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이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이족은 중국 남부에 거주하는 소수 민족으로, 주로 귀주성 첸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와 싼두 수이족 자치현을 중심으로 약 40만 명이 거주한다. 따이까다이어족에 속하는 수이어를 사용하며, 수 문자라는 고유 문자를 가지고 있으나 널리 사용되지는 않는다. 백월과 낙월의 혼혈 후손으로 여겨지며, 다신교와 조상 숭배를 믿는다. 수이족의 문화는 파란색 민족 의상, 동고, 다양한 축제, 찹쌀을 주식으로 하는 음식, 풍부한 구전 문학 등으로 특징지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이족 - 수 문자
수 문자는 중국 수족의 문자로, 갑골문, 금문과 유사하며 천문, 지리, 종교 등 문화 정보를 기록하는 데 쓰이나 해독에 지식이 필요하고 소멸 위기에 있어 중국 정부가 보존 노력 중이며 유니코드 등록이 추진되고 있다. - 수이족 - 수이어
수이어는 중국과 베트남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며, 싼동, 양안, 판둥의 세 가지 주요 방언으로 나뉘고, 특히 싼동 방언은 전체 화자의 90%가 사용하며, 7개의 모음과 6~7개의 성조, 그리고 수이 문자라는 고유의 표어 문자 체계를 가지고 있다. - 베트남의 민족 - 흐레족
흐레족은 베트남 중부 고원 지대에 거주하며 과거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고 논농사를 주로 하며 물소, 돼지 등을 사육하고 '치엥 바'라는 꽹과리 축제를 가진 소수민족이다. - 베트남의 민족 - 몽족
몽족은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자유로운 사람'을 뜻하는 고유 명칭 '몽'을 사용하지만 중국에서는 '묘족'으로 불리며, 17세기 이후 동남아시아로 이주하여 전 세계에 디아스포라를 형성, 복잡한 역사와 문화를 지닌 민족이다. - 중국의 민족 - 우즈베크인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기원전 2천년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이고 러시아 제국과 소련을 거쳐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하며 튀르크어족의 우즈베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 중국의 민족 - 투르크멘인
투르크멘인은 투르크메니스탄을 중심으로 인접 국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오구즈 투르크를 조상으로 하며 유목 생활, 여러 제국 지배,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거쳐 투르크메니스탄으로 독립했고, 투르크멘어를 사용하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고 독특한 민속 공예와 음악 전통을 지닌다.
수이족 | |
---|---|
일반 정보 | |
민족명 | 수이족 (水族) |
주요 거주 지역 | 구이저우성 광시성 투옌꽝성 |
사용 언어 | 수이어 |
종교 | 애니미즘 불교 도교 기독교 |
추정 인구 | 약 43만 명 |
언어 정보 | |
사용 언어 | 표준 중국어 수이어 |
2. 언어
따이까다이어족 중에서도 따이 조사의 형태를 가장 보존하고 있다고 하는 수이어를 말한다. 한자를 뒤집어 놓은 것 같은 표의문자인 수 문자(水書)라고 하는 고유문자를 가지지만 어휘가 적고, 보통 잘 사용되지 않으며, 종교 활동 등에서 한정적으로만 사용한다.[1] 타민족과의 교류가 예부터 번성하고, 특히 한족과의 접촉이 잦아 중국어를 사용하는 젊은이들이 많아서 수이어가 단절된 곳도 있다.
수이족은 백월과 낙월이 혼혈된 자손의 집단이라고 할 수 있으며, 한족으로부터 수가(水家), 수가묘(水家苗)라고 불렸다.[1] 평지가 적은 구이저우의 강가에서 주로 수도 경작을 한다.
크라이-다이어족에 속하는 캄-수이어파 언어를 사용한다.[1] 타이-카다이어족 중에서 타이 조어의 형태를 가장 잘 보존하고 있다고 여겨지는 수이어(Sui language)를 사용한다. 한자를 거꾸로 쓴 듯한 표의문자인 수서(水書)(Lu-Sui)라는 독자적인 문자를 가지고 있지만 어휘가 적어 일상적으로는 사용되지 않고, 「수서 선생(水書先生)」이라 불리는 지식인들이 사용하는 등 제한적인 사용에 그친다.[1] 수서를 발명했다고 여겨지는 전설적인 신이 있으며, 「수서 선생」의 연중 행사에서는 주신으로 모신다.[1]
3. 역사
다른 민족과의 교류가 오래전부터 활발했으며, 특히 한족과의 접촉으로 중국어를 사용하는 젊은이가 늘어 수이어를 사용하지 않는 지역도 있다.[1]
3. 1. 기원
수이족은 백월과 낙월이 혼혈된 자손의 집단이라고 할 수 있으며, 한족으로부터 수가(水家), 수가묘(水家苗)라고 불렸다.[1] 평지가 적은 구이저우의 강가에서 주로 수도 경작을 한다. 현재의 거주 지역에 정착한 것은 송나라 대에 들어서이며, 2000년을 기준으로 구이저우성의 첸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싼두 수이족 자치현을 중심으로 약 40만 명이 거주한다.[1]
수이족은 한나라(魏 2003:viii) 이전에 중국 남부에 거주했던 고대 백월(Baiyue) 민족의 후손이다.[1] 중국어로 "물"을 뜻하는 "수이(Sui)"라는 이름은 명나라 시대에 채택되었다.[1]
3. 2. 근대
송나라 시대 이후 현재 거주 지역에 정착했으며, 2000년 기준으로 오늘날에는 구이저우성 첸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싼두 수이족 자치현을 중심으로 약 40만 명이 거주한다.
다른 민족과의 교류가 오래전부터 활발했으며, 특히 한족과의 접촉으로 중국어를 사용하는 젊은이가 늘어 수이어를 사용하지 않는 지역도 있다.
4. 인구 분포
수이족은 중국 남부와 베트남 북부에 주로 거주하는 소수민족이다. 중국 귀주성에 가장 많이 분포하며, 광시, 운남성 등지에도 거주한다. 베트남 뚜옌꽝성에는 과거 중국에서 이주해 온 수이족 후손들이 살고 있다.[2]
4. 1. 중국 내 분포
현재 수이족의 93%(32만 2천 명)는 중국 귀주성에 거주하며, 그중 63%는 싼두 수이족 자치현에 살고 있다.[2] 남쪽으로는 광시 융수이현 영동 마을 주변에 1만 명의 수이족이 거주한다. 소규모 수이족 공동체는 운남성 푸양 현과 운남성 이량 현에도 있다. 또한 베트남 북부 뚜옌꽝성 홍꽝현에는 8대 전에 산두 현을 떠난 수이족의 후손 120명이 거주하고 있다.; 성(省)별 분포
지역 | 수이족 인구 | 비율 |
---|---|---|
귀주성 | 369,723 | 90.86% |
광서장족자치구 | 15,476 | 3.80% |
운남성 | 12,533 | 3.08% |
강소성 | 2,775 | 0.68% |
광동성 | 1,948 | 0.48% |
절강성 | 1,421 | 0.38% |
기타 | 3,026 | 0.74% |
; 수이족의 군 단위 분포
(중국 수이족 인구의 0.5% 이상을 포함하는 군 또는 군에 준하는 행정구역만 포함)
성(省) | 지급(地級)시 | 현(縣) | 수이족 인구 | 중국 수이족 인구 대비 비율 |
---|---|---|---|---|
귀주성 | 첸난 부예이족묘족 자치주 | 싼두 수이족 자치현 | 189,128 | 46.48% |
귀주성 | 첸난 부예이족묘족 자치주 | 리보 | 35,407 | 8.70% |
귀주성 | 첸난 부예이족묘족 자치주 | 롱장 | 33,678 | 8.28% |
귀주성 | 첸난 부예이족묘족 자치주 | 두윈 | 32,702 | 8.04% |
귀주성 | 첸난 부예이족묘족 자치주 | 두산 | 26,299 | 6.46% |
운남성 | 곡정시 | 푸위안 | 10,567 | 2.6% |
귀주성 | 첸난 부예이족묘족 자치주 | 단자이 | 10,501 | 2.58% |
귀주성 | 첸난 부예이족묘족 자치주 | 레이산 | 5,227 | 1.28% |
귀주성 | 류판수이 | 판 | 5,164 | 1.27% |
귀주성 | 첸난 부예이족묘족 자치주 | 리핑 | 4,710 | 1.16% |
귀주성 | 류판수이 | 수이청 | 3,875 | 0.95% |
귀주성 | 첸난 부예이족묘족 자치주 | 총장 | 3,300 | 0.81% |
귀주성 | 첸난 부예이족묘족 자치주 | 젠허 | 3,293 | 0.81% |
광시 좡족 자치구 | 류주 | 롱수이 | 3,183 | 0.78% |
광시 좡족 자치구 | 허지 | 난단 | 3,083 | 0.76% |
광시 좡족 자치구 | 허지 | 이주 | 2,160 | 0.53% |
귀주성 | 필절 | 검서 | 2,102 | 0.52% |
기타 | 32,523 | 7.99% |
4. 2. 자치 지역
현재 수이족의 93%(32만 2천 명)는 중국 귀주성에 거주하며, 그중 63%는 싼두 수이족 자치현에 살고 있다.[2] 남쪽으로는 광시 융수이 현 영동 마을 주변에 1만 명의 수이족이 거주한다. 소규모 수이족 공동체는 운남성 푸위안 현과 자퉁 시 이량 현에도 있다. 또한 베트남 북부 뚜옌꽝성 홍꽝 현에는 8대 전에 싼두 현을 떠난 수이족의 후손 120명이 거주하고 있다.수이족의 군 단위 분포는 다음과 같다. (중국 수이족 인구의 0.5% 이상을 포함하는 군 또는 군에 준하는 행정 구역만 포함)
성(省) | 지급(地級)시 | 현(縣) | 수이족 인구 | 중국 수이족 인구 대비 비율 |
---|---|---|---|---|
귀주성 | 첸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 싼두 수이족 자치현 | 189,128 | 46.48% |
귀주성 | 첸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 리보 | 35,407 | 8.70% |
귀주성 | 첸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 두윈시 | 32,702 | 8.04% |
귀주성 | 첸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 두산 | 26,299 | 6.46% |
귀주성 | 첸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 룽장현 | 33,678 | 8.28% |
운남성 | 취징시 | 푸위안 | 10,567 | 2.6% |
귀주성 | 첸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 단자이현 | 10,501 | 2.58% |
귀주성 | 첸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 레이산현 | 5,227 | 1.28% |
귀주성 | 류판수이시 | 판 | 5,164 | 1.27% |
귀주성 | 첸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 리핑 | 4,710 | 1.16% |
귀주성 | 류판수이시 | 수이청현 | 3,875 | 0.95% |
귀주성 | 첸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 총장현 | 3,300 | 0.81% |
귀주성 | 첸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 젠허 | 3,293 | 0.81% |
광시 좡족 자치구 | 류저우시 | 롱수이 먀오족 자치현 | 3,183 | 0.78% |
광시 좡족 자치구 | 허치시 | 난단 | 3,083 | 0.76% |
광시 좡족 자치구 | 허치시 | 이저우 | 2,160 | 0.53% |
귀주성 | 비제시 | 첸시 | 2,102 | 0.52% |
기타 | 32,523 | 7.99% |
귀주성에는 다음과 같은 수이족 자치 지역이 있다.
- 싼두 수이족 자치현
- 례핑 현
- * 뢰둥야오족수이족향(雷洞ヤオ族スイ族郷)
- 융강 현
- * 삼강수이족향(三江スイ族郷)
- * 인리수이족향(仁里スイ族郷)
- * 탑석야오족수이족향(塔石ヤオ族スイ族郷)
- * 정위수이족향(定威スイ族郷)
- * 흥화수이족향(興華スイ族郷)
- * 수미수이족향(水尾スイ族郷)
- 뢰산 현
- * 달지수이족향(達地スイ族郷)
- 두운 시
- * 귀란수이족향(帰蘭スイ族郷)
- 려파 현
- * 례명관수이족향(黎明関スイ族郷)
- 부원 현
- * 고감수이족향(古敢スイ族郷)
5. 사회
수이족은 가족 씨족을 중심으로 조직되어 있다. 마을에는 보통 수백 명의 주민이 거주하며, 대부분 같은 성을 가지고 있다.[1]
전통적인 수이족 가옥은 보통 전나무나 소나무로 지어졌지만, 오늘날에는 벽돌로 지어지는 경우가 점점 늘고 있다. 전통적인 수이족 주택에는 세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1]
- '''ɣaan2 faaŋ1''' (중국어: ''ganlan mulou'') – 2층 또는 3층의 간란(干栏)식 가옥이다. 2층은 주거 공간으로 사용되고, 1층은 주로 마구간과 창고로 사용된다.
- '''ɣaan2 hum5''' – 1층짜리 평지 가옥이다.
- '''복층 가옥''' – 중국어로 ''diaojiaolou''(吊脚楼)라고 불리는 "매달린 발" 건물이다. 이러한 가옥들은 언덕 경사면에 지어지며, 집의 경사면 쪽을 지탱하는 기둥이 더 길다. 집을 지탱하는 기둥이 때때로 벽 바깥에 위치하기 때문에 "매달린 집"(diaojiao)이라고 불린다.
여성이 과부가 되면 3년 동안 머리에 흰 천을 쓴다. 수이족은 음력 9월에 시작하는 음력을 사용한다. 장례 의식은 정교하고 긴 의식이며, 죽은 자를 기리기 위해 제물을 바친다. 수이족 마을 주민들은 물고기를 제외하고는 사람이 죽은 후에는 고기를 먹지 않는 경우가 많다.[1]
6. 문화
수이족은 선명한 푸른색 민속 의상을 입고, 동고를 소유하고 있으며 조상 제사에 사용한다. 10월에서 11월에 걸쳐 조상 제사인 단절(端節)을 거행하는데, 이때 경마(사마)를 하고 젊은 남녀가 노래하며 춤을 춘다. 백월에 락월(駱越)(Lac Viet)이 혼혈된 집단으로 여겨지며, 수도 경작을 주로 한다.[3] 료(廖), 판(潘), 오(吳) 등의 성이 많고, 몽(蒙)이라는 성을 가진 귀족이 통치하였다.[3]
타이-카다이어족 중에서 타이 조어의 형태를 가장 잘 보존하고 있다고 여겨지는 수이어(Sui language)를 사용한다. 한자를 거꾸로 쓴 듯한 표의문자인 수서(水書)(Lu-Sui)라는 독자적인 문자를 가지고 있지만 어휘가 적어 일상적으로는 사용되지 않고, 「수서 선생(水書先生)」이라 불리는 지식인들이 사용하는 등 제한적인 사용에 그친다. 수서를 발명했다고 여겨지는 전설적인 신이 있으며, 「수서 선생」의 연중 행사에서는 주신으로 모신다.[1]
수이족은 신화, 노래, 민담 등 구전 문학이 풍부하며, 리방규(Fang-Kuei Li)의 저서 ''수이화 연구(Shuihua yanjiu)''(수이어 연구)에서 수이족 노래의 발췌를 찾아볼 수 있다.[1] 주식은 찹쌀이며, 옥수수, 밀, 보리, 기장, 고구마를 보조 곡물과 뿌리 채소로 섭취한다. 생선은 가장 중요한 식량원 중 하나이며, 많은 수이족은 마을 웅덩이에서 잉어를 기른다.[1]
6. 1. 종교
수이족은 주로 다신교를 믿으며 조상 숭배도 행한다. 전통적으로 무당들은 병들거나 죽음이 임박한 사람들의 집에서 기도와 제사를 지내는 데 고용되었다. 수이족 종교에는 행운과 불운을 모두 가져올 수 있는 900개가 넘는 귀신과 신이 있다.[3] 일부 신과 전설적인 인물들은 중국 민간 종교에서 차용되기도 했다.수이족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금기와 미신을 가지고 있다.[3]
금기/미신 | 내용 |
---|---|
봄철 첫 천둥 | 사흘 동안 땅을 갈면 안 된다. 어길 시 천둥신이 화를 내어 비정상적인 강우 패턴을 초래한다. |
씨앗 뿌릴 때 | 맹세를 하면 안 된다. 농작물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
봄 시작, 씨앗 뿌린 후 | lusheng을 불면 안 된다. 씨앗이 날아갈 수 있다. |
단오 첫날 아침과 전날 저녁 | 육류 섭취 불가. 조상을 불경하게 여기는 것으로 간주되어 자손이 감소한다. |
명절 | 개를 죽이면 안 된다. |
설날 첫날 | 집 청소, 음식 요리, 머리 자르기 금지. 섣달 그믐날 남은 음식을 먹는다. |
결혼 행렬 중 | 관, 길을 가로지르는 새, 천둥, 임산부를 만나면 불운. (각각 부부의 죽음/질병, 귀신 쫓기, 신부 불임 유발 가능) |
재혼 과부 | 전 남편 마을로 돌아갈 수 없고, 일 년 동안 친정을 방문할 수 없다. 친정 마을의 번영이 저해된다. |
임산부 | 친정에서 출산 불가. 친정 식구와 가축에 피해를 준다. |
출산 후 | 다른 사람의 마을이나 집에 방문하면 그 사람이 병에 걸린다. |
족장 사망 후 | 일족 구성원은 육류 섭취 불가. 사망한 족장의 옷과 개인 물품은 땅에 떨어져서는 안 되며, 홀수의 소지품을 가져야 한다. |
최근 사망자와 같은 날 출생 | 방문 금지. 죽은 자가 영혼을 무덤으로 데려갈 수 있다. |
매장 시 | 이름을 부르면 안 된다. 죽은 자가 영혼을 가져갈 수 있다. |
남자 사망 후 | 암퇘지나 암소 도살 금지. 여자 사망 후에는 말이나 수소 도살 금지. |
임산부와 아기 매장 | 햇볕이 많이 드는 곳에 매장 금지. |
기타 | 일식, 월식, 새 울음소리를 싫어함. |
큰 돌이나 특이한 모양의 거석을 숭배하고, 자녀를 낳게 해달라고 기도한다.[3]
6. 2. 축제
수이족의 축제는 수확, 조상 숭배, 공동체 유대 강화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주요 축제는 다음과 같다.[3]- 단절(端節, ''tsjə1 twə3''): 중국 설날과 유사한 수확 축제로, 수이족 달력으로 9월부터 11월까지 열린다. 지역마다 시기가 달라 여러 지역의 축제를 합치면 두 달 이상 지속된다. 수이족 새해 전날(''hət7'')에는 가축 고기를 먹지 않으며, 설날(''ʁaai3'')에는 반창가, 경마 등의 행사가 열린다. 다음 다섯 지역에서 각기 다른 시기에 단절을 기념한다.
- 두윈시 왕시
- 산두 현 말리안, 라이우, 묘차오, 수이둥
- 산두, 리보 현, 두산 현 팅파이, 헝펑, 허용, 톈싱
- 산두 현 중허, 디샹, 지우치엔
- 산두 현 산둥, 수이니안, 싱샹
- 마오절(卯節, ''tsjə1 mau4''): 단절을 기념하지 않는 지역에서 벼 모종 이식 후인 수이족 달력 10개월에 4일간 열리는 축제이다. 리보 현의 슈이리, 야오칭, 슈이라오, 슈이푸, 용캉 마을에서 기념되며, 반창가 형식의 합창단이 전통 사랑 노래를 부른다. 기혼 여성은 전통적으로 합창단 공연이 허용되지 않는다.
- 춘절(春節, ''tsjə1 tseŋ1''): 산두 현의 반난, 수이메이, 양궁, 저우친, 양안 지역에서 성대하게 거행된다. 이 마을들은 단절이나 마오절을 기념하지 않는다.
- 기타 축제: 소규모 수이족 새해 축제(''su3 njen2 hi5''), 새 쌀 먹는 축제(''tsjə1 ʔau4 hmai5''), 6월 6일 축제(''Liuyueliu''), 청명절(''si3 ming2''), 단오절(''Duanwu''), ''sup8 hi5'' 등이 있다.
축제 기간에는 청동북을 연주하고, 노래와 춤을 추며, 가축을 도살하여 조상에게 감사를 드린다.[3] 특히 단절에는 한밤중에 동고에 제물을 바치고 조상단 앞에서 여성이 동고를 두드려 조상의 영혼을 위로한다. 최근 사망자에 대해서는 정면 제단에 영정을 걸고 조문과 제물을 바친다. 낮에는 경마(''사마'')를 하고 젊은 남녀가 노래하고 춤을 춘다.[3]
6. 3. 음식
수이족의 주식은 찹쌀이다. 보조 곡물과 뿌리 채소로는 옥수수, 밀, 보리, 기장, 고구마가 있다. 쌀은 대나무 찜통에 찌거나 뚜껑이 있는 냄비에 약한 불로 익힌다. 인기 있는 쌀 요리로는 쫑즈(''ʔjut7'', 중국어: zongzi)와 국화와 팝핑 쌀을 곁들인 찹쌀 요리가 있다.[1] 수이족 여성들은 친척을 방문할 때 찹쌀을 선물하기도 한다.생선은 가장 중요한 식량원 중 하나이다. 동족과 마찬가지로 많은 수이족은 마을 웅덩이에서 잉어를 기른다.[1] 여름에 인기 있는 요리로는 ''lu5 hum3''이라고 불리는 일종의 신맛이 나는 국물이 있다. 수이족 가족들은 또한 정기적으로 공동 샤브샤브를 한다. 훈제 생선(''hum3 mom6''), 훈제 고기(''hum3 naan4'') 및 젖먹이 돼지고기도 인기 있다. 쌀술은 수이족 사이에서 인기가 있으며, 결혼식, 장례식, 축제 및 건축 기념 행사에서도 마신다. 수이족은 또한 쥬첸주(jiuqian wine)로 유명하다.
6. 4. 문학
수이족의 구전 문학은 신화, 노래, 민담이 풍부하다. Wei (2003:xxvi)에서 발췌한 목록은 다음과 같다.- '''고대 신화와 노래'''
- * 천지 창조
- * 인류의 기원
- * 인간 창조의 노래 – 인간, 용, 호랑이 사이의 싸움을 묘사
- * 새로운 생명의 기원 – 남매가 박을 심어 새로운 생명이 싹트는 이야기
- '''개인에 대한 전설'''
- * 부유한 거상 판신젠(Pan Xinjian)의 노래
- * 징귀(Jingui)의 이야기
- * 뉴(Niu)라는 남자
- * 가난한 선생
- * 해를 쏘아낸 돌말
- '''관습에 대한 전설'''
- * 단오절(Duan festival)의 기원 – 오빠가 여동생과 결혼하여 단오절이 생겨났다는 이야기
- * 모오절(Mao festival)의 기원
- * 거꾸로 심은 전나무
- '''풍경에 대한 전설'''
- * 두류장강(Duliujiang River)의 기원에 대한 전설
- * 공룡과 월량산(Yueliang Mountain)의 전설
- '''민담'''
- * 청동북의 기원
- * 포도 소녀
- * 호랑이가 물소를 미워하는 이유
- * 눈과 발
- '''삶과 관련된 노래'''
- * 목화 재배 노래
- * 곡물 재배 노래
- * 술 만드는 노래
- * 나무 심는 노래
- * 고난의 노래
- '''관습과 관련된 노래'''
- * 단오절 노래
- * 애가
- '''사랑 노래'''
- * 견직물처럼 아름다운 소녀
- * 당신을 잊기 어렵네
- * 누이와 함께 오라비가 갈 것이다
- '''속담과 노래'''
- * 두루미와 까마귀
- * 참새와 꾀꼬리
수이족 노래의 발췌는 리방규(Fang-Kuei Li)의 1977년 저서 ''수이화 연구(Shuihua yanjiu)''(수이어 연구)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1] 타이-카다이어족 중에서 타이 조어의 형태를 가장 잘 보존하고 있다고 여겨지는 수이어(Sui language)를 사용한다.[1] 한자를 거꾸로 쓴 듯한 표의문자인 수서(水書)(Lu-Sui)라는 독자적인 문자를 가지고 있지만 어휘가 적어 일상적으로는 사용되지 않고, 「수서 선생(水書先生)」이라 불리는 지식인들이 사용하는 등 제한적인 사용에 그친다.[1] 수서를 발명했다고 여겨지는 전설적인 신이 있으며, 「수서 선생」의 연중 행사에서는 주신으로 모신다.[1]
7. 저명한 수이족 인물
참조
[1]
서적
The Tai–Kadai Languages
Psychology Press
2008
[2]
웹사이트
全国唯一の水族自治县——三都宣告脱贫-新华网
http://www.gz.xinhua[...]
2021-02-24
[3]
논문
中国貴州省・水族の民族文化に関する一考察ー端節・銅鼓・水書を中心に
三田史学会(慶應義塾大学)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