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있는 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살아있는 벽은 크로아티아의 정당이다. 이 정당은 세금 감면, 사회 복지 확충, 민영화 폐지, NATO 탈퇴, 팔레스타인 인정, GMO 식품 금지, 환경 및 동물 보호, 탈 기독교화, EU의 제국적 경제 탈피 등을 강령으로 내세운다. 또한, 데이비드 아이크의 저작물을 칭송하고 켐트레일 및 백신 음모론을 퍼뜨린다는 비판을 받는다. 2014-15년 대통령 선거에서 16.4%의 득표율로 3위를 기록했으며, 2015년 의회 선거에서 1석을 얻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로아티아의 정당 - 크로아티아 사회민주당
크로아티아 사회민주당은 1990년 창당된 크로아티아의 사회민주주의 정당으로, 합병과 집권, 야당 전환, 당내 분열 등을 거쳐 현재는 페자 그르빈이 당 대표를 맡고 있다. - 크로아티아의 정당 -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크로아티아 민주연합은 1989년 프라뇨 투지만에 의해 창당된 중도우파 정당으로, 크로아티아의 독립을 주도하고 친유럽 노선을 걸으며 국회와 유럽 의회 선거에서 높은 지지율을 기록한다. - 반세계화 정당 - 북부동맹 (이탈리아)
북부동맹은 1991년 이탈리아 북부에서 결성되어 자치 및 연방제를 주장하는 지역주의 정당으로, 북부 주민의 정체성, 로마 중앙정부에 대한 반감, 경제적 불만, 불법 이민 반감 등을 기반으로 성장하여 현재는 레가로 당명을 변경하고 국민 정당으로서 이탈리아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하며 논란을 만들고 있다. - 반세계화 정당 - 반자본주의신당
반자본주의신당은 2009년 프랑스에서 혁명적 공산주의자 동맹 주도로 창당되어 21세기 사회주의를 표방하며 반자본주의, 반인종주의, 생태주의, 페미니즘 등을 주요 이념으로 내세우는 반자본주의 정치 조직이다. - 경제 내셔널리즘 - 항해법
항해법은 14세기부터 19세기까지 영국이 자국의 해운업과 무역을 보호하기 위해 제정한 일련의 법률로, 영국 선박과 선원에 의한 무역을 제한하고 식민지 경제를 제약하여 미국 독립 전쟁의 원인이 되었으며, 19세기에 자유 무역 사상 확산으로 폐지되었다. - 경제 내셔널리즘 - 수입 대체 산업화
수입 대체 산업화는 개발도상국이 관세 장벽과 정부 지원 등으로 수입품을 자국 생산품으로 대체하여 산업을 발전시키려는 경제 전략이지만, 비효율성, 경쟁력 약화, 부채 위기 등의 문제점도 야기하며, 그 성공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다.
살아있는 벽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크로아티아의 열쇠 |
원어 이름 | Ključ Hrvatske |
약칭 | KLJUČ |
창립 | 2011년 6월 2일 |
해산 | 2024년 3월 3일 |
합병 대상 | 법과 정의 |
본부 | 자그레브, 크로아티아, 삽스카 체스타 41 |
웹사이트 | 크로아티아의 열쇠 공식 웹사이트 |
색상 | 금색 회색 |
구성원 | |
2023년 | 12,580명 |
지도부 | |
대표 | 이반 빌리보르 신치치 |
창립자 | 이반 페르나르 |
이념 | |
국제 관계 | |
유럽 의회 | 무소속 |
유럽 정당 | 자유와 직접 민주주의 유럽 오성 운동 직접 민주주의 (2019년) |
2. 당 강령
살아있는 벽은 당의 핵심 강령으로 다음과 같은 목표들을 제시한다. 크로아티아 공화국의 완전한 통화 주권 실현과 부채 기반이 아닌 새로운 통화 시스템 구축을 핵심 목표로 삼는다. 또한, 비인도적이고 위헌적인 강제 집행, 특히 유일한 주거지에 대한 집행을 금지하고, 국가 기관의 비밀주의적 절차를 폐지하는 등 공정하고 효율적인 사법 시스템 구현을 추구한다.[13]
시민의 존엄성, 자유, 권리가 종교, 민족, 나이, 성별, 사회적 지위와 관계없이 존중받는 사회를 지향하며, 억압적이거나 부패하고 임의적인 국가 기관으로부터 시민을 보호하여 사회 정의를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13] 문화유산 및 자연유산 보호와 인간 환경 보호에도 중점을 둔다.[13]
국민의 건강 관리, 교육, 사회 복지, 노동, 가족 관련 기본권 실현을 보장하고, 특히 노동자를 비롯한 노동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들의 권리 실현과 보호를 강조한다.[13] 이 외에도 재생 가능 에너지원의 적극적인 도입과 동물권 보호를 지지한다.[13]
2. 1. 경제 및 사회 정책
살아있는 벽은 현재의 통화 시스템이 부채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부당하고 지속 불가능하다고 본다. 유통되는 모든 돈이 이자가 붙은 대출 형태이며, 이자는 유통되지 않고 원금만 유통되기 때문에 이것이 크로아티아에서 많은 강제 퇴거의 원인이 된다고 주장한다. 이에 따라 크로아티아 공화국의 통화 주권을 실현하고 신용 없는 통화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을 주요 목표 중 하나로 삼고 있다.[13]당이 추구하는 주요 경제 및 사회 정책은 다음과 같다.
- 경제: 세금 감면을 추진하고 민영화를 폐지하며, 유럽 연합(EU)의 경제적 영향력에서 벗어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사회 복지 및 권리: 의료 복지를 포함한 전반적인 사회 복지 확충을 지지한다. 건강 관리, 교육, 사회 복지, 노동, 가족 관련 권리 등 국민에게 보장된 권리의 실현을 중요하게 생각하며,[13] 특히 노동자 및 노동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들의 권리 실현과 보호를 강조한다.[13] 또한 페미니즘 교육 확대를 지지하고, 폐경 수술 의무화 폐지를 주장한다. 종교, 민족, 나이, 성별, 사회적 지위에 관계없이 모든 시민의 존엄성, 자유, 권리가 존중되어야 한다고 본다.[13]
- 토지 및 농촌: 거주하지 않는 토지의 소유를 불법화하고, 크로아티아 농촌 지역의 회복을 목표로 한다.
- 정치 및 사법 개혁: 부패한 공무원을 축출하고 사법부와 국회의 철저한 개혁을 요구한다. 공정하고 효율적인 사법 시스템 구현을 지지하며, 비인도적이고 위헌적인 강제 집행 절차, 유일한 주택의 강제 집행, 국가 기관의 비밀 절차 등을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3] 또한 정의로운 사회 발전을 위해 억압적이거나 부패하고 임의적인 국가 기관의 행동으로부터 시민을 보호해야 한다고 본다.[13]
- 환경, 식품, 에너지: 유전자 변형 식품(GMO)을 금지하고, 환경 보호와 동물 보호를 강조하며 동물권 보호를 지지한다.[13] 재생 가능 에너지원의 적극적인 도입과 활용을 지지하며,[13] 문화 및 자연유산과 인간 환경 보호에도 힘써야 한다고 본다.[13]
- 기타: 마약 합법화를 주장하며, 탈기독교화와 세속화를 추구한다.
2. 2. 외교 및 안보 정책
살아있는 벽은 NATO에서 탈퇴하고 군사 동맹에 참여하지 않는 중립국 노선을 지향한다.[1][2] 또한 국제 관계에서는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공식 인정하고, 이스라엘에 대해서는 반대하는 정책을 추구한다.[1][2]2. 3. 사회 문화 정책
살아있는 벽은 다양한 사회 문화 정책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주요 내용으로는 환경 및 동물 보호 강화, 탈기독교화와 세속화 추진, EU의 경제적 영향력에서 벗어나는 것 등이 있다.[13] 또한 GMO 식품을 금지하고, 페미니즘 교육을 확대하며, 폐경 수술 의무화를 폐지할 것을 주장한다.이 정당은 모든 시민의 존엄성, 자유, 권리가 종교, 민족, 나이, 성별, 사회적 지위와 관계없이 존중받아야 한다고 강조한다.[13] 정의로운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며, 특히 국가 기관의 억압적이고 부패한 행위로부터 시민을 보호해야 한다고 본다.[13] 문화 및 자연 유산과 인간 환경 보호에도 힘쓴다.[13]
더 나아가 국민들이 건강 관리, 교육, 사회 복지, 노동, 가족 관련 권리 등 보장된 권리를 온전히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하며,[13] 노동자를 포함하여 노동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모든 이들의 권리를 실현하고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3] 재생 가능 에너지원의 도입과 동물권 보호 역시 중요한 정책 방향이다.[13]
한편, 살아있는 벽은 "데이비드 아이크의 저작물을 칭송"하며, "켐트레일과 백신에 대한 여러 음모론을 퍼뜨렸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14] 잡지 ''자코뱅''에 기고된 글에서는 이 정당이 종종 좌파로 분류되지만, 실제로는 진보적 정책보다 음모론을 더 강조하는 포퓰리스트 그룹에 가깝다고 평가했다.[15]
또한 이 정당은 현재의 통화 시스템이 부당하고 지속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유통되는 모든 돈이 이자가 붙는 대출 형태로 발행되지만, 이자는 실제로 유통되지 않고 원금만 유통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들은 이것이 크로아티아에서 발생하는 많은 강제 퇴거의 주요 원인이라고 본다.
3. 이념 및 논란
해당 정당은 "데이비드 아이크의 저작물을 칭송"하며, "켐트레일과 백신에 대한 여러 음모론을 퍼뜨렸다"는 비판을 받는다.[14] 잡지 ''자코뱅''에 기고된 글에서는 이 정당이 종종 좌파의 일부로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진보적인 정책 제안보다는 음모론에 더 집중하는 포퓰리스트 그룹이라는 평가를 내렸다.[15]
이 정당은 현재의 통화 시스템이 부당하고 지속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다. 유통되는 모든 돈이 이자가 붙은 대출 형태로 발행되지만, 이자는 실제로 유통되지 않고 원금만 유통되기 때문에 시스템적 문제가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통화 시스템의 문제가 크로아티아에서 발생하는 많은 강제 퇴거의 근본 원인이라고 본다.
이 정당은 다음을 지지한다.[13]
분야 | 주요 내용 |
---|---|
통화 정책 | 크로아티아 공화국의 통화 주권 실현 및 신용 없는 통화 시스템 구현 |
사법 시스템 | 공정하고 효율적인 사법 시스템 구현, 특히 비인도적이고 위헌적인 강제 집행 절차, 유일한 주택의 강제 집행 및 국가 기관의 비밀 절차 금지 |
시민 권리 | 종교, 민족, 나이, 성별, 사회적 지위에 관계없이 시민의 존엄성, 자유 및 권리 존중 |
사회 정의 | 정의로운 사회 발전, 특히 억압적이고 부패하며 임의적인 국가 기관의 행동으로부터 시민 보호 |
환경 및 문화 | 문화 및 자연 유산과 인간 환경 보호 |
기본권 보장 | 건강 관리, 교육, 사회 복지, 노동, 가족 등 국민의 기본 권리 실현 보장 |
노동권 | 노동자, 노동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 노동 기반 활동을 하는 사람들의 권리 실현 및 보호 |
에너지 | 재생 가능 에너지원 구현 |
동물권 | 동물권 보호 |
4. 선거 결과
살아있는 벽은 창당 이후 크로아티아의 주요 선거에 참여해왔다. 주요 참여 선거로는 대통령 선거, 의회 선거, 유럽 의회 선거가 있다. 각 선거별 상세 결과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대통령 선거
wikitext크로아티아 대통령직 | |||||
선거 연도 | 후보 | 1차 투표 | 2차 투표 | ||
---|---|---|---|---|---|
총 득표수 | 득표율 | 총 득표수 | 득표율 | ||
2014-15 | 이반 빌리보르 신치치 | 293,570 | 16.4 (#3) | colspan="2" style="background:lightgrey;" | | |
2019-20 | 미슬라브 콜라쿠시치 지지 | 111,916 | 5.95 (#4) | colspan="2" style="background:lightgrey;" | |
4. 2. 의회 선거
사보르도 참조선거 | 연립 | 득표수 | 득표율 | 획득 의석 | 변동 | 정부 |
---|---|---|---|---|---|---|
2011년 | A-HSS, DPS | 15,379 | 0.63% | 0 | 0 | 의회 밖 야당 |
2015년 | 없음 | 94,877 | 4.24% (#4) | 1 | +1 | 야당 |
2016년 | 크로아티아를 바꾸자, 유스 액션, 민주주의 알파벳, HDSS, 메지무르예 당 | 117,208 | 6.23% (#4) | 8 | +7 | 야당 |
2020년 (7월) | (도둑질은 이제 그만으로) SIP, NLSP, 크로아티아를 바꾸자, HSS SR, HSSČKŠ, ZSZ, 유스 액션 | 37,628 | 2.26% (#7) | 0 | -8 | 의회 밖 야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