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9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599년은 수나라의 개황 19년, 신라의 건복 16년 등에 해당하며, 백제 혜왕이 사망하고 법왕이 즉위했다. 고구려는 요서를 공격했고, 수나라는 고구려를 침략했다. 일본에서는 스이코 지진이 발생했고, 동로마 제국은 아바르족과의 전투에서 승리했다. 또한, 백제의 의자왕과 당나라의 당 태종이 태어났으며, 백제 혜왕, 안티오키아의 아나스타시우스 1세 등이 사망했다.
2. 연호
3. 기년
4. 사건
4. 1. 동아시아
간지 | 연도 |
---|---|
기미 | 599년 |
4. 2. 유럽
- 비잔틴 제국 황제 마우리키우스는 아바르족에게 포로로 잡힌 12,000명의 병사들에 대한 몸값 지불을 거부했다. 아바르족의 지도자 바얀 1세는 포로 처형을 명령하여 그들을 모두 학살했다. 포로를 되찾지 못한 마우리키우스의 실패는 발칸 반도에 주둔한 비잔틴 군대 사이에서 그의 인기를 떨어뜨렸다.[1]
- 여름 - 발칸 원정: 비잔틴 장군 프리스쿠스와 코멘티올루스는 싱기두눔(오늘날 베오그라드)에서 병력을 합류시키고, 하류로 이동하여 요새 도시 비미나키움(세르비아)으로 진격했다. 비잔틴 제국군은 다뉴브강을 건너 모에시아에 침입하여 야전에서 아바르족을 격파했다.
- 프리스쿠스는 도망치는 아바르 부족을 추격하여 판노니아에 있는 그들의 고향으로 침입했다. 그는 티서강 동쪽 땅을 초토화시키며 비잔틴 제국을 위한 전쟁을 결정짓고, 아바르족과 슬라브족의 다뉴브강 침략을 종식시켰다.
- 가을 - 코멘티올루스는 이흐티만(불가리아) 근처의 트라야누스 문 고개를 다시 열었다. 트라키아와 마케도니아 속주 사이의 국경을 방어하는 요새 '스티폰'(Stipon)은 이 전략적 산길은 수십 년 동안 사용되지 않았다.
- 칼리니쿠스, 라벤나의 총독은 이스트라 (크로아티아)에서 남슬라브족의 공격을 격퇴했다. 이 지역은 약탈당했지만, 비잔틴인들이 그들을 모두 몰아냈다.
- 칼리니쿠스는 아길울프 왕의 롬바르드족 딸을 납치하여 휴전을 깨고,[2] 라벤나 총독령과의 전쟁을 시작했다(추정 연도).
4. 3. 기타 지역
- 고구려가 요서를 공격했다.[3]
- 수나라가 고구려를 침략했다.[3]
- 데르데크 전투: 아바르족이 동로마 제국에게 승리했다.[3]
- 호스로 2세는 페르시아 원정대를 남아라비아로 보내 예멘을 정복했다. 그는 동방과의 무역을 통제하기 위해 군사 기지를 건설했다(대략적인 시기).[3]
- 타르두는 돌궐(동돌궐과 서돌궐)의 통치자(카간)임을 선언했다.[3] 그의 새로운 지위는 제국 내에서 널리 인정받지 못했다.[3]
- 마야 도시 팔렌케(남부 멕시코)가 칼라크물의 왕 스크롤 서펀트에 의해 약탈당함 (추정 연도).[3]
- 일본
- 스이코 천황 7년
- 황기 1259년
- 중국
- 수: 개황 19년
- 베트남
5. 탄생
6. 사망
- 혜왕[4], 백제의 제28대 왕
- 아나스타시우스 1세,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 탈리에신, 브리튼족 시인 (대략적인 날짜)
- 툴란 카간, 돌궐의 통치자 ('카간')
참조
[1]
서적
The Early Medieval Balkans
[2]
서적
History
[3]
서적
Türk tarihi
Milliyet yayinları
1991
[4]
웹사이트
List of Rulers of Korea
https://www.metmuseu[...]
2019-04-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