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톨베르크 (작센안할트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슈톨베르크(작센안할트주)는 독일 작센안할트주에 위치한 도시이다. 1000년경 광부들을 위한 정착지로 설립되었으며, 철, 구리, 은, 주석, 금 등의 채굴이 이루어졌다. 슈톨베르크는 슈톨베르크 백작의 거주지였으며, 1300년 이전에 도시 지위를 얻었다. 주요 명소로는 슈톨베르크 성, 시청사, 성 마틴 교회, 자이거 탑 등이 있으며, 매년 다양한 문화 행사가 열린다. 도시에는 토마스 뮌처, 율리아나 폰 슈톨베르크 등 역사적 인물들이 배출되었으며, 사이클 선수 옌스 레만 등 현대 인물들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슈톨베르크 (작센안할트주) | |
---|---|
위치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유형 | 오르트스타일 (Ortsteil, 자치구) |
소속 자치체 | 쥐트하르츠 |
위치 | 51° 34' N 10° 57' E |
주 | 작센안할트주 |
군 | 만스펠트쥐트하르츠 군 |
해발 고도 | 340m |
면적 | 67.52km² |
인구 | 1286명 |
인구 조사 기준일 | 2009년 12월 31일 |
우편 번호 | 06547 |
지역 번호 | 034654 |
차량 번호판 코드 | SGH |
웹사이트 | www.stadt-stolberg.de |
2. 역사
슈톨베르크는 서기 1000년경 광업 정착지로 시작하여 중세에 도시로 발전했다. 슈톨베르크 백작 가문의 지배를 받았으며, 독일 농민 전쟁 시기에는 토마스 뮌처와 관련된 역사적 사건의 배경이 되었다. 이후 작센 선제후국과 프로이센 왕국의 지배를 거쳤으며, 20세기에는 관광 도시 및 건강 휴양지로 발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 점령 하에서 NKVD에 의한 베어볼프 사건과 같은 아픔을 겪기도 했다.[4] 이 사건의 피해자들은 훗날 무죄 판결을 받았다. 2010년에는 행정 구역 개편으로 쥐트하르츠 자치구에 통합되었다.[5]
2. 1. 초기 정착과 중세 시대


슈톨베르크는 서기 1000년경 광부들을 위한 정착지로 세워졌다. 하지만 이 지역에서는 이미 794년부터 채굴 활동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지명은 독일어로 '광산 갱도'를 뜻하는 '슈톨렌'(Stollende)과 '언덕'을 뜻하는 '베르크'(Bergde)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이곳에서는 철, 구리, 은, 주석, 금 등이 채굴되었다. 슈톨베르크는 독일 도시법에 따라 1300년 이전에 도시 지위를 얻었다.
초기부터 슈톨베르크 백작 가문의 거주지였으며, 중세 성기부터는 동전 주조가 이루어졌다. 동전 주조 산업은 16세기에 전성기를 맞이했으나, 광업은 17세기에 중단되었다.
독일 농민 전쟁 시기에는 슈톨베르크 출신의 토마스 뮌처가 이끄는 농민군과 관련된 전투가 여러 차례 벌어졌다. 1525년 5월 2일, 봉기한 농민들은 마을을 점령하고 당시 통치자였던 슈톨베르크 백작 보토에게 '24개 슈톨베르크 조항'을 강제로 받아들이게 했다. 그러나 농민군이 패배하면서 이 조항들은 곧바로 폐기되었다.
2. 2. 독일 농민 전쟁과 종교 개혁
독일 농민 전쟁 기간 동안 슈톨베르크는 여러 전투가 벌어진 장소였으며, 마을에서 태어난 토마스 뮌처가 농민들을 이끌었다. 1525년 5월 2일, 반란을 일으킨 농민들이 마을을 침략하여 통치자 슈톨베르크 백작 보토에게 24개의 슈톨베르크 조항을 받아들이도록 강요했다. 그러나 농민들이 프랑켄하우젠 전투 등에서 패배한 후 이 조항들은 즉시 철회되었다.종교 개혁 시기를 거치며 슈톨베르크 지역의 종교 행정에도 변화가 있었다. 16세기 중반, 슈톨베르크-슈톨베르크 백작들은 루터교회를 이끌 종무원을 설립했다. 1645년 슈톨베르크 백작령은 슈톨베르크-슈톨베르크와 슈톨베르크-베르니게로데라는 두 개의 새로운 백작령으로 분할되었다. 후자가 1658년에 자체 교회 소재지를 설립했을 때, 슈톨베르크의 종무원은 슈톨베르크-슈톨베르크 백작령 종무원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1893년에는 슈톨베르크-슈톨베르크 공작령 종무원으로 다시 이름이 바뀌었다.
1815년 빈 회의 결과 이 도시는 프로이센 왕국에 할당되었고, 1821년부터 이전 백작령 영토 내 루터교 교구는 작센 교회주의 일부였으며, 이는 프로이센 복음주의 국가 교회의 일부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무원은 이전 백작령의 루터교 교구에 대한 지역적 책임을 계속 가지고 있었다. 1919년 교회와 국가가 분리되기 전까지, 종무원은 직접적으로 제국 군주(''Standesherr''), 즉 슈톨베르크-슈톨베르크 백작 또는 공작에게 종속되었고, 간접적으로는 작센 주의 주지사(''Oberpräsident'')에게 종속되었다.[1]
1944년 말, 복음주의 고위 종무원회(''Evangelischer Oberkirchenrat'', 국가 교회의 본부)는 위험에 처한 베를린 시에서 슈톨베르크의 종무원 건물로 본부를 옮겼다.
1947년 11월 5일 슈톨베르크-슈톨베르크 종무원은 로스라에 소재지를 둔 "구" 슈톨베르크-로스라 공작령 종무원과 합병되어 종무 구역을 형성했으며, "새로운" 슈톨베르크-로스라 복음주의-루터교 종무원은 슈톨베르크에 소재지를 두었다.[2] "[작센 교회주 교구의 복음주의 교회]의 지배 기구는 [...] 2005년 10월 28일, 아이스레벤의 교회 교구 지방회와 협의하여 슈톨베르크-로스라 복음주의-루터교 종무원을 해산하기로 결정했다."[3] 오늘날 그들은 2009년에 설립된 중앙 독일 복음주의 교회에 속해 있다.
2. 3. 근세와 프로이센 편입
1738년 슈톨베르크 백작들은 작센 선제후국의 종주권을 인정해야 했다. 이후 1815년 빈 회의의 결정에 따라 슈톨베르크는 프로이센 왕국에 할당되었고, 프로이센 작센 주의 관할 하에 놓이게 되었다.2. 4. 20세기와 현대
20세기 초에 슈톨베르크는 관광 도시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1923년에는 베르가–켈브라까지 철도가 개통되어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인 1944년 말, 나치 독일의 복음주의 고위 종무원회(''Evangelischer Oberkirchenrat'') 본부가 전쟁으로 위험해진 베를린에서 슈톨베르크의 종무원 건물로 이전하기도 했다.
전쟁 후 혼란기였던 1946년 초, 소련 보안국 NKVD는 15세에서 18세 사이의 청소년 14명(일부는 19세, 20세)을 나치의 잔당 조직인 베어볼프(Werwolf) 결성 혐의로 체포했다. 이들은 군사 재판소에서 재판을 받았고, 3명의 청소년에게는 사형(2명 집행)이 선고되었으며 나머지는 최대 25년의 장기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체포된 청소년 대부분은 소련의 NKVD 특수 수용소에서 살아남지 못했다. 이 사건의 피해자들은 1995년 러시아 연방 검찰총장에 의해 공식적으로 무죄 판결을 받았다.[4]
한편, 슈톨베르크는 1946년부터 건강 휴양지로 지정되어 관광 도시로서의 명성을 이어갔다.
2010년 9월 1일, 슈톨베르크는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쥐트하르츠''(Südharz, "남부 하르츠") 자치구에 편입되었다.[5]
3. 정치
슈톨베르크의 정치 구조는 선출직 시장(독일어: Ortsbürgermeister|오르츠뷔르거마이스터de)을 중심으로 운영되며, 도시 고유의 문장을 사용하여 지역 정체성을 나타낸다. 또한, 국제 교류 활성화를 위해 독일 및 체코의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 관계를 맺고 있다.
3. 1. 시장
슈톨베르크의 시장(Ortsbürgermeister|오르츠뷔르거마이스터de)은 2000년 5월 28일에 선출된 울리히 프랑케(Ulrich Franke)이다.3. 2. 문장
도르트 문장관 Utz Döring|우츠 되링de에 의해 도시 문장이 재설계되었다.3. 3. 자매 결연 도시
작센안할트주의 슈톨베르크는 다음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4. 문화와 명소
슈톨베르크는 오랜 역사를 지닌 도시로, 다양한 문화 유산과 명소를 간직하고 있다. 서기 1000년경 광부들을 위한 정착지로 세워졌으며, 지명 역시 광산 통로를 뜻하는 독일어 'Stollendeu'과 언덕을 뜻하는 'Bergdeu'에서 유래했다. 초기에는 철, 구리, 은, 주석, 금 등이 채굴되었으며, 1300년 이전에 독일 도시법에 따른 도시 지위를 획득했다.
특히 슈톨베르크는 독일 농민 전쟁 당시 중요한 역할을 했던 토마스 뮌처가 태어난 곳이다. 1525년에는 뮌처가 이끄는 농민들이 도시를 점령하고 슈톨베르크 백작에게 개혁 요구안을 수용하도록 강요하기도 했다. 비록 농민 봉기가 실패로 돌아가면서 개혁은 철회되었지만, 이러한 역사적 사건은 슈톨베르크의 중요한 정체성 중 하나로 남아있다.
중세 성기부터는 동전 주조가 활발했으며, 16세기에는 전성기를 맞았다. 반면, 도시의 기반이었던 채굴업은 17세기에 중단되었다. 오랜 기간 슈톨베르크 백작 가문의 거주지였으며, 1548년부터는 슈톨베르크-슈톨베르크 백작령의 중심지가 되었다. 이후 작센 선제후국과 프로이센 왕국의 지배를 거치며 행정적으로 변화를 겪었다.
20세기 초부터 슈톨베르크는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역사적인 건축물들을 바탕으로 관광 도시로 발전하기 시작했으며, 1946년에는 건강 휴양지로 지정되기도 했다. 오늘날 슈톨베르크에는 역사적인 건축물들과 다양한 정기 축제들이 있어 많은 방문객을 끌어모으고 있다. 이러한 구체적인 명소와 행사에 대한 정보는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4. 1. 건축물
- '''슈톨베르크 성'''(''Schloss Stolberg''): 가파른 언덕 위에 세워진 성이다. 가장 오래된 부분인 둥근 탑은 1200년경에 지어졌으며, 1539년에서 1547년 사이에 르네상스 건축 양식으로 새로운 부분이 추가되었다. 남동쪽 건물에는 고전주의 양식의 대 접견실(''Große Empfangszimmer'')과 카를 프리드리히 싱켈이 설계한 붉은 홀(''Roter Saal'')이 있다. 현재 성의 모습은 1690년과 1700년 사이의 개조 공사를 통해 갖춰졌다. 1945년 재산이 몰수되기 전까지 슈톨베르크-슈톨베르크 공작 가문의 소유였으며, 현재 독일 기념물 보존 재단이 복원 및 개조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슈톨베르크 성 - '''시청사''' (''Rathaus''): 1454년에 지어진 시청사는 건물 내부에 계단이 없고, 위층으로 가려면 외부 계단을 이용해야 하는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외부 계단은 성 마틴 교회로도 연결된다. thumb
- '''성 마틴 교회''': 후기 고딕 양식의 교회이다. 마르틴 루터가 1525년 4월 21일 이곳에서 농민 반란에 반대하는 설교를 했다. 13세기에 지어진 3랑식 바실리카 구조를 복원하는 작업은 언덕 경사면에 위치한 탓에 많은 비용이 들고 있으며, 독일 기념물 보존 재단 등이 복원을 지원하고 있다. 교회 북서쪽에는 성 마리아 예배당이 있다. 시청사 앞에는 1989년 토마스 뮌처의 생일을 기념하여 조각가 메세르슈미트가 제작한 뮌처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 '''자이거 탑''': 시청사 맞은편에 위치한 탑이다. 13세기에 처음 지어졌으나, 상부 구조는 19세기 초에 교체되었다. 탑의 이름은 중세 시대에 탑 옆에 있었던 자이거 제련소(''Saigerschmelzhütte'')에서 유래했다.
자이거 탑 자이거 탑을 뒤로 한 우체국 - '''''니더가세''''': 여러 역사적인 건물이 모여 있는 거리이다. '''토마스 뮌처 하우스'''(''Thomas-Müntzer-Haus'')는 토마스 뮌처가 태어난 집으로 알려져 있으며, 1851년에 지어졌으나 일부가 소실되었다. 이 거리에는 성 게오르그 예배당과 지역 역사 박물관으로 사용되는 구 조폐창(''Alte Münze'')도 있다.
- '''''리터토르''''': ''리터가세'' 서쪽 끝에 있는 문으로, 슈톨베르크에 유일하게 남아있는 중세 시대의 도시 문이다. 문 서쪽에는 1810년 카를 프리드리히 싱켈이 지은 샬레 발트프리덴이 있으며, 근처에는 1818년까지 성 십자가 예배당이 있었던 자리가 있다.
4. 2. 자연 기념물
훈로이헤( Hunrodeichedeu )는 수령 1,000년의 참나무이다.4. 3. 도로 표지판
슈톨베르크의 도로는 독일 내에서 독특한 특징을 보인다. 마을 입구에는 시속 30km/h 속도 제한과 주차 금지 구역을 알리는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다. 다만, 주차 디스크를 사용하면 지정된 구역에 한해 1시간 동안 주차가 가능하다. 이 외에 마을 내 다른 도로 표지판은 찾아보기 어렵다.보도와 도로가 명확히 구분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최소한의 표지판 운영 방식은 공유 공간 개념의 초기 형태로 해석될 수 있다.
4. 4. 정기 행사
- 1월 1일: 유럽에서 유일하게 완벽하게 보존된 18세기 조폐 공장인 구 조폐 박물관(ALTE MÜNZE)에서 '''연례 메달'''(Jahresmedaillede)을 주조한다.
- 2월 초 (보통 매달 두 번째 일요일): 세계에서 가장 큰 철제 이중 십자가인 요제프 십자가에서 온 가족이 눈 속에서 게임과 재미를 즐길 수 있는 '''겨울 축제'''(Winterfestde)가 열린다.
- 부활절 토요일 저녁: 리터토어(Rittertor) 옆 축제 광장(Festplatz)에서 전통적인 '''오스터포이어'''(Osterfeuerde) 불꽃놀이가 열린다.
- 4월 30일: 그로서 아우어베르크(Großer Auerberg)의 요제프 십자가에서 '''대 발푸르기스 축제'''가 열린다. 이 축제에서는 무대 공연, 음악가, 약초 여성, 빗자루 제작자, 마녀, 악마 등이 등장하며, 마지막에는 화려한 불꽃놀이가 펼쳐진다. 요제프 십자가에서는 승천일과 성령 강림절에도 콘서트가 열린다.
- 승천일 이후 주말: 1421년에 설립된 슈톨베르크 사격 길드(Stolberg Shooting Guild)가 '''슈첸페스트'''(Schützenfestde)를 개최한다. 왕(Königsschießen)과 민중의 왕(Volkskönigsschießen)을 뽑는 경쟁이 벌어지며, 일요일 아침 일찍 전통 의상 퍼레이드가 열린다.
- 6월 중순 주말: 구 조폐소에서 '''박물관 축제'''(Museumsfestde)가 열린다.
- 6월 마지막 주말: 리터토어 옆 페스트플라츠(Festplatz)에서 '''슈톨베르크 궁술 대회'''(Stolberger Bogenschützende)가 열린다. 역사적인 쇠뇌 사격과 어린이들을 위한 플라터쉬센(Flatterschießen)이 진행된다.
- 7월 마지막 주 일요일: 요제프 십자가에서 전통적인 '''숲 축제'''(Waldfestde)가 열린다. 하르츠 지역의 풍습과 민속, 특산품, 음악을 즐길 수 있으며 상인들도 참여한다.
- 8월 둘째 주말: 상인, 장인, 저글러, 음악가와 함께하는 역사적인 도시 축제인 '''슈톨베르크 종달새 축제'''(Stolberger Lerchenfestde)가 열린다.
- 9월 둘째 주말: '''유럽 도시 축제'''(Europastadtfestde)가 열린다. 매년 슈톨베르크와 우호 관계를 맺고 있는 다른 유럽 도시가 초대되어, 해당 도시와 국가의 문화 및 요리를 주제로 축제가 진행된다. 관광 정보와 초청 도시 및 국가의 특별 기념품도 제공된다.
- 10월 3일: 슈톨베르크(라인란트)와 하르데겐(졸링) 자매 도시와 함께 '''독일 통일의 날'''을 기념하는 축제가 열린다.
- 11월 초: '''요한 고트프리트 슈나벨 협회'''가 연례 총회를 개최한다. 이 문학 및 학술 클럽은 18세기 작가 요한 고트프리트 슈나벨의 삶과 작품을 연구한다.
- 첫 번째 대림절 일요일: 성 마틴 교회에서 '''대림절 콘서트'''가 열리고, 도시 골목에서는 동화 대림절 행사가 열린다.
-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대림절 일요일: 역사적인 사냥 별장(Jägerhof)에서 '''슈톨베르크 크리스마스 마켓'''이 열린다.
5. 기념물
6. 교통
슈톨베르크는 도로와 철도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자세한 교통 정보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6. 1. 도로
자동차 운전자는 북쪽의 하르츠 산맥과 남쪽의 키프호이저 언덕에서 마을로 접근할 수 있으며, 분데스아우토반 38호선(Bundesautobahn 38deu)의 베르가 분기점을 통해 진입할 수 있다.6. 2. 철도
2011년 12월까지 슈톨베르크는 베르가-켈브라-슈톨베르크 선을 통해 할레에서 카셀로 이어지는 간선 철도와 연결되어 베르가-켈브라역에서 환승할 수 있었다. 평일에는 역에서 버스 서비스가 운행되었고, 주말에는 부르겐란트반이 지역 철도 서비스를 담당했다. 또한 여름철에는 라이프치히와 마그데부르크에서 장거하우젠을 경유하여 슈톨베르크까지 직행하는 관광 열차가 운행되기도 했다. 이 열차는 주말 아침에 슈톨베르크 방향으로, 오후에 라이프치히와 마그데부르크 방향으로 각각 한 번씩 운행되었다. 그러나 작센안할트주 대중교통 회사(NASA)는 열차 이용률이 낮다는 이유로 2011년 12월에 슈톨베르크행 정기 열차 운행을 중단했다.[6]7. 인물
슈톨베르크는 오랜 역사 동안 슈톨베르크 백작 가문의 거주지였으며, 여러 중요한 인물들과 깊은 관련을 맺어왔다. 독일 농민 전쟁 시기에는 당시 통치자였던 슈톨베르크 백작 보토가 반란을 일으킨 농민들의 요구를 일시적으로 수용하기도 했으나, 농민들이 패배한 후에는 이를 철회하였다. 이 외에도 슈톨베르크 출신이거나 이곳과 관련된 다양한 역사적, 현대적 인물들이 있다.
7. 1. 역사적 인물
슈톨베르크 출신의 주요 역사적 인물은 다음과 같다.
- 토마스 뮌처 (Thomas Müntzer, 1489–1525): 슈톨베르크에서 태어난 혁명적인 신학자이자 독일 농민 전쟁 당시 농민 봉기를 이끈 지도자이다.[7] 그는 사회 개혁을 주장하며 민중의 편에 서서 활동했다.
- 게오르크 아에밀리우스 (Georg Aemilius, 1517–1569): 신학자이자 식물학자로 활동했다.
- 요한 고트프리트 슈나벨 (Johann Gottfried Schnabel, 필명: ''기산더''; 1692–1751/8): 독일 작가로 알려져 있다.
- 요한 아르놀트 차이트푸흐스 (Johann Arnold Zeitfuchs, 1671–1742): 연대기 작가, 신학자, 기독교 작가로 활동했다.
- 한스 폰 베르테른 (Hans von Werthern, 1443–1533): 기사이자 작센 공작의 비밀 고문이었으며, 아마트만 및 브뤼켄 남작령 소유주였다.
- 틸레만 플라트너 (Tilemann Plathner, 1490–1551): 슈톨베르크의 감독관이자 최초의 복음주의 목사였다.
- 슈톨베르크 백작 안나 (Anna II of Stolberg, 1504–1574): 퀘들린부르크 제국 수도원의 제28대 여수도원장을 지냈다.
- 슈톨베르크 백작부인 율리아나 (Juliana of Stolberg, 1506–1580): 오렌지공 빌헬름 1세의 어머니이다.
- 슈톨베르크 백작 헨리 (Henry of Stolberg, 1509–1572): 슈톨베르크와 베르니게로데를 통치했던 백작이다.
- 요한 슈나이데바인 (Johann Schneidewein, 1519–1568): 법률가로 활동했다.
- 파울루스 폰 슈톨츠만 (Paulus von Stolzmann, 1863–1930): 국가방위군 보병 대장이었다.
- 카를 아더홀트 (Karl Aderhold, 1884–1921): 독일 독립 사회민주당(USPD) 소속으로 국회의원을 지냈다.
- 구스타프 라이덴로트 (Gustav Leidenroth, 1885년 출생): 국가 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NSDAP) 소속으로 국회의원을 지냈다.
- 고트프리트 그루너 (Gottfried Gruner, 1923-2011): 조각가이다.
- 볼프강 크나페 (Wolfgang Knape, 1947년 출생): 작가이다.
- 옌스 레만 (Jens Lehmann, 1967년 출생): 사이클 선수이다.
- 마티아스 횐 (Matthias Höhn, 1975년 출생): 좌파당(Die Linke)의 주 대표이자 작센안할트 주 의회 의원이다.
- 다니엘 자이베르트 (Daniel Seibert, 1980년 출생): 용맹 십자 훈장을 수여받았다.
7. 2. 현대 인물
- 파울루스 폰 슈톨츠만(Paulus von Stolzmann, 1863–1930), 국방군 보병 대장
- 카를 아더홀트(Karl Aderhold, 1884–1921), 독일 독립 사회민주당의 국회의원
- 구스타프 라이덴로트(Gustav Leidenroth, 1885년 출생), 국가 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NSDAP) 국회의원
- 고트프리트 그루너(Gottfried Gruner, 1923-2011), 조각가
- 볼프강 크나페(Wolfgang Knape, 1947년 출생), 작가
- 옌스 레만(Jens Lehmann, 1967년 출생), 사이클 선수
- 마티아스 횐(Matthias Höhn, 1975년 출생), 좌파당 주 대표이자 작센안할트 주 의회 국회의원
- 다니엘 자이베르트(Daniel Seibert, 1980년 출생), 용맹 십자 훈장 수상자
참조
[1]
서적
Das Provinzial-Recht der Königlich Preußischen vormals Königl. Sächsischen Landestheile mit Ausschluß der Lausitz: nebst Beweisstellen, Gründen und Bemerkungen
Leopold Voß
1836
[2]
서적
Strukturprobleme evangelischer Kirchenverfassung: rechtsvergleichende Untersuchungen zum Verfassungsrecht der deutschen evangelischen Landeskirchen
Vandenhoeck und Ruprecht
1972
[3]
간행물
Aufhebung der Ordnung über die Zusammensetzung und Befugnisse des Evangelisch-Lutherischen Konsistoriums und Auflösung des Evangelisch-Lutherischen Konsistoriums Stolberg-Roßla
Amtsblatt der Föderation evangelischer Kirchen in Mitteldeutschland
2005-12-15
[4]
서적
Erschossen im Morgengrauen
Eigenverlag, Calw
2002
[5]
웹사이트
Gebietsänderungen vom 01. Januar bis 31. Dezember 2010
https://www.destatis[...]
[6]
웹사이트
Magdeburg – Loburg und Berga-Kelbra – Stolberg werden auf Bus umgestellt
http://www.nasa.de/i[...]
NASA GmbH
2011-09-19
[7]
백과사전
Münzer, Thoma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