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브 바라캇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티브 바라캇은 피아노를 시작으로 클래식, 재즈를 거쳐 작곡, 편곡, 프로듀싱 분야에서 활동하는 캐나다 출신의 음악가이다. 14세에 데뷔 앨범을 발표했으며, 다수의 기악 앨범을 작곡 및 제작하여 세계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다양한 아티스트들과의 협업을 통해 작곡가 겸 프로듀서로서의 면모를 보여주었으며, 특히 대한민국에서도 휘성, 존 박, 첸 등 여러 음악가들과 함께 작업했다. 2007년에는 유니세프 캐나다 대사로 임명되어 사회 공헌 활동을 펼쳤으며, 2017년 대한민국 국무총리 표창, 2021년 퀘벡 국가 훈장 기사 작위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의 피아노 연주자 - 알렉스 (가수)
알렉스는 클래지콰이 멤버이자 솔로 가수, 배우, 방송인으로 활동하며, 2008년 솔로 앨범을 발매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음주운전으로 물의를 일으킨 적이 있다. - 캐나다의 피아노 연주자 - 프랭크 밀스
프랭크 밀스는 캐나다 출신의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로, 밴드 활동 후 솔로로 전향하여 "Music Box Dancer"로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며 주노상 수상 등 캐나다 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고 그의 음악은 대중문화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 레바논계 캐나다인 - 폴 앵카
폴 앵카는 캐나다 출신의 싱어송라이터이자 배우로, 〈Diana〉, 〈Lonely Boy〉 등의 히트곡으로 1950~60년대 아이돌 가수로 데뷔하여, 이후 음악적 변신을 시도하고 〈마이 웨이〉의 영어 가사를 작사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레바논계 캐나다인 - 베니 힌
이스라엘 출신 텔레반젤리스트이자 신유 사역자인 베니 힌은 기적 성회를 통해 활동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나, 재정, 신유, 번영신학 등 다양한 논란과 비판에 직면해왔다. - 퀘벡 출신 - 폼 클레멘티에프
폼 클레멘티에프는 한국인 어머니와 프랑스계 러시아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프랑스 배우로, 프랑스 영화 데뷔 후 할리우드에 진출하여 《올드보이》에 출연했으며,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서 맨티스 역을 맡아 세계적인 인지도를 얻었다. - 퀘벡 출신 - 스테판 디옹
스테판 디옹은 캐나다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자유당 소속 하원 의원, 연방-주 관계부 장관, 환경부 장관, 자유당 대표, 외무부 장관을 역임하고 독일, 프랑스, 모나코 대사를 지냈다.
스티브 바라캇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스티브 바라캇 |
원어 이름 | Steve Barakatt |
직업 | 피아니스트 작곡가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973년 5월 17일 |
출생지 | 캐나다 퀘벡주 퀘벡 |
국적 | 캐나다 |
배우자 | 엘레나 그로셰바 |
음악 활동 | |
장르 | 뉴에이지 |
악기 | 피아노 |
활동 시기 | 해당 사항 없음 |
레이블 | Victor Entertainment Universal Music Sony BMG |
웹사이트 | STEVEBARAKATT.com |
훈장 | |
기타 정보 | |
관련 활동 | 해당 사항 없음 |
2. 초기 생애
스티브 바라캇은 4살 때 피아노 레슨을 받기 시작했다. 이후 10년 동안 클래식 음악을 공부했으며, 그 후 재즈로 전향했다. 어린 나이부터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쌓았는데, 13세에는 퀘벡 교향악단의 객원 솔리스트로 참여하기도 했다. 16세가 되면서 작곡, 편곡, 프로덕션에 매료되어 새로운 기술을 연구했고, 곧 음악 프로그래밍의 세부 기술까지 익혔다. 1992년에는 NAMM 쇼에서 일본의 악기 회사인 롤랜드(Roland)로부터 신제품 발표를 요청받았다.
바라캇은 14세였던 1987년 11월 11일, 캐나다에서 첫 솔로 앨범인 《더블 조이》를 녹음하고 발매했다. 이 앨범은 발매 일주일 만에 캐나다 앨범 판매 순위 20위권에 진입하며 주목받았다.
작곡가 및 프로듀서로서 스티브 바라캇은 세계 여러 나라의 다양한 뮤지션들과 협업했다.[6] 캐나다의 나타샤 생 피에르, 홍콩의 여명, 일본의 오기노메 요코 등 여러 국가의 유명 아티스트들과 작업하며 다수의 히트곡을 만들었다.[6][7]
3. 레코딩 아티스트
이후 그는 《오다시티》(1994), 《이스케이프》(1996), 《Steve Barakatt Live》(1997), 《Quebec》(1998), 《Eternity》(1999), 《A Love Affair》(2000), 《All About Us》(2001), 《섬데이, 섬웨어》(2011), 《네오레알리테》(2020) 등 다수의 기악 앨범을 직접 작곡하고 제작했다.
그의 음반들은 캐나다, 일본, 대한민국 등 세계 여러 나라의 음악 차트 상위권에 올랐으며, 그의 음악은 다양한 라디오 방송국의 배경음악으로 자주 사용된다. 또한, 일본 NTV의 인기 프로그램 《Shitteru Tsumori》의 메인 테마곡('We'll Be Together')이나 NHK 드라마 《Kiss Again》의 주제곡('Nuit d’Amour a Paris')처럼 여러 인기 TV 프로그램의 테마 음악으로도 사용되었다. 그의 곡들은 모나코 그랑프리 (후지 TV)나 2002년 FIFA 월드컵 (NHK) 같은 스포츠 프로그램의 배경 음악으로도 활용되었다.
2020년 8월, 바라캇은 향후 발매될 음반들의 전 세계 유통을 위해 음반사 [https://universalmusicmena.com/ 유니버설 뮤직 MENA][5]와 계약을 체결했다.
4. 작곡가 겸 프로듀서
그의 음악은 TV 드라마나 스포츠 프로그램 배경음악으로도 널리 사용되었다. 일본 NHK 드라마 ''Kiss Again''의 주제곡 "Nuit d'Amour à Paris"를 작곡했으며, 모나코 그랑프리 (후지 TV)나 2002 FIFA 월드컵 (NHK) 같은 주요 스포츠 이벤트에서도 그의 음악이 사용되었다.[6] 또한 배우 오마 샤리프가 출연한 TV 시리즈 ''Urban Myth Chillers''의 음악을 작곡하기도 했다.[6]
4. 1. 대한민국
2010년, 한국 R&B 가수 휘성과 듀엣으로 마이클 잭슨의 컴필레이션 앨범 ''Winter Night''에 수록된 "You Are Not Alone"을 불렀다.[7]
4. 2. 캐나다
작곡가 및 프로듀서로서 스티브 바라캇은 캐나다 내 여러 뮤지션과 협업했다.[6] 1997년에는 젊은 캐나다 가수 나타샤 생 피에르의 앨범을 프로듀싱했다. 그가 작곡한 "Sans le Savoir"는 라디오 차트 5위 안에 들었으며, 뮤직비디오는 퀘벡의 MTV 채널인 Musique Plus에서 1위를 차지하는 등 큰 인기를 얻었다.[6] 같은 해, 캐나다 가수 조앤 블루엥(Johanne Blouin)에게 "C'est une Promesse"를 작곡해주기도 했다.[6]
2006년에는 캐나다 가수 오드리 드 몽티니와 함께 부른 듀엣곡 "Here We Are"를 작곡하고 프로듀싱했다. 이 곡은 바라캇의 첫 보컬 앨범 ''Here I Am''과 드 몽티니의 앨범 ''Take Me As I Am''에 동시에 수록되었다.[7] 이듬해인 2007년, 바라캇은 요코 오노와 협력하여 국제 앰네스티의 "Make Some Noise"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활동의 일환으로 존 레논의 곡 "Love"를 프로듀싱하며 오드리 드 몽티니와 다시 한번 작업했다.[7]
4. 3. 홍콩
홍콩에서 스티브 바라캇은 여러 아티스트들을 위해 작곡을 의뢰받았다. 1995년에는 아시아 스타 진혜림, Joyce Yau, Daniel Chan, Ray Chan이 공연한 "Mou Tian"을 작곡했다. 1996년에는 여명과 담영린을 위해 듀엣곡 Song of Stars를 작곡했는데, 이 곡은 그들이 처음으로 함께 녹음한 곡이었다. 바라캇은 또한 같은 해에 발매된 여명의 솔로 앨범 ''Feel Leon''을 위해 "Ni Shi Shui"를 작곡했다.
4. 4. 일본
일본에서는 가수 신세레(Sincere)가 바라캇의 곡 "Kaze To Kino Uta-Quebec 1608"을 불렀다. 인기 가수 오기노메 요코는 바라캇의 작곡 "We'll Be Together"를 녹음했고, 이 곡은 NTV 네트워크의 TV 프로그램 ''Shitteru Tsumori''의 메인 테마가 되었다. 바라캇은 가수 사카이 노리코를 위해 "Watashi Dake De Ite"를 작곡했다. 그의 기악곡 "Nuit d'Amour à Paris"는 NHK 네트워크의 TV 드라마 ''Kiss Again''의 테마곡이었다. 바라캇의 작곡은 2002 FIFA 월드컵 일본(NHK) 및 F1 모나코 그랑프리 (후지 TV)를 포함한 주요 TV 스포츠 프로그램의 배경 음악으로 사용되었다.[6]
4. 5. 기타 국가
아르헨티나 남성 가수 기예르모 살다나를 위해 'En la arena'를 작곡했다.[6] 또한 오마 샤리프가 출연한 TV 시리즈 ''Urban Myth Chillers''의 음악을 작곡했다.[6]
5. 주요 작품
스티브 바라캇은 전 세계의 다양한 오케스트라, 합창단, 아티스트들과 협업하며 폭넓은 음악 활동을 펼쳐왔다. 그의 주요 협업 파트너는 다음과 같다.
구분 | 이름 |
---|---|
오케스트라 및 합창단 | 퀘벡 교향악단 (L'Orchestre symphonique de Québecfra, 캐나다) |
L'Orchestre Métropolitain du Grand Montréalfra (캐나다) | |
The Vancouver Youth Symphony Orchestraeng (캐나다) | |
The Delta Youth Orchestraeng (캐나다) | |
The Greater Victoria Youth Orchestraeng (캐나다) | |
The Ottawa Youth Orchestraeng (캐나다) | |
The Kitchener Waterloo Symphony Orchestraeng (캐나다) | |
The Cleveland Symphony Orchestraeng (호주) | |
라티 심포니 오케스트라 (The Lahti Symphony Orchestraeng, 핀란드) | |
프랑스 국립방송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L'Orchestre Philharmonique de Radio Francefra, 프랑스) | |
La Maitrise de Radio Francefra (프랑스) | |
The Hong Kong Chinese Orchestraeng (중국) | |
프라하 시립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합창단 (The choir of the City of Prague Philharmonic Orchestraeng) | |
캐나다 왕립 공군 군악대 (Royal Canadian Air Force Bandeng, 캐나다) | |
오케스트라 및 교육기관 | The Edward Said National Youth Conservatoryeng (팔레스타인 점령 지역) |
Polish Radio Symphony Orchestraeng (폴란드) | |
오클랜드 심포니 오케스트라 (Auckland Symphony Orchestraeng, 뉴질랜드) | |
The Bilkent Symphony Orchestraeng (터키) | |
아티스트 | 나나 무스쿠리 (Nana Mouskouri) |
리처드 오닐 (Richard O'Neill) | |
헬무트 로티 (Helmut Lotti) | |
앙젤리크 키조 (Angelique Kidjo) | |
막심 벤게로프 (Maxim Vengerov) | |
아그네스 찬 (Agnes Chan) | |
미리 벤 아리 (Miri Ben-Ari) | |
알렉산드로프 앙상블 (The Alexandrov Red Army Choir) | |
나타샤 생피에르 (Natasha St-Pier) | |
김주현 (Joo-Hyun Kim) | |
정명훈 (Myung-whun Chung) | |
진혜림 (Kelly Chen) | |
진효동 (Daniel Chan) | |
Joyce Yaueng | |
존 박 (John Park) | |
Ray Chaneng | |
Guillermo Saldanaeng | |
Children's Choir DOMISOLKAeng | |
여명 (Leon Lai) | |
알란 탐 (Alan Tam) | |
Johanne Blouinfra | |
Sincereeng | |
오기노메 요코 (Yoko Oginome) | |
사카이 노리코 (Noriko Sakai) | |
오드리 드 몽티니 (Audrey De Montigny) | |
선민 (SunMin) | |
유키 구라모토 (Yuhki Kuramoto) |
그의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교향곡 Ad Vitam Aeternam, 보컬 앨범 Here I Am, 유니세프 헌정곡 Lullaby 등이 있으며, 이 작품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Ad Vitam Aeternam (교향곡)
2003년, 스티브 바라캇은 인간 경험의 16단계를 주제로 한 대규모 교향곡을 작곡하고 구상했다. 30개월 이상의 제작 기간을 거쳐 2005년 9월 30일, 교향곡 "Ad Vitam Aeternam"의 세계 초연이 퀘벡 시립 극장에서 퀘벡 교향악단과의 협연으로 열렸다.2006년 6월 16일에는 러시아 야로슬라블에서 무라드 안나마메도프(Murad Annamamedov)의 지휘 아래 야로슬라블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함께 유럽 초연을 가졌다.
아시아 초연은 2007년 9월 7일, 질 오울렛(Gilles Ouellet)의 지휘와 디토 체임버 오케스트라의 연주로 이루어졌다. 이 공연은 캐나다 퀘벡 시 400주년을 기념하는 공식 행사의 일환이었다. 이후 2008년 6월 17일부터 19일까지 퀘벡 시립 극장에서 여러 차례 추가 공연이 열렸다.
2010년에는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된 러시아 야로슬라블 시의 1,000주년 기념 축제 기간 동안 "Ad Vitam Aeternam"이 연주되었다.
2014년 11월 19일, 바라캇은 모스크바 음악원 대강당에서 무라드 안나마메도프의 지휘와 야로슬라블 아카데믹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협연으로 다시 한번 이 교향곡을 연주했다. 이 공연은 아동 권리 협약 25주년을 기념하는 의미를 가졌으며, 30개국 이상의 대사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5. 2. Here I Am (보컬 앨범)
2006년, 스티브 바라캇은 캐나다 가수 오드리 드 몽티니(Audrey de Montigny)와의 듀엣곡 “Here We Are”를 작곡하고 제작했다. 이 곡은 바라캇의 첫 보컬 앨범 ''Here I Am''과 오드리 드 몽티니의 앨범 “Take Me As I Am”에 함께 수록되었다.2007년, 바라캇은 자신의 첫 번째 보컬 앨범인 ''Here I Am''을 발매했다. 앨범의 여러 곡은 런던에 있는 조지 마틴 경의 에어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으며, 이 과정에는 파운데이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여러 유명 음악가들이 참여했다.
5. 3. Lullaby, 유니세프 헌정곡
2007년 3월 9일, 스티브 바라캇은 유니세프 캐나다 대사로 위촉되었다. 이후 2009년, 그는 유니세프 헌정곡이자 국제적인 찬가인 'Lullaby'를 작곡했다. 이 곡은 합창 교향곡 형식으로 만들어졌으며, 2009년 11월 20일 세계 5대륙의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국제 우주 정거장(ISS)에서 동시에 초연되었다.'Lullaby'의 녹음에는 세계적인 음악가와 단체들이 참여했다.
구분 | 이름 |
---|---|
지휘자 | 정명훈 |
오케스트라 | 프랑스 국립방송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프라하 시립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합창단 | 프랑스 국립방송 합창단, 프라하 시립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합창단 |
가수 | 나나 무스쿠리, 안젤리크 키조, 헬무트 로티, 여명, 아그네스 찬 |
연주자 | 막심 벤게로프 (바이올린), 리처드 오닐 (비올라), 미리 벤 아리 (바이올린) |
이 역사적인 발표를 기념하기 위해 전 세계 15개국의 심포니 오케스트라가 이 곡을 연주했으며, 아동 권리 협약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뮤직비디오가 제작되어 공개되었다. 또한 'Lullaby'는 벨기에 우주비행사 프랑크 드 위네(Frank De Winne)가 임무 수행 중이던 국제 우주 정거장에서도 상영되었다.
바라캇은 이후에도 여러 주요 행사에서 'Lullaby'를 연주했다.
- 2010년 3월 16일: 도쿄 일본 무도관에서 공연.
- 2012년 2월 22일: 모나코 알베르 2세 공이 주재한 "모나코 질병 권력(Monaco Disease Power)" 주최 행사에서 공연.
- 2014년 11월 19일: 아동 권리 협약 25주년 및 'Lullaby' 발표 5주년을 기념하여 모스크바 모스크바 음악원 대강당에서 공연. 이 공연은 지휘자 무라드 안나마메도프(Murad Annamamedov)가 지휘하는 야로슬라블 아카데미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DOMISOLKA 어린이 합창단과의 협연으로 이루어졌으며, 35개국 이상의 외교 사절단이 참석했다.
- 2015년 12월 7일: 모스크바 크렘린에서 열린 DOMISOLKA 창립 25주년 기념 콘서트에서 DOMISOLKA 어린이 합창단과 함께 'Lullaby'를 연주했다.
5. 4. 기타 주요 작품
2017년, 바라캇은 퀘벡 부지사의 의뢰를 받아 로열 골프 클럽의 국제적인 앤섬을 작곡했다.[9] 이 곡은 2017년 9월 12일, 라 시타델 드 퀘벡에서 로열 22e 연대 음악대에 의해 초연되었다.[10]2018년 4월 13일, 샤토 프롱트낙(Le Château Frontenac프랑스어)은 세계 최초로 자체 공식 주제가를 갖게 된 유산 건물이 되었다. 바라캇이 작곡한 이 주제가는 샤토 프롱트낙의 그랜드 볼룸에서 마에스트로 파비앙 가벨(Fabien Gabel)의 지휘 아래 퀘벡 심포니 오케스트라(l'Orchestre Symphonique de Québec프랑스어)가 초연했다.[11]
6. 대한민국과의 관계
대한민국의 고속철도 시스템인 한국고속철도(KTX)가 개통되면서,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종착역 도착 안내 음악으로 스티브 바라캇의 곡 "Dreamers"를 사용했다. 이 곡은 일본의 색소폰 연주자 MALTA의 "Looking for You"를 대체하여 2010년까지 사용되었으며, 이후에는 "California Vibes"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2010년에는 한국의 R&B 가수 휘성과 듀엣으로 마이클 잭슨의 컴필레이션 앨범 ''Winter Night''에 수록된 곡 "You Are Not Alone"을 불렀다.[7]
7. 사회 공헌 활동
2007년 3월 9일, 바라캇과 그의 아내이자 러시아 출신 올림픽 체조 선수인 엘레나 그로셰바는 유니세프 캐나다 홍보대사로 임명되었다. 그들은 이 영예를 얻은 최초의 부부였다.[15]
바라캇은 존 레논의 '이매진(Imagine)'의 새로운 버전을 녹음하는 IMAGINE for UNICEF 프로젝트에 참여한 국제적인 아티스트 중 한 명이다. 이 뮤직 비디오는 2015년 11월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촬영되었다.[16]
8. 수상 및 업적
연도 | 내용 |
---|---|
1984년, 1986년 | 실레리 음악 축제 우승 |
1987년 ~ 2005년 | ADISQ 3회 노미네이트 |
1988년 | 생-장-밥티스트 협회 공로 훈장 최연소 수상 |
1996년 | "퀘벡 외 지역 영향력 상" – 그랑 퀘베쿠아 노미네이트 |
2004년 | 유엔 감사장 수여 |
2005년 | 몬트리올 은행 ARISTA 상 "퀘벡의 젊은 국제 비즈니스 리더" 부문 수상 |
2005년 | 퀘벡 청년 상공 회의소 선정 '올해의 젊은 인물 (국내 및 국제)' |
2006년 | 피에르-가롱 상 수상 (올해의 예술가, 퀘벡 시) |
2006년 | 에든버러 공작 상 명예 이사 위촉 (퀘벡 프로그램 기여 공로 인정) |
2010년 | SOCAN 해구드 하디 상 수상 (올해의 작곡가 - 기악 부문) |
2017년 | 대한민국 국무총리 표창 (새만금 지원 및 홍보 공로) |
2019년 | 부총독 메달 수여 (탁월한 공로 인정) |
2021년 | 퀘벡 국가 훈장 기사 서훈 |
2023년 | 대한민국 전주시 국제 우호대사 위촉 |
2024년 | 캐나다 퀘벡 시 메달 수여 |
9. 협연
스티브 바라캇은 어린 나이부터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쌓았는데, 13세에는 퀘벡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객원 솔리스트로 참여하기도 했다. 이후 그는 알렉산드로프 앙상블[4]부터 도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아티스트 및 앙상블과 함께 여러 녹음 및 라이브 공연에 초청받아 협연했다. 그는 음악가들과 교류하며 다양한 스타일의 음악을 탐구하는 것을 즐긴다.
참조
[1]
웹사이트
Lebanese-Canadian Composer is Producing Celebratory Anthem for Lebanon
https://www.the961.c[...]
2020-03-18
[2]
웹사이트
L'Ordre national du Québec honorera des personnalités qui ont changé le visage du Québec
https://www.ordre-na[...]
2021-05-11
[3]
웹사이트
A musical call to action: 'Lullaby: The UNICEF Anthem'
https://www.unicef.o[...]
2009-11-19
[4]
웹사이트
Alexandrov Russian Army Song and Dance Ensemble loss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6-12-26
[5]
트윗
Welcoming award-winning composer and pianist @SteveBarakatt…
https://twitter.com/[...]
2023-07-17
[6]
웹사이트
Canadian Songwriter in Tune With Stars Everywhere
http://www.chinadail[...]
2012-05-20
[7]
웹사이트
Wheesung Featured On Michael Jackson Compilation CD
http://world.kbs.co.[...]
2010-12-21
[8]
웹사이트
Steve Barakatt réalise un rêve
2014-11-20
[9]
웹사이트
Le golf a son hymne
https://www.journald[...]
2017-09-08
[10]
웹사이트
International Anthem of the Royal Golf Clubs – Hymne International des Clubs de Golf Royaux
https://www.youtube.[...]
2017-09-13
[11]
웹사이트
Grandiose et Majestueux
https://www.journald[...]
2018-04-14
[12]
웹사이트
Steve Barakatt wins the Hagood Hardy Award
https://www.socan.co[...]
2018-06-18
[13]
웹사이트
World-renowned composer & pianist Steve Barakatt releases official anthem of the future hub of Asia: The City of Saemangeum
https://www.newswire[...]
[14]
간행물
Steve Barakatt awarded the Lieutenant Governor's Medal for Exceptional Merit
https://www.prnewswi[...]
[15]
웹사이트
Steve Barakatt to Bring New Symphony as UNICEF Anthem
https://www.koreatim[...]
2009-10-27
[16]
웹사이트
IMAGINE by Steve Barakatt
https://www.youtube.[...]
2015-1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