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삿초 동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삿초 동맹은 에도 시대 말기 일본의 사쓰마 번(현재 가고시마현)과 조슈 번(현재 야마구치현)이 맺은 동맹으로, 막부 타도와 메이지 유신을 이끄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사쓰마와 조슈는 오랜 갈등 관계였으나, 도사 번의 사카모토 료마의 중재와 영국의 지원을 통해 동맹을 결성했다. 1866년 6개조 동맹을 체결하고, 제2차 조슈 정벌에서 사쓰마가 조슈를 지원하며 막부 타도의 기반을 다졌다. 이후 보신 전쟁에서 승리하여 메이지 유신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며, 메이지 정부를 주도했다. 삿초 동맹은 일본 근대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 근대사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마쓰 기요카도 - 유신십걸
    유신십걸은 일본 메이지 유신에 기여한 주요 인물들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이고 다카모리, 오쿠보 도시미치, 기도 다카요시 등이 포함되었으며 정부 수립에 핵심 역할을 수행했지만, 일부는 암살되거나 처형되는 비극을 맞이했다.
  • 1866년 일본 - 조슈 정벌
    조슈 정벌은 에도 막부가 조슈 번의 세력 확장을 막고 권위를 회복하기 위해 두 차례에 걸쳐 감행한 군사 행동으로, 나마무기 사건과 금문의 변을 거치며 갈등이 심화되어 1864년과 1866년에 각각 1, 2차 정벌이 있었으며, 특히 2차 정벌에서 막부의 패배는 막부 쇠퇴를 가속화하고 메이지 유신의 발판을 마련했다.
  • 막말 사쓰마번 - 나마무기 사건
    나마무기 사건은 1862년 나마무기 촌에서 사쓰마 번 행렬과 마주친 영국인들이 무례하다는 이유로 공격받아 사상자가 발생한 사건으로, 막말 정치 혼란 심화, 외국인 배척 운동 격화, 사쓰에이 전쟁의 원인, 대중문화에의 영향 등의 결과를 낳았다.
  • 막말 사쓰마번 - 사쓰마번 지사 숙청 사건
    사쓰마번 지사 숙청 사건은 에도 막부 말기 사쓰마번에서 존왕양이파 지사들과 번 실권자 시마즈 히사미쓰 간의 갈등으로 발생한 사건으로, 데라다야 소동이 대표적인 사례이며 사쓰마번 정치적 향방과 메이지 유신에 큰 영향을 미쳤다.
삿초 동맹
개요
명칭薩長同盟 (삿초 동맹)
다른 명칭薩摩長州同盟 (사쓰마 초슈 동맹)
배경
시기1866년
목적도쿠가와 막부 타도
주요 인물
사쓰마 번사이고 다카모리, 오쿠보 도시미치
조슈 번기도 다카요시
중재사카모토 료마, 나카오카 신타로
과정
계기제1차 조슈 정벌 이후 사쓰마 번과 조슈 번의 관계 개선 필요성 증대
주요 내용군사 동맹, 막부 타도 공동 목표 설정
결성 장소교토
주요 활동보신 전쟁에서 막부군에 승리, 메이지 유신의 기틀 마련
영향
결과도쿠가와 막부 붕괴, 메이지 유신 성공
의의일본 근대화의 중요한 발판 마련

2. 역사적 배경

사쓰마 번과 조슈 번은 교토를 중심으로 에도 시대 막부 말기의 정계에서 웅번으로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사쓰마 번은 공무합체(조정과 막부의 협력)를 지지하며 막부의 개국 노선을 따르면서 막부 정치 개혁을 요구한 반면, 조슈 번은 급진적인 양이론을 주장하며 반막부적인 자세를 강화하여 양측은 쉽게 화해할 수 없는 입장에 있었다.[9]

이후 전개는 왕정복고보신 전쟁의 첫 단계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당시 삿초 동맹은 막부에 의한 조슈 번 징벌 시 사쓰마 번이 조슈 번을 지원한다는 내용으로, 함께 막부를 타도하려는 적극적인 움직임은 아니었다. '결전'의 상대도 막부 자체가 아니라 도쿠가와 요시노부, 마쓰다이라 가타모리(아이즈 번), 마쓰다이라 사다아키(쿠와나 번)의 3인, 즉 이치카이소 정권이었다. 히토쓰바시 가문 당주였던 요시노부는 고유 군사력이 거의 없어, 군사적 대결 상대는 아이즈나 쿠와나, 특히 아이즈 번이었다.[12]

조슈 번과 사쓰마 번의 화해는 제1차 조슈 정벌 중지 주선과 다자이후 엔주오인에 대한 고쿄 수용에 힘썼던 후쿠오카 번 존황양이파 다카스기 신사쿠사이고 다카모리의 회담(대범루 회담), 영국 주일 공사 해리 파크스다카스기 신사쿠 회담, 도사 번 방문 등 서남 지방 웅번 결속을 통해 이루어졌다.

2. 1. 사쓰마 번의 입장

사쓰마 번은 공무합체(조정과 막부의 협력)를 지지하며, 막부의 개혁을 통해 서구 열강에 대응하려 했다. 1863년(분큐 3년) 아이즈 번과 협력하여 조슈 번 세력을 교토에서 추방하는 8월 18일의 정변을 주도했다.[9]

금문의 변 이후, 사쓰마 번 내부에서는 오쿠보 도시미치, 사이고 다카모리를 중심으로 막부에 대한 강경론이 힘을 얻었다. 이는 사쓰마 번이 막부 주도의 정치 개혁에 더 이상 기대를 걸 수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9] 이후 사쓰마 번은 제2차 조슈 정벌에서 막부의 출병 요구를 거부하는 등, 삿초 동맹 체결 이후 조슈 번과의 관계를 강화했다.[9]

2. 2. 조슈 번의 입장

조슈 번은 급진적인 존왕양이(尊王攘夷, 왕을 받들고 외세를 배척) 사상을 바탕으로 막부에 반대하는 입장이었다.[1] 1864년(겐지 원년) 금문의 변을 일으켜 교토로 진격했으나, 사쓰마 번과 아이즈 번 연합군에 패배했다.[9]

2. 3. 양 번의 갈등 심화

금문의 변 이후 조슈번은 조정의 적으로 간주되어 막부로부터 제1차 조슈 정벌을 당하는 등 위기에 몰렸다.[9] 한편, 사쓰마번 역시 막부의 개혁에 대한 기대가 무너지면서, 오쿠보 도시미치사이고 다카모리 등을 중심으로 막부에 대한 강경론이 대두되었다.[9]

3. 동맹의 결성 과정

사쓰마번조슈번에도 시대 막부 말기 정계에서 웅번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했지만, 서로 다른 입장 차이로 인해 쉽게 화해하지 못했다. 사쓰마 번은 공무합체를 지지하며 막부의 개혁을 요구한 반면, 조슈 번은 급진적인 양이론을 내세우며 반막부적인 자세를 강화했다.[9] 1863년 8월 18일의 정변으로 사쓰마 번은 아이즈번과 협력하여 조슈 번 세력을 교토에서 추방했고, 1864년 금문의 변에서는 조슈 번 병력을 격파하여 양 번의 적대 관계는 더욱 심화되었다.[9]

금문의 변 이후 조슈 번은 조정의 적으로 간주되어 제1차 조슈 정벌을 당하는 등 궁지에 몰렸다. 한편, 사쓰마 번 내부에서도 막부에 대한 강경론이 높아지면서 오쿠보 도시미치사이고 다카모리를 중심으로 막부와의 대립이 불가피하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9]

이러한 상황에서 후쿠오카번의 존황양이파, 영국의 주일 공사 해리 파크스, 도사번 출신의 사카모토 료마나카오카 신타로 등이 중재에 나서면서 삿초 동맹의 기반이 마련되기 시작했다.

이들의 중재 노력으로, 1866년 1월 21일, 고마쓰 기요카도의 저택에서 사쓰마 번의 사이고 다카모리, 고마쓰 기요카도와 조슈 번의 가쓰라 고고로 (기도 다카요시)가 6개 조항의 동맹을 체결하게 되었다.

3. 1. 후쿠오카 번의 역할

사쓰마번조슈번 간의 화해에는 제1차 조슈 정벌 중지 주선과 다자이후 엔주오인 수용에 분주했던 후쿠오카번의 존황양이파가 큰 역할을 했다.[9] 이들은 다카스기 신사쿠사이고 다카모리 간의 회담(대범루 회담)을 주선하는 등 양 번의 화해를 위해 노력했다.[9]

3. 2. 영국의 개입

영국의 주일 공사 해리 파크스다카스기 신사쿠와 회담하고, 사쓰마 번과 마찬가지로 막부 말기 정계에서 영향력을 가지고 있던 도사 번을 방문하는 등 서남 지방의 여러 번들을 결속시키려 했다.[9]

3. 3. 사카모토 료마의 중재

도사 번 출신 사카모토 료마는 나가사키에서 가이엔타이(후의 해원대)를 이끌며 사쓰마 번과 조슈 번 사이의 중재자 역할을 수행했다.[1] 사카모토 료마는 조슈 번이 필요로 하는 무기를 사쓰마 번이 제공하도록 주선하여 양 번의 관계 개선에 기여했다.[2]

3. 4. 6개조 동맹 체결

1866년(게이오 2년) 1월 21일, 교토의 고마쓰 기요카도(小松清廉) 저택에서 사쓰마 번의 사이고 다카모리, 고마쓰 기요카도와 조슈 번의 가쓰라 고고로(桂小五郎, 기도 다카요시)가 만나 6개 조항으로 구성된 삿초 동맹을 체결했다.[14] 이 회담에는 사카모토 료마도 동석했다.[14]

사카모토 료마기도 다카요시가 회담 내용을 6개조로 정리한 서한에 "'''표면에 기재된 6개조는 ... 전혀 다름이 없으므로, 앞으로도 결코 변하지 않을 것임은 신명이 아는 바이다.'''"라고 주서(朱書)하여 내용이 정확함을 보증했다.[14]

6개조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14]

조항내용
1조조슈 번에서 전쟁이 시작되면 사쓰마 번이 교토와 오사카에 출병하여 막부에 압력을 가한다.
2~4조전쟁 승패와 관계없이 사쓰마 번이 조슈 번의 정치적 복권을 위해 조정에서 활동한다.
5조이치카이소 정권이 조정을 장악하여 사쓰마 번의 요구를 거부하면 군사적 대결도 불사한다.



이는 주로 제2차 조슈 정벌에서 사쓰마 번이 조슈 번을 지원하겠다는 약속이었다.

4. 동맹의 내용과 의미

사쓰마 번과 조슈 번은 에도 시대 말기 정계에서 큰 영향력을 가진 웅번이었다. 그러나 사쓰마 번은 공무합체를 지지하며 막부의 개혁을 요구한 반면, 조슈 번은 급진적인 양이론을 내세우며 반막부적인 자세를 강화하여 양측은 쉽게 화해할 수 없었다.[1] 1863년, 사쓰마 번은 아이즈 번과 협력하여 조슈 번 세력을 교토에서 추방했고(8월 18일의 정변), 이듬해에는 조슈 번 병력을 격파하여(금문의 변) 양측의 적대 관계는 더욱 깊어졌다.

금문의 변으로 조정의 적이 된 조슈 번은 막부로부터 제1차 조슈 정벌을 당하는 등 궁지에 몰렸다. 한편, 사쓰마 번도 막부의 정치 개혁에 대한 기대를 접고 오쿠보 도시미치, 사이고 다카모리 등을 중심으로 막부에 대한 강경론이 높아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후쿠오카 번의 존황양이파 세력과 영국 공사 해리 파크스 등의 중재, 그리고 도사 번 출신 사카모토 료마나카오카 신타로의 노력으로 양 번 간의 화해가 추진되었다.[2] 특히, 사카모토 료마는 나가사키에서 가이엔타이를 이끌며 양 번 사이를 중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866년 1월 21일, 고마쓰의 저택에서 사쓰마 번의 사이고, 고마쓰와 조슈 번의 가쓰라 고고로가 6개 조항의 동맹을 체결했다.[3] 이 자리에는 오쿠보, 시마즈 이세 등 사쓰마 번 인사들과, 기도 외에 시나가와, 미요시 등 조슈 번 인사들이 참석했다.

이 밀약에 따라 사쓰마 번은 막부의 제2차 조슈 정벌 때 출병을 거부했고, 이후 양 번의 관계는 더욱 깊어졌다.

4. 1. 6개조 맹약의 구체적 내용

薩長同盟裏書일본어에 따르면 6개조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14]

조항내용
제1조조슈번에서 전쟁이 시작될 경우, 사쓰마번이 즉시 2,000명 이상의 병력을 교토에 파견하고, 오사카에도 약 1,000명의 병력을 배치하여 막부에 압력을 가한다.
제2조전쟁에서 조슈 번이 승리할 가능성이 보이면, 사쓰마 번은 조정을 설득하여 조슈 번의 복권을 위해 노력한다.
제3조전쟁에서 조슈 번이 패배하더라도, 사쓰마 번은 최소 1년에서 6개월 동안 조슈 번을 지원한다.
제4조막부군이 철수하면, 사쓰마 번은 조정을 설득하여 조슈 번의 억울한 누명을 벗기고 복권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제5조사쓰마 번이 기나이에 출병하여 압력을 가해도 이치카이소 정권이 조정을 장악하고 사쓰마 번의 요구를 거부하면, 사쓰마 번은 그들과의 군사적 대결도 불사한다.
제6조조슈 번의 억울한 누명이 풀리면, 양 번은 진심으로 화합하여 황국의 이익과 왕정복고를 위해 진심을 다한다.



이 내용은 주로 제2차 조슈 정벌에서 사쓰마 번이 조슈 번을 지원하는 것을 약속하는 것이었다. 사카모토 료마기도 다카요시가 6개조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보낸 서한(게이오 2년 1월 23일 자)에 대해, "표면에 기재된 6개조는 고니시, 두 분과 형님 료마 등도 함께 참석하여 논의한 내용이며, 전혀 다름이 없으므로, 앞으로도 결코 변하지 않을 것임은 신명이 아는 바이다."라고 주서(朱書)하여 회신(2월 5일 자)했다.[15]

사카모토 료마 친필 "삿초 동맹 이면 서". 궁내청 서릉부 도서과 도서료 문고 소장.

4. 2. 동맹의 한계와 의의

삿초 동맹은 즉각적인 막부 타도를 목표로 한 것은 아니었으며, 당시 교토 정국을 주도하던 도쿠가와 요시노부(이치카이소 정권)를 견제하는 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었다.[11] 하지만, 이 동맹을 통해 사쓰마 번과 조슈 번은 막부에 대항하는 강력한 연합 세력을 형성하게 되었고, 이는 이후 왕정복고보신 전쟁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발판이 되었다.[4]

동맹 당시 '결전'의 상대로 상정된 것은 막부 자체가 아니라 도쿠가와 요시노부, 마쓰다이라 가타모리(아이즈 번), 마쓰다이라 사다아키(구와나 번) 3인, 소위 이치카이소 정권이었다.[12] 당시 히토쓰바시 가문의 당주였던 요시노부는 고유의 군사력을 대부분 보유하고 있지 않았고, 군사적 대결의 상대로서는 아이즈 번이나 구와나 번, 특히 아이즈 번을 목표로 한 것이었다.[12]

5. 동맹의 영향

사쓰마 번과 조슈 번은 삿초 동맹을 통해 막부를 타도하고 왕정복고를 이루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 동맹은 단순한 군사적 협력을 넘어, 이후 일본의 근대화를 이끈 핵심 동력이 되었다는 점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하다.

삿초 동맹은 처음부터 막부 타도를 목표로 한 것은 아니었다. 동맹 당시 '결전' 상대로 상정된 것은 막부 자체가 아니라, 도쿠가와 요시노부, 마쓰다이라 가타모리(아이즈 번), 마쓰다이라 사다아키(구와나 번)를 중심으로 한 '이치카이소 정권'이었다.[12] 당시 히토쓰바시 가문 당주였던 요시노부는 고유 군사력을 거의 보유하지 않았고, 군사적 대결 상대로는 아이즈 번이나 구와나 번, 특히 아이즈 번을 목표로 했다.[12]

5. 1. 제2차 조슈 정벌에서의 협력

삿초 동맹에 따라 사쓰마 번은 막부가 주도한 제2차 조슈 정벌에 출병을 거부했고, 이후 사쓰마 번과 조슈 번의 제휴 관계는 더욱 깊어졌다.[9] 메이지 시대시마즈 히사미쓰의 측근으로 역사 편찬 사업에 종사했던 사쓰마 번 출신 이치키 시로는 삿초 동맹이 성립된 것은 1867년(게이오 3년) 11월, 사쓰마 번주 시마즈 다다요시가 다수의 병사를 이끌고 상경했을 때 조슈 번 세자 모리 모토노리와 회견하여 출병 협정을 맺은 시점이라고 지적하고 있다.[9]

5. 2. 메이지 유신의 주도 세력

사쓰마 번과 조슈 번 출신 인물들은 삿초 동맹을 통해 결속되었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 새로운 정부의 요직을 차지하며 일본의 근대화를 주도했다.[4]

5. 3. 한국 근대사에 미친 영향

삿초 동맹은 일본메이지 유신을 성공으로 이끈 핵심 동력이었다. 이를 통해 근대화된 일본은 이후 조선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며, 결국 한반도를 식민지로 지배하게 되는 역사적 배경이 되었다.[1]

6. 현대의 기념 및 비유

가고시마 대학(구 사쓰마 번 소재)과 야마구치 대학(구 조슈 번 소재)은 2018년 메이지 유신 150주년을 기념하여 "사쓰마-조슈 동맹" 소주를 출시했다.[16]

현대 정치 상황이나 사회 운동 등에서 여러 인물이나 세력이 손을 잡는 것을 "사쓰마-조슈 동맹"에 비유하는 경우가 있다.[17]

7. 관련 항목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뉴스 19世紀後半、黒船、地震、台風、疫病などの災禍をくぐり抜け、明治維新に向かう(福和伸夫) https://news.yahoo.c[...] 2020-08-24
[6] 간행물 薩長同盟締結の地『御花畑』発見 公益財団法人西郷南州顕彰会 2016-09
[7] 논문 近衛家別邸「御花畑」の成立とその政治史上の役割 : 禁裏御用水・桂宮家・尾張藩・薩摩藩との関わりについて https://doi.org/10.1[...] 同志社大学人文学会 2020-03
[8] 논문 幕末薩摩外交-情報収集の点からみた薩長同盟- https://www.pref.kag[...] 鹿児島県歴史資料センター黎明館 2017-03-31
[9] 서적 西郷隆盛と幕末維新の政局 ミネルヴァ書房
[10] 논문 薩長盟約の成立とその背景
[11] 서적 明治史研究の最前線 筑摩選書 2020-01-15
[12] 서적 孝明天皇と「一会桑」 文春新書
[13] 서적 江戸幕府崩壊
[14] 서적 坂本龍馬 岩波新書
[15] 웹사이트 尺牘(龍馬裏書) https://www.kunaicho[...]
[16] 뉴스 維新150年記念で薩長同盟焼酎 https://www.nikkei.c[...] 2018-07-25
[17] 뉴스 安倍晋三首相、鹿児島で「平成の薩長同盟」を演出「反安倍」鎮めた森山裕氏に論功行賞 https://www.sankei.c[...] 星海社新書 2018-08-26
[18] 뉴스 「薩土密約」の石碑 京都祇園に建立 板垣退助の子孫ら集う https://www.kyoto-np[...] 京都新聞デジタル 2019-09-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