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슈루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슈루팍은 이라크 카디시야 주에 위치한 고대 수메르 도시로, 수메르 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원전 3000년경 젬데트 나스르 시대부터 초기 왕조 시대를 거쳐 아카드 제국, 우르 제3왕조 시대까지 번성했으며, 곡물 저장과 분배의 중심지였다. 수메르 왕 목록과 길가메시 서사시 등에서 대홍수 이전 시대를 배경으로 등장하며, 1900년대 초부터 여러 차례 발굴 조사가 이루어져 설형 문자 점토판, 도시 성벽, 항구 등 다양한 유물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슈루팍 - 지우수드라
    지우수드라는 수메르 신화에서 신들의 홍수 심판으로부터 살아남아 인류를 보존한 영웅으로, 신의 경고를 받아 배를 만들어 재앙을 피한 후 영원한 생명을 얻어 딜문에서 살게 되었으며, 크시수트로스라고도 불리고 노아의 방주 이야기와 유사성을 가진다.
  • 1900년 발굴 - 선형문자 B
    선형 문자 B는 미케네 그리스어 표기를 위한 문자 체계로, 음절 문자와 표의 문자로 구성된 약 200여 개의 기호로 이루어져 있으며, 1952년 마이클 벤트리스에 의해 해독되어 크노소스, 필로스 등지에서 발견된 점토판을 통해 전해진다.
  • 1900년 발굴 - 둔황 문헌
    둔황 문헌은 4세기부터 11세기 초까지 다양한 언어로 기록된 고문서로, 불교, 도교, 유교 관련 내용과 역사, 사회 자료 등을 포함하며, 1900년 둔황 막고굴에서 발견된 후 열강에 의해 유출되어 현재 전 세계에 분산 소장되어 있다.
  • 카디시야주 - 니푸르
    니푸르는 메소포타미아의 고대 도시로서 정치적 패권은 없었지만, 수메르 문명의 종교적 중심지이자 엔릴 신앙의 중심지인 에쿠르 신전이 위치하여 왕권 수여의 정당성을 부여하는 신성한 도시였다.
  • 카디시야주 - 딜바트
    기원전 3천 년대 중반에 세워진 고대 도시 딜바트는 여러 제국과 시대에 걸쳐 점령되고 투쟁에 연루되었으며, 밀 재배와 갈대 생산의 중심지였고, 현재 텔 알-데일람 유적에서 다양한 유물이 발견되고 있으며, 수호신은 남신 우라쉬였다.
슈루팍
지도
일반 정보
공식 명칭슈루팍
다른 이름슐루팍
슈루푸크
지리
위치이라크, 수메르
지역페르시아만
좌표31°46′38″N, 45°30′39″E
크기
길이알려지지 않음
너비알려지지 않음
면적알려지지 않음
지름알려지지 않음
둘레알려지지 않음
높이알려지지 않음
역사
유형고대 도시
일부알려지지 않음
거주자알려지지 않음
사건알려지지 않음
시대알려지지 않음
문화알려지지 않음
건설알려지지 않음
폐기알려지지 않음
발견알려지지 않음
발굴1900, 1902-1903, 1931, 1973, 2016-2018
고고학자알려지지 않음
관리 및 상태
상태알려지지 않음
소유알려지지 않음
관리알려지지 않음
대중 접근알려지지 않음
추가 정보
지정알려지지 않음
웹사이트알려지지 않음
건축 양식알려지지 않음
건축 세부 사항알려지지 않음
기타 메모알려지지 않음

2. 역사

슈루팍의 역사는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여러 시대를 거치며 변화해왔다. 가장 오래된 유물은 젬데트 나스르 시대(기원전 3000년경)의 것으로, 이 시기 말에는 대홍수 전설과 관련된 홍수 퇴적층이 발견되기도 했다. 이후 초기 왕조 시대(기원전 2900년 ~ 기원전 2350년경)에 슈루팍은 중요한 도시로 성장하여 최대 전성기를 맞았으며, 당시 사회상을 보여주는 많은 설형 문자 점토판 문서가 발굴되었다. 그러나 이 시대 말기에 파괴되었다. 아카드 제국 시대와 우르 제3왕조 시대를 거치며 총독이 다스리는 도시로 유지되었으나 점차 쇠퇴하였고, 기원전 2000년경 중기 청동기 시대 초기에 결국 버려진 것으로 추정된다.

2. 1. 젬데트 나스르 시대 (기원전 3000년경)

슈루팍에서 발굴된 가장 오래된 유물들은 기원전 3000년경의 젬데트 나스르 시대에 해당한다. 젬데트 나스르 시대(기원전 2900년경)에 해당하는 슈루팍/파라에서는 비소 구리로 만들어진 여러 유물이 발견되었다. 비슷한 시기의 비소 구리 유물들은 테페 가우라(XII-VIII층)에서도 발견되었다.[2][45]

1930년대 발굴 보고서에 따르면, 슈루팍의 젬데트 나스르 시대 말기에 해당하는 지층에서 홍수 퇴적층이 발견되었다. 메소포타미아 전설에서 슈루팍은 "대홍수 이전" 도시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미리 배를 만들어 홍수에서 살아남았다고 전해지는 왕 우트나피쉬팀의 고향이기도 하다. 고고학자 에리히 슈미트(Erich Schmidt)는 이 발견과 관련하여, 성경의 홍수 이야기가[24] 우르, 키시, 그리고 슈루팍(파라)에서 인간 거주지 위에 쌓인 침수 퇴적물의 존재를 통해 시사되는 실제 사건이나 일련의 사건들에 근거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그는 이것이 수메르 문화의 생존과 엘람 젬데트 나스르 문화의 종말을 상징할 수도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 퇴적층은 하천 범람에 의해 형성된 것과 유사하며, 이러한 범람은 티그리스-유프라테스 강 시스템에서는 흔하게 발생하는 자연 현상이었다.[16][17]

2. 2. 초기 왕조 시대 (기원전 2900년 ~ 기원전 2350년경)

점토판에 수메르 설형 문자로 기록된 총독을 위한 은의 회계 요약. 기원전 2500년경, 이라크 슈루팍에서 출토. 대영 박물관, 런던.


고대 수메르의 초기 왕조 시대에 슈루팍은 중요성이 커지며 규모가 40를 넘어서는 도시로 성장했다.

수메르 왕 목록에는 "대홍수 이전"의 마지막 통치자로 우바라-투투가 기록되어 있으며, 일부 판본에서는 그의 아들 지우수드라가 뒤를 이었다고 전한다.[3] 후대의 길가메시 서사시에서는 우바라-투투의 아들인 우트나피쉬팀이 슈루팍의 왕으로 등장하는데, 이 이야기는 아트라하시스 신화에서 가져온 것으로 여겨진다.[4]

기원전 4천 년기부터 기원전 3천 년기 초반(젬데트 나스르기에 해당)의 비소 구리 유물이 슈루팍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는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도 상당히 이른 시기의 유물이다. 유사한 유물은 테페 가우라에서도 발견되었다.[45]

고대 근동의 도시로서 슈루팍은 초기 왕조 III 시대(기원전 2600년 ~ 기원전 2350년경) 말기에 최대 규모로 확장되어 약 100에 달하는 면적을 차지했다.[5] 이 시대 말기에 슈루팍은 파괴되고 화재를 겪었으며, 이 과정에서 점토판과 진흙 벽돌 벽이 구워져 오늘날까지 보존될 수 있었다.[46]

초기 왕조 III 시대의 지층에서는 수메르어로 쓰인 다량의 설형 문자 점토판 문서가 발견되었다. 이 점토판들은 당시 슈루팍이 주변 도시들과 활발히 교류하며 번성했던 군사 중심적 경제를 가졌음을 보여준다.[6] 발견된 문서에는 토지 소유 기록, 우루크 등 여러 수메르 도시 출신자를 포함한 6,580명의 노동자 명단, 행정 문서 등이 포함되어 있어 초기 왕조 시대 수메르 사회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한다.[39] 특히 노동자에게 식량을 분배하는 내용의 점토판이 100개 이상 발견되어 당시 사회 구조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일부 연구에서는 슈루팍(파라)이 키시의 주도 아래 라가시, 니푸르, 우루크, 아다브, 움마와 함께 이른바 '육각 도시'(Hexapolis) 연맹체의 일원이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7][8]

2. 3. 아카드 제국 시대 (기원전 2334년 ~ 기원전 2154년경)



아카드 제국 시대(기원전 2334년 ~ 기원전 2154년경)에 슈루팍은 파테시(patesi)라는 칭호를 가진 총독이 통치했다. 유프라테스강 유역의 대부분 도시처럼, 아카드 제국 시대에 쇠퇴했다.[9] 슈루팍에서 발견된 아카드 제국 시대의 점토 원뿔에는 "슈루팍의 총독 다다: 그의 아들 할라-아다는 여신 수드의 도시 문을 세웠다..."라고 적혀 있었다.[10]

2. 4. 우르 제3왕조 시대 (기원전 2112년 ~ 기원전 2004년경)



우르 제3왕조 시대(기원전 2112년~2004년경) 동안, 슈루팍은 우르가 임명한 총독(엔시)이 통치했다. 알려진 총독 중 한 명은 슐기의 아들인 우르-니가르이다. 또한 동시대 비문 유물에서는 쿠-난나, 루갈-헤두, 우르-니긴-가르, 우르-닌쿠라 등의 총독 이름이 확인된다.[12] 유적지에서 발견된 점토판 중 하나에는 우르 제3왕조의 마지막 통치자 바로 전인 수신의 재위 초년을 나타내는 연도명이 새겨져 있다.[11] 훨씬 후대의 문학 작품에는 여러 명의 자칭 통치자들이 언급되기도 한다.

2. 5. 중기 청동기 시대 I (기원전 2000년경)



기원전 2020년대, 우르 제3왕조는 심각한 가뭄에 시달렸으며, 슈루팍은 기원전 2000년경에 버려진 것으로 여겨진다.

이 지역에서는 기원전 2천년기 초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보이는 이신-라르사 시대의 원통형 인장과 여러 개의 도기 조각이 발견되었다.[13] 이신의 통치자 엔릴-바니(기원전 1860–1837년경)의 재위 2년째에는 니푸르의 현자가 슈루팍에 약초를 남겼다는 기록이 있다.[15]

3. 신화



슈루팍은 수메르 신화 이야기의 중요한 무대 중 하나이다. 수메르 왕 목록에 따르면 슈루팍은 전설적인 대홍수 이전에 마지막으로 "왕권"이 하늘에서 내려온 도시로 여겨진다.[37]

또한 기원전 2천년기에 쓰여진 『슈루팍의 가르침』이나 『길가메시 서사시』 같은 여러 문학 작품과 신화에서 슈루팍 출신의 인물들이 등장한다. 이들은 주로 대홍수와 관련된 중요한 역할을 맡는데, 예를 들어 현자 슈루팍의 아들 지우스드라[38]나 슈루팍의 왕 우트나피쉬팀[39] 등이 대홍수에서 살아남은 인물로 그려진다. 이들 이야기는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홍수 설화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텔 파라 유적 발굴을 통해, 슈루팍이 실제로 기원전 3000년경 젬데트 나스르기 말기에 하천 범람으로 인한 홍수를 겪었음이 고고학적으로 증명되었다. 그러나 이 홍수를 수메르 신화 속의 대홍수와 직접 연결하는 것은 근거가 부족한 추측으로 여겨진다.[38]

3. 1. 수메르 왕 목록

수메르 왕 목록에 따르면, 슈루팍은 전설적인 대홍수 이전에 마지막으로 "왕권"이 하늘에서 내려온 도시로 기록되어 있다.[37] 이 목록에는 슈루팍의 왕이자 "대홍수 이전"의 마지막 통치자로 우바라-투투(또는 우발투투)가 등장하며, 그는 18,600년 동안 통치했다고 전해진다.[3][37] 일부 버전의 왕 목록에서는 그의 아들인 지우수드라가 뒤를 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3]

기원전 2천년기에 쓰여진 문학 작품 『슈루팍의 가르침』에서는 우바라-투투의 아들이자 도시와 이름이 같은 현자 슈루팍이 그의 아들 지우수드라에게 여러 가르침을 주는 내용이 나온다.[38] 다른 수메르 신화에서는 지우스드라가 대홍수에서 살아남아 불멸을 얻은 인물로 묘사되기도 한다.[38] 그는 메소포타미아 홍수 신화의 주인공인 아트라하시스나 성경노아와 동일시되기도 한다.

한편, 길가메시 서사시의 후기 버전에서는 우바라-투투의 아들인 우트나피쉬팀이 슈루팍의 왕으로 등장한다.[4] 길가메시 서사시의 해당 부분은 아트라하시스 신화에서 가져온 것으로 여겨진다.[4] 서사시에서 우트나피쉬팀은 대홍수에서 살아남아 신들로부터 영생을 얻고 딜문에 살게 되며, 영생의 비밀을 찾아온 우루크의 왕 길가메시를 만난다.[39] 이처럼 지우수드라와 우트나피쉬팀은 기록에 따라 아버지(우바라-투투)는 같지만 다른 인물로 나타나거나, 대홍수 생존자라는 점에서 유사성을 보인다.

3. 2. 길가메시 서사시

길가메시 서사시』에는 우바라-투투의 아들인 우트나피쉬팀(Uta-na'ishtim)이 슈루팍의 왕으로 기록되어 있다. 우트나피쉬팀은 대홍수를 피해 딜문으로 갔으며, 이후 우르크의 왕 길가메시가 그를 방문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39]

3. 3. 슈루팍의 가르침

기원전 2천년기에 쓰여진 문학 작품인 『슈루팍의 가르침』에는 우바라 투투의 아들이자 도시와 이름이 같은 현자 슈루팍이 등장한다. 이 작품에서 슈루팍은 자신의 아들 지우스드라에게 다양한 교훈과 지혜를 전수한다.[38] 같은 시대의 다른 수메르 신화에서는 지우스드라가 대홍수에서 살아남아 영생을 얻은 인물로 묘사되기도 한다.[38] 한편, 유명한 『길가메시 서사시』에서는 우바라 투투의 아들인 우트나피쉬팀(Uta-na'ishtim)이 슈루팍의 왕으로 등장하는데, 그는 대홍수를 피하여 딜문으로 이주했으며, 후에 우르크의 왕 길가메시가 그를 찾아왔다고 전해진다.[39]

4. 고고학적 발굴

돼지 모양의 딸랑이, 슈루팍, 이라크. 구운 점토. 초기 왕조 시대, 기원전 2500-2350년. 페르가몬 박물관, 베를린, 독일


슈루팍에서 출토된 점토판의 다양한 직함 목록, 이라크. 기원전 3천년기 후반. 페르가몬 박물관 소장


슈루팍 유적인 텔 파라(Tell Fara)는 남북으로 약 1km 길이에 걸쳐 있으며, 총 면적은 약 120ha에 달한다. 이 중 약 35ha는 주변 평야보다 3m 이상 높고, 가장 높은 곳은 9m에 이르는 둔덕 형태이다. 유적은 오래된 운하 바닥과 낮은 마을 지역으로 분리된 두 개의 둔덕으로 구성되어 있다.[18]

유적에 대한 조사는 19세기 중반부터 시작되었다. 1850년 윌리엄 로프터스가 처음 방문했으며[18], 1900년에는 헤르만 폴라트 힐프레히트가 간단한 조사를 통해 구리 유물, 봉인 원통, 점토판 등 사르곤 이전 시대의 유물을 일부 발견했다.[19][24]

본격적인 발굴은 20세기 초에 시작되어 여러 차례 진행되었다.

  • 1902년 ~ 1903년: 독일 동양 학회의 로베르트 콜데바이, 프리드리히 델리치 등이 8개월간 발굴을 진행했다. 이 발굴을 통해 유적지가 고대 도시 슈루팍임이 처음 확인되었고, 초기 왕조 시대의 설형 문자 점토판과 점토 봉인 등 중요한 유물이 다수 출토되었다.[20][21]
  • 1931년: 미국 동양 연구 학교와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공동 발굴팀이 에리히 슈미트의 지휘 아래 6주간 추가 발굴을 실시했다. 사무엘 노아 크레이머도 필사자로 참여했다. 이 조사를 통해 젬데트 나스르 시대, 초기 왕조 시대, 우르 제3왕조 시대의 층위를 확인하고, 두 시대 사이의 홍수 증거를 발견했으며, 추가적인 점토판을 확보했다.[24][25][26]
  • 1973년: 해리엇 P. 마틴이 3일간 표면 조사를 실시하여, 유적의 점령 시기가 최소 젬데트 나스르 시대부터 우르 제3왕조 시대까지 이어짐을 재확인했다.[27]
  • 2016년 ~ 2018년: 뮌헨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대학교 연구팀이 표면 조사, 자력계 조사, 드론을 이용한 디지털 고도 모델 제작 등 현대적인 기법을 동원하여 조사를 진행했다. 이 조사를 통해 과거에 확인되지 않았던 도시 성벽, 항구, 부두 시설 등을 발견했으나, 심각한 약탈 흔적도 확인되었다.[28][29][30][31][32]


이러한 여러 차례의 고고학적 발굴과 조사를 통해 슈루팍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이해가 점진적으로 깊어지고 있다.

4. 1. 초기 발굴 (1902년 ~ 1903년)

1900년 헤르만 폴라트 힐프레히트가 간단한 조사를 진행한 후, 1902년부터 1903년까지 8개월 동안 독일 동양 학회의 발터 안드레, 로베르트 콜데바이, 프리드리히 델리치가 본격적인 발굴을 시작했다.[19][33] 이들은 당시로서는 새로운 방식이었던 참호 발굴법을 도입하여 유적 전체에 걸쳐 일정한 간격으로 참호를 파고, 건물 벽이 발견되면 추가 조사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작업했다.[20]

이 발굴을 통해 유적지가 고대 도시 슈루팍이라는 사실이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결정적인 단서는 우르 제3왕조 시대의 점토 못에서 발견된 명문으로, "슈루팍(SU.KUR.RUki로 표기)의 파테시(총독)인 다다의 아들 할라다가 신 슈루팍(dSU.KUR.RU-da로 표기)의 대문의 ADUS를 수리했다"는 내용이었다.[20]

발굴팀은 초기 왕조 시대 III기에 해당하는 설형 문자 점토판 847개와 조각 133개를 수집하는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다. 이 점토판에는 행정 기록, 법률 문서, 어휘 목록, 문학 텍스트 등 다양한 내용이 담겨 있었으며, 특히 100개 이상은 노동자들에게 식량을 분배한 기록이었다.[20] 이 유물들은 현재 베를린 박물관이스탄불 박물관에 나뉘어 소장되어 있다.[20]

점토판 외에도, 문이나 용기를 봉인하는 데 사용되었던 초기 왕조 시대의 점토 봉인 및 조각 약 1,000개가 발견되었다. 이들 대부분은 원통형 인장에서 찍힌 것이었고, 19개는 도장형 인장에서 유래한 것이었다.[21]

1903년에는 인근 아다브 유적을 발굴하던 에드거 제임스 뱅크스가 슈루팍을 방문하여 독일 발굴팀의 작업을 관찰했다. 그는 독일 팀이 판 참호의 사진을 남겼으며, 유적 중앙에서 평볼록 벽돌로 지어진 우물과 점토판이 출토된 아치형 하수도를 보았다고 기록했다. 또한 작은 둔덕에 묘지가 있다는 점도 언급했다.[22]

4. 2. 추가 발굴 (1931년)

1931년 3월과 4월, 미국 동양 연구 학교와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공동 팀이 에리히 슈미트의 감독 하에 슈루팍을 6주 동안 추가 발굴하였다.[24][25] 사무엘 노아 크레이머는 필사자로 참여했다.

발굴팀은 주요 점령 시기를 젬데트 나스르 시대(파라 I), 초기 왕조 시대(파라 II), 우르 제3왕조(파라 III)로 층위를 나누었다.[24][25] 특히 파라 I과 파라 II 층 사이에서 "홍수 사건"의 증거를 확인했다. 이 발굴을 통해 96개의 점토판과 조각(대부분 사르곤 이전 시대의 양볼록형, 굽지 않은 형태)이 회수되었다.[26] 이 점토판들에는 슈루팍이라는 이름이 언급되어 있어, 유적지의 원래 명칭을 확인하는 중요한 단서가 되었다.

4. 3. 표면 조사 (1973년)

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

4. 4. 현대 조사 (2016년 ~ 2018년)

2016년부터 2018년까지 뮌헨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대학교의 아델하이드 오토와 베르톨트 아인바그가 이끄는 팀이 유적에 대한 조사를 진행했다. 이들은 표면 조사와 함께 전체 자력계 조사를 완료했으며, 초기 작업은 지역 QADIS 조사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28] 또한 드론을 활용하여 유적지의 상세한 디지털 고도 모델을 생성했다.[29]

조사 과정에서 연구팀은 약탈자들이 남긴 수천 개의 구멍을 발견했다. 이 약탈 행위로 인해 유적 표면이 심하게 훼손되었고, 특히 주요 둔덕 상단부의 몇 미터는 완전히 파괴된 상태여서 유적 보존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다.[30]

연구팀은 1902년과 1903년 독일 발굴팀이 남긴 약 900m 길이의 참호 흔적을 단서로 삼아, 과거의 발굴 기록 및 항공 지도 자료를 새롭게 얻은 지자기 탐사 결과와 성공적으로 연결시켰다.[30] 다만, 과거 발굴 작업으로 인해 쌓인 흙더미 때문에 일부 지역은 접근하여 조사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이번 조사를 통해 이전에는 확인되지 않았던 도시 성벽(구역 A에서 발견됨)과 더불어 항구 및 부두 시설의 존재가 새롭게 밝혀졌다.[30][31][32] 이는 현대적인 고고학 조사 기법이 과거 조사의 한계를 넘어 새로운 사실을 규명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참조

[1] 서적 The Harps that Once--: Sumerian Poetry in Translation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987-01-01
[2] 서적 Mesopotamian Civilization: The Material Foundations.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1997
[3] 서적 The Sumerian King List https://archive.org/[...]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39
[4] 서적 The Epic of Gilgamesh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9
[5] 서적 Mesopotamia: The Invention of the City Penguin
[6] 문서 Early Political Development in Mesopotamia Harvard University Press 1970
[7] 간행물 Messengers from Šuruppak https://cdli.mpiwg-b[...] 2013
[8] 문서 Early Dynastic Administrative Tablets of Šuruppak Istituto Universitario Orientalo di Napoli 1994
[9] 문서 The Rise of Urbanized Landscapes in Mesopotamia: The QADIS Integrated Survey Results and the Interpretation of Multi-Layered Historical Landscapes 2019
[10] 서적 The Sargonic and Gutian Periods (2334–2113)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3
[11] 문서 Princely Employments in the Reign of Shulgi 2022
[12] 서적 Ur III Period (2112-2004 BC)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7
[13] 서적 FARA: A reconstruction of the Ancient Mesopotamian City of Shuruppak Chris Martin & Assoc.
[14] 서적 Heartland of Cities: Surveys of Ancient Settlement and Land Use on the Central Floodplain of the Euphrates https://isac.uchica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5] 문서 The Babylonians and the Rational: Reasoning in Cuneiform Scribal Scholarship De Gruyter 2015
[16] 간행물 A review of Holocene avulsions of the Tigris and Euphrates rivers and possible effects on the evolution of civilizations in lower Mesopotamia https://onlinelibrar[...] 2005
[17] 서적 The Ancient Near East: A History 1971
[18] 서적 Travels and researches in Chaldæa and Susiana; with an account of excavations at Warka, the Erech of Nimrod, and Shúsh, Shushan the Palace of Esther, in 1849–52 https://archive.org/[...] J. Nisbet and Co. 1857
[19] 서적 The Excavations in Assyria and Babylonia https://babel.hathit[...] A.J. Holman 1904
[20] 서적 Fara, Ergebnisse der Ausgrabungen der Deutschen Orient-Gesellschaft in Fara und Abu Hatab Staatliche Museen zu Berlin
[21] 문서 Fragments of Officialdom from Fara 1991
[22] 서적 Bismya; or The lost city of Adab : a story of adventure, of exploration, and of excavation among the ruins of the oldest of the buried cities of Babylonia https://archive.org/[...] G. P Putnam's Sons 1912
[23] 문서 An Archæological Survey in Southern Babylonia I 1926
[24] 간행물 Excavations at Fara, 1931 https://www.penn.mus[...]
[25] 간행물 New Tablets from Fara
[26] 문서 The Tablets of Shuruppak 1975
[27] 간행물 Settlement Patterns at Shuruppak
[28] 문서 QADIS. The Iraqi-Italian 2016 Survey Season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Qadisiyah 2017
[29] 문서 The survey at Fara - Šuruppak 2016-2018 Harrassowitz Verlag 2020
[30] 문서 Destruction and Looting of Archaeological Sites between Fāra / Šuruppak and Išān Bahrīyāt / Isin: Damage Assessment during the Fara Regional Survey Project FARSUP 2018
[31] 간행물 Revisiting Fara: Comparison of merged prospection results of diverse magnetometers with the earliest excavations in ancient Šuruppak from 120 years ago https://epub.ub.uni-[...]
[32] conference Advances in On– and Offshore Archaeological Prospection: Proceedings Kiel University Publishing 2023
[33] 서적 Fara, Ergebnisse der Ausgrabungen der Deutschen Orient-Gesellschaft in Fara und Abu Hatab Staatliche Museen zu Berlin
[34] 간행물 Excavations at Fara, 1931
[35] 간행물 New Tablets from Fara
[36] 논문 Settlement Patterns at Shuruppak
[37] 서적 前川 1998
[38] 서적 前川 1998
[39] 서적 大英博物館 オリエント事典 2004
[40] 문서 Schmidt (1931)
[41] 문서 Martin (1988)
[42] 서적 FARA: A reconstruction of the Ancient Mesopotamian City of Shuruppak Chris Martin & Assoc.
[43] 서적 日本オリエント学会 オリエント事典 2004
[44] 서적 Heartland of Citi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5] 서적 Mesopotamian Civilization: The Material Foundations.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46] 서적 Mesopotamia: The Invention of the City Pengui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