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메르 창조신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메르 창조신화는 여러 판본으로 전해지는 지우수드라 이야기를 포함한다. 1893년 니푸르에서 점토판이 발굴되면서 알려졌으며, 기원전 1600년경 수메르어로 기록된 이 점토판은 인간의 창조, 홍수, 그리고 지우수드라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주요 내용은 인간을 멸망시키려는 신들의 결정과 엔키의 경고, 지우수드라의 배 건조, 홍수 이후의 이야기로 구성된다. 지우수드라는 홍수에서 살아남아 불멸을 얻었으며, 이 이야기는 길가메시 서사시와 베로수스의 기록에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6세기 문학 - 에누마 엘리시
    에누마 엘리시는 아카드어로 기록된 고대 바빌로니아의 창조 신화 서사시로, 마르두크가 티아마트를 물리치고 세계를 창조하는 과정을 담고 있으며, 바빌로니아의 세계관과 마르두크의 지위를 보여주는 중요한 문헌이다.
  • 기원전 16세기 문학 - 린드 수학 파피루스
    린드 수학 파피루스는 아멘엠하트 3세 시대 문서를 베껴 쓴 고대 이집트의 수학 문서로, 다양한 수학 문제와 해법을 통해 당시 이집트인들의 수학적 사고방식과 계산 능력을 보여주며, 현재 대부분은 대영 박물관에, 일부는 브루클린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수메르 신화 - 에누마 엘리시
    에누마 엘리시는 아카드어로 기록된 고대 바빌로니아의 창조 신화 서사시로, 마르두크가 티아마트를 물리치고 세계를 창조하는 과정을 담고 있으며, 바빌로니아의 세계관과 마르두크의 지위를 보여주는 중요한 문헌이다.
  • 수메르 신화 - 쿠타 (메소포타미아)
    쿠타는 현재 이라크 지역의 유프라테스 강 동쪽 지류에 위치한 메소포타미아의 고대 도시로, 기원전 3천 년기부터 다양한 문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특히 아카드 제국과 우르 제3왕조 시대에 번성했고, 성경에서는 이스라엘인 추방과 관련된 도시로 언급된다.
  • 창조 신화 - 몽환시
    몽환시는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의 세계관, 창조 신화를 아우르는 개념으로, 세상과 만물이 창조된 시대를 의미하며 조상들의 행적과 그들이 남긴 법과 관습은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고 과거, 현재, 미래를 아우르는 시간 개념을 가진다.
  • 창조 신화 - 프로메테우스
    프로메테우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인간에게 불을 선물하고 제우스에게 반항한 티탄 신으로, 문명 발전에 기여했지만 동시에 고난을 겪었으며, 다양한 예술과 문학 작품에 영향을 미치고 현대 사회에서 저항과 진보의 상징으로 해석된다.
수메르 창조신화
서론
제목에리두 창세기
다른 이름수메르 창조 신화
수메르 창조 이야기
유형창조 신화
문화고대 메소포타미아
종교수메르 신화
언어수메르어
시대기원전 3천년
지역메소포타미아
주요 등장인물남무


엔릴
엔키
닌후르삭
지우수드라

2. 수메르 홍수 신화의 기록과 판본

현존하는 수메르 홍수 신화는 여러 판본으로 전해지며, 각각 다른 시기에 기록되었고 내용도 조금씩 차이를 보인다.

수메르 창조 신화는 앞부분에서 신들이 인류를 멸망시키기 위해 홍수를 보내기로 결정하는 내용이 나오지만, 일부가 누락되었다. 바빌로니아에아에 해당하는 저승 바다의 신 엔키는 슈루팍의 통치자인 지우수드라에게 큰 배를 만들라고 경고한다. 그 뒤의 내용은 누락되었다. 신화는 홍수를 설명하는 부분에서 다시 시작된다. 끔찍한 폭풍이 7일 밤낮으로 맹위를 떨쳤으며, "그 거대한 배는 거대한 물 위에서 이리저리 흔들렸다"라고 전한다. 그때 우투(태양)가 나타나 지우스드라가 창문을 열고 몸을 굽히며 황소와 양을 제물로 바친다. 다시 누락된 부분이 나오고, 그 뒤에 홍수가 끝난 후의 일이 묘사된다. 지우스드라는 아누(하늘)와 엔릴(공기) 앞에 엎드리는데, 엔릴은 그에게 동물과 인류의 씨앗을 보존한 공로로 "영원의 숨결"을 준다. 이후의 내용은 모두 실전되었다.[5]

지우수드라 서사시는 다른 판본에는 없는 258-261행의 내용을 추가한다. 여기서는 홍수 사건 이후 "지우수드라 왕 ... 그들은 해가 뜨는 딜문 나라 땅에 살게 되었다."라는 기록이 나타난다. 이 판본에서 지우수드라의 배는 강의 상류나 산 위로 올라가는 다른 판본들과는 달리 유프라테스강을 따라 페르시아만으로 떠내려간다. 길가메시 홍수 신화의 140행에 있는 수메르 문자 '쿠르'는 아카드어로 "산"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었지만, 수메르어로는 "산"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땅", 특히 "저승"을 의미한다.

일부 현대 학자들은 수메르의 홍수 이야기가 기원전 2900년경으로 추정되는 강 퇴적층에 의해 밝혀진 바와 같이 슈루팍(오늘날 이라크 텔 파라)이나 키시 등 북쪽의 다양한 도시에서 일어난 국지적인 강 범람 사건을 묘사하는 것이라고 본다. 이 슈루팍 홍수 지층 바로 아래에서 젬데트 나스르 시기(기원전 3000년경~2900년)의 다색 토기도 발견되어 그 이전의 유적에 대한 흔적을 보여주었다. 고대 왕조 시대의 지배자들 중 고고학적 발굴이나 비문 등에 의해 역사적으로 입증된 사람은 없지만, 수메르인들은 대홍수 이전의 신화 시대에 고대 왕조가 있었다고 전한다.[6]

크레이머가 기원전 2600년으로 연대를 추정한 수메르어 문서인 《슈루팍의 교훈》은 지우스드라 이야기를 싣고 있는 후대의 문서다. 크레이머는 지우수드라가 기원전 3천년 경에 "문학 전승 속에서 존경받는 인물"이 되었다고 말했다. 이 새뮤얼 첸은 지우수드라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구 바빌로니아 시기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고 보았다.[7]

2. 1. 여러 판본의 발견

이야기는 서로 다른 세 가지 판본으로 알려져 있다. 첫 번째는 니푸르라는 고대 수메르 도시에서 발굴된 점토판이다. 이 점토판은 1893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https://whitelevy.fas.harvard.edu/nippur-digitized-university-pennsylvania-excavations-nippur-1889-1900 탐험] 중에 발견되었으며, 1912년 아르노 포에벨이 창조 이야기를 발견하였다.[7] 이 점토판은 수메르어로 쓰였으며 기원전 16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두 번째 단편은 같은 시대에 우르에서 발견되었으며, 역시 수메르어로 쓰였다. 세 번째는 기원전 600년경 아슈르바니팔 도서관에서 나온 수메르어-아카드어 이중 언어 단편이다.

2018년에는 에리두 창세기 이야기의 새로운 단편이 출판되었다.[7]

2. 2. 주요 내용 (니푸르 점토판)

닌투르 여신이 인간을 낳은 후, 유목민처럼 방랑 생활을 하던 인간에게 도시를 건설하고 문명화할 것을 요구한다.[5] 닌투르는 에리두를 시작으로 바드티비라, 라라크, 시파르, 슈루파크 등의 도시를 건설하고, 분배 경제 체제를 갖추도록 한다.

그러나 인간들이 내는 소리가 신들을 짜증나게 만들었고, 특히 엔릴은 잠을 잘 수 없을 정도였다. 결국 엔릴은 홍수를 일으켜 인간을 멸망시키기로 결심한다.

엔키 신은 이러한 결정에 대해 인간 지우수드라(아마도 사제)에게 알리고, 그에게 자신과 모든 생물의 한 쌍을 구하기 위해 배를 지으라고 조언한다. 지우수드라는 배를 짓고 가족과 동물들을 태워 홍수에서 살아남는다.[5]

3. 홍수 신화의 전개

신들이 인류를 멸망시키기 위해 홍수를 일으키기로 결정했다. 저승 바다의 신 엔키는 슈루팍의 통치자인 지우수드라에게 큰 배를 만들라고 경고한다.[5] 끔찍한 폭풍이 7일 밤낮으로 맹위를 떨쳤으며, "그 거대한 배는 거대한 물 위에서 이리저리 흔들렸다"라고 전한다. 그때 우투(태양)가 나타나 지우수드라가 창문을 열고 몸을 굽히며 황소와 양을 제물로 바친다.[5] 홍수가 끝난 후 지우수드라는 아누(하늘)와 엔릴(공기) 앞에 엎드리는데, 엔릴은 그에게 동물과 인류의 씨앗을 보존한 공로로 "영원의 숨결"을 준다.[5]

지우수드라 서사시는 홍수 사건 이후 "지우수드라 왕 ... 그들은 해가 뜨는 딜문 나라 땅에 살게 되었다."라는 기록을 추가했다.[5] 길가메시 홍수 신화의 140행에 있는 수메르 문자 '쿠르'는 아카드어로 "산"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었지만, 수메르어로는 "산"뿐만 아니라 "땅", 특히 "저승"을 의미한다.

3. 1. 에리두 창세기

신들이 인류를 멸망시키기 위해 홍수를 일으키기로 결정했다. 저승 바다의 신 엔키는 슈루팍의 통치자인 지우수드라에게 큰 배를 만들라고 경고한다.[5] 그 뒤의 내용은 누락되었다가, 홍수를 설명하는 부분에서 다시 시작된다. 끔찍한 폭풍이 7일 밤낮으로 맹위를 떨쳤으며, "그 거대한 배는 거대한 물 위에서 이리저리 흔들렸다"라고 전한다. 그때 우투(태양)가 나타나 지우수드라가 창문을 열고 몸을 굽히며 황소와 양을 제물로 바친다.[5] 다시 누락된 부분이 나오고, 그 뒤에 홍수가 끝난 후의 일이 묘사된다. 지우수드라는 아누(하늘)와 엔릴(공기) 앞에 엎드리는데, 엔릴은 그에게 동물과 인류의 씨앗을 보존한 공로로 "영원의 숨결"을 준다.[5]

지우수드라 서사시는 다른 판본에서는 볼 수 없는 내용을 추가하는데, 홍수 사건 이후 "지우수드라 왕 ... 그들은 해가 뜨는 딜문 나라 땅에 살게 되었다."라는 기록이 나타난다. 이 판본에서 지우수드라의 배는 유프라테스강을 따라 페르시아만으로 떠내려간다. 길가메시 홍수 신화의 140행에 있는 수메르 문자 '쿠르'는 아카드어로 "산"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었지만, 수메르어로는 "산"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땅", 특히 "저승"을 의미한다.

3. 2. 지우수드라 서사시의 특징

지우수드라 서사시는 다른 판본에 없는 내용을 추가하여, 홍수 이후 지우수드라 왕이 해가 뜨는 곳인 딜문에 살게 되었다고 기록한다.[5] Ziusudra영어의 배가 유프라테스강을 따라 페르시아만으로 흘러갔다는 묘사는 다른 판본과 차이를 보인다.[5] 길가메시 홍수 신화의 140행에 있는 수메르 문자 '쿠르'는 아카드어로 "산"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었지만, 수메르어로는 "산"뿐만 아니라 "땅", 특히 "저승"을 의미한다.

4. 역사적 맥락과 해석

일부 현대 학자들은 수메르의 홍수 이야기가 슈루팍(오늘날 이라크 텔 파라)이나 키시 등 북쪽의 다양한 도시에서 일어난 국지적인 강 범람 사건을 묘사하는 것이라고 본다. 기원전 2900년경으로 추정되는 강 퇴적층이 이를 뒷받침하며, 슈루팍 홍수 지층 바로 아래에서 젬데트 나스르 시기(기원전 3000년경~2900년)의 다색 토기도 발견되어 그 이전의 유적에 대한 흔적을 보여주었다.[6] 고대 왕조 시대의 지배자들 중 고고학적 발굴이나 비문 등에 의해 역사적으로 입증된 사람은 없지만, 수메르인들은 대홍수 이전의 신화 시대에 고대 왕조가 있었다고 전한다.[6]

크레이머는 기원전 2600년경의 수메르어 문서인 《슈루팍의 교훈》을 통해 지우수드라가 기원전 3천년 경에 이미 "문학 전승 속에서 존경받는 인물"이 되었다고 주장했다. 새뮤얼 첸은 지우수드라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구 바빌로니아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고 보았다.[7]

5. 다른 기록


  • 길가메시 서사시에는 지우수드라의 불멸에 대한 언급이 나타난다.[8]
  • 초기 지도자들의 불멸에 대한 언급도 있다.[9]
  • 헬레니즘 문명 시대의 역사학자 베로수스는 바빌로니아 역사 기록에서 시스트로스(Ξίσουθροςgrc)를 언급했다.[10]
  • 일부 수메르 왕 목록에는 지우수드라 이전에 슈루팍을 다스렸던 왕들의 이름도 전해진다.[10]

참조

[1] 웹사이트 Eridu Genesis https://www.worldhis[...]
[2] 간행물 The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http://etcsl.orinst.[...] Oxford
[3] 서적 I Studied Inscriptions from Before the Flood: Ancient Near Eastern Literary and Linguistic Approaches to Genesis https://books.google[...] Eisenbraun's 2015-07-30
[4] 서적 Creation stories of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Jessica Kingsley Publishers 2011-05-23
[5] 간행물 The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http://etcsl.orinst.[...] Oxford
[6] 인용 Sumer and the Sumerian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서적 The Primeval Flood Catastrophe: Origins and Early Development in Mesopotamian Tradi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Translation of versions of The Death of Gilgamesh http://etcsl.orinst.[...]
[9] 웹사이트 Translation of The Poem of Early Rulers http://etcsl.orinst.[...]
[10] 서적 The Babylonian Gilgamesh Epic: Introduction, Critical Edition and Cuneiform Texts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