, Inc.
106.7 MHz라디오 어드벤티스트 병원
107.9 MHz탭스 라디오



TV 방송국[18]
채널방송국명사업자비고
2ABS-CBN 코퍼레이션 (DWAT)ABS-CBN 코퍼레이션폐지
7GMA 네트워크 (DWLE)GMA 네트워크
21인터랙티브 방송 미디어, Inc.
23암카라 Bctg. 넷. Inc (DWWA)암카라 Bctg. 넷. Inc폐지
25미디어스케이프, Inc. (DWDH)미디어스케이프, Inc.
29라디오 필리핀 네트워크
31퍼스트 유나이티드 방송 코퍼레이션
37스와라 수그 미디어 코퍼레이션 (DWSA)스와라 수그 미디어 코퍼레이션



케이블 TV 채널
레갈 케이블 TV 네트워크
뉴 시티 케이블 시스템
시그날 TV
G 샛


10. 자매 도시


11. 저명한 인물


  • 시나 마에 카타쿠탄은 필리핀 그룹 비니의 멤버이자 전 ''필리핀 빅 브라더: 옷소'' 하우스메이트이다.[19]
  • 4th 임팩트(이전 명칭: 4th 파워, 세르카도 자매, 골라얀 자매, 미카)는 알미라, 아이린, 마일린, 셀리나 세르카도 자매로 구성된 걸그룹이다.[20]
  • 피터 무스니는 인터컨티넨탈 방송 공사(1980년대 초반–1987년), 바나호 방송 공사(1984–1986년), ABS-CBN(1987–2020년), 스타 시네마(1993년–현재), 카파밀리아 채널 및 카파밀리아 온라인 라이브(2020년–현재)의 성우이다.[21]
  • 카리나 바우티스타는 배우이자 전 ''필리핀 빅 브라더: 옷소'' 하우스메이트이다.[22]
  • 플로렌스 핀치는 필리핀계 미국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의 필리핀 점령에 맞선 저항 운동의 일원이었다.[23]
  • 헤허슨 알바레스는 필리핀의 정치인이자 상원의원이었다.[24]

참조

[1] 웹사이트 Santiago City, Election Results 2022 https://ph.rappler.c[...] rappler.com 2023-02-25
[2] 뉴스 2022 Election Results:Santiago City, Isabela https://www.gmanetwo[...] 2022-09-10
[3] 문서 DILG detail
[4] 웹사이트 Santiago City Local Government Office http://santiago-city[...] Santiago-City.com Website 2013-11-05
[5]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7160 LOCAL GOVERNMENT CODE OF 1991 http://www.lawphil.n[...] The LawPhil Project 2013-11-05
[6] 서적 Cagayan Valley and Easter Cordillera: 1581-1898, Volume I Rex Publishing
[7] 웹사이트 Transforming Santiago City into an independent component city up north https://businessmirr[...] 2021-07-11
[8] 웹사이트 G.R. No. 133064 https://elibrary.jud[...] 2021-07-11
[9] 웹사이트 House Bill No. 3709, 13th Congress of the Republic https://issuances-li[...] 2024-04-23
[10] 웹사이트 Average High/Low Temperature for Santiago City, Philippines http://www.worldweat[...] World Weather Online 2013-11-05
[11] 웹사이트 Department of Tourism Region 2 http://www.dotregion[...] 2013-11-08
[12] 웹사이트 Santiago City, Election Results 2022 https://ph.rappler.c[...] rappler.com 2023-02-25
[13] 웹사이트 Santiago City Council https://cityofsantia[...] cityofsantiago.gov.ph 2023-02-25
[14] 웹사이트 House of Representatives: 19th Congress https://www.congress[...] congress.gov.ph 2022-05-15
[15] 웹사이트 DEPED REGIONAL OFFICE NO. 02 https://region2.depe[...]
[16] 웹사이트 Cagayan Valley Region, Philippines Radio Stations http://radiostationw[...] 2022-04-02
[17] 웹사이트 Radio Stations in Isabela Province, Philippines https://www.asiawave[...] 2022-04-02
[18] 웹사이트 LIST OF TV BROADCAST STATION https://philippines.[...] 2022-04-02
[19] 뉴스 BINI: The binibinis of P-Pop in full bloom https://www.pep.ph/p[...] PEP.ph 2024-02-23
[20] 뉴스 10 things to know about ‘X Factor UK’ Pinoy girl group 4th Impact https://www.rappler.[...] Rappler 2015-11-29
[21] 뉴스 'The voice of ABS-CBN' recalls the first time he saw the station shut down https://news.abs-cbn[...] ABS-CBN 2020-05-11
[22] 뉴스 LOOK: Meet Miss Independent Karina Bautista in these 32 Photos https://ent.abs-cbn.[...] ABS-CBN 2018-11-22
[23] 뉴스 Florence Finch https://www.nps.gov/[...] National Park Service 2024-06-17
[24] 뉴스 Heherson Alvarez https://legacy.senat[...] Senate of the Philippines 2024-06-17
[25] 웹인용 Average High/Low Temperature for Santiago City, Philippines http://www.worldweat[...] World Weather Online 2013-1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