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연일 정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일 정씨는 신라 유리 이사금 9년에 정씨 성을 하사받은 지백호를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고려 시대 간의대부 정종은을 시조로 하는 연일 정씨는 지주사공파, 감무공파, 양숙공파 등 여러 분파로 나뉘며, 정몽주, 정철 등 역사적으로 다양한 인물을 배출했다. 경상북도 포항시 연일읍 일대를 본관으로 하며, 조선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어 영향력을 행사했다. 1985년에는 25만 명 이상이었으며, 2015년에는 연일, 영일, 오천 정씨를 합쳐 39만 명 이상으로 집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일 정씨 - 정지용
    정지용은 충청북도 옥천 출생으로 모더니즘 문학을 선도했으며, 시문학 동인과 구인회 활동을 거쳐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등을 역임했으나 한국 전쟁 중 행방불명되었다.
  • 연일 정씨 - 정희택
    정희택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으로 검사, 중앙수사국장 등 요직을 거쳐 제11대 국회의원, 감사원장, 방송위원회 위원장, 언론중재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며 언론 정책에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권위주의 정권과의 협력에 대한 비판도 있다.
연일 정씨
기본 정보
성씨연일 정씨
이칭영일 정씨
나라한국
관향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시조정종은(鄭宗殷)
중시조정습명(鄭襲明), 정극유(鄭克儒)
인물
주요 인물정몽주
정철
정홍명
정유성
정호
정제두
정우량
정휘량
정치달
정후겸
정구영
정지용
정광현
정운갑
정희택
정태원
정종택
정호용
정운찬
정의용
정의화
정우택
정태옥
통계
년도2015
인구393,622명
기타
연일 정씨의 종문

2. 기원

삼국사기』에 따르면, 신라 취산진지촌의 촌장 지백호유리 이사금 9년(서기 32년)에 정씨 성을 하사받은 것이 기원이다.

3. 역사

연일 정씨(迎日 鄭氏)의 시조인 '''정종은'''(鄭宗殷)은 신라 때 간의대부(諫議大夫)를 지냈다고 한다. 정종은(鄭宗殷)의 후손 정의경(鄭宜卿)이 영일호장(迎日戶長)을 지내고 영일현백(迎日縣伯)에 봉해졌으므로 그 후손들이 본관을 영일(迎日)로 하였다 한다. 본관은 연일(延日)의 옛 지명인 영일(迎日)로 쓰기도 하고, 영일(迎日)의 마을인 오천(烏川)으로 쓰기도 한다.

연일 정씨는 소목(昭穆)을 밝히지 못하는 세 개의 파가 있다. 하나는 고려 의종 때 중신으로 추밀원지주사(樞密院知奏事)를 지낸 '''정습명'''(鄭襲明)을 1세조로 하는 지주사공파(知奏事公派)인 정몽주(鄭夢周)·정문예(鄭文裔)계와 고려 때 감무(監務)를 지낸 '''정극유'''(鄭克儒)를 1세조로 하는 감무공파(監務公派)인 정사도(鄭思道)·정철(鄭澈)계, 그리고 고려 때 '''정자피'''(鄭子皮)를 1세조로 하는 양숙공파(良肅公派)가 있다.

4. 본관

연일(延日)은 경상북도 동해안에 위치한 포항시 연일읍 일대의 옛 지명이다. 신라 시대에는 근오지현(斤烏支縣) 또는 오량지현(烏良支縣)으로 불리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년)에 임정현(臨汀縣)으로 이름을 바꾸고 의창군(義昌郡)에 속한 현이 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년)에는 영일현(迎日縣)으로 다시 개칭되었고, 1018년(고려 현종 9년)에는 경주부(慶州府)에 속하게 되었다. 이후 1390년(고려 공양왕 2년)에 감무(監務)를 두면서 독립적인 행정 구역이 되었다.

조선 초기에는 이곳에 진(鎭)을 설치하여 병마사(兵馬使)가 지현사(知縣事)를 겸임하도록 하였다. 세종 대에는 병마첨절제사로 고쳤다가 나중에는 현감만을 파견하였다. 1732년(조선 영조 8년)에는 통양포(通洋浦) 아래에 포항창(浦項倉)을 설치하여 함경도 지역의 진휼(賑恤)을 위한 거점으로 삼았는데, 이는 함경도와 경상도를 잇는 동해안 해상 교통의 중심 역할을 하게 만들었다.

1895년(조선 고종 32년) 지방 제도 개정으로 동래부 영일군이 되었고, 1896년에는 경상북도 연일군이 되었다. 1914년 일제강점기 군면 폐합 정책에 따라 연일군은 연일면 등 5개 면으로 나뉘어 흥해·장기·청하군과 함께 영일군으로 통폐합되었다. 1980년에는 연일면이 연일읍으로 승격하였고, 1995년 영일군이 포항시에 통합되면서 현재에 이른다.

5. 분파


  • '''지주사공파'''(知奏事公派) - 정습명
  • '''문충공파'''(文忠公派) - 정몽주
  • '''생원공파'''(生員公派) - 정문예
  • '''문계공파'''(文繼公派) - 정문계
  • '''문손공파'''(文孫公派) - 정문손
  • '''사정공파'''(司正公派) - 정문비
  • '''정랑공파'''(正郞公派) - 정문욱
  • '''만호공파'''(萬戶公派) - 정형지
  • '''도사공파'''(都事公派) - 정희손
  • '''감무공파'''(監務公派) - 정극유
  • '''강화공파'''(江華公派) - 정효손
  • '''원평공파'''(原平公派) - 정효순
  • '''부마공파'''(駙馬公派) - 정효전
  • '''판결공파'''(判決公派) - 정자원
  • '''이의공파'''(吏議公派) - 정자양
  • '''위양공파'''(威襄公派) - 정자제
  • '''김제공파'''(金堤公派) - 정자숙
  • '''오성군파'''(烏城君派) - 정후
  • '''양숙공파'''(良肅公派) - 정자피
  • '''덕성공파'''(德成公派) - 정덕성
  • '''효성군파'''(孝成君派) - 정효성

6. 주요 인물

이름시대주요 경력 및 설명
정종은신라무열왕 때 간의대부, 삼한통일 공신, 연일 정씨 시조
정자피고려현종 때 동비원부사, 양숙공파 1세조
정사도고려공민왕 때 밀직부사
정인언고려공민왕 때 봉익대부 전공판서
정몽주고려 말고위관료, 성리학자, 고려의 절신(節臣)
정연조선 초기태종, 세종 때 관료
정덕성조선 초기세종 때 병조판서
정효전조선 초기단종 때 충신
정순조선 전기성종 때 관료
정경조선 중기중종 때 관료
정철조선 중기선조 때 좌의정, 가사문학의 대가
정홍명조선 중기인조 때 대제학
정립조선 중기인조 때 도승지
정응성조선 중기인조 때 지중추부사
정유성조선 후기현종 때 우의정
정극후조선 후기효종 때 학자
정숙주조선 후기효종 때 학자, 관료 (서인)
정시성조선 후기숙종 때 관료
정제두조선 후기숙종 때 학자, 양명학의 거성
정우량조선 후기영조 때 우의정
정휘량조선 후기영조 때 대제학
정치달조선 후기영조 때 부마
정문승조선 후기순조 때 공조판서, 판의금부사, 학자
정동식조선 말무관
정관식조선 말한학자
정운경조선 말의병대장
정운기일제강점기독립투사
정운갑일제강점기공직자
정지용일제강점기민족시인
정익원현대전 검사장
정태원현대전 대법관
정광현현대전 서울대 교수, 법학자
정희택현대전 국회의원, 전 감사원장
정구영현대전 국회의원
정치근현대전 법무부장관
정호용현대전 육군참모총장
정우택현대현 국회의원, 전 충청북도지사
정운찬현대제23대 서울대학교 총장, 제40대 국무총리
정재문현대전 국회의원
정주일현대전 국회의원
정의용현대전 국가안보실장
정태옥현대전 국회의원


7. 집성촌


8. 항렬자


  • 문충공파(포은공파)

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
口환(煥)口기(基)口용(鎔)口영(永)口화(和)연(然)口교(敎)의(義)口수(洙)래(來)훈(熏)


  • 생원공파

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41세42세43세44세45세
치(致)口진(鎭)연(淵)
해(海)
원(源)
口식(植)
동(東)
용(容)
口환(煥)
영(榮)
희(熙)
口기(起)
口재(在)
口배(培)
口규(圭)
口기(基)
현(鉉)
口록(錄)
호(鎬)
석(錫)
종(鍾)
口락(洛)
口태(泰)
口홍(洪)
口순(淳)
口수(洙)
근(根)
주(柱)
재(栽)
걸(杰)
口묵(默)
口열(烈)
口현(炫)
口희(熹)
口연(然)
口록(錄)
전(田)
형(衡)
석(錫)
치(致)
口호(浩)
원(源)
동(東)
口모(模)
병(炳)
口환(煥)
연(淵)
열(烈)
口화(和)
口채(埰)
현(鉉)순(淳)기(杞)口열(烈)재(載)


  • 감무공파

23세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41세42세43세
口원(源)
口석(晳)
口조(祚)
운(雲)
유(維)
口환(煥)
口택(澤)
口준(浚)
口하(河)
口낙(洛)
태(泰)
원(源)
口용(溶)
口한(翰)
口영(英)
口식(植)
口수(洙)
구(求)영(永)口진(震)종(淙)
목(沐)
口준(準)
口호(浩)
재(滓)
회(澮)
口승(承)래(來)口우(雨)호(浩)口강(康)길(拮)口규(揆)광(洸)口림(霖)근(近)


9.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

10. 인구

대한민국 통계청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연도별 인구는 다음과 같다.

연도본관가구 수인구 수비고
1985년연일 정씨57,504가구237,219명연일 정씨 + 오천 정씨 합계: 259,252명
오천 정씨5,150가구22,033명
2000년연일 정씨67,418가구216,510명연일 정씨 + 오천 정씨 합계: 247,160명
오천 정씨9,485가구30,650명
2015년연일 정씨284,290명연일 정씨 + 영일 정씨 + 오천 정씨 합계: 393,622명
(2015년 통계부터 영일 정씨 포함)
영일 정씨65,991명
오천 정씨43,341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