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룬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룬석은 스칸디나비아에서 발견되는 룬 문자가 새겨진 돌로, 주로 10~11세기에 스웨덴에서 제작되었다. 룬석은 4~5세기 노르웨이와 스웨덴에서 시작되어 무덤 옆에 세워졌으며, 고인의 명예를 기리거나, 바이킹의 해외 원정, 무역, 약탈 등을 기록하는 데 사용되었다. 룬석은 기독교의 전파, 라틴 문자의 보급 등으로 12세기 이후 쇠퇴했으며, 룬석의 내용과 특징, 제작 방식, 보존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룬 문자 - 소 푸타르크
    소 푸타르크는 9세기부터 스칸디나비아에서 사용된 룬 문자로, 고대 푸타르크에서 발전하여 16개의 문자로 구성되었으며, 음운 변화를 반영하여 룬 수가 줄고 다양한 변형이 존재하며, 후대 룬 문자 체계의 기반이 되었다.
  • 룬 문자 - 고대 영어
    고대 영어는 5세기 앵글로색슨족의 브리튼 섬 정착 이후 11세기 노르만 정복까지 사용된 서게르만어로, 북해 게르만어 방언에서 발전하여 현대 영어의 기반을 이루었으며, 켈트어, 라틴어, 고대 노르드어의 영향을 받아 《베오울프》, 《앵글로색슨 연대기》 등의 주요 문헌을 남겼다.
  • 스웨덴의 중세사 - 노르드인
    노르드인은 8세기에서 11세기 스칸디나비아반도를 중심으로 활동한 북게르만족으로, 뛰어난 항해술과 전투 능력으로 유럽 전역을 탐험, 교역, 정착하며 바이킹으로도 알려졌고, 데인인, 스비아인, 노르웨이인 등 다양한 부족으로 구성되어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의 형성에 기여했으며, 독일인, 게일인, 앵글로색슨인 등에게 각기 다른 이름으로 불렸다.
  • 스웨덴의 중세사 - 스웨덴의 핀란드 지배
    스웨덴의 핀란드 지배는 1150년경 북방 십자군으로 시작되어 서구 문화권에 편입되었고, 스웨덴 제국의 동부 국경 역할을 했으며, 1809년 핀란드가 러시아에 병합되기 전까지 스웨덴 왕 선거에 대표를 보내고 자치권을 획득하기도 했다.
  • 유럽의 유적 - 테오도시우스 성벽
    테오도시우스 성벽은 동로마 제국 시대 콘스탄티노폴리스를 방어하기 위해 건설된 이중 성벽으로, 해자, 내외벽, 망루를 갖춘 3중 구조로 육상 6km 구간을 보호했으며, 지진과 홍수 피해를 수리하며 유지되었다.
  • 유럽의 유적 - 아르마지
    아르마지는 고대 이베리아 왕국의 주요 도시이자 종교 중심지로, 요새화된 도시로 건설되어 로마 제국과의 관계 속에서 번성하며 고대 조지아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했으나, 수도 이전과 아랍의 침략으로 쇠퇴한 후 성녀 니노 수도원이 세워졌고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보호받는 고고학 유적지이다.
룬석
개요
칼레뷔 룬돌 사진
칼레뷔 룬돌
종류룬돌
위치스웨덴 외스테르예틀란드 주 칼레뷔
비문
내용'구니, 훌름게르의 아들, 세멘이 이 돌을 세웠다. 하콘 백작에게 충실했던 용감한 전사 잉게가 그를 위해 룬을 새겼다.'
고대 노르드어'Kuni satti stain þenna at Holmgæir faður sinn, sun Semæins. Ingi risti runar þessar at Inga, dreng harða goðan, er var tryggr Hakoni jarli.'
해석'Gunnar raised this stone in memory of Holmgeirr, his father, son of Sémienn. Ingi carved these runes in memory of Ingi, a very good valiant warrior, who was loyal to Jarl Hákon.'
특징
재료화강암
높이1.95 m
발견 시기1987년
추가 정보
기타룬돌은 하콘 시구르드손 시대의 전사 잉게를 기리기 위해 세워짐
외스테르예틀란드 룬 문자 목록에 Ög 8로 등록됨

2. 역사

룬 문자가 새겨진 돌을 세우는 전통은 4~5세기 노르웨이스웨덴에서 처음 나타났으며, 초기 룬 비석은 보통 무덤 옆에 세워졌다.[3][9] 8~9세기에는 덴마크에서 룬 비석 건립이 활발해졌으며, 민족 이동 시대의 룬 비석은 스칸디나비아 전역에 약 50개가 존재한다.[8] 대부분의 룬 비석은 950~1100년경에 세워졌으며, 스웨덴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고 덴마크노르웨이에서도 일부 발견된다.[3]

이러한 전통은 ''잉글링가 사가''와 ''하바말''에도 언급되어 있다. 960년대 덴마크의 하랄 1세 블루투스 왕은 세례를 받고 새로운 질서와 시대의 도래를 기념하기 위해 룬 비석을 세우도록 명령했다.[6] 비문에는 "하랄 왕은 아버지 고름과 어머니 튀르베를 기리기 위해 이 기념비를 만들도록 명령했다.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모두 정복하고

스놀레브 비문 (Snoldelev stone), 덴마크에서 가장 오래된 룬 문자 비문 중 하나


이 룬 비석은 세 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두 면은 그림으로 장식되어 있다. 한 면에는 룬 문자 동물의 원형이 되는 동물이, 다른 면에는 덴마크에서 가장 오래된 예수의 묘사가 있다. 이 비석 건립 직후, 스칸디나비아의 룬 문자 전통에 변화가 생겼다. 수많은 족장들과 노르드 씨족들이 하랄 왕을 모방하려 했고, 덴마크에서 시작된 룬 비석 유행은 스웨덴 북부로 퍼져 나갔다.

룬 문자는 게르만어파에서 널리 사용되었지만, 특히 바이킹 시대 스칸디나비아 사람들이 자주 사용했다. 고대 노르드어 비문은 북독일 헤데비, 러시아, 그린란드, 스코틀랜드, 맨 섬, 잉글랜드, 아일랜드노르드인의 이주 경로를 따라 발견되어, 룬 문자 조각 관습이 함께 퍼져나갔음을 알 수 있다. 이스탄불아야 소피아에서도 룬 문자 조각이 발견될 정도로 바이킹 문화는 지중해 동남부까지 영향을 미쳤다.[74] 덴마크에서 가장 유명한 룬 비석은 하랄 1세가 부모를 위해 만든 옐링의 비석이다.[75][76]

당시 헤데비는 독일 영토가 아니었으며, 헤데비 근교에서 발견된 황금 뿔에는 원시 노르드어가 초기 룬 문자인 고대 푸사르크(en)로 새겨져 있다.

고대 노르드어를 사용하는 민족은 기독교로 개종하기 훨씬 전부터 다른 게르만인처럼 고유한 문자를 가지고 있었는데, 그것이 바로 룬 문자이다. 룬 문자는 바이킹 시대가 끝날 때까지 수백 년 동안 사용되었다. 현재 발견된 가장 오래된 룬 문자 명문은 2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 문자는 아이슬란드어 표기에 사용되는 Þ(Thotn)처럼 게르만어파 언어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바이킹 시대의 수백 개 룬 비석에는 기독교 관련 내용이 새겨져 있다.

현대에도 소수의 사람들이 룬 문자 조각을 예술로 삼고 있다.

2. 1. 기원과 발전

룬 문자는 게르만어권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특히 바이킹 시대 스칸디나비아 사람들이 애용했다. 룬 문자를 새긴 돌을 세우는 전통은 4~5세기 노르웨이스웨덴에서 시작되었으며, 초기 룬 비석은 주로 무덤 옆에 세워졌다.[3][9] 이 비석들의 정확한 기능은 명확하지 않지만, 기념비적인 성격을 띠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

8~9세기에는 덴마크에서 룬 비석 건립이 활발해졌으며, 민족 이동 시대의 룬 비석은 스칸디나비아 전역에 약 50개가 존재한다.[8] 대부분의 룬 비석은 950~1100년경에 세워졌으며, 스웨덴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고 덴마크노르웨이에서도 일부 발견된다.[3]

룬 비석 건립 전통은 13세기 헤임스크링글라와 바이킹 시대의 하바말에도 언급될 정도로 오래되었다. 룬 비석의 확산에는 960년대 덴마크의 하랄 1세 블루투스 왕이 기독교로 개종하고 새로운 룬 비석을 세운 사건이 큰 영향을 미쳤다.[6] 하랄 왕은 이 비석을 통해 자신의 부모를 기리고, 덴마크와 노르웨이 정복, 그리고 덴마크인의 기독교 개종을 기념했다.[6][7]

이후 룬 비석 건립은 스칸디나비아 전역으로 퍼져나갔으며, 특히 스웨덴의 웁랜드와 쇠데르만란드 지역에서는 12세기까지 유행이 지속되었다.[6] 룬 비석은 스톡홀름 근교가 마지막 이교의 거점 중 하나였기 때문에, 이 지역에서 특히 기독교 관련 내용이 많이 발견된다.

스칸디나비아에서 발견된 약 6천 개의 룬 비석 중 3천 개는 스웨덴에서 발견되었으며, 10세기와 11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룬 비석의 약 10%는 해외에서 사망한 인물을 기리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비잔티움을 방문한 스칸디나비아 주민 루스족에 대한 기록 등 귀중한 정보를 담고 있기도 하다.[72]

룬 비석에 새겨진 내용은 역사적 사실을 직접적으로 증명하지는 않지만, 언어와 시의 발달, 혈족 관계, 지명, 북유럽 신화, 기독교 전파 등 당시 사회상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73] 룬 비석은 스칸디나비아 역사학자들에게 고대 사회를 연구하는 주요 정보원이지만, 개별 비석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정보는 제한적이다. 비석 건립 경향과 이유는 지역마다 차이를 보인다.

웁살라 룬 문자 비문 U613


고틀란드 섬 아드레에서 가장 큰 그림 비석, 서기 750년대


룬 문자는 고대 노르드어를 기록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헤데비, 러시아, 그린란드, 스코틀랜드, 맨 섬, 잉글랜드, 아일랜드노르드인의 이주 경로를 따라 널리 퍼져나갔다.[74] 이스탄불아야 소피아에서도 룬 문자 조각이 발견될 정도로 바이킹 문화는 지중해 동남부까지 영향을 미쳤다.[74]

덴마크에서 가장 유명한 룬 비석은 하랄 1세가 부모를 기리기 위해 만든 옐링의 비석이다.[75][76]

현대에도 룬 비석 제작 기술을 연마하는 사람들이 소수 존재한다.

2. 2. 덴마크의 영향

960년대 덴마크의 하랄 1세 블루투스 왕은 기독교로 개종하고 새로운 질서와 새로운 시대의 도래를 기념하기 위해 룬 비석을 세우도록 명령했다.[6] 이 룬 비석에는 "하랄 왕은 아버지 고름(Gormr)과 어머니 튀르베(Þyrvé)를 기리기 위해 이 기념비를 만들도록 명령했다.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모두 정복하고

이 룬 비석은 세 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 두 면은 그림으로 장식되어 있다. 한 면에는 룬 문자 동물의 원형이 되는 동물이 새겨져 있고, 다른 면에는 덴마크에서 가장 오래된 예수의 묘사가 있다. 이 돌이 만들어진 직후, 스칸디나비아의 룬 문자 전통에 변화가 생겼다. 수많은 족장들과 강력한 노르드 씨족들이 의식적으로 하랄 왕을 모방하려 했고, 덴마크에서 룬 비석 유행이 스웨덴 북부로 퍼져 나갔다.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한 세대 후에 유행이 사라졌지만, 웁랜드와 쇠데르만란드의 스웨덴 중부 지역에서는 12세기까지 이 유행이 지속되었다.[6]

2. 3. 쇠퇴

주어진 소스는 룬석의 건립 주체에 대한 내용이며, '쇠퇴' 섹션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쇠퇴' 섹션에 맞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3. 분포

룬 비석은 스칸디나비아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 않다. 덴마크에는 250개, 노르웨이에는 50개의 룬 비석이 있지만, 아이슬란드에는 없다.[8] 스웨덴에는 정의에 따라 1,700개[8]에서 2,500개[9][6]의 룬 비석이 있다. 스웨덴의 웁살라 지역은 1,196개의 비문이 새겨진 돌이 있어 가장 밀도가 높으며, 쇠데르만란드가 391개로 그 뒤를 잇는다.[6]

스웨덴의 룬석 분포 (단위: 100km2당 룬석 수)

  • 10개 초과
  • 5–9개
  • 1–4개
  • 1개 미만
  • 룬석 없음


스칸디나비아 외 지역에서는 맨 섬에서 9세기부터 11세기 초에 걸쳐 30개의 룬 비석이 발견되어 주목할 만하다.[10] 흩어져 있는 룬 비석은 잉글랜드,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페로 제도에서도 발견되었다.[9] 베레잔 룬석을 제외하면 키예프 루스를 포함한 동유럽에는 룬 비석이 없는데, 이는 아마도 사용할 수 있는 돌이 부족했고, 현지인들이 외국인들의 돌을 존중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11]

룬 비석은 의회 장소, 도로, 다리 건설 현장, 여울과 같은 풍경의 특정 장소에 놓였다. 중세 교회에는 건설 자재로 삽입된 룬 비석이 종종 있는데, 이것이 원래 교회의 일부였는지 아니면 다른 곳에서 옮겨온 것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스카니아 남부에서는 룬 비석이 또한 그 토지에 교회를 지었던 대규모 영지와 연관될 수 있다. 멜라렌 계곡에서는 룬 비석이 안뜰, 묘지, 인접 영지와의 경계와 같이 영지의 필수적인 부분을 표시하도록 배치된 것으로 보인다. 룬 비석은 일반적으로 단일 기념물로 나타나며, 쌍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다. 훈네스타드 기념비와 같은 경우, 룬 비석은 다른 세워진 돌들과 함께 더 큰 기념물의 일부를 이룬다.[3]

학자들은 모든 룬 비석의 95%가 발견된 장소를 알고 있지만, 원래 위치에서 발견된 것은 약 40%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교회, 도로, 다리, 무덤, 농장, 수로에서 발견되었다.[12] 반면, 학자들은 돌이 원래 장소에서 멀리 옮겨지지 않았다는 데 동의한다.[13]

4. 내용과 특징



룬 문자가 새겨진 돌을 세우는 전통은 4세기와 5세기에 노르웨이스웨덴에서 처음 나타났으며, 초기 룬 비석은 보통 무덤 옆에 세워졌다.[3][9] 가장 초기의 덴마크 룬 비석은 8세기와 9세기에 나타났으며, 스칸디나비아에는 약 50개의 민족 이동 시대 룬 비석이 있다.[8] 대부분의 룬 비석은 950~1100년경 CE에 세워졌으며, 주로 스웨덴에서, 그리고 덜하지만 덴마크노르웨이에서도 세워졌다.[3]

이 전통은 ''잉글링가 사가''와 ''하바말''에 언급되어 있다.

960년대 덴마크에서 하랄 1세 블루투스 왕은 세례를 받고 새로운 질서와 시대의 도래를 기념하기 위해 룬 비석을 세우도록 명령했다.[6] 룬 비석은 세 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 두 면은 그림으로 장식되어 있다. 한 면에는 룬 문자 동물의 원형이 되는 동물이 새겨져 있고, 다른 면에는 덴마크에서 가장 오래된 예수의 묘사가 있다. 이 돌이 만들어진 직후, 스칸디나비아의 룬 문자 전통에 변화가 생겼다. 수많은 족장들과 강력한 노르드 씨족들이 의식적으로 하랄 왕을 모방하려 했고, 덴마크에서 룬 비석 유행이 스웨덴 북부로 퍼져 나갔다.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한 세대 후에 유행이 사라졌지만, 웁랜드와 쇠데르만란드의 스웨덴 중부 지역에서는 12세기까지 이 유행이 지속되었다.[6]

룬 비석은 일반적으로 원래 형태[49]와 원래 위치에 남아있기 때문에[50] 역사적 자료로서 중요하다.[49] 비문은 사건과 식별 가능한 인물에 대한 확실한 역사적 증거를 거의 제공하지 않지만, 언어와 시의 발전, 친족 관계, 이름 짓는 습관, 정착, 북유럽 신화의 묘사, 지명 및 통신, 바이킹 및 무역 원정, 그리고 기독교의 확산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51]

룬 비석을 세우는 관습은 로마 이전 철기 시대부터 로마 철기 시대에 걸쳐 만들어진 고인의 업적을 기리는 비석 멘히르를 세우는 관습에서 발전한 것으로 여겨진다.

thumb에 있는 현대 룬 비석]]

4. 1. 기념

룬 비석의 가장 흔한 목적은 죽은 사람을 기념하는 것이다. 비문에는 죽은 사람의 이름, 가족 관계, 사회적 지위, 업적, 사망 장소 등이 기록된다. 가족 구성원을 기리는 내용 외에도, 해외 원정에서 사망한 사람들을 추모하는 내용도 상당수 발견된다.[21]

비문에 새겨진 내용은 사건이나 개인을 특정하는 역사적 증거는 아니지만, 말과 시의 발달, 혈족 관계, 이름 짓는 습관, 이주, 북유럽 신화에 대한 묘사, 지명, 정보 전달, 바이킹과 교역 원정, 그리고 기독교 전파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73]

몇 가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U 344: "보레스타(Borresta)의 울브(Ulf)는 잉글랜드에서 세 번 세금을 받았다. 처음은 스카굴 토스테(Skagul Toste)가 지불했고, 두 번째는 토르켈 데 톨(Thorkell the Tall)이 지불했고, 마지막은 크누트가 지불했다."[30][32]
  • Sö 179: "토라는 이 돌을 그녀의 아들 해럴드와 그와 함께 싸운 잉바르(잉바르 원정(Ingvar))의 동료들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다. 그들은 병사로서 돈을 구하려 여행을 떠났고 동부에서 독수리의 먹이가 되었다. 그들은 아랍족의 땅에서 죽었다."[23][28]
  • U 73: "이 명예의 표식은 잉가의 아들을 기리는 것이다. 그녀는 그의 뒤를 이었고, 형제들은 그녀의 뒤를 이었다. 그들은 그리스에서 죽었다."[23]
  • U 209: "그는 러시아 상업지의 동부에서 번 돈으로 이 땅을 샀다."[23]


동부 스웨덴의 웁살라 지방은 룬 비석이 가장 많은 지역으로, 약 3천 개가 있다. 이들 대부분은 십자가가 새겨져 있거나 신, 그리스도, 백의에 대한 언급이 있어 기독교와 관련이 있다. 웁살라 룬 문자 비문 U613이 그 좋은 예이다. 오늘날의 스톡홀름 근교가 마지막 이교도 거점 중 하나였기 때문에 이 지역에서 기독교 룬 비석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6]

4. 2. 자랑

룬 비석은 자신의 업적을 과시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비문에는 용맹함, 지혜, 재산, 권력, 기독교 신앙 등을 자랑하는 내용이 새겨졌다. 고대 스칸디나비아 사회에서는 자신의 업적을 서정시 사가 형태로 자랑하는 것이 명예로운 일로 여겨졌는데, 당시의 룬 비석에서 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몇 가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U 1011: "비그문드는 이 비석에 자신의 기록을 새겼다. 가장 현명한 남자였다는 것을. 신은 선장이었던 그의 영혼을 구원할 것이다. 비그문드와 오프리드는 살아있는 동안 이 기억을 기록한다."[1]
  • 프뢰쇠 룬석: "외스트만 구드파스트의 아들은 다리를 만들었고, 예므틀란드에서 기독교도가 되었다."[2]
  • Dr 212: "에스킬 스쿨카손은 이 돌을 자신을 위해 만들었다. 에스킬이 무엇을 만들었는지 영원히 전할 것이다."[3]
  • U 164: "야를라반키는 이 돌에 자신의 생애를 새긴다. 그리고 이 길을 자신의 영혼을 위해 만든다. 그리고 그는 테뷔 전역을 차지했다. 신은 그의 영혼을 구원할 것이다."[4]


특히, 스웨덴의 U 164은 자신의 영토 확장과 기독교 신앙을 과시하는 대표적인 예이다.

4. 3. 종교

룬 비석에는 기독교 관련 내용이 많이 나타난다. 십자가 문양, 기도문, 성경 구절 등이 새겨져 있으며, 이는 스칸디나비아 지역의 기독교화 과정을 보여준다. 특히, 웁살라 지역의 룬 비석 중 약 70%가 기독교 관련 내용을 담고 있는데[6], 이는 이 지역이 노르드 전통 신앙과 기독교 간의 갈등 중심지였음을 시사한다.[15]



웁살라에 기독교 룬석이 많이 세워진 이유에 대해 학자들은 이 지역이 노르드 이교와 새로 기독교화된 스웨덴 국왕 사이의 갈등의 중심지였기 때문이라고 추정한다. 족장들이 룬석에 기독교 십자가와 기도를 새겨 넣어 국왕에 대한 충성을 보여주고 세상과 신에게 기독교 신앙을 과시하려 했을 가능성이 있다.[15]

룬 비석은 기독교 개종 이전의 노르드 신화에 대한 정보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토르의 낚시 원정[57], 오딘펜리르의 전투[59], 시구르드의 용 퇴치[53] 등 신화 속 장면들이 룬 비석에 묘사되어 있다.

오딘이 레드베리 돌에 있는 스웨덴 펜리르에게 공격받고 있다.


알투나 룬석은 토르가 미드가르드 뱀을 잡으려고 시도한 토르의 낚시 원정을 보여준다.[57] 레드베리 돌에는 라그나로크오딘을 공격하고 있는 펜리르로 추정되는 짐승에게 오딘이 공격받고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59]

기독교 용어는 이전 이교도 용어에 겹쳐졌고, 따라서 ''낙원''은 ''발할라''를 대체했고, 토르에 대한 기원과 마법의 주문은 성 미카엘, 그리스도, 하나님, 그리고 하나님의 어머니로 대체되었다.[39]

4. 4. 국제 관계 (바이킹의 활동)

룬 비석에는 바이킹의 해외 원정, 무역, 약탈 등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다.

  • 잉글랜드: 잉글랜드 룬 비석은 잉글랜드와의 교류, 전쟁, 데인 겔드(바이킹에게 지불한 공물)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U 344 룬 비석에는 "울프는 잉글랜드에서 세 번 세금을 받았다. 처음은 토스테가 지불했고, 두 번째는 토르켈이 지불했고, 마지막은 크누드가 지불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30][32]
  • 비잔티움 제국: 바랑인 룬 비석은 비잔티움 제국과의 관계, 특히 바랑인 친위대 복무에 대한 기록을 담고 있다. 예를 들어 U 209 룬 비석에는 "그는 루스 상업지의 동부에서 돈을 번 돈으로, 이 토지를 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23]
  • 동유럽: 잉바르 룬 비석 등은 동유럽 지역으로의 원정과 그 비극적인 결과를 보여준다. So179 룬 비석에는 "토라는 이 돌을 그녀의 아들 해럴드와 그와 함께 싸운 잉바르(Ingvar)의 동료들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다. 그들은 병사로서 돈을 구하려 여행을 떠났고 동부에서 독수리의 먹이가 되었다. 그들은 아랍족의 땅에서 죽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23]


바이킹의 활발한 해외 활동은 다른 문화권과의 교류를 촉진하기도 했지만, 침략과 약탈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는 제국주의적 행태로 비판받을 수 있다.

5. 제작

룬 비석은 화강암, 편마암 등 단단한 돌을 사용하여 만들어졌다. 돌에 새겨진 룬 문자는 붉은색, 검은색, 흰색 등의 안료로 채색되었는데, 고고학적 분석에 따르면 붉은색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이는 붉은색이 시각적으로 잘 보이기 때문이다.[63] 팔루 레드와 같이 붉은색 페인트를 사용한 흔적도 발견되었다.[63]

새로 발견된 룬 비석은 침식이 심해 색이 없어진 경우가 많지만, 최근 관리자들이 룬 문자를 읽기 쉽도록 다시 채색하기도 한다. 룬 문자가 새겨진 배경에는 글자가 돋보이도록 검은색, 흰색, 갈색 등의 색을 칠하기도 했다.

룬 비석의 디자인은 다양하며, 서펜트(심볼로서의 뱀)를 본뜬 룬 문자나, 고틀란드섬에서 발견되는 그림 비석처럼 그림적인 모양이 새겨진 것도 있다. 룬 비석에는 뱀, 용, 동물 문양 등이 자주 사용되었다.[3]

6. 보존

룬석은 풍화, 이끼, 조류, 오염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손상될 위험에 처해 있다. 특히 스웨덴에서는 이끼가 1년에 2mm 정도 자라는데, 조건에 따라서는 더 빨리 자랄 수 있다. 길가에 놓인 룬석은 먼지로 인해 이끼 성장이 가속화되기도 한다. 이끼의 작은 뿌리는 돌에 구멍을 내고 조각을 떨어뜨려 룬석을 손상시킨다. 조류와 선류 또한 룬석을 부식시키는 원인이다.[70] 룬석에 생긴 틈으로 물이 들어가 얼거나 흙, 유기물과 섞이면 돌 표면이 떨어져 나갈 수도 있다.[70]

이러한 손상을 늦추기 위해 여러 보존 방법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젖은 점토를 룬석 표면에 바르면 몇 주 뒤 이끼가 질식해 죽는다.[70]

7. 한국과의 비교 연구 가능성

룬 비석과 한국의 비석 문화는 제작 목적, 내용, 형태 등에서 비교 연구될 수 있다. 룬 비석에는 고인의 명예를 칭송하거나, 해외에서 죽은 인물을 알리거나, 자신의 공적을 자랑하는 내용 등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한국의 비석에도 유사하게 나타나는 내용들이다.

특히 룬 비석의 약 10%에는 해외 원정 및 그곳에서 사망한 사람들에 대한 기록이 담겨있다[80]. 이는 라틴어로 쓰여진 '성 벨탄의 연대기'나 '쿠레모나의 리우트프란트'와 동시대의 기록으로, 비잔티움을 방문한 스칸디나비아 주민 르시족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어 사료적 가치가 높다[79]. 이러한 룬 비석에 나타난 국제 관계는 한국의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의 대외 관계와 비교하여 연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룬 비석에는 잉글랜드에서 세 번 세금을 받은 보레스타(Borresta)의 울브(Ulf)(U 344)나, 동부에서 독수리의 먹이가 된 잉바르 원정(Sö 179)의 동료들에 대한 기록이 있는데[52], 이는 외세의 침략과 약탈이라는 측면에서 한국의 역사적 경험과 비교될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는 이러한 바이킹의 침략 행위를 비판적으로 검토할 수 있으며, 이는 외세의 침략으로 고통받았던 한국의 역사와 연결 지어 논의될 수 있다.

참조

[1] 서적 Om lifvet i Sverige under hednatiden https://archive.org/[...] 1905
[2] 논문 Memories Carved in Stones? Collective Memory Studies and Early Scandinavian Rune-Stones, or Remarks on the Banalities of ‘Burial-Stones’ https://scancan.net/[...] 2021
[3] 백과사전 Runsten Nationalencyklopedin 1995
[4] 웹사이트 Ynglinga saga https://web.archive.[...]
[5] 서적 Bellows 1936 http://www.sacred-te[...]
[6] 서적 2007
[7] 데이터베이스 Entry DR 42
[8] 웹사이트 Ein minnestein for å hedre seg sjølv http://www.forskning[...] forskning.no 2008-04-20
[9] 서적 2005
[10] 서적 1995
[11] 서적 1987
[12] 서적 2000
[13] 서적 2005
[14] 서적 1999
[15] 서적 2007
[16] 서적 1987
[17] 서적 2007
[18] 서적 1987
[19] 서적 1987
[20] 서적 1987
[21] 서적 2007
[22] 데이터베이스 Entry U 241
[23] 서적 2007
[24] 데이터베이스 Entry Ög 8
[25] 데이터베이스 Entry Vg 184
[26] 데이터베이스 Entry Vg 197
[27] 데이터베이스 Entry Sö 65
[28] 데이터베이스 Entry Sö 171
[29] 서적 2007
[30] 서적 2007
[31] 데이터베이스 Entry Sö 260
[32] 데이터베이스 Entry U 344
[33] 데이터베이스 Entry U 668
[34] 데이터베이스 Entry Ög 111
[35] 서적 2007
[36] 데이터베이스 U 539
[37] 서적
[38] 데이터베이스 Sö 166
[39] 서적
[40] 서적
[41] 데이터베이스 U 699
[42] 데이터베이스 U 243
[43] 서적 A monk in the Abbey of St. Gall tells of a group of Norsemen who visited the court of the Frankish king Louis the Pious. They agreed to get baptized and were given valuable baptismal robes, but, as there were not enough robes, the robes were cut up and divided among the Norsemen. One of the Vikings then exclaimed that he had got baptized 20 times and he had always received beautiful potatoes, but this time he got rags that better fit a herdsman than a warrior.
[44] 데이터베이스 U 160
[45] 데이터베이스 DR 399
[46] 서적
[47] 데이터베이스 U 170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웹사이트 http://www.sacred-te[...]
[61] 서적
[62] 웹사이트 http://www.sacred-te[...]
[63] 서적
[64] 데이터베이스 Sö 206
[65] 데이터베이스 Sö 347
[66] 서적
[67] 데이터베이스 Sö 213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The Viking-Age Rune-Stones Oxford University Press
[72] 서적 The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the Vikings Oxford University Press
[73] 서적 The Viking-Age Rune-Stones Oxford University Press
[74] 서적 The Penguin Historical Atlas of the Vikings The Bath Press
[75] 웹사이트 Encylopedia Brittanica https://books.google[...]
[76] 웹사이트 Jelling Stones http://www.megalithi[...]
[77] 서적 Svenska runor Riksantikvarieämbetet
[78] 서적 The Viking-Age Rune-Stones Oxford University Press
[79] 서적 The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the Vikings Oxford University Press
[80] 서적 The Viking-Age Rune-Stones Oxford University Press
[81] 서적 The Penguin Historical Atlas of the Vikings The Bath Press
[82] 웹사이트 Encylopedia Brittanica http://books.google.[...]
[83] 웹사이트 Jelling Stones http://www.megalithi[...]
[84] 서적 원시 게르만 민족의 수수께끼 '최초의 독일인'의 생과 싸움 아리아드네 기획
[85] 서적 Svenska runor Riksantikvarieambete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