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바르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바르간은 아프가니스탄 북부에 위치한 고대 도시로, 실크로드 상의 중요한 거점이었다. 13세기 마르코 폴로가 방문하여 멜론에 대해 기록했으며, 1978년 소련 고고학자들은 틸라 테페에서 박트리아 금을 발견했다. 시바르간은 쿠샨 제국의 도시 시둔의 유적지로 추정되며, 1873년 영국-러시아 국경 획정으로 아프가니스탄에 병합되었다. 2001년에는 탈레반 포로 학살 사건이 발생했고, 2021년 탈레반이 도시를 점령했다. 현재 우즈베크인과 투르크멘인이 많이 거주하며, 아프가니스탄 북부의 무역 및 수송 중심지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즈잔주 - 틸리아 테페
    틸리아 테페는 기원전 1세기 아프가니스탄 북부의 무덤 유적으로, 헬레니즘, 스키타이, 인도, 중국 문화의 영향을 받은 다양한 유물들이 발견되었으며, 1990년대 분실되었다가 2003년 재발견되어 전시되었다.
  • 아프가니스탄의 주도 - 카불
    카불은 아프가니스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공존하며 역사적 유적과 현대 건축물이 공존하지만, 최근 수십 년간 전쟁과 재건을 겪으며 현재는 탈레반 통치 하에 안보 및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려 노력하고 있다.
  • 아프가니스탄의 주도 - 칸다하르
    칸다하르는 아프가니스탄 남부에 위치한 도시이자 칸다하르 주의 주도로, 아프가니스탄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며,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건설한 도시에서 유래하여 교역 중심지이자 전략적 요충지로서 여러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과거 두라니 제국의 수도였으며 현재는 탈레반의 주요 거점 도시 중 하나로, 온난 반건조 기후에 파슈툰족이 주로 거주한다.
  • 아프가니스탄의 도시 - 카불
    카불은 아프가니스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공존하며 역사적 유적과 현대 건축물이 공존하지만, 최근 수십 년간 전쟁과 재건을 겪으며 현재는 탈레반 통치 하에 안보 및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려 노력하고 있다.
  • 아프가니스탄의 도시 - 칸다하르
    칸다하르는 아프가니스탄 남부에 위치한 도시이자 칸다하르 주의 주도로, 아프가니스탄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며,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건설한 도시에서 유래하여 교역 중심지이자 전략적 요충지로서 여러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과거 두라니 제국의 수도였으며 현재는 탈레반의 주요 거점 도시 중 하나로, 온난 반건조 기후에 파슈툰족이 주로 거주한다.
시바르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시바르간
원어 이름شبرغان
유형도시
위치아프가니스탄
속한 국가아프가니스탄
속한 주주즈잔주
면적73 km2
인구 (2022년 추정치)98,170명
시간대아프가니스탄 표준시
UTC 오프셋+4:30
고도361 m
행정
하위 행정 구역 종류구역
지리
좌표36°39′54″N 65°45′07.2″E
기타 정보
도시 보고서 (2015년) 추정 인구175,599명

2. 역사

시바르간은 수천 년 동안 박트리아 북동쪽 모퉁이의 권력 중심지였다. 이곳은 여전히 발흐헤라트 사이의 주요 도로에 위치하고 있으며, 약 90km 떨어진 아무다리야로 이어지는 직접적인 경로뿐만 아니라 사르에 폴로 이어지는 중요한 지선 경로를 통제한다.

1856년 J. P. 페리어는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2. 1. 고대

시바르간은 한때 실크로드를 따라 번성했던 정착지였다. 1978년, 소련 고고학자들은 시바르간 외곽의 틸라 테페 마을에서 유명한 박트리아 금을 발견했다.[6]

시바르간은 고대 시둔의 유적지로 추정되는데, 이는 초기 쿠샨 제국의 다섯 개 주 중 하나였다.

현대 시바르간에서 북동쪽으로 단 5km 떨어진 아크차로 가는 길에 있는 요새화된 옘시 테페는 틸라 테페에서 약 500m 떨어져 있는데, 1969년부터 1979년까지 소련-아프가니스탄 고고학적 노력에 의해 현지 왕족의 무덤에서 막대한 보물이 발굴되었다. 1977년, 소련-아프가니스탄 고고학팀은 유물을 위해 도시에서 북쪽으로 5km 떨어진 곳에서 발굴을 시작했다. 그들은 기원전 1000년 이상 거슬러 올라가는 고대 사원의 진흙 벽돌 기둥과 십자형 제단을 발굴했다. 틸라 테페에서 6개의 왕족 무덤이 발굴되어 방대한 양의 금과 기타 보물이 드러났다. 여러 동전은 서기 1세기 초로 거슬러 올라가며, 그 이후의 시기는 없다.

2. 2. 중세

시바르간은 한때 실크로드를 따라 번성했던 정착지였다. 13세기에 마르코 폴로는 이 도시를 방문했고, 나중에 이곳의 꿀처럼 달콤한 멜론에 대해 기록했다.

1856년, J. P. 페리어는 시바르간에 대해 다음과 같이 보고했다.

1873년 영국-러시아 국경 협정에 의해 시바르간은 독립 우즈베크 칸국의 수도에서 아프가니스탄 영토로 편입되었다.

2. 3. 현대

시바르간은 카르자이 행정부 초기 몇 년 동안 북부 아프가니스탄의 지배권을 놓고 타지크계 군벌 모하메드 아타와 경쟁하던 우즈베크계 군벌 압둘 라시드 도스툼의 거점이었다.

2001년 12월 아프가니스탄 침공 중에는 다시트-이-레일리 학살이 발생했는데, 250명에서 3,000명(출처에 따라 다름)의 탈레반 포로들이 미국 및 북부 동맹 군인들에 의해 쿤두즈에서 시바르간 감옥으로 이송되는 동안 금속 트럭 컨테이너에서 총에 맞거나 질식사했다.[7] [8]

2021년 8월 7일, 탈레반군은 전국적인 군사 공세의 일환으로 시바르간을 점령했다.[9] [10]

3. 지리

시바르간은 사리 풀 강 강둑을 따라 위치하며, 마자르-이-샤리프에서 서쪽으로 약 130km 떨어진 지점에 있다. 카불, 풀리쿰리, 마자르-이-샤리프, 시바르간, 마이마나, 헤라트, 칸다하르, 가즈니, 마이단 샤르를 연결하는 주요 국도가 이곳을 지난다. 쉬베르간 공항은 시바르간과 아크차 사이에 있다. 과거 박트리아 북동부의 요충지로, 발흐에서 헤라트를 잇는 주요 도로와 아무다리야 강 북부의 주요 도로를 장악했고, 남쪽으로는 사레풀로 향하는 길이 있었다. 옘시 테페 요새는 시바르간에서 북동쪽으로 5km 지점에 있다.

3. 1. 기후

시바르간은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냉대 반건조 기후(BSk)에 속하며[11], 여름은 덥고 겨울은 춥다. 1월에서 3월까지는 강수량이 비교적 많지만, 나머지 기간, 특히 여름에는 건조하다.[27]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C)6.8°C9.3°C15.8°C23.7°C31.1°C36.9°C38.9°C37.2°C32°C24°C16.7°C10.6°C
평균 최저 기온 (°C)-1.3°C1.3°C5.7°C11.5°C15.1°C19.4°C22.2°C20°C15.1°C9.8°C4.6°C1.5°C
강수량 (mm)42.3mm44.3mm56.4mm25.9mm11.2mm0.2mm0mm0mm0.2mm6.6mm13.6mm29.8mm


4. 민족

마이마나 다음으로, 시바르간은 아프가니스탄에서 우즈베크인투르크멘인이 많이 사는 도시이다. 투르크멘어는 많은 주민들이 사용하는 모국어이다. 많은 수의 타지크인, 하자라족, 파슈툰족, 그리고 아랍인이 이 도시에 거주한다.

시바르간의 "아랍인"은 종교적인 이유로 아랍 정체성을 주장하지만 모두 페르시아어를 사용한다.[18] 동쪽의 마자르이샤리프, 홀름, 쿤두즈에도 이와 같은 페르시아어 및 파슈토어를 사용하는 "아랍인"들이 거주한다.[18] 이들이 아랍인으로 스스로를 규정하는 것은 주로 부족 정체성에 기반하며, 실제로 이슬람 정복 이후 7세기와 8세기에 있었던 중앙아시아로의 아랍 이주를 나타낼 수 있다.[18]

시바르간은 국내 최대의 우즈베크인 인구를 보유하고 있다. 우즈베크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이 다수이지만, 시바르간은 다언어 사회이다. 다수의 타지크인, 하자라인, 파슈툰인, 아랍인이 거주하고 있다. 시바르간의 아랍인은 모두 페르시아어를 사용하지만, 아랍인이라는 자기 인식을 가지고 있다.[18] 이들은 아주 오래전부터 살고 있었다.[18] 동쪽의 마자르이샤리프, 홀름, 쿤두즈에도 이와 같은 아랍인이 살고 있다.[18] 이들의 조상은 7세기~8세기중앙아시아로 이주해 왔다.[18]

5. 경제

쉬베르간은 아프가니스탄 북부의 무역 및 교통 중심지이며, 관개 농업이 발달하였다.[22] 1967년, 소련의 지원으로 쉬베르간 동쪽 15km 지점인 조우즈잔주의 카와자 고게락 유전에서 천연가스 생산이 시작되었다. 이 유전의 매장량은 670억 세제곱미터로 추정되었다. 같은 해, 소련은 소련의 켈레프와 쉬베르간을 연결하는 100km 길이의 가스관을 완공했다.

미국 국방부는 천연 가스 매장량이 값비싼 석유 수입의 대안으로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 보여주기 위해 천연 가스 충전소에 4300만달러를 지출했다.[13]

쉬베르간은 아프가니스탄의 에너지 기반 시설에 중요하다.


  • 조므라드 사이 유전이 쉬베르간 근처에 위치해 있다.
  • 쉬베르간 토핑 플랜트는 카불, 마자리 샤리프, 쉬베르간의 난방 보일러에서 소비할 원유를 처리한다.
  • 조르카두크, 카와자 고게락, 야팀타크 가스전은 모두 쉬베르간에서 약 32.19km 이내에 위치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Jawzjan http://www.mrrd.gov.[...]
[2] 웹사이트 The State of Afghan Cities report2015 http://unhabitat.org[...]
[3] 웹사이트 The State of Afghan Cities report 2015 http://unhabitat.org[...]
[4] 서적 Barfield 1982
[5] 서적 Ferrier 1856
[6] 서적 Hill 2009
[7] 웹사이트 Assessments and Documentation in Afghanistan {{!}} Assessments in Afghanistan: Dasht-e-Leili https://phr.org/issu[...] Physicians for Human Rights
[8] 뉴스 Opinion - EDITORIAL - The Truth About Dasht-i-Leili https://www.nytimes.[...] 2009-07-13
[9] 뉴스 Sheberghan: Taliban captures second Afghan provincial capital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21-08-07
[10] 뉴스 Sheberghan: Taliban captures second Afghan provincial capita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21-08-07
[11] 웹사이트 Climate: شبرغان - Climate graph, Temperature graph, Climate table http://en.climate-da[...] Climate-Data.org 2013-09-03
[12] 웹사이트 Sheberghan Climate Normals 1964-1983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2-12-25
[13] 웹사이트 Afghan fuel station cost $43m, US military report says https://www.bbc.com/[...] BBC News 2015-11-03
[14] 웹사이트 Jawzjan http://www.mrrd.gov.[...] 2016-05-11
[15] 웹사이트 The State of Afghan Cities report2015 http://unhabitat.org[...] 2016-05-11
[16] 웹사이트 The State of Afghan Cities report 2015 http://unhabitat.org[...] 2016-05-11
[17] 웹사이트 The State of Afghan Cities report 2015 http://unhabitat.org[...] 2016-05-11
[18] 서적 Barfield 1982
[19] 서적 Ferrier 1856
[20] 서적 Hill 2009
[21] 웹사이트 Taliban captures second Afghan provincial capital in 24 hours https://www.aljazeer[...] 2022-11-11
[22] 웹사이트 The State of Afghan Cities report 2015 http://unhabitat.org[...] 2016-05-11
[23] 웹사이트 The State of Afghan Cities report 2015 http://unhabitat.org[...] 2016-05-11
[24] 웹사이트 The State of Afghan Cities report 2015 http://unhabitat.org[...] 2016-05-11
[25] 웹사이트 Climate: شبرغان - Climate graph, Temperature graph, Climate table http://en.climate-da[...] Climate-Data.org 2013-09-03
[26] 웹사이트 Sheberghan Climate Normals 1964-1983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2-12-25
[27] 웹인용 Sheberghan Climate Normals 1964-1983 ftp://ftp.atdd.noaa.[...] 미국 해양대기청 2012-1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