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스퀘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스퀘어는 1977년 대우그룹 사옥으로 준공된 대우센터빌딩을 리모델링하여 2009년 11월 재개관한 건물이다. 1999년 대우그룹 해체 이후 금호아시아나그룹, 모건스탠리를 거쳐 2010년 싱가포르계 투자회사에 매각되었다. 2014년 드라마 《미생》 촬영지로 '장그래 빌딩'으로 불리기도 했으며, 현재는 NH투자증권이 소유하고 있다. 서울역과 연결되어 있으며, 사무 공간, 상업 시설, 식당가 등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사무용 건물 - 광화문 D타워
- 대한민국의 사무용 건물 - KAL 빌딩
KAL 빌딩은 1969년 완공 당시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으며, 한진그룹이 사용했고, 82m 높이에 23층 규모로 업무 시설과 주차 시설을 갖추고 있다. - 1977년 완공된 건축물 - 하버 센터
캐나다 밴쿠버에 위치한 28층 높이의 하버 센터는 밴쿠버 전망대를 갖춘 주요 관광 명소이며, 한때 브리티시컬럼비아주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고 다양한 영상 매체의 촬영지로도 활용되었다. - 1977년 완공된 건축물 - 마오주석 기념당
마오주석기념당은 마오쩌둥의 유해를 안치하기 위해 화궈펑의 주도로 톈안먼 광장에 건설되어 1977년 완공되었으며, 마오쩌둥을 기리는 장소로 일반에 공개되었다. - 대우그룹 - 한화오션
한화오션은 1973년 대한조선공사로 설립되어 대우조선해양을 거쳐 2022년 한화그룹에 인수된 대한민국의 조선업체로, 다양한 선박과 해양플랜트 건조, 분식회계 및 경영난을 거쳐 한화그룹 인수 후 사업 확장과 세계적인 조선 기술력을 바탕으로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 대우그룹 -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인터내셔널은 1967년 대우실업으로 설립되어 2000년 (주)대우 무역 부문에서 분할된 대한민국의 종합상사로, 섬유, 철강 무역에서 시작해 플랜트, 자원 개발, 에너지 등으로 사업을 확장했으며, 2010년 포스코 그룹에 편입, 2023년 포스코에너지와 합병하여 글로벌 친환경에너지 전문기업으로 성장 중이나, 미얀마 가스전 사업, 파푸아뉴기니 팜유 사업 등으로 논란이 있다.
서울스퀘어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한강대로 416 |
상태 | 완공 |
용도 | 업무시설, 근린생활시설 |
건설사 | 대우건설 |
개발사 | 정림건축 / 아이아크건축가들 (리모델링) |
소유주 | 케이알원 기업구조조정 부동산 투자회사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3/05/2017030501588.html?rsMobile=false |
크기 정보 | |
구조물 높이 | 109m |
층수 | 지상 23층, 지하 3층 |
대지 면적 | 10,583m2 |
건축 면적 | 8,0272 |
총 면적 | 132,806 |
용적률 | 1,132.9% |
건폐율 | 100% |
연혁 | |
기공 | 1973년 12월 |
착공 | 1973년 12월 |
완공 | 1977년 6월 |
개장 | 1977년 6월 |
2. 역사
1973년 12월 대우그룹이 교통센터 부지를 47억원에 인수하여 1977년에 23층 규모의 사옥 '대우센터빌딩'을 완공하였다.[4] 이 건물은 완공 당시 국내 최대 규모의 오피스 빌딩이었다. 1997년 IMF 외환 위기 이후 대우그룹이 해체되면서 2006년 금호아시아나그룹에, 2007년에는 모건스탠리에 매각되었다.[4][2][5]
2007년 9월부터 대대적인 리모델링이 실시되었으며, 2009년 2월 건물 이름을 지금의 서울스퀘어로 바꾸었다.[4] 2009년 10월 말 리모델링이 완료되어 2009년 11월 17일에 재개관했다. 리모델링에는 약 1000억원~2000억원의 예산이 소요되었다.[5][3]
2010년 12월, 모건스탠리는 서울스퀘어를 싱가포르계 투자회사인 알파인 베스트먼트 파트너스에 8000억원에 매각했다.[5] 이후 2019년에 NH투자증권이 알파인으로부터 서울스퀘어를 인수했다.
2. 1. 대우센터빌딩 시절 (1977년 ~ 2006년)
1973년 12월 대우그룹이 교통센터 부지를 47억원에 인수하여, 1977년에 23층 규모의 사옥 '대우센터빌딩'을 완공하였다.[4] 대우자동차, 대우건설, 대우전자, 대우인터내셔널, 대우조선 등 대우그룹의 전 계열사가 입주한 본사였으며, 맨 꼭대기 층인 25층에는 김우중 회장의 집무실이 있었다.
대우센터빌딩은 완공 당시 국내 최대 규모의 오피스빌딩이었으며, 가로/세로 100m 길이의 정사각형 모양 붉은색 건축물이었다. 이는 지금의 건축법상으로는 구현하기 어려운 형태이다.[4] 준공 당시 화제가 되어 전국에서 구경꾼이 몰려 빌딩 주변이 북새통이었다고 전해지며,[2] 가장 먼저 불이 켜지고 가장 늦게 꺼지는 건물로, 국내에서 가장 많은 전력을 쓰는 빌딩으로 조사되기도 했다.[2]
완공 당시 서울 시내는 스카이라인이 높지 않아 대우빌딩에서 청와대가 내려다보였다. 이 때문에 청와대 경호실의 제기로 대우빌딩의 청와대 방향 창문을 모두 가렸다는 비화가 있다. 빌딩 옥상에는 수도방위사령부 소속 방공포 4대가 설치되어 민간인 출입이 통제되기도 하였다.[2]
2. 2. 리모델링과 서울스퀘어로의 변화 (2006년 ~ 2010년)
1997년 IMF 외환 위기를 겪은 대우그룹은 1999년에 해체되면서 계열사들이 흩어진 이후, 대우빌딩도 2006년 금호아시아나그룹에 매각되었고 2007년에는 모건스탠리가 9600억원에 인수했다.[4][2][5]2007년 9월부터 대대적인 리모델링이 실시되었다.[4] 리모델링 과정은 딱딱하고 권위적인 건물 이미지를 보다 새롭고 경쾌하며 열린 이미지로 바꿔 사람들에게 다가가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4] 리모델링 초창기 계획은 건물 전면부를 유리 파사드로 교체하고, 그 사이에 캔버스를 구현하고자 하였으나, 서울시 인허가 과정에서 재개발로 간주되어 주변 부지를 매입해 기부채납을 해야 한다는 점으로 인해 무산되었다. 이후 리모델링 방식은 LED 소자를 전면부에 박아 미디어 파사드 형태를 구현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4]

건물 외관 뿐만 아니라 내부에도 딱딱한 이미지를 없애기 위해 노력하였는데, 당시 설계를 맡은 김진구 대표는 "사람들이 건물의 외관만 보고 판단하지 않게 하기 위해 내부 디자인에 곡선을 많이 도입했다"고 설명하였다.[4] 2009년 2월 건물 이름을 지금의 서울스퀘어로 바꾸었으며, 2009년 10월 말 리모델링 과정이 모두 완료되었다.[4] 이후 2009년 11월 17일에 재개관했다. 리모델링에 들어간 총 예산은 약 1000억원~2000억원에 달했다.[5][3]
2. 3. 서울스퀘어의 현재 (2010년 ~ 현재)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여파와 부동산 경기 침체로 사무실 임대가 부진하고 빌딩 가치가 하락하여 큰 손실을 보게 되자, 모건스탠리는 2010년 12월 싱가포르계 투자회사인 알파인 베스트먼트 파트너스에 서울스퀘어를 8000억원에 매각했다.[5] 모건스탠리는 같은 해 12월 31일자로 한국 내 부동산 투자 부문인 모건스탠리 리얼 에스테이트 인베스팅을 철수했다.[5] 2013년까지만 해도 서울스퀘어의 공실률은 40%에 달해 서울특별시의 프라임급 오피스빌딩 중에서 높은 수준을 기록했으나, 2014년을 기점으로 외국계 기업들을 다수 유치하면서 공실률이 줄어드는 추세를 보였다.[2] 2016년 기준으로 서울스퀘어에는 메르세데스벤츠, 지멘스 AG, 엑슨모빌 등의 독일계 기업들과 LG전자, KEB하나은행, 우리은행 등의 기업들이 입점해 있고, 주한 독일 대사관, 주한 덴마크 대사관, 주한 에스토니아 대사관, 주한 유럽 연합 대표부도 자리 잡고 있다.[4][2]2014년 tvN 드라마 《미생》에서 배경이 되는 운수기업 '원인터네셔널'의 사옥으로 서울스퀘어를 사용하고, 실제 서울스퀘어의 빈 사무공간과 옥상 등을 촬영 장소로 사용했다. 《미생》의 프로듀서를 맡은 이재문은 "치열하게 움직이는 대기업 직원군을 그리기 위해 상징적인 건물이 필요했다"며 "성처럼 보이면서 고독해 보이는 건물, 한국경제에 상징적인 건물이라는 점에서도 특별하다"라고 말했다. 드라마가 큰 인기를 얻으면서 드라마 속 배경이 된 서울스퀘어도 '장그래 빌딩'이라는 별칭으로 재조명받게 되었다.[2]
2019년에 NH투자증권이 알파인으로부터 서울스퀘어를 인수했다.
3. 내부 시설
서울스퀘어는 본 건물과 주차동으로 나뉘며, 주차동은 부속 건물로서 7층 높이이다.[6]
층수 | 용도 |
---|---|
4층 ~ 23층 | 사무공간 |
3층 | 사무공간, 편의공간 |
2층 | 전문 식당가, 전문 금융 서비스 |
1층 | 메인 로비, 미팅실 |
지하 1층 | 상업 시설 |
지하 2층 | 지하주차장 |
4. 교통
서울스퀘어는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 지하철 4호선 서울역과 연결되어 있으며, 서울 시내버스 간선버스 421, 505, 507번, 순환버스 03번, 공항버스 6001번이 지난다.[7]
4. 1. 지하철
서울역 서울 지하철 1호선 승강장 8, 9번 출구, 서울 지하철 4호선 승강장 10번 출구와 연결된다.[7]4. 2. 버스
서울 시내버스는 다음과 같다.종류 | 노선 번호 |
---|---|
간선버스 | 421, 505, 507 |
순환버스 | 03 |
공항버스 | 6001 |
참조
[1]
뉴스
공실 굴욕의 서울스퀘어…"매각 연기에 손절매 우려도"
https://biz.chosun.c[...]
조선비즈
2017-03-06
[2]
웹인용
구 대우빌딩, 미생 '장그래 빌딩'으로 불리며 재조명
https://web.archive.[...]
2017-08-26
[3]
뉴스
서울스퀘어, 美 친환경건물인증 최고등급 획득
http://www.hankookil[...]
한국일보
2014-10-21
[4]
뉴스
"[건축과 도시] 한국 현대사의 자화상 ‘서울스퀘어’"
http://www.sedaily.c[...]
서울경제
2016-05-13
[5]
뉴스
"[단독]“3000억 손절매” 모건스탠리, 서울스퀘어 ‘눈물의 매각’"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1-01-21
[6]
웹인용
서울스퀘어
https://web.archive.[...]
2017-08-27
[7]
웹인용
서울스퀘어
https://web.archive.[...]
2017-08-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