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이핑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이핑시는 현재의 베이징시를 지칭하는 역사적 명칭으로, 여러 시기를 거치며 행정 구역 및 명칭이 변화했다. 명나라 시대에는 베이핑부가 설치되었고, 이후 베이징으로 개칭되었다. 중화민국 시기에는 베이핑 특별시로 불렸으며, 중일 전쟁 중에는 일본군에 의해 베이징시로 변경되었다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과 함께 다시 베이징시로 확정되었다. 베이핑시는 행정 구역, 인구, 통치 기구 등 다양한 측면에서 변화를 겪었으며, 중화민국 정부가 대만으로 이전한 후에도 일부 지명으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민국 대륙 시기의 직할시 - 광저우시 (중화민국)
    중화민국 광저우시는 1921년 설치된 시로, 중국 혁명의 발상지이자 국공합작 시기 국민당과 공산당의 활동 무대였으며, 중일전쟁과 국공내전 시기를 거쳐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에 점령되었다.
  • 중화민국 대륙 시기의 직할시 - 난징시 (중화민국)
    난징시는 1912년부터 1949년까지 중화민국의 수도였으며, 신해혁명 이후 중화민국 임시 정부가 수립되고 국민정부 수립 이후 수도로서 대규모 건설이 이루어졌으나, 중일 전쟁 시 일본군에 점령당하고 국공 내전으로 인해 중화인민공화국에 속하게 되었다.
  • 베이징시의 역사 - 북양정부
    북양정부는 신해혁명 이후 중화민국의 초기 정부로, 위안스카이 사후 군벌 간 권력 다툼으로 혼란해졌으나 장제스의 북벌과 장쉐량의 투항으로 소멸되었다.
  • 베이징시의 역사 - 대도
    대도는 1267년 쿠빌라이 칸이 건설하여 원나라의 수도로 삼은 도시이며, 몽골어로는 칸발릭, 마르코 폴로의 여행기에는 캄발룩으로 기록되었고, 명나라가 들어서면서 베이징으로 개칭되었다.
  • 중화민국의 행정 구역 - 타오위안시
    타오위안시는 타이완 북서부에 위치한 직할시로, 평포족 거주지에서 객가인 이주와 복숭아나무 재배를 거쳐 발전, 2014년 직할시로 승격되었으며 현재는 대만 북부의 주요 산업 및 교통 중심지이다.
  • 중화민국의 행정 구역 - 저장성 (중화민국)
    저장성은 신해혁명 이후 중화민국이 1955년 대천도 철수까지 현재의 저장성 대부분을 관할했던 행정 구역으로, 국공 내전 패배 후 타이완으로 철수하여 도서 지역을 관할하다 폐지되었으며, 청나라 절강성의 행정 구역을 계승하여 도제와 행정독찰제도를 시행했다.
베이핑시
개요
베이핑시 지도
베이핑시 지도
기본 정보
정식 명칭베이핑시
수도(사실상 수도 역할)
존속 기간1928년 ~ 1949년
설치1928년 6월 28일 (특별시)
폐지1949년 2월 4일
변경 내역1930년 5월 3일: 원할시로 개칭
1930년 6월 20일: 성할시로 강등
1930년 12월: 원할시로 재승격
이전교토특별시
이후베이징시
통계
1947년 면적706km²
1947년 인구1,672,438명
행정 구역
하위 행정 구역20개 구
현재 소속 국가중화인민공화국
현재 소속 행정 구역베이징시

2. 역사

명나라 이전에는 '''베이핑'''이라는 지명이 현재의 베이징시 일대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지 않았다.[2] 명나라는 원나라의 수도였던 대도를 점령한 후 대도로를 폐지하고 '''베이핑부'''를 설치했다. 정난의 변에서 승리하여 즉위한 영락제가 수도를 베이핑으로 옮기면서 베이핑은 베이징으로, 베이핑부는 순천부로 개칭되었으며, 청나라 시대에도 계속 순천부의 명칭이 사용되었다.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 베이징 주변은 명목상 완평현과 다싱현에 속했지만, 실제로는 五城兵马司 (北京)|오성병마사 (베이징)|label=오성병마사중국어, 순성어사, 提督九門步軍巡捕五營統領|제독구문보군순포오영령|label=구문제독중국어 등의 관리들에 의해 통치되는, 현에서 독립한 특수한 행정 구역으로 기능했다.[3]

1900년(광서 26년), 의화단의 난의 영향으로 8개국 연합군이 베이징을 점령하고 치안 유지를 위해 안민공소를 설치했다. 1901년(광서 27년), 시안으로 탈출했던 청나라 조정이 베이징 의정서 조인에 따라 베이징으로 돌아와 안민공소를 본떠 선후협순영을 설치했다. 1905년(광서 31년)에는 중국 최초의 근대적인 자치 조직인 순경총청으로 개편되었다.

1914년(민국 3년), 순천부는 과 동격인 경조지방으로 재편되었다. 같은 시기에 수도 시가지 구획이 제정되어 '''경도시정공소'''와 '''경사경찰청'''이 설치되어 공동으로 시정을 담당했다. 1918년(민국 7년)에는 시가지 구획이 정식으로 '''경도시'''로 명명되었다.[4] 이 시기에는 노면전차가 개통되고, 베이징 대학, 옌징 대학, 칭화 대학, 푸런 대학, 베이징 협화 의학원 등 여러 근대적인 기관도 건설되었다. 1921년(민국 10년) 북양 정부는 "시 자치제"를 공포하여 시를 "보통시"와 "특별시"로 구분하고, 칭다오와 함께 수도인 교토 특별시를 특별시로 설치하여 내무총장의 직접 감독하에 두었다.

1928년(민국 17년) 6월, 장제스 등 중국 국민당·국민 정부가 이끄는 국민혁명군이 교토를 점령하고 북벌이 완료되었다. 경조지방은 즈리성과 통합되어 허베이성이 되었고, 교토 특별시는 '''베이핑 특별시'''로 개칭되었다. 1930년(민국 19년), "시 조직법"이 제정되어 시는 "원할시(현: 직할시)"와 "성할시(현: 시)"로 재편되었고, 베이핑시는 원할시가 되었다.

1937년 중일 전쟁으로 베이핑은 일본군에 점령되어 '''베이징시'''로 개칭되었다.[5]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항복 후, 8월 21일 국민혁명군 제11전구 사령관 쑨롄중이 이끄는 부대에 의해 베이징이 점령되어 '''베이핑시'''로 돌아갔다.[5]

1949년 1월, 화북초비총사령 푸쭤이는 중국 공산당과 평화 협정을 맺고 중화민국 국군 25만 명의 수비병을 이끌고 항복했다.[5] 1월 31일, 중국 인민 해방군이 베이핑으로 진군하여 北平和平解放|베이핑 해방|label=무혈 개성중국어이 이루어졌다.[5] 같은 해 9월 27일,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中国人民政治协商会议第一届全体会议|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제1회 전체회의|label=제1회 전체회의중국어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 기년법, 국가, 국기에 관한 사항이 결의되었고,[5] 베이핑시를 '''베이징시'''로 개명하는 것도 결의되었다.[5] 같은 날 北平市政府|베이핑시 정부|label=베이핑시 정부중국어는 北京市人民政府|베이징시 인민정부중국어로 개칭되었다.[5]

중화민국 정부는 대만으로 철수한 후에도 1990년대까지 "베이핑" 등의 대륙 지역 옛 지명을 계속 사용했기[6] 때문에, 대만에서는 도로명에 베이핑시에 기인하는 "베이핑로"[7]가 존재하고, 베이징 카오야는 "베이핑 카오야"라고 불린다.

2. 1.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

명나라 이전에는 '''베이핑'''이라는 지명이 현재의 베이징시 일대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지 않았다.[2] 명나라는 원나라의 수도였던 대도를 점령한 후 대도로를 폐지하고 '''베이핑부'''를 설치했다. 정난의 변에서 승리하여 즉위한 영락제가 수도를 베이핑으로 옮기면서 베이핑은 베이징으로, 베이핑부는 순천부로 개칭되었으며, 청나라 시대에도 계속 순천부의 명칭이 사용되었다.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 베이징 주변은 명목상 완평현과 다싱현에 속했지만, 실제로는 순성어사, 등의 관리들에 의해 통치되는, 현에서 독립한 특수한 행정 구역으로 기능했다.[3]

1900년(광서 26년), 의화단의 난의 영향으로 8개국 연합군이 베이징을 점령하고 치안 유지를 위해 안민공소를 설치했다. 이듬해 1901년(광서 27년), 시안으로 탈출했던 청나라 조정이 베이징 의정서의 조인에 따라 베이징으로 귀환하고 안민공소를 본떠 선후협순영을 설치했다. 1905년(광서 31년)에는 중국 최초의 근대적인 자치 조직인 순경총청으로 개편되었다.

2. 2. 중화민국 시대

명나라 이전에는 '''베이핑'''이라는 지명이 현재의 베이징시 일대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지 않았다.[2] 명나라는 원나라의 수도였던 대도를 점령한 후 대도로를 폐지하고 '''베이핑부'''를 설치했다. 정난의 변에서 승리하여 즉위한 영락제가 수도를 베이핑으로 옮기면서 베이핑은 베이징으로, 베이핑부는 순천부로 개칭되었으며, 청나라 시대에도 계속 순천부의 명칭이 사용되었다.

1914년(민국 3년), 순천부는 제1급 행정 구역(과 동격)인 경조지방으로 재편되었다. 또한, 같은 시기에 수도 시가지의 구획이 제정되어, '''경도시정공소'''와 '''경사경찰청'''이 설치되었으며, 양자가 공동으로 시정을 담당했다. 1918년(민국 7년)에는 시가지의 구획이 정식으로 '''경도시'''로 명명되었다.[4] 이 시기, 교토에서는 노면전차가 개통하고, 베이징 대학, 옌징 대학, 칭화 대학, 푸런 대학, 베이징 협화 의학원 등 많은 근대적인 기관도 건설되었다.

1928년(민국 17년) 6월, 장제스 등 중국 국민당·국민 정부가 이끄는 국민혁명군이 교토를 점령하고, 북벌이 완료되었다. 경조지방은 즈리성과 통합되어 허베이성이 되었고, 교토 특별시는 '''베이핑 특별시'''로 개칭되었다.

1937년(민국 26년), 중일 전쟁 중에 베이핑은 일본군에 점령되어, '''베이징시'''로 개칭되었다. 1945년(민국 34년) 8월 15일에 일본은 항복을 발표하고, 8월 21일에 쑨롄중이 이끄는 국민혁명군 제11전구 사령부대에 의해 베이징이 점령되어, '''베이핑시'''로 돌아갔다.

1949년(민국 38년) 1월, 화북초비총사령인 푸쭤이는 중국 공산당과 평화 협정을 맺고, 중화민국 국군 25만 명의 수비병을 이끌고 항복했다. 같은 해 1월 31일, 중국 인민 해방군이 베이핑으로 진군하여 北平和平解放|label=무혈 개성중국어이 이루어졌다.

중화민국 정부는 대만으로 철수한 후에도, 1990년대까지 "베이핑" 등의 대륙 지역의 옛 지명을 계속 사용했[6]기 때문에, 대만에서는 도로명에 베이핑시에 기인하는 "베이핑로"[7]가 존재하고, 베이징 카오야는 "베이핑 카오야"라고 불린다.

2. 3. 중일 전쟁과 국공 내전

1937년 중일 전쟁으로 베이핑은 일본군에 점령되어 '''베이징시'''로 개칭되었다.[5]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항복 후, 8월 21일 국민혁명군 제11전구 사령관 쑨롄중이 이끄는 부대에 의해 베이징이 점령되어 '''베이핑시'''로 돌아갔다.[5]

1949년 1월, 화북초비총사령 푸쭤이는 중국 공산당과 평화 협정을 맺고 중화민국 국군 25만 명의 수비병을 이끌고 항복했다.[5] 1월 31일, 중국 인민 해방군이 베이핑으로 진군하여 北平和平解放|베이핑 해방|label=무혈 개성중국어이 이루어졌다.[5] 같은 해 9월 27일,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中国人民政治协商会议第一届全体会议|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제1회 전체회의|label=제1회 전체회의중국어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 기년법, 국가, 국기에 관한 사항이 결의되었고,[5] 베이핑시를 '''베이징시'''로 개명하는 것도 결의되었다.[5] 같은 날 北平市政府|베이핑시 정부|label=베이핑시 정부중국어는 北京市人民政府|베이징시 인민정부중국어로 개칭되었다.[5]

2. 4. 중화인민공화국 시대

1949년 1월, 화북초비총사령 푸쭤이는 중국 공산당과 평화 협정을 맺고, 중화민국 국군 25만 명의 수비병을 이끌고 항복했다. 같은 해 1월 31일, 중국 인민 해방군이 베이핑으로 진군하여 北平和平解放|label=무혈 개성중국어이 이루어졌다.[5] 같은 해 9월 27일,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中国人民政治协商会议第一届全体会议|label=제1회 전체회의중국어가 열려,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 기년법, 국가, 국기에 관한 사항이 결의되었다.[5] 동시에 베이핑시를 '''베이징시'''로 개명하는 것도 결의되었으며, 같은 날 北平市政府|label=베이핑시 정부중국어는 北京市人民政府|label=베이징시 인민정부중국어로 개칭되었다.

3. 행정 구역

중화민국 초기에 베이징에는 10개의 가 설치되었다. 1928년(민국 17년) 12월 19일, 베이핑 시 정부는 시내 각 구의 지방 자치를 추진하도록 명령하여 1구에서 15구로 재편되었다. 동시에 허베이성 완핑 현과 다싱 현 중 시의 중심부에 가까운 지역을 베이핑 시에 편입하여 새롭게 설치된 구의 관할 하에 두었다. 1945년(민국 34년) 종전 후, 국민 정부는 베이핑 구를 1구에서 16구로 재편했다. 1947년(민국 36년), 교외의 13구에서 16구까지의 구가 13구에서 20구로 개편되어, 시 전체의 구의 수는 20개가 되었다.

4. 인구

1947년(민국 36년) 국민정부 주계처 통계국 발표에 따르면, 베이핑시 인구는 1,672,438명이었다.[8]

중화민국 정부의 타이완 이전 시에 정부를 따라 타이완으로 이주한 베이핑 시민에 대해, 내정부 호정사가 1990년(민국 79년)에 실시한 인구 조사에 따르면, 본적이 베이핑시인 타이완 거주자는 13,949명으로, 외성인 2,694,917명의 0.52%를 차지했다.

5. 통치 기구

1928년(민국 17년) 6월 4일, 장제스가 이끄는 국민혁명군이 베이징을 점령했다. 같은 해 6월 21일, 중국 국민당 중앙 정치 회의 제145차 회의에서 "경도시"를 "'''북평시'''"로 개칭하고, 국민정부의 직할지로 북평 특별시를 설치하는 것이 가결되어 6월 28일에 실행되었다.[9] 6월 26일에는 북평 특별 시장이 임명되었다.[10] 8월 21일, 北平市政府|북평시 정부중국어가 정식으로 발족했다. "특별시 조직법"에 근거하여 시장 1명과 몇 명의 참사를 두고, 그 아래에 재정국, 토지국 등의 국을 두었다. 10월에는 허베이성 정부가 북평시에 설치되었다. 1930년(민국 19년) 6월, 새롭게 공포된 "시 조직법"에 의해 전국의 시는 "원할시"와 "성할시"로 재편되었다. 또한, 이 법률로 성도는 성할시여야 한다고 규정되었기 때문에, 북평시는 원할시에서 성할시로 강등되었다. 같은 해 11월 25일에 허베이성 정부는 톈진시로 이전했고, 12월에 북평시는 원할시로 재승격되었다.

1937년(민국 26년), 일본군은 북평을 점령하고, '''베이징시'''로 개칭했다. 1945년(민국 34년) 8월, 일본의 항복에 따라 국민혁명군이 베이징을 점령했다. 9월, 국민정부는 베이징시를 '''북평시'''로 되돌리는 것을 발표했고, 10월에는 북평시 정부가 재설치되었다. 1947년(민국 36년) 1월 13일, 행정원은 "북평시 정부 조직 규정"을 공포하고, 시장 1명, 참사 2명, 그리고 그 아래에 민정국, 재정국 등의 국을 설치한다고 규정했다.[11]

1949년(민국 38년) 1월 31일, 푸쭤이는 중국 공산당에 항복했고, 북평시는 중국 인민 해방군 中国人民解放军北京市军事管制委员会|북평시 군사 관리 위원회중국어와 北京市人民政府|북평시 인민 정부중국어의 통치하에 들어갔다.

5. 1. 순천부와 경도시

나라 시대의 수도 통치 기구는 '''순천부아서'''였으며, 수장은 순천부윤이었다. 1912년(민국 원년)에 중화민국이 건국된 후에도 순천부는 유지되었고, 순천부아서는 '''순천부윤공서'''로 개칭되었다. 1914년(민국 3년) 10월 4일, 대총통 위안스카이는 "경조윤관제"와 "경조 지방 구역표"를 공포하여 순천부를 폐지하고 경조 지방으로 개편했다. 순천부윤공서는 경조윤공서로 개칭되었고, 수장의 명칭도 경조윤으로 변경되었다.

중화민국의 수도가 된 베이징의 시정은 청나라 시대의 오래된 제도를 계승했다. 1914년 4월, 수도 시정의 중요성을 감안한 내무총장 주치치앤은 시가지의 구획을 제정하고, 순천부 아래에 경도시정공소를 설치하여 스스로 독변에 취임했다. 독변 아래에는 정무처가 설치되어 공소 전체의 사무를 총괄했다. 1916년(민국 5년) 9월, 정무처는 폐지되었지만, 독변의 직책은 남겨졌다. 독변 아래에는 문서, 조사, 경리, 측회, 공정, 교제, 출납의 7과가 설치되었다. 1918년(민국 7년) 1월, "경도시정공소 잠정 편제"에 따라 과는 처로 승격되었고, 영조국은 제4처로 개칭되었다. 각 처에는 처장과 부처장이 1명씩 배치되었다. 1927년(민국 16년), "수정 경도공소 잠정 편제"가 시행되어 독변, 회변, 좌변의 3직으로 재편되었다. 회변은 경사경찰청 총감이 겸임했다. 또한, 시민의 의견을 듣기 위한 평의회도 설치되었으며, 평의장은 독변이 겸임했다.

5. 2. 베이핑시

북평시 정부(1935년)


1928년(민국 17년) 6월 4일, 장제스가 이끄는 국민혁명군이 베이징을 점령했다. 같은 해 6월 21일, 中國國民黨中央政治委員會|중국 국민당 중앙 정치 회의중국어 제145차 회의에서 "경도시"를 "'''북평시'''"로 개칭하고, 국민정부의 직할지로 북평 특별시를 설치하는 것이 가결되어 6월 28일에 실행되었다.[9] 6월 26일에는 북평 특별 시장이 임명되었다.[10] 8월 21일, 北平市政府|북평시 정부중국어가 정식으로 발족했다. "특별시 조직법"에 근거하여 시장 1명과 몇 명의 참사를 두고, 그 아래에 재정국, 토지국 등의 국을 두었다. 10월에는 허베이성 정부가 북평시에 설치되었다. 1930년(민국 19년) 6월, 새롭게 공포된 "시 조직법"에 의해 전국의 시는 "원할시"와 "성할시"로 재편되었다. 또한, 이 법률로 성도는 성할시여야 한다고 규정되었기 때문에, 북평시는 원할시에서 성할시로 강등되었다. 같은 해 11월 25일에 허베이성 정부는 톈진시로 이전했고, 12월에 북평시는 원할시로 재승격되었다.

1937년(민국 26년), 일본군은 북평을 점령하고, '''베이징시'''로 개칭했다. 1945년(민국 34년) 8월, 일본의 항복에 따라 국민혁명군이 베이징을 점령했다. 9월, 국민정부는 베이징시를 '''북평시'''로 되돌리는 것을 발표했고, 10월에는 북평시 정부가 재설치되었다. 1947년(민국 36년) 1월 13일, 행정원은 "북평시 정부 조직 규정"을 공포하고, 시장 1명, 참사 2명, 그리고 그 아래에 민정국, 재정국 등의 국을 설치한다고 규정했다.[11]

1949년(민국 38년) 1월 31일, 푸쭤이는 중국 공산당에 항복했고, 북평시는 중국 인민 해방군 中国人民解放军北京市军事管制委员会|label=북평시 군사 관리 위원회중국어와 北京市人民政府|label=북평시 인민 정부중국어의 통치하에 들어갔다.

6. 역대 시장

성명사진재임 기간비고
순천부윤
1딩나이양
1910년 - 1912년 12월 24일청조 붕괴 전부터 유임
2장광젠
1912년 12월 24일 - 1913년 9월 19일
3왕즈신
1913년 10월 16일 - 1914년 3월 23일
4선진젠
1914년 3월 23일 - 1914년 10월 3일
경조윤
1선진젠1914년 10월 4일 - 1915년 9월 26일
2왕다--1915년 9월 26일 - 1920년 8월 3일
3왕후
1920년 8월 3일 - 1920년 9월 18일
4쑨전자--1920년 9월 18일 - 1922년 5월 19일
5류멍겅
1922년 5월 19일 - 1924년 11월 5일
6왕즈샹
1924년 11월 5일 - 1924년 12월 31일
7쉐두비
1924년 12월 31일 - 1925년 10월 9일
8류지
1925년 10월 20일 - ?
9리위안
1926년 9월 4일 - 1927년 9월 24일
10장지신--1927년 9월 24일 - 1928년 6월 3일장쭤린의 교토 탈출에 따른 사임
대리리성페이--1928년 6월 4일
베이핑 특별 시장
대행허청줜
1928년 6월 25일 - 1928년 7월 13일
1허치궁
1928년 7월 13일 - 1929년 6월 12일
2장인우
1929년 6월 12일 - 1931년 2월 27일
3저우다원
1931년 2월 27일 - 1931년 4월
베이핑 시장
1저우다원--1931년 4월 - 1933년 6월 16일
2위안량
1933년 6월 16일 - 1935년 11월 1일
대행쑹저위안
1935년 11월 1일 - 1935년 11월 8일
3친더춘
1935년 11월 8일 - 1937년 7월 28일
4장쯔충
1935년 11월 8일 - 1937년 7월 28일
베이핑 시장 → 베이징 시장
1장차오쭝
1937년 8월 6일 - 1937년 12월 17일
베이징 특별 시장
1장차오쭝--1938년 1월 1일 - 1938년 1월 10일
2위진허
1938년 1월 10일 - 1940년 3월 30일
베이징 특별 시장
1위진허--1940년 3월 30일 - 1943년 2월 9일
2류위수--1943년 2월 9일 - 1945년 2월 20일
3쉬슈즈
1945년 2월 20일 - 1945년 8월 16일
베이핑 시장
5슝빈
1945년 8월 16일 - 1946년 7월 15일
6허스위안
1946년 7월 15일 - 1948년 7월
7류야오장
1948년 7월 - 1949년 2월 4일


참조

[1] 웹사이트 國家符號:國都的選定 http://book.drnh.gov[...] 中華民國國史館 2011-01-05
[2] 문서 戦国時代 (中国)
[3] 웹사이트 清代北京的“城属”与中央直管区_清史地理研究 _中国人民大学清史研究所 http://iqh.ruc.edu.c[...] 2022-05-10
[4] 웹사이트 北平市政府 http://www.da.bj.cn/[...] 北京市档案馆 2022-07-05
[5] 웹사이트 中国人民政治協商会議 http://www.cppcc.gov[...] 2011-05-11
[6] 웹사이트 我國何時停止使用北平一詞,改以北京稱呼北京? https://ref.ncl.edu.[...] 2020-01-12
[7] 문서 台北駅
[8] 웹사이트 民國直轄市、省轄市一覽表(出自《行政區劃論壇》) http://www.xzqh.org/[...]
[9] 간행물 國民政府公報 1928-06
[10] 간행물 國民政府公報 1928-06
[11] 간행물 國民政府公報 1947-0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