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비아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비아인은 고대 스칸디나비아에 존재했던 부족으로, 오늘날 스웨덴의 기원이 된 집단이다. 이들의 이름은 고대 로마의 역사가 타키투스의 저서 '게르마니아'에 '수이오네스'라는 형태로 처음 등장하며, '자신의 부족 구성원'을 의미하는 인도유럽어 어근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스비아인은 동부 스베알란드를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했으며, 멜라렌 계곡 일대를 포함한 지역을 지배했다. 이들의 영토는 '스베알란드', '수이티오드', '스비아벨디' 등으로 불렸으며, 스웨덴 왕국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스비아인의 종교 중심지는 감라 웁살라였으며, 그들의 사회는 환대를 중시하고, 왕은 백성의 의지에 따라야 하는 특징을 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웨덴의 민족 - 사미인
사미인은 북유럽에 거주하는 원주민으로,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지니고 순록 방목 등의 전통적인 방식으로 생활해 왔으며, 차별과 동화 정책을 겪었으나 현재는 자치권 확보와 문화 보존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스웨덴의 민족 - 핀인
핀인은 핀란드에 주로 거주하며 우랄어족에 속하는 핀란드어를 사용하는 민족 집단으로, 중앙아시아에서 핀란드로 이주해 온 것으로 추정되며 농업, 어로, 수렵을 традиційно 생계 수단으로 삼았으나 산업화 이후 도시화되었다. - 북게르만족 - 덴마크인
덴마크인은 고대 게르만족에서 시작하여 바이킹 시대, 북해 제국, 칼마르 동맹, 덴마크-노르웨이 연합 등을 거쳐 형성된 민족으로, 덴마크어와 문화적 가치관을 공유하며 세계 각지에 디아스포라를 형성하고 EU 가입 및 이민 문제로 정체성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 북게르만족 - 루스인
루스인은 8세기부터 13세기까지 동유럽에서 활동한 다민족 집단으로, 스칸디나비아 출신 바이킹이 중심이 되어 키예프 루스를 건설하고 동슬라브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9세기 이후 슬라브화 과정을 거쳤다는 설이 유력하며, 이들의 기원과 역할은 현재까지 역사학계의 중요한 연구 주제이다. - 고대 게르만족 - 앵글로색슨족
앵글로색슨족은 5세기경 브리튼 섬에 정착한 게르만족 앵글족, 색슨족, 주트족으로 형성된 민족 집단으로, 고대 영어를 사용하며 여러 소왕국을 건설하고 웨섹스 왕국으로 통일되었으나, 노르만 정복 이후 지배가 종식되었지만 그들의 언어와 문화는 현대 영어와 영국 문화의 기반이 되었으며, "앵글로색슨" 용어는 영어권 국가들과 문화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하지만 역사적 정확성과 정치적 함의에 대한 논란이 있다. - 고대 게르만족 - 동고트족
동고트족은 3세기부터 로마 기록에 나타난 고트족의 한 분파로, 다뉴브 강 하류와 흑해 북부에서 거주하며 로마와 경쟁하고 용병을 제공하다가, 5세기 말 테오도리크 대왕의 지휘 아래 이탈리아에 동고트 왕국을 건설했으나 동로마 제국과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멸망했고, 그들의 고트어와 문화는 다른 유럽 민족에게 흡수되었다.
| 스비아인 | |
|---|---|
| 부족 정보 | |
![]() | |
| 민족명 | 스비아인 |
| 로마자 표기 | Seubia-in |
| 다른 이름 | 스비아르 스베온 수이오네스 |
| 언어 | 고대 노르드어 |
| 종교 | 노르드 이교 |
| 기원/발상 지역 | 스웨덴 지역 |
| 민족 계통 | 북게르만족, 노르드인 |
| 관련 민족 | 데인족 노르웨이인 |
2. 명칭
"스비아인"이라는 명칭은 스웨덴 왕국의 지배력이 커지면서 중세 시대에 예아타르를 포함하는 더 넓은 범위에 적용되었다. 이후에는 예아타르가 아닌 스베알란드의 원래 부족 영토에 거주하는 사람들만을 의미하게 되었다.
현대 북게르만어군에서 형용사 형태인 "svensk"와 복수형인 "svenskar"가 "svear"라는 이름을 대체했으며, 오늘날에는 스웨덴의 모든 시민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부족 스웨덴인("svear")과 현대 스웨덴인("svenskar") 사이의 구분은 20세기 초에 효력을 발휘한 것으로 보이는데, 당시 노르디스크 파밀리에보크는 "svenskar"가 스웨덴 국민의 이름으로 "svear"를 거의 대체했다고 언급했다.[13] 이러한 구분은 현대 노르웨이어, 덴마크어, 스웨덴어에서는 관례지만, 아이슬란드어와 페로어에서는 현대 스웨덴인을 지칭하는 단어로 "svíar"(아이슬란드어) 또는 "sviar"(페로어)와 "sænskir"(아이슬란드어) 또는 "svenskarar"(페로어)를 구분하지 않는다.[14]
2. 1. 어원
스웨덴 왕국의 지배력이 커지면서, 부족의 이름은 중세 시대에 예아타르를 포함하는 더 넓은 범위에 적용될 수 있었다. 이후에는 다시 예아타르가 아닌 스베알란드의 원래 부족 영토에 거주하는 사람들만을 의미하게 되었다.현대 북게르만어군에서 형용사 형태인 "svensk"와 복수형인 "svenskar"가 "svear"라는 이름을 대체했으며, 오늘날에는 스웨덴의 모든 시민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부족 스웨덴인("svear")과 현대 스웨덴인("svenskar") 사이의 구분은 20세기 초에 효력을 발휘한 것으로 보이는데, 당시 노르디스크 파밀리에보크는 "svenskar"가 스웨덴 국민의 이름으로 "svear"를 거의 대체했다고 언급했다.[13] 이러한 구분은 현대 노르웨이어, 덴마크어, 스웨덴어에서는 관례지만, 아이슬란드어와 페로어는 현대 스웨덴인을 지칭하는 단어로 "svíar"(아이슬란드어) 또는 "sviar"(페로어)와 "sænskir"(아이슬란드어) 또는 "svenskarar"(페로어)를 구분하지 않는다.[14]
로마 작가 타키투스의 ''게르마니아''에는 '''수이오네스(Suiones)'''라는 형태가 나타난다. 이와 매우 유사한 형태인 ''스웨온(Swēon)''은 고대 영어에서, 그리고 아담 폰 브레멘의 함부르크-브레멘 대주교에 관한 기록인 ''게스타 함마부르겐시스 에클레시에 폰티피쿰''에서 ''수오네스(Sueones)''로 지칭된 함부르크-브레멘 대주교들에 대한 기록에서 발견된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수이오네스(Suiones)''와 이 이름의 증명된 게르만어 형태가 원시 인도유럽어의 동일한 재귀 대명사 어근, 즉 라틴어의 ''suus''와 같은 ''*s(w)e''에서 파생되었다는 데 동의한다. 이 단어는 "자신의 (부족 구성원)"을 의미했을 것이다. 현대 스칸디나비아어에서는 동일한 어근이 ''svåger''(처남, 시동생)와 ''svägerska''(처제, 시누이)와 같은 단어에 나타난다. 동일한 어근과 원래의 의미는 게르만 부족 수에비의 민족 명칭에서 발견되며, 오늘날까지 ''슈바벤(Schwaben)'' (슈바비아)이라는 이름으로 보존되어 있다.[1][2][15][16] 음운론적 발전의 세부 사항은 제안에 따라 다양하다.
노렌(Noréen, 1920)은 ''수이오네스(Suiones)''가 원시 게르만어 *''Swihoniz''의 라틴어 표현으로, PIE 어근 *swih-|자신의mis에서 파생되었다고 제안했다. *''Swihoniz'' 형태는 울필라스의 고트어에서는 *''Swaíhans''가 되었고, 나중에는 요르다네스가 ''게티카''에서 스웨덴인의 이름으로 언급한 ''Suehans'' 형태가 되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원시 노르드어 형태는 *''Swehaniz''가 되었을 것이고, 이는 고대 노르드어의 음운 변화에 따라 고대 서부 노르드어의 ''Svíar''와 고대 동부 노르드어의 ''Swear''가 되었다. 그러나 현재 "자신의"에 대한 어근은 *swih-|mis가 아닌 ''*s(w)e''로 재구성되며, 이는 포코르니(Pokorny)의 1959년 ''인도게르만어 어원 사전''과 오스카 반들(Oskar Bandle)이 편집한 2002년 ''북게르만어: 북게르만어의 역사에 관한 국제 핸드북''에서 ''수이오네스(Suiones)''에 대해 확인된 어근이다. *''Swe''는 또한 V. 프리젠(V. Friesen, 1915)이 언급한 형태이며, 그는 Sviones 형태가 원래 "친족"을 의미하는 형용사, 원시 게르만어 *''Sweoniz''라고 본다. 그러면 고트어 형태는 *''Swians''가 되고, ''Suehans''의 H는 삽입음이 될 것이다. 원시 노르드어 형태 역시 *''Sweoniz''였을 것이며, 이는 역사적으로 증명된 형태를 낳았을 것이다.

이 이름은 복합어의 일부가 되었고, 고대 서부 노르드어에서는 ''Svíþjóð''("스베아족 사람들", 고대 동부 노르드어에서는 ''Sweþiuð'', 고대 영어에서는 ''Sweoðeod'')였다. 이 복합어는 룬석에서 위치격으로 ''i suiþiuþu'' (룬석 Sö Fv1948;289, 아스파 뢰트, 그리고 Sö 140, 쇠데르만란드), ''a suiþiuþu'' (룬석 DR 344, 시므리스, 스코네), ''o suoþiauþu'' (룬석 DR 216, 티르스테드, 롤란)로 나타난다. 13세기 덴마크 자료인 ''스크립토레스 레럼 다니카룸''에는 ''litlæ swethiuthæ''라는 장소가 언급되어 있는데, 이는 아마도 스톡홀름 동부의 살트셰른에 있는 섬 ''Sverige''(스웨덴)일 것이다.[17] 그러나 가장 초기의 사례는 요르다네스의 ''게티카''(6세기)에서 ''Suetidi''로 나타난다.
''Swethiuth''라는 이름과 그 다양한 형태는 스웨덴의 다양한 라틴어 이름, 즉 ''Suethia'', ''Suetia'', ''Suecia''와 그 나라의 현대 영어 이름의 기원이 되었다.
두 번째 복합어는 ''Svíariki'', 또는 고대 영어로 ''Sweorice''였으며, "수이오네스(Suiones)의 왕국"을 의미했다.
2. 2. 명칭의 변천
중세 시대에 예아타르를 포함하는 더 넓은 범위에 적용되었다가, 이후에는 예아타르가 아닌 스베알란드의 원래 부족 영토에 거주하는 사람들만을 의미하게 되었다.현대 북게르만어군에서 형용사 형태인 "svensk"와 복수형인 "svenskar"가 "svear"라는 이름을 대체했으며, 오늘날에는 스웨덴의 모든 시민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부족 스웨덴인("svear")과 현대 스웨덴인("svenskar") 사이의 구분은 20세기 초에 노르디스크 파밀리에보크에서 "svenskar"가 스웨덴 국민의 이름으로 "svear"를 거의 대체했다고 언급하면서 나타났다.[13] 현대 노르웨이어, 덴마크어, 스웨덴어에서는 이러한 구분이 관례지만, 아이슬란드어와 페로어는 현대 스웨덴인을 지칭하는 단어로 "svíar"(아이슬란드어) 또는 "sviar"(페로어)와 "sænskir"(아이슬란드어) 또는 "svenskarar"(페로어)를 구분하지 않는다.[14]
로마 작가 타키투스의 ''게르마니아''에는 '''수이오네스(Suiones)'''라는 형태가 나타난다. 이와 매우 유사한 형태인 ''스웨온(Swēon)''은 고대 영어에서, 그리고 아담 폰 브레멘의 함부르크-브레멘 대주교에 관한 기록인 ''게스타 함마부르겐시스 에클레시에 폰티피쿰''에서 ''수오네스(Sueones)''로 지칭된 함부르크-브레멘 대주교들에 대한 기록에서 발견된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수이오네스(Suiones)''와 이 이름의 증명된 게르만어 형태가 원시 인도유럽어의 동일한 재귀 대명사 어근, 즉 라틴어의 ''suus''와 같은 ''*s(w)e''에서 파생되었다는 데 동의한다. 이 단어는 "자신의 (부족 구성원)"을 의미했을 것이다. 현대 스칸디나비아어에서는 동일한 어근이 ''svåger''(처남, 시동생)와 ''svägerska''(처제, 시누이)와 같은 단어에 나타난다. 동일한 어근과 원래의 의미는 게르만 부족 수에비의 민족 명칭에서 발견되며, 오늘날까지 ''슈바벤(Schwaben)'' (슈바비아)이라는 이름으로 보존되어 있다.[1][2][15][16]
노렌(Noréen, 1920)은 ''수이오네스(Suiones)''가 원시 게르만어 *''Swihoniz''의 라틴어 표현으로, PIE 어근 italic=no|*swih-mis "자신의"에서 파생되었다고 제안했다. *''Swihoniz'' 형태는 울필라스의 고트어에서는 *''Swaíhans''가 되었고, 나중에는 요르다네스가 ''게티카''에서 스웨덴인의 이름으로 언급한 ''Suehans'' 형태가 되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원시 노르드어 형태는 *''Swehaniz''가 되었을 것이고, 이는 고대 노르드어의 음운 변화에 따라 고대 서부 노르드어의 ''Svíar''와 고대 동부 노르드어의 ''Swear''가 되었다. 그러나 현재 "자신의"에 대한 어근은 italic=no|*swihmis가 아닌 ''*s(w)e''로 재구성되며, 이는 포코르니(Pokorny)의 1959년 ''인도게르만어 어원 사전''과 오스카 반들(Oskar Bandle)이 편집한 2002년 ''북게르만어: 북게르만어의 역사에 관한 국제 핸드북''에서 ''수이오네스(Suiones)''에 대해 확인된 어근이다. *''Swe''는 또한 V. 프리젠(V. Friesen, 1915)이 언급한 형태이며, 그는 Sviones 형태가 원래 "친족"을 의미하는 형용사, 원시 게르만어 *''Sweoniz''라고 보았다. 그러면 고트어 형태는 *''Swians''가 되고, ''Suehans''의 H는 삽입음이 될 것이다. 원시 노르드어 형태 역시 *''Sweoniz''였을 것이며, 이는 역사적으로 증명된 형태를 낳았을 것이다.
이 이름은 복합어의 일부가 되었고, 고대 서부 노르드어에서는 ''Svíþjóð''("스베아족 사람들", 고대 동부 노르드어에서는 ''Sweþiuð'', 고대 영어에서는 ''Sweoðeod'')였다. 이 복합어는 룬석에서 위치격으로 ''i suiþiuþu'' (룬석 Sö Fv1948;289, 아스파 뢰트, 그리고 Sö 140, 쇠데르만란드), ''a suiþiuþu'' (룬석 DR 344, 시므리스, 스코네), ''o suoþiauþu'' (룬석 DR 216, 티르스테드, 롤란)로 나타난다. 13세기 덴마크 자료인 ''스크립토레스 레럼 다니카룸''에는 ''litlæ swethiuthæ''라는 장소가 언급되어 있는데, 이는 아마도 스톡홀름 동부의 살트셰른에 있는 섬 ''Sverige''(스웨덴)일 것이다.[17] 그러나 가장 초기의 사례는 요르다네스의 ''게티카''(6세기)에서 ''Suetidi''로 나타난다.
''Swethiuth''라는 이름과 그 다양한 형태는 스웨덴의 다양한 라틴어 이름, 즉 ''Suethia'', ''Suetia'', ''Suecia''와 그 나라의 현대 영어 이름의 기원이 되었다.
두 번째 복합어는 ''Svíariki'', 또는 고대 영어로 ''Sweorice''였으며, "수이오네스(Suiones)의 왕국"을 의미했다.
3. 역사
스비아인의 역사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북유럽 신화와 게르만 전설 외에는 이들을 묘사하는 자료가 거의 없고, 정보도 매우 부족하다.[18]
스비아인(수이오네스)을 언급하는 서기 1세기 자료는 두 가지가 있다. 대 플리니우스는 로마인들이 "킴브리 반도"(유틀란트)를 돌았으며, 그곳에 "코다니안 만"(카테가트)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 만에는 여러 개의 큰 섬이 있었고, 그중 가장 유명한 섬은 "스카티나비아"(스칸디나비아)였다. 그는 이 섬의 크기는 알 수 없지만, 그 일부에 "힐레비오눔 겐테"(주격 "힐레비오눔 겐스")라는 부족이 500개의 마을에 걸쳐 살고 있었으며, 그들은 자신들의 국가를 그들만의 세계로 여겼다고 말했다. 이는 "일라" '''S'''비오눔 겐테''의 오기 또는 오독일 가능성이 있으며, 로마인들에게 알려진 "수이오네스"라는 스칸디나비아의 대규모 부족이 있었기 때문에 일리가 있다.[18]
타키투스는 서기 98년 게르마니아 44, 45장에서 수이오네스는 강력한 부족이었으며 배는 양쪽에 용골을 가지고 있다고 썼다. 그는 또한 수이오네스가 부에 매우 감명을 받았으며, 왕의 권력은 절대적이었다고 언급했다. 또한 수이오네스는 일반적으로 무기를 휴대하지 않았으며, 무기는 노예가 지켰다.[19]
타키투스가 수이오네스를 언급한 이후, 6세기까지 이들에 대한 자료는 없다. 일부 역사가들은 스웨덴 민족이 타키투스의 수이오네스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주장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사가는 스비아인에 대한 지식의 주요 원천이며, 특히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사가(예: 헤임스크링글라)가 많은 기여를 했다. 그의 묘사는 때로는 이전 자료와 일치하고 때로는 모순되기도 한다.
3. 1. 초기 역사 (로마 시대)
타키투스의 ''게르마니아''에는 '''수이오네스(Suiones)'''라는 형태로 스비아인이 나타난다. 고대 영어와 아담 폰 브레멘의 ''게스타 함마부르겐시스 에클레시에 폰티피쿰''에서는 이와 매우 유사한 ''스웨온(Swēon)'' 또는 ''수오네스(Sueones)''로 불렸다.대부분의 학자들은 ''수이오네스(Suiones)''와 이 이름의 게르만어 형태가 원시 인도유럽어의 재귀 대명사 어근 ''*s(w)e''에서 파생되었다는 데 동의한다. 이 단어는 "자신의 (부족 구성원)"을 의미했을 것이며, 현대 스칸디나비아어에서는 ''svåger''(처남, 시동생)와 ''svägerska''(처제, 시누이)와 같은 단어에 나타난다. 동일한 어근은 게르만 부족 수에비의 민족 명칭(오늘날 슈바벤)에서 발견된다.[1][2][15][16]
대 플리니우스는 로마인들이 "킴브리 반도"(유틀란트)를 돌아 "코다니안 만"(카테가트)에 여러 개의 큰 섬이 있었고, 그중 가장 유명한 섬은 "스카티나비아"(스칸디나비아)였다고 기록했다. 그는 이 섬의 크기는 알 수 없지만, "힐레비오눔 겐테"라는 부족이 500개의 마을에 걸쳐 살고 있었으며, 자신들의 국가를 그들만의 세계로 여겼다고 했다. 이는 "일라" '''S'''비오눔 겐테''의 오기일 가능성이 있으며, "수이오네스"라는 스칸디나비아의 대규모 부족이 있었기 때문에 일리가 있다.[18]
타키투스는 서기 98년 ''게르마니아 44, 45장''에서 수이오네스는 강력한 부족(무기와 병사뿐만 아니라 강력한 함대)이었으며, 배는 양쪽에 용골을 가지고 있다고 썼다. 그는 또한 수이오네스가 부에 매우 감명을 받았으며, 왕의 권력은 절대적이었다고 언급했다. 또한 수이오네스는 일반적으로 무기를 휴대하지 않았으며, 무기는 노예가 지켰다.
타키투스가 수이오네스를 언급한 이후, 6세기까지 이들에 대한 자료는 침묵한다. 일부 역사가들은 연속적인 스웨덴 민족이 타키투스의 수이오네스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주장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19]

6세기 요르다네스는 스칸자에 살았던 '''수헤안족'''과 '''수에티디족'''이라는 두 부족을 언급했다. 수헤안족은 로마 시장에 검은 여우 가죽을 공급했고, 수에티디족은 ''Sweþiuð''의 라틴어 형태로 추정되며, 데인족과 함께 키가 가장 큰 사람들로 묘사된다.
3. 2. 벤델 시대와 바이킹 시대

6세기 또는 7세기의 시 위드시스는 부족과 씨족의 이름이 길게 나열된 목록에서 스비아인을 언급한다. 32행에서 옹겐데오가 언급되며, 그는 8~11세기 사이에 쓰여진 서사시 ''베오울프''에도 다시 등장한다. 이 시는 옹겐데오, 오테르, 오넬라, 에아드길스 등 스웨덴 왕들과 관련된 스웨덴-게이트 전쟁을 묘사하며, 이들은 ''스킬핑''이라 불리는 왕실 왕조에 속했다. 이 왕들은 북유럽 자료에도 비슷한 이름으로 등장하기 때문에 역사적인 인물일 수도 있다(스웨덴의 전설적인 왕 목록 참조). 서사시 마지막 부분에서 위글라프의 예언에 따르면 스웨덴과의 새로운 전쟁이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20][21]
더 신뢰할 수 있는 역사 자료가 나타날 때 게이트족은 스웨덴의 하위 집단이다.
9세기 알프레드 대왕이 오로시우스의 ''역사''를 번역한 것에 호갈란드의 오테르와 헤데비의 울프스탄의 항해 이야기가 부록으로 첨부되었는데, 여기서 ''스웨온''과 ''스웨오랜드''를 묘사했다. 오테르는 스웨오랜드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22]
:Ðonne is toēmnes ðǣm lande sūðeweardum, on ōðre healfe ðæs mōres, Swēoland, oð ðæt land norðeweard; and toēmnes ðǣm lande norðeweardum, Cwēna land.
:그러면 스웨덴은 남쪽 땅을 따라, 늪의 다른 쪽에 있으며, 북쪽 땅까지 이어진다. 그리고 (그 다음) 핀란드는 북쪽 땅을 따라 있다.
울프스탄은 스웨온족의 지배를 받는 블레킹, 메오레, 외울랜드, 고틀란드 등의 지역을 언급했다(번역).[23]
:그러면 부르군드족의 땅 다음, 우리 왼편에는 가장 오래된 시대부터 블레킹과 메오레, 외울랜드, 고틀란드라고 불리는 땅이 있었는데, 이 모든 영토는 스웨온족의 지배를 받았다. 그리고 베오노드랜드는 바이셀 입구까지 우리 오른쪽에 있었다.
베르티니아 연대기는 자칭 '''로스'''라고 불리는 노르드인 집단이 838년경 콘스탄티노폴리스를 방문했다고 전한다. 헝가리인의 공격에 취약해질 수 있는 대초원을 통해 귀국하는 것을 두려워한 로스는 독일을 거쳐 여행했다. 그들은 프랑크 왕국의 황제인 경건왕 루이에 의해 마인츠 근처에서 조사를 받았다. 그들은 황제에게 그들의 지도자가 ''chacanus'' (''카간''의 라틴어)로 알려져 있으며, 러시아 북부에 살고 있지만, 그들은 '''스비아인'''이라고 알렸다.
3. 3. 중세 시대
베르티니아 연대기는 자칭 '''로스'''라고 불리는 노르드인 집단이 838년경 콘스탄티노폴리스를 방문했다고 전한다. 헝가리인의 공격에 취약해질 수 있는 대초원을 통해 귀국하는 것을 두려워한 로스는 독일을 거쳐 여행했다. 그들은 프랑크 왕국의 황제인 경건왕 루이에 의해 마인츠 근처에서 조사를 받았다. 그들은 황제에게 그들의 지도자가 ''chacanus'' (''카간''의 라틴어)로 알려져 있으며, 러시아 북부에 살고 있지만, 그들은 '''스비아인'''이라고 알렸다.[1]11세기에 아담 폰 브레멘은 《함마부르크 교회 주교들의 행적》(Gesta Hammaburgensis ecclesiae pontificum)에서 '''스베아인'''(Sueones)은 많은 아내를 두고 범죄에 엄격했다고 기록한다. 환대는 중요한 덕목이었으며, 방랑자가 하룻밤 묵는 것을 거절하는 것은 수치스러운 일로 여겨졌다. 방문객은 심지어 주인의 친구들을 만나도록 안내받았다.[2]
그들의 왕가는 오래된 왕조(문쇠 왕조) 출신이지만, 왕들은 백성의 의지에 따라야 했다. 백성이 결정한 것은 왕의 의지보다 더 중요했지만, 왕의 의견이 가장 합리적인 것으로 보일 경우에는 예외였고, 그러면 보통 그들은 왕의 말을 따랐다. 평화 시에는 왕과 동등하다고 느꼈지만, 전쟁 중에는 그를 맹목적으로 따르거나 그들 중 가장 유능하다고 여겨지는 자를 따랐다. 전쟁의 운이 그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하면 그들은 많은 신들(에시르 신) 중 한 명에게 기도했고, 승리하면 그에게 감사했다.[3]
4. 지리적 분포
스비아인의 주요 거주지는 동부 스베알란드였다. 그들의 영토는 매우 초기에 멜라렌 계곡의 베스트만란드, 쇠데르만란드, 네르케 지역을 포함했는데, 이 지역은 수많은 섬이 있는 만을 구성했고, 여전히 스칸디나비아에서 가장 비옥하고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 중 하나이다.
스비아인의 영토는 "스웨덴인의 땅"을 의미하는 ''스베알란드(Svealand)'' (「오테르의 항해」 ''in'' ''이교도에 반하는 일곱 권의 역사'': ''Swéoland''), "스웨덴인"을 의미하는 ''수이티오드(Suithiod)'' (''베오울프'': ''Sweoðeod'' [따라서 스웨덴]), "스웨덴 왕국"을 의미하는 ''스비아벨디''(Svíaveldi) 또는 ''스베아리케''(Svearike) (베오울프: ''Swéorice'')라고 불렸다. 13세기에 완료된 예아타르와의 고틀란드의 정치적 통합은 일부 현대 역사가들에 의해 스웨덴 왕국의 탄생으로 여겨진다. 비록 스웨덴 왕국은 그들을 따라 명명되었고, 스웨덴어로 ''스베리에''(Sverige)이며, 이는 ''Svea rike'' 즉, 수이오네스(Suiones)의 왕국에서 유래되었다.
에시르 숭배 중심지인 감라 웁살라는 스웨덴인의 종교 중심지였으며, 스웨덴 왕이 제물(블로트(blót)s)을 바치는 동안 사제 역할을 했다.[1] 웁살라는 또한 13세기까지 스웨덴 왕과 그의 궁정을 지원했던 왕실 영지 네트워크인 웁살라 외드의 중심지였다.[1]
일부에서는 수이오네스의 원래 영역이 정말로 웁살라, 즉 우플란드의 중심부에 있었는지, 아니면 오래된 노르웨이의 여러 지역이 집합적으로 ''노르트만니''(Nortmanni)라고 불렸던 것과 마찬가지로, 이 용어가 스베알란드 내의 '''모든''' 부족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는지에 대해 논쟁한다.[1]
5. 사회와 문화
11세기 아담 폰 브레멘은 《함마부르크 교회 주교들의 행적》(Gesta Hammaburgensis ecclesiae pontificum)에서 '''스베아인'''(Sueones)은 많은 아내를 두고 범죄에 엄격했다고 기록한다. 환대는 중요한 덕목이었으며, 방랑자가 하룻밤 묵는 것을 거절하는 것은 수치스러운 일로 여겨졌다. 방문객은 심지어 주인의 친구들을 만나도록 안내받았다.[1]
스비아인의 왕가는 오래된 왕조(문쇠 왕조) 출신이지만, 왕들은 백성의 의지에 따라야 했다. 백성이 결정한 것은 왕의 의지보다 더 중요했지만, 왕의 의견이 가장 합리적인 것으로 보일 경우에는 예외였고, 그러면 보통 그들은 왕의 말을 따랐다. 평화 시에는 왕과 동등하다고 느꼈지만, 전쟁 중에는 그를 맹목적으로 따르거나 그들 중 가장 유능하다고 여겨지는 자를 따랐다. 전쟁의 운이 그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하면 그들은 많은 신들(에시르 신) 중 한 명에게 기도했고, 승리하면 그에게 감사했다.[1]
6. 스웨덴 왕국과의 관계
사가는 스비아인에 대한 지식의 주요 원천이며, 특히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사가(예: 헤임스크링글라 참조)가 가장 많은 기여를 한 것으로 보인다. 그의 묘사는 때로는 이전 자료와 일치하고 때로는 모순되기도 한다.[1]
스웨덴 왕국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스웨덴의 역사 (800–1521) 문서를 참조.
참조
[1]
웹사이트
Pokorny. Indogermanisches Etymologisches Woerterbuch. 1959
http://www.ieed.nl/c[...]
2011-06-13
[2]
서적
The Nordic languages: an international handbook of the history of the North Germanic languages
2002
[3]
웹사이트
The Vikings at home
https://www.historye[...]
2020-03-28
[4]
웹사이트
Kievan Rus
https://www.worldhis[...]
2021-04-23
[5]
웹사이트
'The Vikings (780–1100) |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https://web.archive.[...]
[6]
웹사이트
Swedish Vikings and the Eastern World
https://www.timetrav[...]
2020-03-28
[7]
서적
The Oxford guide to the Uralic languages
Oxford University Press
2022
[8]
서적
The Varangians of Byzantiu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8
[9]
Webarchive
"Who were the Viking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8
[10]
웹사이트
Russ, adj. and n.
www.oed.com/view/Ent[...]
2018-06
[11]
문서
Jansson 1980:22
[12]
문서
Pritsak 1981:386
[13]
웹사이트
1129–1130 (Nordisk familjebok / Uggleupplagan. 27. Stockholm-Nynäs järnväg – Syrsor)
https://runeberg.org[...]
1918-07-06
[14]
웹사이트
fmn.fo
http://www.fmn.fo/li[...]
[15]
문서
Nordens äldsta folk- och ortnamn
[16]
웹사이트
915 (Svensk etymologisk ordbok)
https://runeberg.org[...]
1922-07-06
[17]
서적
Sveriges öar
Carlssons bokförlag
[18]
서적
Encyclopedia of European Peoples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06-01-01
[19]
문서
Sveriges historia – Medeltiden
[20]
문서
Lines 3000–3008
[21]
문서
Gummere's translation
[22]
웹사이트
Ohthere's First Voyage (paragraph 5)
http://web.uvic.ca/h[...]
[23]
서적
The Discovery of Muscovy
https://www.gutenber[...]
2003-05-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