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트홀름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살트홀름 섬은 덴마크의 외레순 해협에 위치한 섬이다. 1230년에 처음 기록되었으며, 석회암 채석장, 소 목초지, 격리 시설 등으로 사용되었다. 1912년에는 군사 요새가 건설되었고, 1915년에는 영국 잠수함 좌초 사건이 발생했다. 1965년에는 코펜하겐 공항을 대체하기 위한 국제공항 건설 계획이 있었으나, 1979년 취소되었다. 현재는 다양한 조류의 서식지로서, 람사르 협약과 유럽 연합에 의해 보호받는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섬의 접근은 엄격하게 통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외레순 해협 - 외레순 다리
외레순 다리는 덴마크 코펜하겐과 스웨덴 말뫼를 연결하는 다리와 해저터널 구조물로, 인공섬 페베르홀름을 중간 지점으로 1995년 착공, 1999년 완공되어 2000년 개통되었으며, 양국 간 경제 및 사회적 통합에 기여했으나 난민 위기 이후 국경 통제가 강화되기도 했다. - 외레순 해협 - 시티 터널
말뫼를 관통하는 시티 터널은 외레순 다리 연결 철도 계획의 일환으로 건설되어 말뫼 중앙역을 통과역으로 전환하고 도심에 새로운 역들을 건설하여 스코네 주와 덴마크 간 철도 교통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2005년 착공, 2010년 완공되었으며, 말뫼 중앙역, 트리앙겔른 역, 힐리에 역을 연결하고 ERTMS 신호 시스템을 사용한다. - 덴마크의 섬 - 셸란섬
셸란섬은 덴마크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섬으로 코펜하겐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섬 이름은 물개 또는 깊은 만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했고 노르드 신화에서는 여신 게피온이 스웨덴에서 떼어 만든 섬이라고 전해진다. - 덴마크의 섬 - 보른홀름섬
보른홀름섬은 발트해에 있는 덴마크 섬으로, 부르군트족의 고향이자 중세 시대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낙농업, 공예업이 발달했고, 유네스코 "World Craft Region"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볼거리와 BAT 교통 기관을 갖춘 관광지이다.
살트홀름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살트홀름 |
위치 | 외레순, 발트해 |
군도 | 해당 없음 |
면적 | 16km² |
길이 | 7km |
너비 | 3km |
해안선 길이 | 해당 없음 |
최고점 | 이름 없음 |
해발고도 | 5m |
![]() | |
![]() | |
행정 구역 | |
국가 | 덴마크 |
레지온 | 호베드스타덴 |
지방 자치체 | 토른뷔 시 |
인구 통계 | |
가장 큰 도시 | 홀메고르 |
가장 큰 도시 인구 | 2명 |
인구 | 2명 |
인구 조사 기준 연도 | 2021년 |
인구 밀도 | 0.12명/km² |
민족 구성 | 덴마크인 |
2. 역사
사람들은 중세 시대부터, 아마 그 이전부터 살트홀름 섬에서 소규모로 살아왔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섬이 요새화되었을 때 298명으로 인구가 정점을 찍은 후 감소하여, 2021년 1월 기준 2명으로 줄었다.[8] 외레순 해협 중간에 위치한 이 섬은 두 차례의 세계 대전 동안 군사적 중요성을 지녔으며,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될 때까지도 요새는 활동했고 낡았지만 포는 여전히 강력한 억제력으로 여겨졌다.[14]
2. 1. 중세 시대
섬은 1230년에 처음 존재가 기록되었는데, 당시 덴마크의 발데마르 2세 왕이 살트홀름 섬을 로스킬레 교구의 주교인 닐스 스티그센에게 기증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9] 수세기 동안 이 섬은 근처 코펜하겐 등지에서 사용된 석회암 채석장으로 사용되었으며, 1289년에는 코펜하겐의 도시 영주가 살트홀름 섬의 채석 권한을 부여한 것으로 기록되었고,[10] 채석은 1935년까지 계속되었다.[4] 또한 섬은 전통적으로 인근 덴마크 섬인 아마게르 주민들의 소를 위한 목초지로 사용되었다.[11] 19세기 후반 덴마크 화가 테오도르 필립센은 섬의 소와 나무가 없는 풍경을 그리기 위해 자주 섬을 방문했다.[12]2. 2. 근세 시대
1709년에서 1711년 사이 코펜하겐에 흑사병과 콜레라가 발생했을 때 살트홀름 섬은 격리 시설로 사용되었다. 코펜하겐에 상륙하려는 여행객들은 전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 섬에서 40일 동안 격리되어야 했다.[13]1873년, 살톨름라우그(Saltholmlaug)라는 사기업이 섬의 소유주로부터 섬을 매입했고, 현재까지 섬을 소유하고 있다.[3]
2. 3. 제1차 세계 대전
1912년 덴마크 정부는 섬 바로 북쪽에 있는 살토름 플라크 모래밭에 플라크포르테트(모래톱 요새)를 건설하고, 47mm에서 290mm에 이르는 구경의 여러 포를 배치했다. 대부분의 대포는 바베트 포가에 장착되었고, 장갑 방패와 콘크리트 및 토루로 보호되었다.[14]
살트홀름 섬에서는 영국 잠수함 HMS ''E13''이 사고로 손실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1915년 8월 17일, 나침반 고장으로 인해 HMS ''E13''이 섬에 좌초되었다. 이틀 후, 독일 구축함 2척이 승무원이 선박을 다시 띄우기 위해 작업하는 동안 해안선에 좌초된 잠수함을 공격했다. 덴마크 어뢰정이 개입하여 공격자들을 저지하기 전에 잠수함 승무원 15명이 사망했다. 이 사건은 덴마크의 중립성을 침해한 것으로, 덴마크 정부는 독일에 외교적으로 항의했고, 사망자들은 덴마크 해군에 의해 공식적인 고위급 장례를 치렀다.[15] 생존한 승무원은 1918년 11월 전쟁이 끝날 때까지 덴마크에 억류되었고, 난파된 잠수함은 고철로 처리되었다.[16][17] ''E13''의 사령관인 제프리 레이턴 중령은 영국 해군에서 뛰어난 경력을 쌓았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 동양 함대를 지휘했다.[18]
2. 4. 현대
1965년, 북유럽 이사회는 카스트루프에 있는 코펜하겐 공항을 대체하기 위해 살트홀름 섬에 새로운 국제공항을 건설하고, 코펜하겐과 말뫼를 연결하기 위해 섬을 가로지르는 교량 및 터널을 건설하는 데 원칙적으로 동의했다.[19] 이 계획은 코펜하겐 공항의 주요 사용자인 스칸디나비아 항공 시스템의 강력한 지지를 받았다. 1990년까지 연간 2천만 명의 승객을 수송할 수 있는 두 쌍의 활주로를 건설하고, 9km 길이의 교량으로 말뫼와 연결하며, 5km 길이의 터널로 덴마크 측의 카스트루프와 연결하는 계획이었다. 이 프로젝트의 비용은 1967년 당시 2억 5천만 파운드(2009년 가격으로 31억 파운드/ 34억 유로)에 달했다.[20]1969년 덴마크 의회는 이 계획을 승인하고 1985년 완공될 예정이었다.[21] 그러나 1973년 석유 파동과 그 경제적 여파, 항공 여행 감소, 외레순 해협과 섬 주변의 취약한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로 반대하는 활동가들의 반대로 인해 여러 차례 연기되었다. 결국 1979년에 이 계획은 폐기되었고, 대신 코펜하겐 공항에 더 많은 투자가 이루어졌다.[22] 1990년대에 외레순 대교가 건설되었을 때, 섬과 주변 얕은 바다의 손상을 피하기 위해 살트홀름 섬에서 1km 남쪽으로 경로가 정해졌다.
3. 동식물
살트홀름은 다양한 식물과 조류가 서식하는 독특한 생태계를 가지고 있다. 섬의 식생은 주로 풀이 우세하며, 나무는 거의 없고 익모초, 독말풀, 붓꽃, 별꽃 등 다양한 종류의 식물이 자란다. 또한, 살트홀름은 덴마크에서 가장 큰 기러기 방목 지역이자 유럽 최대 솜깃털오리 번식 군집의 서식지일 정도로 많은 수의 야생 조류가 둥지를 트는 중요한 자연 보호 구역이다. 섬 전체와 주변 해역은 유럽 연합과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에 의해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접근이 엄격하게 통제된다.[2][5][6][7]
3. 1. 식물

살트홀름의 식생은 주로 풀이 우세하며, 평평한 백악질 초원과 해안 초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살트홀름에는 나무가 거의 없으며, 주로 섬 북쪽과 남서쪽의 두 곳에 군집해 있다.[3] 이 섬은 익모초(`Leonurus cardiaca`), 독말풀(`Hyoscyamus niger`), 붓꽃 (`Iris spuria`) 및 별꽃을 포함하여 다양한 식물이 서식한다.[4]
3. 2. 동물
살트홀름은 수많은 야생 조류가 둥지를 트는 자연 보호 구역이다. 섬 남쪽의 넓은 염습지는 람사르 협약에 따라 보호받고 있다.[5] 섬 전체와 주변 해역은 유럽 연합에 의해 자연 보호 구역으로,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에 의해 중요 조류 지역(IBA)으로 지정되었다.[6] 홍합 서식지, 거머리말, 달팽이, 갑각류 및 섬 주변 얕은 물에 서식하는 물고기들은 물새에게 중요한 먹이가 된다. 야생 동물 보호 구역으로서의 중요성 때문에 살트홀름과 주변 해역에 대한 접근은 엄격하게 통제되며, 섬으로의 접근은 살트홀름 북쪽 끝에 있는 Barakkebro의 작은 항구를 통해서만 가능하다.[2]이 섬은 덴마크에서 가장 큰 기러기 방목 지역으로, 여름철에는 약 7,000마리의 기러기가 방문한다. 약 3,500마리의 어린 고니도 여름에 섬에 살고 있으며, 약 2,000마리가 겨울을 난다. 가을과 늦겨울/봄에는 10,000~12,000마리의 오리가 살트홀름에서 번식하고 방목한다. 살트홀름은 또한 솜깃털오리의 유럽 최대 번식 군집의 서식지이기도 하다. 봄에는 15,000마리가 섬에 살고 있으며, 매년 약 7,000~8,000마리가 섬에서 부화한다.[7]
참조
[1]
서적
Atlas over Danmark
H. Hagerup
1992
[2]
웹사이트
Saltholm
http://www.oresundsv[...]
Øresundsvandsamarbejdet
2009-01-14
[3]
웹사이트
København / Copenhagen
http://www.dof.dk/si[...]
Dansk Ornitologisk Forening
2009-01-14
[4]
문서
Saltholm
Aschehoug (Egmont)
2008
[5]
서적
Dredging in Coastal Waters
Taylor & Francis
2005
[6]
웹사이트
Saltholm
https://datazone.bir[...]
BirdLife International
2024-09-04
[7]
웹사이트
Saltholm
http://www.skovognat[...]
Skov- og Naturstyrelsen
2008-05-29
[8]
웹사이트
Population 1 January by islands
http://statistikbank[...]
Statistics Denmark
2020-07-20
[9]
서적
Danmarks Riges Breve
Reitzel
1979
[10]
서적
Cogs, Cargoes and Commerce: Maritime Bulk Trade in Northern Europe, 1150-1400
Pontifical Institute of Mediaeval Studies
2002
[11]
간행물
Amager
Society for the Diffusion of Useful Knowledge. C. Knight
1833
[12]
서적
Nordic Landscape Painting in the Nineteenth Century
Yale University Press
1998
[13]
서적
Kampen mod pesten. Karantænestationen på Saltholm 1709-11
Frydenlund, Copenhagen
2004
[14]
서적
Fortress Europe: European Fortifications of World War II
Da Capo Press, Incorporated
2002
[15]
뉴스
Topics of the Times
https://timesmachine[...]
The New York Times
1915-08-27
[16]
서적
Conway's All the World's Fighting Ships 1906-1921
Conway
1985
[17]
서적
The Royal Navy Submarine Service: A Centennial History
Conway Maritime Press
2001
[18]
뉴스
Sir Geoffrey Layton
The Times
1964-09-07
[19]
뉴스
Cooperation in the Nordic Countries: Achievements and Obstacles
Almqvist & Wiksell International
1981
[20]
뉴스
SAS gives support to plan for island airport
The Times
1968-07-15
[21]
뉴스
Denmark votes for new airport
The New York Times
1969-04-27
[22]
서적
European Cities, Planning Systems and Property Markets
Taylor & Francis
19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