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왕 (발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왕은 발해의 제10대 왕으로, 대야발의 4대손이며, 818년 간왕의 뒤를 이어 즉위했다. 즉위 전 북쪽의 여러 부를 토벌하여 영토를 확장했고, 재위 기간 동안 신라를 공격하고 북부 말갈 부족을 복속시켜 영토를 넓혔다. 요동 지역의 소고구려를 흡수하고, 고구려와 부여의 옛 영토를 대부분 회복하여 발해의 최대 영토를 확보했다. 또한, 행정 구역을 정비하고 학술을 진흥시키는 등 국가 체제를 강화하여 당나라로부터 '해동성국'으로 불렸다. 일본에 사신을 파견하여 외교 관계를 맺고 무역을 증진했으며, 830년에 사망하여 손자 대이진이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해 국왕 - 대현석
대현석은 대야발의 7대손이자 발해의 왕으로, 일본과 교역하고 당나라에 사신을 파견하는 등 적극적인 대외 정책을 펼치며 국제적 위상을 높였다. - 발해 국왕 - 대이진
대이진은 발해의 제11대 왕으로 당나라와의 외교 관계를 유지하며 문물 교류에 힘썼고, 중앙 집권적인 행정 제도를 확립하고 군사 기구를 발전시켜 국가 체제를 강화하려 했다. - 9세기 한국의 군주 - 진성여왕
진성여왕은 신라 경문왕의 딸로, 정강왕 사후 887년에 즉위하여 음란한 행실과 국정 문란, 민란 발생으로 혼란을 겪다가 897년 효공왕에게 양위하고 사망했다. - 9세기 한국의 군주 - 견훤
견훤은 신라 장군 출신으로 후백제를 건국하고 왕건과 대립하다가 아들 신검의 반란으로 고려에 투항하여 상부의 칭호를 받았으며, 후백제 멸망 후 사망했다.
| 선왕 (발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한국어) | 선왕 |
| 이름 (한자) | 宣王 |
| 출생 이름 (한국어) | 대인수 |
| 출생 이름 (한자) | 大仁秀 |
| 중국어 이름 | 宣王 (Xuānwáng) |
| 중국어 출생 이름 | 大仁秀 (Dà Rénxiù) |
| 한국어 이름 (한글) | 선왕 |
| 한국어 이름 (한자) | 宣王 |
| 한국어 이름 (로마자) | Seon wang |
| 한국어 출생 이름 (한글) | 대인수 |
| 한국어 출생 이름 (한자) | 大仁秀 |
| 한국어 출생 이름 (로마자) | Dae Insu |
| 왕조 | |
| 왕조 | 발해 |
| 대수 | 제10대 |
| 칭호 | 왕 |
| 생애 | |
| 출생년도 | 미상 |
| 사망년도 | 830년 |
| 재위기간 | 818년 - 830년 |
| 휘 | 대인수 |
| 시호 | 선왕 |
| 연호 | 건흥 (819년 - 830년) |
| 가족 관계 | |
| 아버지 | 대광덕 |
| 왕후 | 미상 |
| 자녀 | 대신덕(大新德) |
| 기타 | |
| 종교 | 불교 |
2. 즉위 전 배경
대조영의 동생인 대야발의 4대손이다.[3] 간왕 사후인 818년, 방계였던 그는 왕위에 올랐다. 즉위 전 북쪽의 여러 부(部)를 토벌하여 영토를 넓힌 공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선왕은 대조영의 동생인 대야발의 증손이며, 연호는 건흥이었다. 818년 간왕이 죽자 왕위에 올랐으나, 왕위 계승 과정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없다.
3. 치세
신당서 발해전에는 선왕이 즉위 전 북쪽의 여러 부(部)를 토벌하여 영토를 넓힌 공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818년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간왕의 죽음을 알리고, 당나라는 대인수를 은청광록대부 검교비서감 도독 발해군왕에 책봉했다. 신당서에는 검교사공에도 임명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선왕은 즉위 초 신라를 공략하고, 북부 말갈 부족을 정벌하여 영토를 넓혔다. 遼史 지리지 흥요현 조에는 당나라 원화(806~820) 연간에 대인수가 남쪽으로 신라를 평정하고, 북쪽으로 여러 부락을 공략하여 군과 읍을 설치했다는 기록이 있다.
820년 윤 1월, 822년 1월, 824년 2월, 827년, 830년 등 여러 차례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고, 당나라로부터 금자광록대부 검교사공에 책봉되는 등 활발한 외교 활동을 펼쳤다.
선왕은 발해의 영토를 크게 확장하여 남쪽으로는 신라와 접하고, 서로는 요동을 차지했으며, 고구려와 부여의 옛 영토를 대부분 회복하였다. 또한 북쪽의 흑수말갈 등 발해에 대항하던 말갈 부족들도 복속시켰다.
선왕은 발해 중흥을 이룬 군주로서 당나라로부터 '''해동성국'''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5경 15부 62주로 행정구역을 개편하고 학술을 진흥하는 등 발해의 최전성기를 이끌었다.
730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나, 정확한 시점은 알 수 없다.[3]
3. 1. 영토 확장
선왕은 즉위 초 신라를 공략하여 대동강까지 영토를 확장했고, 신라는 300리 장성을 쌓아 발해의 남하를 저지하게 되었다.[3] 이는 신라에서 왕족 간의 권력 다툼과 기근으로 국력이 약해진 틈을 타 이루어졌다.
또한 선왕은 북부의 말갈 부족들을 공략하여 복속시키고, 흑수말갈까지 세력을 확장했다.[3] 한카호 부근의 말갈 부족들을 평정하고, 평정한 땅에는 안정군(安定郡)이나 철리군(鐵利郡) 등의 행정 기구를 설치하여 다스렸다.[3]
요동 지역에 있던 소고구려를 흡수하여 발해의 영토를 크게 넓혔다.[3]
3. 2. 대외 관계
선왕은 신라, 당나라, 일본과 활발한 외교 관계를 맺었다.
신라와는 초기에 적대 관계였으나, 요동 지역의 소고구려를 병합하고 신라 방향으로 영토를 확장하는 과정에서 관계가 변화했다. 遼史 卷38 지리지 중 흥요현 조에 의하면 당나라 원화(806~820) 때에 발해 왕 대인수가 남쪽으로 신라를 평정했다는 기록이 있다.[3]
선왕은 제국의 영토 확장에 심혈을 기울였으며, 북부의 여러 말갈 부족, 특히 흑수말갈을 흡수하는 원정을 이끌었다. 남서쪽의 소고구려는 요동으로 발해에 흡수되었으며, 신라 방향으로의 남쪽 확장도 명령했다.
북쪽으로는 흑수말갈 등 발해에 대항하던 말갈 부족들을 복속시켜 영토를 크게 확장했다.
3. 2. 1. 당나라와의 관계
선왕은 즉위 후 당나라에 신하의 예를 갖추고 번례를 거르지 않았다.[3] 이에 대해 당나라도 발해의 입조를 매우 환영하여 목종이나 문종 등은 발해 사신을 친히 접견하고 린더 전에서 연회를 베풀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그 외에도 "발해 왕자에게 관직을 더하는 제도" 등의 칙서가 남아 있어, 당나라와 발해의 친밀한 관계를 오늘날까지 전하고 있다.
818년 사신을 보내 간왕의 부고를 알렸고, 당나라는 그해 5월 지국무 대인수를 은청광록대부 검교비서감 도독 발해군왕(知國務大仁秀爲銀青光祿大夫 檢校秘書監 都督 渤海國王)에 책봉했다. 신당서에 의하면 그는 검교사공에도 임명됐다 한다.
820년 음력 윤 1월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고, 당나라는 그에게 금자광록대부 검교사공(金紫光祿大夫 檢校司空)에 책봉했다. 발해 사절은 그해 12월에 귀국했다. 822년 1월, 824년 2월, 827년, 830년에 당나라에 사신을 보냈다. 824년에는 대예(大睿) 등 5인을 당나라에 사신으로 파견하여 이들을 당나라 숙위로 임명할 것을 청하여 체류시켰다.
왕족 중 대공칙을 비롯하여 입조하게 하고, 이거정, 고수해, 주승조 등의 유학생을 파견하여 당나라의 문물 제도를 도입한 발해는 크게 발전했다.
3. 2. 2. 일본과의 관계
선왕은 재위 기간 동안 외교 관계를 수립하고 무역을 증진하기 위해 일본에 여러 차례 사절단을 파견했다. 발해 사절은 일본이 사절단을 접대하는 데 드는 비용 때문에 그 규모를 제한하기를 원했음에도 불구하고 호의적인 대우를 받았다. 동해를 가로지르는 무역로가 구축되면서 발해는 일본의 가장 중요한 무역 파트너 중 하나가 되었다.[1]
선왕은 계속해서 일본에 사신을 빈번하게 파견했다. 즉위 직후에는 거의 2년에 한 번 꼴로 일본에 사신을 파견했으나, 준나 천황 시대가 되자, 발해 사신이 많은 일본 물품을 확보하려는 태도에 대해 사신에 대한 후한 대우를 재검토하려는 움직임이 발생했다. 건흥 6년(824년)에 고정태를 정사로 하는 사신이 방일했을 때에는, 접대를 거부당하고 되돌아갔으며, 건흥 10년(828년)에 왕문거를 정사로 하는 사신은 격퇴 처분을 받아, "발해 사신은 국빈이 아니며, 무역 상인이다"라는 판단을 받아 그 이후 12년에 한 번(후에 6년에 한 번으로 완화) 사신을 파견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동아시아의 국제 정세 속에서 일본과의 통교를 통해 신라를 견제하려던 발해 측의 의도도 경제 교류에 주축이 옮겨졌으며, 또한 처음에는 국빈의 내조를 기뻐했던 일본 측도, 잦은 접대 및 하사품이라는 상품 수여에 경제적 부담을 느끼면서 양국의 관계에 변화가 생긴 결과이다.[2]
3. 3. 내치
선왕은 대조영(大祚榮)의 아우인 대야발(大野勃)의 증손이며 간왕의 종부이다.[3] 연호는 '''건흥'''(建興)을 사용하였다. 818년 간왕이 죽자 왕위에 올랐다. 행정구역을 5경(京) 15부(府) 62주(州)로 개편하고 학술을 진흥시키는 등 국가 체제를 정비했다. 발해에 복속된 말갈족의 땅에 안정군, 철리군 등의 행정 기구를 설치하여 통치를 강화했다.
4. 해동성국
선왕의 치세는 발해의 최전성기로, 당나라로부터 '''해동성국'''(海東盛國)이라고 불렸다.[3] 그는 혼란스러웠던 국내를 통합하고 주변 지역을 평정하여 발해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신당서』나 『옥해』 등의 문헌에서는 발해를 '''해동성국'''이라고 칭했으며, 이 칭호가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지만, 이 시기에 혼란스러웠던 발해 국내를 통합하고 주변 지역을 평정한 선왕의 시대는 바로 해동성국의 시작점이라고 할 수 있다.
선왕은 발해의 영토를 크게 확장했는데, 남으로 신라와 접하고, 서로는 요동을 차지하였으며, 고구려와 부여의 옛 영토를 대부분 회복하였다. 또한 북쪽의 흑수말갈 등 발해에 대항하던 모든 말갈의 부족들도 복속시켰다. 그는 행정구역을 5경(京) 15부(府) 62주(州)로 개편하고 학술을 진흥시키는 등 발해의 최전성기를 이루었다.
선왕은 제국의 영토 확장에 심혈을 기울였으며, 많은 북부 말갈 부족, 특히 흑수말갈의 흡수를 가져온 원정을 이끌었다. 남서쪽의 소고구려는 요동으로 발해에 흡수되었으며, 그는 또한 신라 방향으로의 남쪽 확장을 명령했다.
그의 12년 재위 기간 동안, 그는 외교 관계를 수립하고 두 왕국 간의 무역을 증진하기 위해 일본에 다섯 번의 사절단을 파견했다. 발해 사절은 일본이 사절단을 접대하는 데 드는 비용 때문에 그 규모를 제한하기를 원했음에도 불구하고 호의적인 대우를 받았다. 동해를 가로지르는 무역로가 구축되면서 발해는 일본의 가장 중요한 무역 파트너 중 하나가 되었다.
5. 사망
830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손자 대이진이 왕위를 계승했다.[3] 간왕의 황후 순목태후가 730년 7월 15일(건흥 12년 7월 15일)에 장사지냈다는 기록으로 보아 730년 7월 이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나 정확한 시점은 알 수 없다.
6. 가계
참조
[1]
서적
The Lives of Korean Women in History
https://www.google.c[...]
Iljisa Publishing House
2005
[2]
서적
Korean History in Maps
https://www.google.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12-15
[3]
문서
발해고(渤海考)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