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상군 (청나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군은 1850년대 태평천국의 난을 진압하기 위해 증국번이 창설한 한족 의용군이다. 청나라 조정의 지원을 받아 성장했으며, 1853년 장시 성으로 진출하여 태평천국군과 교전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상군은 육군과 수군을 갖추고 태평천국군 격퇴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며, 이홍장이 창설한 회군에도 영향을 미쳤다. 상군 출신들은 양무운동에서 활약했고, 청 왕조 멸망 후에는 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나라의 부대 및 편성 - 녹영군
    녹영군은 청나라가 한족 군인 중심으로 창설한 군대로, 삼번의 난을 거치며 핵심 군사력으로 부상했으나 18세기 이후 쇠퇴하여 신군에게 자리를 내주고 해체되었으며 청나라 군사력 변화와 흥망성쇠를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 청나라의 부대 및 편성 - 상승군
    상승군은 1860년 프레데릭 타운센드 워드가 조직한 서양식 용병 부대로, 제2차 상하이 방어전에서 활약하여 청나라로부터 이름을 받았으며, 찰스 조지 고든의 지휘 하에 태평천국군과의 전투에서 활약하다 1864년 해산되었다.
  • 후난성의 역사 - 남당
    남당은 오대십국 시대 강남을 중심으로 서지고(이병)가 건국하여 당을 계승했다는 명분으로 성립되었으나, 이경과 이유 시대에 문화적, 경제적 발전을 이루었음에도 후주와 송의 압력으로 쇠퇴하여 송에 멸망, 문화적 유산과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 후난성의 역사 - 강남도 (당)
    강남도는 당나라 시대 중국 남부의 광대한 지역을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733년 강남동도와 강남서도로 분할되었으며, 당나라 말기에는 절도사와 관찰사들이 등장하여 후대 봉건 체제에 영향을 미쳤다.
상군 (청나라)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867–68년경의 상군 병사들
1867–68년경의 상군 병사들
명칭상군 (湘軍)
다른 이름옛 후난군 (Old Hunan Army)
존속 기간1850년 – 1864년 ("옛 후난군")
1864년 – 1895년 (잔존 부대 및 재편된 군대)
국가청나라
소속청나라
군종민병대
용영
최종적으로 상비군
규모17,000명
360,000명 (1860년)
지휘부
총사령관/지휘관증국번
야전 사령관좌종당
야전 사령관포초
주요 지휘관해당 정보 없음
전투 및 작전
주요 참전태평천국의 난
염군의 난
동간 봉기 (1862년-77년)
훈장해당 정보 없음
전투 명예해당 정보 없음

2. 활동

상군 창설자 증국번


증국번태평천국의 난 진압을 위해 상군을 창설하고, 1853년 장시성으로 원정하여 태평천국군을 상대로 승리하며 중요한 전투력으로 부상했다. 1854년(함풍제 4년) 육군 13영 6,500명, 수군 10영 5,000명이었던 상군은 1864년(동치제 3년) 태평천국 멸망 시에는 12만 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1862년(동치제 원년) 증국번의 제자 이홍장안후이성에서 회군을 창설했는데, 일부 상군 부대를 편입하여 만들어졌다.

상군에는 전국 각지의 인재들이 모여들었고, 그 수는 300~400명에 달했다. 이들 중 총독이 된 사람 15명, 순무가 된 사람 14명을 비롯하여 다수의 문무관들이 배출되었으며, 이들은 양무운동에 큰 역할을 했다.

태평천국의 난 진압 이후, 증국번은 청나라 조정의 의심을 우려하여 상군을 해산했다. 해산된 상군 장병들 중 다수는 가로회에 가담했다.

2. 1. 창설 배경



후난성 샹샹 출신의 향신(지방 유력자) 증국번상군의 창시자이다. 증국번은 후난성 각지의 향용(지방의 유력자가 자발적으로 자기 방위를 위해 만든 민병 조직)을 정리해 상군을 결성했다. 그는 청나라 정규군의 계속되는 패전을 보고 군자금을 마련하여 관리 노릇을 하는 사기 높은 새로운 군사 조직을 창설하고자 했다.[2]

1853년, 상군은 전수방위 명령을 무시하고 장시성으로 원정을 떠나 태평천국군과 맞서 싸웠다. 이러한 공적으로 증국번은 승진했고, 상군은 태평천국의 난에 대항하는 중요한 전투력이 되었다.

1854년(함풍제 4년) 당시 육군은 13개 대대 6,500명, 수군은 10개 대대 5,000명이었지만, 1864년(동치제 3년)에 태평천국을 멸망시켰을 때는 12만 명까지 불어났다. 당시 새로운 규칙은 "병사는 장군을 따르고, 병사는 장군에게 속한다"()고 명명되었으며, 이는 북송 이전의 "병사에게 고정된 지휘관이 없고, 지휘관에게 고정된 병사가 없다"()는 옛 군사 규칙과는 대조적이었다. 이 새로운 군사 규칙은 군벌 시대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2. 2. 태평천국의 난 진압



후난성 샹샹 출신의 향신 증국번이 상군의 창시자이다. 증국번은 후난성 각지의 단련(郷紳)을 모아 상군을 결성했다. 증국번은 연이은 청나라 정규군의 패배를 보고 군자금을 관에서 조달하는 사기가 높은 새로운 군사력 창설을 노렸다. 단련 조직령은 어디까지나 향토 방위를 목적으로 한 지령이었지만, 1853년에 상군은 전수 방어 명령을 무시하고 장시 성으로 원정하여 태평천국군을 맞이했다. 이러한 실적과 증국번의 승진과 함께 상군은 태평천국의 난에 대항하는 중요한 전투력이 되어갔다.

1854년(함풍제 4년) 당시 육군 13영 6천 5백 명, 수군 10영 5천 명이었지만, 1864년(동치제 3년)에 태평천국을 멸망시켰을 때는 12만 명으로 불어났다. 청나라의 만주족 귀족 중에는 지방의 한족이 무장하는 것에 불신감을 품는 자도 있었지만, 태평천국의 난 진압을 위해 상군을 중용하지 않을 수 없었다.

1862년(동치제 원년)에는 안후이 성에서 증국번의 제자인 이홍장회군을 창설했으며, 상군과 마찬가지로 단련을 바탕으로 일부 상군에서 부대를 편입하여 창설되었다.

전국 각지의 인재가 증국번 휘하의 상군에 투입되었고, 그 막료는 300~400명 이상에 달했다. 후에 이러한 장수와 막료 중 총독이 된 자는 15명, 순무가 된 자는 14명, 그 외 문무관도 다수에 달한다. 이 상군 출신자들이 양무운동에서 큰 역할을 하게 되었다. 상군은 청 왕조를 구했지만, 한족이 정계의 중심으로 진출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증국번은 태평천국 멸망 후 청나라로부터의 의혹을 두려워하여 상군을 해산했다.[3][4][5][6]

상군 해산 후에는 가로회에 참가한 장병이 다수 있었다고 한다.

2. 3. 군사적 특징

증국번은 호남성 각지의 향용(지방의 유력자가 자발적으로 자기 방위를 위해 만든 민병 조직)을 모아 상군을 결성했다. 그는 청나라 정규군의 계속된 패전을 보고 군자금을 마련하여 사기가 높은 새로운 군사 조직을 만들고자 했다. 1853년, 상군은 장시성으로 원정을 떠나 태평천국군에 맞섰고, 이 공으로 태평천국의 난 진압에 중요한 전투력이 되었다.[2]

1854년 당시 육군은 13개 영(營) 6,500명, 수군은 10개 영 5,000명이었으나, 1864년 태평천국 멸망 당시에는 12만 명으로 늘어났다. 상군의 새로운 규칙은 "병사는 장군을 따르고, 병사는 장군에게 속한다"()는 것이었다. 이는 북송 이전의 "병사에게 고정된 지휘관이 없고, 지휘관에게 고정된 병사가 없다"()는 옛 군사 규칙과 대조적이며, 군벌 시대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증국번은 좋은 급여가 전투 사기를 결정짓는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상군 병사의 급여는 매달 은 4냥(태엘)으로, 팔기군 육군(녹영) 병사 월급(은 1.5냥)보다 훨씬 높았다.

상군 1개 영(營, battalion)은 장교 5명과 병사 500명, 행정 및 수송 인력까지 총 688명으로 구성되었다. 각 영은 4개 소(哨, company)와 경호 부대로 나뉘었고, 이론적으로 경박격포 2문과 징갈(jingals, Wall gun) 48문, 창, 칼, 화승총으로 무장했다. 1864년부터는 외국제 소총이 각 영의 여러 소대에 배치되었다. 2~10개 영은 준장 휘하의 여단을, 2개 이상 여단은 군을 형성했다. 선임 지휘관은 종종 친척과 친구를 부하 지휘관으로 임명했다.[7]

1856년, 상군은 약 60,000명(모두 호남 출신)이었다. 이후 모집이 호남 밖으로 확장되면서, 200개 영, 즉 137,600명으로 늘었다.[7]

1860년, 상군 병력은 총 36만 명에 달했고, 이 중 주력 부대(13만 명)는 증국번이 이끌었다.

2. 4. 해산과 영향

증국번태평천국의 난이 진압된 이후, 평화로운 시기에 무력을 유지하는 것은 청나라 조정으로부터 반란의 의혹을 살 수 있었기 때문에 상군을 해산했다.[3] 상군에는 전국 각지의 인재들이 증국번 휘하에 모여들었고, 참모는 300~400명 이상이었다.[3] 이들 중 총독이 된 사람은 15명, 순무가 된 사람은 14명이었으며, 그 외에도 다수의 문무관을 배출했다.[3] 이들은 이후 양무운동에 큰 역할을 했으며,[3] 상군은 청나라를 구하고 한족이 정치권의 중심으로 진출하는 계기를 만들었다.[3]

상군 해산 후, 많은 장병들이 가로회(哥老会)에 가담했다.[3] 1864년부터 1890년까지 태평천국 몰락 이후, 중국 총독의 절반 이상이 상군 지도자 출신이었다. 이홍장에 의해 회군이 창설되면서 증국번은 상군(湘軍)의 무장을 해제하기 시작했는데, 이홍장은 상군의 가장 중요한 지휘관 중 한 명이었다. 1890년, 상군의 일부는 폭력 조직과 반정부 운동에 합류했고, 1911년 신해혁명 (중국 혁명)이 시작되자 상군의 옛 동료들은 서로에게 등을 돌렸다. 중화민국은 1912년 2월 12일에 수립되었다.

3. 주요 인물

상군에는 지휘관들 외에도 여러 인물들이 있었다. 서수, 이선란, 화형방 등의 과학자들도 증국번에게 협력했다.

태평천국 운동 진압 후, 호남군은 만주족에 대한 반란 소문이 있었고, 만주족은 그들이 너무 강력해졌다고 보았기 때문에 해산을 청원했다. 만주 조정은 팽옥린의 군대를 해군으로 전환하는 데 동의했다.

3. 1. 지휘관

이름비고
증국번
증국전
증국화
이홍장
유금당
이원도
좌종당
곽숭도
팽옥린
팽육귤
포초
호림익
낙택남
유장우
유곤일
유용
유악소
정일창
양악빈
장익례
이속빈
이속의
당훈방
이한장
양창준
유전
위광도
진사걸
이흥예
유송산
전응부
오곤수
장응학
김국침



그 외에도 서수, 이선란, 화형방 등의 과학자들이 증국번에게 협력했다.

3. 2. 기타 인물

인물
증국번
증국전
증국화
이홍장
유금당
이원도
좌종당
곽숭도
팽옥린
팽육귤
포초
이쉬빈
리쉬이
바오차오
류룽
류쿤이
류창유
장이리
증정간
호림익
유장우
유용
유악소
정일창
양악빈
라택남
당훈방
이한장
양창준
유전
위광도
진사걸
이흥예
유송산
전응부
오곤수
장응학
김국침



그 외, 서수, 이선란, 화형방 등의 과학자들도 증국번에게 협력했다.

참조

[1] 서적 Late Ch'ing, 1800–1911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China's Last Empire: The Great Qing
[3]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4]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5]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6]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7] 서적 The rise of Chinese military power 1895–1912 Princeton University Press
[8] 문서 地方の有力者が自主的に自衛のために作った[[民兵]]組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