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자라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자라인은 페르시아어로 '1천'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된 아프가니스탄의 민족 집단이다. 몽골, 튀르크, 이란계 민족의 혼혈로 추정되며, 하자라어라는 페르시아어 방언을 사용한다. 무굴 제국의 바부르나마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16세기 말에서 17세기 초 사파비 왕조 시대에 시아파 이슬람교를 받아들였다. 19세기 아브드르 라흐만 칸의 통치 하에 학살과 탄압을 겪었으며, 현재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이란 등지에 거주하고 있다. 하자라족은 중앙아시아 및 남아시아 문화의 영향을 받았으며, 담부라 음악, 전통 의상, 요리 등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 스포츠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내며, 아프가니스탄 최초의 올림픽 메달리스트 로훌라 니크파이를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가니스탄의 민족 - 우즈베크인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기원전 2천년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이고 러시아 제국과 소련을 거쳐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하며 튀르크어족의 우즈베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 아프가니스탄의 민족 - 투르크멘인
투르크멘인은 투르크메니스탄을 중심으로 인접 국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오구즈 투르크를 조상으로 하며 유목 생활, 여러 제국 지배,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거쳐 투르크메니스탄으로 독립했고, 투르크멘어를 사용하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고 독특한 민속 공예와 음악 전통을 지닌다. - 이란의 민족 - 쿠르드족
쿠르드족은 이란 고원 북서부에서 기원하여 터키, 이란, 이라크, 시리아 등지에 흩어져 거주하며 독자적인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고, 자치와 독립을 추구하는 민족이다. - 이란의 민족 - 우즈베크인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기원전 2천년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이고 러시아 제국과 소련을 거쳐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하며 튀르크어족의 우즈베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 파키스탄의 민족 - 우즈베크인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기원전 2천년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이고 러시아 제국과 소련을 거쳐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하며 튀르크어족의 우즈베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 파키스탄의 민족 - 투르크멘인
투르크멘인은 투르크메니스탄을 중심으로 인접 국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오구즈 투르크를 조상으로 하며 유목 생활, 여러 제국 지배,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거쳐 투르크메니스탄으로 독립했고, 투르크멘어를 사용하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고 독특한 민속 공예와 음악 전통을 지닌다.
하자라인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민족명 | 하자라 |
고유 명칭 | 아즈라 |
로마자 표기 | Hazāra |
하자라어 표기 | آزره |
주요 거주 지역 |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이란 유럽 터키 오스트레일리아 인도네시아 캐나다 |
인구 | 800만 ~ 1,400만 명 (추정) |
아프가니스탄 인구 | 6,000,000명 |
파키스탄 인구 | 2,000,000명 (퀘타 50만명 포함) |
이란 인구 | 500,000명 |
유럽 인구 | 130,000명 |
터키 인구 | 26,000명 |
오스트레일리아 인구 | 41,766명 |
인도네시아 인구 | 3,800명 |
캐나다 인구 | 3,580명 |
언어 | |
사용 언어 | 페르시아어 (다리어, 하자라기) |
종교 | |
종교 | 이슬람교 (시아파, 수니파) |
관련 민족 | |
관련 민족 | 아이마크인 우즈베크인 타지크인 튀르크족 몽골족 |
2. 명칭
하자라(Hazara)라는 명칭은 페르시아어로 '1천'을 의미하는 '하자르'(Hazar, هزار|hazārfa)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지며, 몽골어의 '밍간'(mingghan|mingghanmn)을 번역한 것일 수 있다.[54][55][56] 이 용어는 몽골어 단어를 대신하여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57] 하자라인들은 자신들을 '아즈라'(Azra, آزره|āzrəhaz 또는 ازره|əzrəhaz)라고 부르기도 한다.[58]
하자라인의 기원은 불확실하지만, 몽골족, 튀르크족, 이란족의 혼혈로 형성된 민족 집단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아프간 내 다른 민족보다 몽골족 및 튀르크족에 더 가깝다. 특히 몽골 제국 팽창 이후 몽골족의 영향이 컸다.[218]
'하자라'라는 명칭은 무굴 제국의 초대 황제 바부르의 자서전인 바부르나마에서 처음으로 확인할 수 있다.[218] 파키스탄의 이슬라마바드 북쪽에 있는 '하자라'라는 마을은 티무르 왕조 시대에 그 지역에 정착한 부대에서 그 이름이 기원했다.[217]
3. 기원
하자라인의 기원에 대한 주요 이론은 다음과 같다.
'하자라'라는 명칭은 페르시아어로 '1천'을 의미하는 '''하자르'''(هزار|hazārfa)에서 유래했으며, 몽골어의 '천인대'를 의미하는 ''minggan''을 번역한 것일 수 있다.[217] 파키스탄의 '하자라' 마을은 티무르 왕조 시대 정착한 부대에서 기원했다.[217]
무굴 제국의 바부르는 바부르나마에서 하자라족을 처음 언급했다. 바부르는 바다흐샨 지역의 루스탐하자라, 투르크멘 하자라, 카불 서쪽 산악지대 거주민 등을 하자라라고 불렀다. 바부르가 사용한 '하자라'의 정확한 의미는 불분명하나, 현재는 아프가니스탄의 몽골계 색채가 강한 사람들을 지칭한다.[218]
역사학자 압둘 하이 하비비(Abdul Hai Habibi)는 하자라(هزاره|Hazārafa)가 "하잘라"(هزاله|Hazalafa)에서 유래했고, 원래 "마음씨 좋은"이라는 뜻이었다고 주장한다.[51][52] "하자라"가 "천"을 뜻하는 페르시아어 "하자르"(هزار|Hazarfa)에서 유래하여, 많은 인구를 비유적으로 나타낸다는 설도 있다.[53]
"하자라"(هزاره|Hazārafa)는 "천"을 의미하는 페르시아어 "하자르"(هزار|Hazarfa)에서 유래한 것으로, 몽골어 단어 mingghanmn의 번역일 수 있다. mingghanmn은 칭기스칸 시대 1,000명의 군인으로 구성된 군사 부대를 가리킨다.[54][55][56] 하자라인들은 자신의 모국어로 자신들을 '''"아즈라"'''(آزره|āzrəhaz) 또는 (ازره|əzrəhaz)라고 부른다.[58]
하자라족의 기원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59] 유전자 및 언어 분석에 따르면 다민족 혼혈 집단[60]이며, 현대 몽골계,[61][62][19] 투르크계,[63][64][65][66][67] 이란계 인구[68][69]와 다양한 조상 연관성을 보인다. 일부 하자라족과 차르 아이막족의 신체적 특징은 몽골계이며, 이는 몽골 침략의 유산일 수 있다.[107] 하자라족은 중앙아시아의 투르크계 민족과 공통적인 인종 구조와 신체적 유사성을 공유한다.[70][71][72] 16세기 초 무굴 제국을 건설한 바부르는 그의 저서인 『바부르나마』에서 하자라족을 언급하며 일부를 "투르크멘 하자라족"이라고 지칭했다.[73][74]
학자들은 하자라족이 여러 투르크, 몽골, 이란 부족의 혼합 결과라는 데 동의한다.[75]
유전적으로 하자라족은 서유라시아인과 동유라시아인 요소가 혼합되어 있다. 아프가니스탄의 하자라족은 우즈베크 인구와 밀접하게 묶여 있으며, 두 집단 모두 아프가니스탄의 타지크과 파슈툰 인구와는 다르다.[89][90] 튀르크, 몽골, 이란계 민족과의 부계 및 모계 연결 증거가 있다.[91]
하자라족은 오늘날 중앙아시아와 동아시아의 튀르크 인구 및 몽골 인구와 높은 유전적 친화성을 보인다. 하자라족의 평균 유전자 풀의 약 49%는 동아시아, 약 48%는 유럽 출처이며,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아메리카 원주민 출처는 각각 약 0.17%, 0.47%, 2.30%이다. 하자라족의 유전적 구성은 우즈베크, 위구르, 카자흐, 키르기스, 몽골 인구와 유사하다.[92][93][94][101][102][95]
일부 분석에서는 하자라족이 몽골인, 동아시아인, 인도이란인보다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인구와 더 가깝다고 제시한다.[96]
다른 연구에서는 하자라족이 중국 북서부의 튀르크어를 사용하는 인구보다 다른 중앙 및 남아시아 인구나 몽골인과 유전적으로 더 가깝다고 한다. 하자라족은 약 57.8%의 몽골 관련 조상을 가지고 있으며, 동아시아인과 더 많은 대립 유전자를 공유한다. 하자라족은 지역 인구와 유전적 혼합을 거쳐 현재의 동서 유라시아 혼합 유전자 프로필을 형성했다.[95][97]
하자라인은 몽골계 민족으로 여겨지며, 유전적으로는 몽골계 Y염색체 하플로그룹 C2가 40%(10/25), 코카소이드계 Y염색체 하플로그룹 R1a가 32%(8/25) 나타난다.[215]
4. 역사
하자라족은 아프가니스탄에서 인구의 약 10%를 차지하는 소수 민족으로, 외모는 몽골로이드적인 특징이 강하지만 실제로는 코카소이드의 혈통도 섞여 있다. 아프가니스탄은 수니파 이슬람교가 주류였기 때문에(1931년 헌법에 수니파 하나피 학파를 국교로 명시했던 시대도 있었다), 하자라족은 역사적으로 박해와 학살을 겪었다.
1978년부터 이어진 아프가니스탄 분쟁으로 치안과 생활 환경이 악화되었고, 수니파 계열 극단주의 조직인 탈레반이 등장하면서 박해가 더욱 심해졌다.[210] 이 때문에 시아파 국가인 이란이나 유럽으로 망명하는 사람들도 많다.[211] 2016년 기준으로 이란 정부가 난민으로 체류를 허가한 아프가니스탄인은 약 95만 명이지만, 불법 입국을 포함하면 250만~300만 명 정도의 아프가니스탄인이 이란에 체류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 중에는 하자라족도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212]
현재도 하자라족은 차별을 받고 있으며, 카불 시내의 청소 노동자 등을 맡는 경우가 많다. 2019년 4월 12일, 파키스탄 발루치스탄 주 퀘타에서는 하자라족을 겨냥한 자살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20명 이상이 사망하고 48명이 부상했다. 파키스탄 탈레반 운동의 한 파벌이 시아파를 대상으로 테러 공격을 계속하는 라슈카레 장비와 공모하여 저지른 것이라고 밝혔다.[213]
탈레반이 폭파한 바미얀 석불은 하자라족의 거주 지역에 위치해 있다. 2002년부터 2004년까지 주일 아프가니스탄 임시 대리대사를 역임한 모하마드 누르 악바리(Mohammad Noor Akbary)는 하자라족 출신이다.[214]
4. 1. 16세기 이전
아프가니스탄 하자라족에서 가장 흔한 부계 DNA 하플로그룹은 동아시아계 하플로그룹 C-M217 (33.33%)과 서아시아계 하플로그룹 R1a1a-M17 (6.67%)이며, 그 뒤를 서아시아계 하플로그룹 J2-M172와 L-M20이 잇는다. 일부 하자라족은 타지크족, 파슈툰족, 인도 인구와 공유하는 하플로그룹 E1b1b1-M35, L-M20, H-M69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일반적으로 동아프리카에서 발견되는 하플로그룹 B-M60을 가진 개체 한 명이 확인되었다.[98][99]하플로그룹 C2 (이전에는 C3-Star 클러스터로 알려짐)는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하자라족에서 가장 빈번한 하플로그룹이다.[97] 파키스탄 하자라족은 하플로그룹 C-M217이 약 40% (10/25), 하플로그룹 R1b가 약 32% (8/25)로 높은 빈도를 보인다.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의 R1b는 동부 러시아 타타르족과 바시키르족에서도 발견되었으며, 이 세 집단 모두 금장군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100] 하플로그룹 C-M217 또는 C2는 몽골과 카자흐 인구에서 가장 흔한 하플로그룹이다.[97] 연구에 따르면 하자라족의 Y-DNA 하플로그룹 C2는 몽골의 확장과 관련이 있으며,[101] 하자라족의 몽골 기원을 뒷받침한다.[102]
4. 2. 16~18세기
하자라족은 16세기 말에서 17세기 초 사파비 왕조 시대에 시아파를 받아들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110][111] 18세기에는 다른 민족들과 함께 하자라족 남성들이 아마드 샤 두라니의 군대에 모병되었다.[112]4. 3. 19세기
19세기 도스트 무함마드 칸 통치 기간 동안, 하자라자트 출신 하자라인들은 처음으로 세금을 부과받았다.[113] 그러나 대부분은 19세기 후반 아브드르 라흐만 칸에 의해 정복될 때까지 지역 자치권[114]을 유지했다.1880년 간도막 조약 체결 이후, 아브드르 라흐만 칸은 하자리스탄을 통제하려 했고, 이에 저항하는 하자라인들과 전쟁을 벌였다. 이 갈등은 하자라 반란[110]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브드르 라흐만 칸의 군대는 잔혹 행위를 저질렀다.
이러한 원정으로 하자라인 인구의 60% 이상이 학살[115][116][117]당하고 추방되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 하자라인들의 땅은 비하자라 공동체 출신의 충성스러운 마을 주민들에게 분배되었다. 이 탄압은 현대 아프가니스탄 역사에서 집단 학살 또는 민족 청소로 규정되었다.
아브드르 라흐만 칸의 탄압으로 많은 하자라족이 중앙아시아, 이란, 영국령 인도 등으로 피난했다.[118] 북부 힌두쿠시에 살던 하자라인들은 차르 러시아로 이주하여 주로 남부 도시에 정착했고, 일부는 이란으로 이주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차르 러시아 지역에 살던 많은 하자라인들은 지역 주민들과 동화되어 하자라기 언어, 문화, 민족 정체성을 잃었다. 아프가니스탄 북서부 출신 하자라인들은 이란으로 이주하여 마슈하드와 그 주변 지역에 정착하여 카와리 또는 바르바리로 알려지게 되었다. 아프가니스탄 남동부 출신 하자라인들은 영국령 인도로 이주하여 퀘타(현재 파키스탄)와 현재 인도 일부 지역에 거주했다. 일부 하자라인들은 시리아와 이라크에 정착했다. 파키스탄, 인도, 이란, 시리아, 이라크에 거주하는 하자라인들은 외모 차이 때문에 완전히 통합되지 못하고 언어, 문화, 민족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118]
4. 4. 20세기~현재
1901년, 하비불라 칸은 하자라족에게 사면을 선포하고 귀환을 허락했지만, 소수만이 귀환하여 투르키스탄과 발흐 주에 정착했다. 20세기 대부분 동안 하자라족은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차별에 직면했다.[119] 1933년, 압둘 칼리크 하자라라는 학생이 아프가니스탄 국왕 무함마드 나디르 샤를 암살했고, 아프가니스탄 정부는 그와 그의 가족 여러 명을 체포하여 처형했다.[119]
1945년부터 1946년까지, "이브라힘 가우사와르"로 알려진 이브라힘 칸이 이끄는 반란이 하자라족에게만 부과된 새로운 세금에 대한 항의로 발생했다.[110] 쿠치족은 이러한 세금이 면제되었을 뿐만 아니라 아프가니스탄 정부로부터 지원금도 받았다.[110]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동안 대부분의 하자라족 무자헤딘은 하자라자트 주변 지역에서 소련군과 전투를 벌였다. 1979년까지 하자라족 이슬람주의 그룹은 이미 하자라자트를 중앙 소련 지원 아프가니스탄 정부로부터 해방시켰다.[110] 1989년 소련이 철군함에 따라 이슬람주의 그룹은 하자라 민족주의로 초점을 전환했고, 히즈베 와흐다트가 설립되었다.[110]

1992년, 히즈베 와흐다트는 카불에서 쫓겨났다. 1995년 탈레반은 지도자인 압둘 알리 마자리를 살해했다. 1996년 탈레반이 카불을 점령한 후, 모든 하자라족 그룹은 북부 동맹과 연합했다. 1998년 하자라자트는 탈레반에게 함락되었고, 탈레반은 하자라자트를 세계의 다른 지역으로부터 고립시켰다.[121]
1997년, 마자르-에 샤리프의 하자라족 반란으로 600명의 탈레반 전투원이 사망했다.[122] 보복으로 탈레반은 집단 학살 정책을 채택했고, 1998년 하자라족 6,000명이 북부에서 살해되었다.[123] 2001년 3월, 거대한 바미얀 석불 두 개가 파괴되었다.[124]

하자라족은 파키스탄 건국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셰이크 알리 부족 출신인 카지 무함마드 이사는 무함마드 알리 진나의 절친한 친구였으며, 발루치스탄에 전 인도 무슬림 연맹을 설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25][126]
2001년 9월 11일 공격 이후 미국, 미국 및 연합군은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했다.
5. 인구
아프가니스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하자라인은 아프가니스탄 인구의 10~2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된다.[219] 일부 자료에서는 하자라족이 아프가니스탄 총 인구의 약 20~30%를 차지한다고 주장한다.[142][57][130][173] 1888년에서 1893년 사이에 일어난 하자라인 반란 중에 거의 절반이 학살당하기 전까지는 아프가니스탄 지역 인구의 2/3를 차지하는 다수 민족이었다는 주장도 있다.[219] 이 봉기 동안 하자라족의 60% 이상이 학살당했고, 많은 사람들이 삶의 터전을 잃었으며, 비하자라족에게 상당한 영토를 빼앗겨 현재 영토의 두 배에 달하는 땅을 잃었을 가능성이 있다.[115]
아프가니스탄에서는 수니파 이슬람교가 주류였고, 1931년 헌법에 수니파 하나피 학파를 국교로 명시했던 시대도 길었기 때문에, 하자라인은 시아파 이슬람교를 믿어 박해와 학살을 당한 역사가 있다. 현재도 차별을 받고 있으며, 카불 시내의 청소 노동자 등은 하자라족이 맡는 경우가 많다.
1978년부터 이어진 아프가니스탄 분쟁으로 치안과 생활 환경이 악화되었고, 수니파 계열 극단주의 조직인 탈레반의 등장으로 박해가 심각해졌다.[210] 이 때문에 시아파 국가인 이란이나 유럽으로 망명하는 사람들도 많다.[211] 2016년 시점에서 이란 정부가 난민으로 체류를 허가한 아프가니스탄인은 약 95만 명이지만, 불법 입국을 포함하면 250만~300만 명 정도의 아프가니스탄인이 이란에 체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 중에는 하자라족도 많다.[212]
2019년 4월 12일, 파키스탄 발루치스탄 주 퀘타에서 하자라족을 겨냥한 자살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20명 이상이 사망하고 48명이 부상했다. 파키스탄 탈레반 운동의 한 파벌이 시아파를 대상으로 테러 공격을 계속하는 라슈카레 장비와 공모하여 저지른 것이라고 밝혔다.[213]
탈레반이 폭파한 바미얀 석불은 하자라족의 거주 지역에 있다. 2002년부터 2004년까지 주일 아프가니스탄 임시 대리대사를 역임한 모하마드 누르 악바리(Mohammad Noor Akbary)는 하자라족이다.[214]
6. 지리적 분포
19세기 도스트 무함마드 칸의 통치 기간 동안, 하자라자트 출신 하자라인들은 처음으로 세금을 부과받았다. 그러나 1892년 우르즈간 전투[113]와 이후 아브드르 라흐만 칸에 의한 정복이 시작되기 전까지는 대부분 지역적 자치권[114]을 유지했다.
1880년 간도막 조약 체결 이후, 아브드르 라흐만은 하자리스탄, 투르키스탄, 카피리스탄을 통제하려 했다. 그는 하자라인들의 저항에 대응하여 하자리스탄에서 여러 차례 원정을 벌였고, 이 과정에서 그의 군대는 잔혹 행위를 저질렀다. 하자리스탄 남부는 주민들이 통치를 받아들여 피해를 입지 않았지만, 다른 지역들은 아브드르 라흐만을 거부하고 셰르 알리 칸을 지지했다. 이에 아브드르 라흐만은 반대 부족 지도자들과 전쟁을 벌였고, 이는 하자라 반란[110]으로 이어졌다.
이 원정으로 하자라인 인구의 60% 이상이 학살[115][116][117]당하고 추방되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 하자라인들의 땅은 비하자라 공동체 출신의 충성스러운 마을 주민들에게 분배되었다. 이 탄압은 현대 아프가니스탄 역사에서 집단 학살 또는 민족 청소로 규정되었다.
학살 이후, 많은 하자라 가족들이 우르즈간과 하자리스탄의 다른 지역에서 고향을 떠나 중앙아시아, 이란, 영국령 인도, 이라크, 시리아 등 이웃 국가로 피난했다. 북부 힌두쿠시에 살던 하자라인들은 차르 러시아로 이주하여 남부 도시에 정착하거나 이란으로 이주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차르 러시아 지역에 살던 하자라인들은 지역 주민들과의 유사성 때문에 하자라기 언어, 문화, 정체성을 잃고 동화되었다. 이들은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카자흐스탄, 다게스탄 등 이전 차르 러시아 지역에 정착했다. 아프가니스탄 북서부 출신 하자라인들은 이란으로 이주하여 마슈하드와 그 주변에 정착하여 카와리 또는 바르바리로 알려지게 되었다. 아프가니스탄 남동부 출신 하자라인들은 영국령 인도로 이주하여 퀘타(현재 파키스탄)와 인도 일부 지역에 거주했다. 일부는 시리아와 이라크에도 정착했다. 차르 러시아로 이주한 사람들과 달리, 파키스탄, 인도, 이란, 시리아, 이라크에 거주하는 하자라인들은 외모 차이로 인해 완전히 통합되지 못하고 언어, 문화,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118]
인도 구자라트주에 거주하는 아타르왈라(Attarwala)는 하자라족이라고 주장한다. 그들은 무굴 제국 시대에 아그라에 정착한 무굴 군인 집단의 후손이다.[153] 기록에 따르면, 그들은 그왈리오르, 랏람, 고드라를 거쳐 아메다바드로 이주했다. 이 이주는 1857년 인도 독립전쟁 당시 그들의 참여에 따른 것이었다. 구자라트에 정착한 후, 이 공동체는 향수 제조업에 종사하게 되었다.[153] 1947년 인도 분할 이후 아그라에서 두 번째 이주가 발생하여 일부는 파키스탄으로 이민을 갔고, 다른 구성원들은 아메다바드에 있는 같은 민족 사람들과 합류했다.[153]
6. 1. 아프가니스탄
1888~1893년 봉기 동안 하자라족의 60% 이상이 학살당했고, 많은 사람들이 삶의 터전을 잃었다.[115] 이와 동시에 하자라족은 비하자라족에게 상당한 영토를 빼앗겨 현재 영토의 두 배에 달하는 땅을 잃었을 가능성이 있다.[115]
하자라족은 아프가니스탄에서 가장 큰 아프가니스탄의 민족 집단 중 하나이며, 주로 아프가니스탄 중부의 하자리스탄 지역에 거주하지만 전국적으로 상당한 수가 분포하고 있다.[143] 1880년대까지 하자라족은 하자리스탄 지역 전체를 통제하며 완전한 자치를 누렸으나, 오늘날 대다수는 하자리스탄에 거주하며, 많은 사람들이 전국의 여러 도시에 살고 있다.
아프가니스탄에서 하자라족은 전체 인구의 약 10%를 차지하는 소수 민족으로, 몽골로이드적인 외모 특징이 강하다(실제로는 코카소이드의 피가 섞여 있다). 아프가니스탄은 수니파 이슬람교가 주류였고(1931년 헌법에 수니파 하나피 학파를 국교로 명시했던 시대도 길었다), 이 때문에 하자라족은 박해와 학살의 역사를 겪었다.
현재도 하자라족은 차별을 받고 있으며, 카불 시내의 청소 노동자 등은 하자라족이 맡는 경우가 많다. 1978년부터 이어진 아프가니스탄 분쟁으로 치안과 생활 환경이 악화되었고, 수니파 계열 극단주의 조직인 탈레반의 등장으로 박해가 심각해졌다.[210] 이 때문에 시아파 국가인 이란이나 유럽으로 망명하는 사람들도 많다.[211]
탈레반이 폭파한 바미얀 석불은 하자라족의 거주 지역에 있다.
6. 2. 파키스탄
19세기 영국 식민 통치 시대에 하자라족은 현재 파키스탄 지역의 여러 도시에서 겨울철에 탄광, 도로 건설 등의 노동 계급 일자리에 종사했다. 파키스탄에 하자라족이 거주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1835년 퀘타에 설립되어 제1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에도 참전한 브로드풋 사퍼스 중대(Broadfoot's Sappers Company)에 대한 기록이다. 일부 하자라족은 신드 지방의 농장에서 일하고 수쿠르 댐(Sukkur Barrage) 건설에도 기여했다. 1962년 파키스탄 정부는 하자라족을 공식적으로 파키스탄의 민족 집단 중 하나로 인정했다.[145]파키스탄 하자라족 대부분은 파키스탄 발루치스탄주 출신이다. 퀘타 시에는 하자라 타운(Hazara Town)과 마리아바드(Mariabad) 등 하자라족 인구가 많은 지역이 있다. 파키스탄 하자라족의 문해율은 아프가니스탄 하자라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으며, 지역 사회의 사회적 역동성에 잘 통합되어 있다. 하자라 여성인 사이라 바툴(Saira Batool)은 파키스탄 공군 최초의 여성 조종사 중 한 명이었다. 다른 주목할 만한 하자라족으로는 1958년부터 1968년까지 파키스탄 육군 제4대 파키스탄 육군 참모총장을 지낸 무사 칸 장군(General Musa Khan), 1949년부터 1987년까지 파키스탄 공군에서 복무한 에어 마샬(Air Marshal) 샤르바트 알리 찬게지(Sharbat Ali Changezi), 하자라 민주당(Hazara Democratic Party)의 살해된 의장 후세인 알리 유사피(Hussain Ali Yousafi)[146], 퀘타 출신의 국회의원 사예드 나시르 알리 샤(Sayed Nasir Ali Shah) (그의 아버지 하지 사예드 후세인 하자라(Haji Sayed Hussain Hazara)는 지아울하크 시대에 상원의원이자 파키스탄 의회 의원이었다) 등이 있다.

하지만 하자라족은 라슈카르-에-장비(Lashkar-e-Jhangvi) 등 무장 단체의 공격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다. 활동가들은 1999년 이후 최소 800명에서 1,000명의 하자라족이 살해되었으며, 그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고 보고한다. 휴먼 라이츠 워치(Human Rights Watch)에 따르면 1월 이후 퀘타와 그 주변에서 100명 이상이 살해되었다.[156] 이 공동체의 정치적 대표는 압둘 칼릭 하자라가 이끄는 세속적 자유주의 민주당인 하자라 민주당(Hazara Democratic Party)이 담당하고 있다.[147][148]
2019년 4월 12일, 파키스탄 발루치스탄 주 퀘타에서 하자라족을 겨냥한 자살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20명 이상이 사망하고 48명이 부상했다. 파키스탄 탈레반 운동의 한 파벌이 시아파를 대상으로 테러 공격을 계속하는 라슈카레 장비와 공모하여 저지른 것이라고 밝혔다.[213]
6. 3. 이란
이란의 하자라족은 '''바르바리'''(بربری|fa) 또는 '''카와리'''(خاوری|fa)라고도 불린다.[149][150] 수년 동안 아프가니스탄의 정치적 불안으로 인해 일부 하자라족이 이란으로 이주했다. 이란에 거주하는 하자라족 인구는 약 50만 명으로 추산되며, 그중 3분의 1 이상이 이란에서 인생의 절반 이상을 보냈다.[6]1857년 나세르 알-딘 샤(Naser al-Din Shah) 통치 시절 파리 조약에 따라 이란이 헤라트(Herat) 지역을 할양하도록 강요받기 전, 이란은 훨씬 더 넓은 대호라산(Greater Khorasan) 지역을 소유하고 있었다. 이 지역을 배회했던 부족 중 하나가 하자라족이었다. 이란과 아프가니스탄의 국경이 설정된 후, 이 부족은 국경 양쪽에 정착했다. 카자르 시대 말기와 팔레비 시대 동안 이 부족의 지도자는 "술라트 알-술타나 하자라"로 알려진 무함마드 유수프 칸 하자라(Muhammad Yusuf Khan Hazara)였다. 그는 수니파 하자라족 출신 정치인이자 이란 의회 최초의 수니파 대표였으며, 이란 의회 역사상 마슈하드를 대표한 유일한 수니파 이란인이었다.[151][152]

6. 4. 중앙아시아
1888년부터 1893년까지 압둘라흐만 칸에 의한 하자라족 학살과 집단 학살 이후, 많은 하자라족이 러시아 제국(차르 러시아)의 지배하에 있던 중앙아시아 지역, 즉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카자흐스탄으로 이주하였으며, 상당수가 사마르칸트와 부하라에 정착하였다.[118][144]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들 지역에 거주하는 많은 하자라족은 지역 주민과의 인종적 구조와 외모의 유사성으로 인해 사투리, 언어, 민족 정체성을 잃고 동화되었다.[118][144]6. 5. 기타 지역
아프가니스탄의 수십 년간 분쟁과 파키스탄의 종파 폭력으로 인해 많은 하자라족이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캐나다, 미국, 영국, 특히 북유럽 국가( 스웨덴, 덴마크)에 정착했다.[155] 어떤 사람들은 교환 학생으로 이주하지만, 다른 사람들은 인신매매를 통해 이주하며, 때로는 목숨을 잃기도 한다. 2001년 이후 약 1,000명의 사람들이 인도네시아에서 보트를 타고 오스트레일리아로 가려다 바다에서 사망했는데, 그중 많은 수가 하자라족이었다.[156] 주목할 만한 사례로는, 대부분 하자라족인 난민을 노르웨이의 화물선 MV ''탐파''가 구조한 후 나우루로 보낸 탐파 사건이 있다.[157]7. 언어
하자라어는 페르시아어 계통의 방언으로, 다리어와도 혼용되는 명칭이다. 하자라인은 페르시아어를 사용하기도 한다.[166][167][168][169] 하자라어에는 몽골어와 튀르크어에서 차용한 단어들이 섞여 있다.[170][171][172][173][174][175]
《이란니카 백과사전》에 따르면 하자라어는 세 가지 언어적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1) 고유한 기층을 가진 몽골 이전의 페르시아어, (2) 몽골어, (3) (1)과 (2)의 요소를 모두 보존하는 현대 타지크어.[167] 페르시아어와 하자라어의 주된 차이점은 억양에 있지만,[167] 아프가니스탄의 공용어인 다리어와 상호 이해가 가능하다.[166][176]
일부 학자들은 하자라족의 조상들이 원래 몽골어를 사용했으며,[61][82] 페르시아어 및 튀르크어 사용 인구와 섞이면서 점차 페르시아어를 채택했다고 설명한다.[177] 16세기 바부르 시대에도 일부 하자라인은 몽골어를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으며,[86][84][21] 19세기까지 몽골어를 사용한 하자라인도 있었다.[19][85][87][88] 몽골어 요소는 하자라어 어휘의 약 10%를, 튀르크어와 몽골어 단어는 하자라어 방언 어휘의 약 20%를 구성한다고 한다.[178][179]
8. 종교
하자라족은 대부분 이슬람교를 믿으며, 대다수는 시아파를, 상당수는 수니파를 따르고, 소수는 이스마일파를 믿는다. 아프가니스탄 하자라족의 약 90%가 시아파, 5%가 수니파, 1%가 이스마일파라는 추정치가 있다.[180] 아프가니스탄 인구의 대다수가 수니파 이슬람을 믿기 때문에, 하자라족은 종교적인 이유로 차별받기도 한다.[57]
하자라족 대다수가 시아파 이슬람을 믿게 된 이유는 확실하지 않지만, 사파비 왕조 초기인 16세기 초에 시아파 이슬람을 받아들였을 가능성이 크다.[183]
수니파 하자라족은 오랫동안 수니파 이슬람을 믿어왔으며, 압둘 라흐만의 하자라 지역 점령 이전부터 존재했다. 그러나 압둘 라흐만의 점령과 1888~1893년 하자라족 봉기 이후 일부는 시아파에서 수니파 이슬람으로 개종했다. 아프가니스탄에서 수니파 하자라족은 주로 카불, 바글란, 바드기스, 고르, 쿤두즈, 판지시르, 바미얀, 바다흐샨, 파르완 주에 거주한다.[184][185]
셰르 무함마드 칸 하자라(Sher Muhammad Khan Hazara)는 수니파 하자라족이자 바드기스의 칼라에나우 하자라족의 족장이었던 군벌로, 1837년 헤라트 방어에 참여했고, 1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1838~1842) 중 칸다하르 주변과 마이완드 사막에서 영국군을 물리치기도 했다.[186]
이스마일파 하자라족은 주로 카불, 파르완, 바글란, 바미얀, 마이단 워르닥, 사망간, 자불 주에 거주하며, 역사적으로 종교적 신념과 정치적 이유로 다른 하자라족과 분리되어 왔다.[187]
아프가니스탄에서 하자라족은 소수 민족이며, 몽골로이드적인 외모 특징이 강하다. 아프가니스탄은 수니파 이슬람교가 주류였기 때문에 하자라족은 박해와 학살을 당한 역사가 있다.
현재도 차별이 존재하며, 카불 시내의 청소 노동자 등을 하자라족이 맡는 경우가 많다. 1978년부터 이어진 아프가니스탄 분쟁과 탈레반의 등장으로 박해가 심해져, 이란이나 유럽으로 망명하는 사람들도 많다.[211][212] 2019년에는 파키스탄에서 하자라족을 겨냥한 자살 폭탄 테러가 발생하기도 했다.[213] 탈레반이 폭파한 바미얀 석불은 하자라족 거주 지역에 있으며, 2002년부터 2004년까지 주일 아프가니스탄 임시 대리대사를 역임한 모하마드 누르 악바리(Mohammad Noor Akbary)는 하자라족이다.[214]
9. 문화
하자라 문화는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의 다양한 문화와 공통된 영향을 공유한다. 하자라 문화는 수년에 걸쳐 주변 현상과의 상호 작용과 갈등을 통해 발전해 온 관습, 전통, 행동, 신념 및 규범의 조합으로, 오늘날 독특한 문화적 정체성으로 나타난다. 전통적으로 하자라 사람들은 고지대 농부였으며, 하자라자트에서는 아프간 타지크족보다 중앙아시아인의 관습과 전통을 더 많이 유지해 왔다. 역사적으로 하자라 사람들은 집에 살았지만, 아이마크 하자라족과 같이 일부는 반유목민 생활을 하며 펠트 유르트에 거주하기도 했다.[158][159][160]
하자라족 의복은 문화적, 사회적 정체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161][162] 하자라족 남성들은 전통적으로 바락(barak)이라고도 불리는 바라그(barag)와 모자를 함께 착용한다. 바락은 하자라자트에서 사육되는 특별한 양의 첫 번째 털로 만든 부드럽고 두꺼운 의류로, 습기에 강하고 따뜻하며, 근육통과 관절통 완화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오늘날 하자라족 남성들은 페라한 오 툰반을 모자나 터번과 함께 착용하는 경우가 많다.[161][162][163]
하자라 여성의 전통 의복은 주름 장식이 있는 치마에 툰반(tunban) 또는 속옷을 받쳐 입는다. 밑단 툰반은 꽃무늬 칫(chits)과 같은 천으로, 겉치마는 벨벳(velvet), 자리(zari), 또는 그물(net)과 같은 고급 소재로 만들어지며, 종종 아래쪽에 테두리나 장식이 달려 있다. 여성의 저고리는 종아리까지 내려오는 길이에 깃이 꽉 잠기는 긴 소매이며, 양쪽에 트임이 있다.[161][162]
젊은 하자라 여성들은 화려한 색상과 밝은 디자인의 의상을, 나이든 여성들은 검은색과 흰색의 단순한 무늬가 있는 어두운 색상의 천을 선호한다. 하자라 여성들의 차도르 또는 머리덮개는 종종 은이나 금 장신구로 장식되고, 때로는 모자와 함께 착용한다. 의복 장식에는 은이나 금 목걸이, 다채로운 구슬, 단추, 뱅글, 은이나 금 팔찌 등이 포함된다.[161][162]
하자라족은 전통적으로 머리 장식이나 모자를 착용하는데, 남성과 여성의 모양이 다르다. 하자라족의 모자와 모자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일부는 동물 가죽으로, 다른 일부는 바락으로 만들어진다. 일부 하자라족 남성들은 터번을 호라산식으로 착용한다.[164][165]
하자라 요리는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페르시아 요리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하지만 하자라족 특유의 음식, 조리법, 스타일도 존재하며, 손님을 위해 특별한 음식을 준비하는 환대하는 식사 예절을 가지고 있다.
9. 1. 예술

하자라족은 담부라 연주로 유명하며, 중앙아시아의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등지에서도 담부라 연주자를 찾아볼 수 있다. 대표적인 하자라족 담부라 연주자로는 사르와르 사르코시, 다우드 사르코시, 사프다르 타와콜리, 사예드 안와르 아자드 등이 있다.[158] 사르와르 사르코시는 하자라 담부라 음악에 혁명적 찬가를 도입하여 대중화한 선구자로, 그의 노래는 주로 젊은 세대의 봉기와 억압에 대한 저항을 주제로 삼았다.[189] 하자라족은 바이올린과 유사한 전통 현악기 가이착도 사용하는데, 가이착의 공명통은 주로 호두나 나무 열매로 만들고 줄은 금속으로 만든다.[190]
파키스탄의 유명 음악가 누스라트 파테 알리 칸 또한 베흐수디 부족 출신 하자라족의 후손이다.
9. 2. 스포츠
많은 하자라족 사람들은 축구, 배구, 레슬링, 무술, 권투, 가라테, 태권도, 유도, 우슈, 유술, 크리켓, 테니스 등 다양한 스포츠에 참여한다. 62kg급 레슬러인 파흘라완 에브라힘 케드리는 20년 동안 아프가니스탄 국가대표 선수였다. 또 다른 유명한 하자라족 레슬러인 와킬 후세인 알라다드(Wakil Hussain Allahdad)는 2018년 4월 22일 카불 다슈테 바르치(Dashte Barchi)에서 발생한 자살 폭탄 테러로 사망했다.[191][192]
로훌라 니크파이(Rohullah Nikpai)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 태권도에서 스페인의 세계 챔피언 후안 안토니오 라모스(Juan Antonio Ramos)를 플레이오프 결승에서 4-1로 물리치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아프가니스탄이 사상 처음으로 획득한 올림픽 메달이었다. 그는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아프가니스탄을 위해 두 번째 올림픽 메달을 획득했다.

또 다른 주목할 만한 하자라족 선수인 사예드 압둘 잘릴 와이즈(Sayed Abdul Jalil Waiz)는 2005년 아시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 아프가니스탄을 대표한 최초의 배드민턴 선수였으며, 이 대회에서 이라크를 상대로 15-13, 15-1의 스코어로 자국 최초의 승리를 거머쥐었다. 그는 2005년 이후 여러 국제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오스트레일리아, 필리핀, 몽골 선수들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었다. 하미드 라히미(Hamid Rahimi)는 현재 독일에 거주하는 아프가니스탄 출신의 하자라족 권투 선수이다. 후세인 사디키(Hussain Sadiqi)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제작된 액션 영화에서 최고의 격투 장면 상을 수상한 하자라계 오스트레일리아인 무술가이다.
하자라족 축구 선수로는 현재 아프가니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는 조히브 이슬람 아미리(Zohib Islam Amiri), 아프가니스탄계 핀란드인 축구 선수로 HIFK에서 활동하는 모슈타크 야쿠비(Moshtaq Yaqoubi), 덴마크 수페르리가 클럽 AGF와 오스트레일리아 국가대표팀에서 미드필더로 활동하는 하자라계 오스트레일리아인 축구 선수 무스타파 아미니(Mustafa Amini), 브리즈번 로어에서 미드필더로 활동하는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선수 라흐마트 아크바리(Rahmat Akbari) 등이 있다. 다른 주목할 만한 선수로는 로훌라 이크발자다, 옴란 하이더리(Omran Haydary)],
10. 주요 인물
하자라족은 정치, 사회, 문화,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주요 인물들을 배출했다.
분야 | 주요 인물 |
---|---|
정치/사회 | 압둘 칼리크 하자라, 이브라힘 칸, 술탄 알리 키시트만드, 자파르 나데리, 카림 칼릴리, 사르와르 다니시, 시마 사마르, 무함마드 모하키크, 하비바 사라비, 아즈라 자파리, 나스룰라 사디키 자다 닐리, 압바스 노얀 |
예술/문화 | 파이즈 무하마드 카테브(Faiz Muhammad Kateb), 아미르 코스로우 델라비(Amir Khosrow Dehlavi), 이스마엘 발키(Ismael Balkhi), 하산 폴라디(Hassan Poladi), 카짐 야즈다니(Kazim Yazdani), 알리 모하키크 나사브(Ali Mohaqiq Nasab), 캄란 미르 하자르(Kamran Mir Hazar), 바시르 아항(Basir Ahang), 사예드 아스카르 모사비(Sayed Askar Mousavi), 알리 바바 타지(Ali Baba Taj), 사예드 아부탈리브 모자파리(Sayed Abutalib Mozaffari), 라나워드 자리야브(Rahnaward Zaryab), 아지즈 로예쉬(Aziz Royesh), 사르와르 사르코시, 다우드 사르코시, 사프다르 타와콜리, 사예드 안와르 아자드, 누스라트 파테 알리 칸, 후세인 사디키(Hussain Sadiqi), 아비드 알리 나지시(Abid Ali Nazish), 샤밀라 시르자드(Shamila Shirzad), 니크바흐트 누루즈(Nikbakht Noruz) |
스포츠 | 파흘라완 에브라힘 케드리, 와킬 후세인 알라다드(Wakil Hussain Allahdad), 로훌라 니크파이(Rohullah Nikpai), 사예드 압둘 잘릴 와이즈(Sayed Abdul Jalil Waiz), 하미드 라히미(Hamid Rahimi), 후세인 사디키(Hussain Sadiqi), 조히브 이슬람 아미리(Zohib Islam Amiri), 모슈타크 야쿠비(Moshtaq Yaqoubi), 무스타파 아미니(Mustafa Amini), 라흐마트 아크바리(Rahmat Akbari), 로훌라 이크발자다, 분류:하자라인 10. 1. 정치/사회1901년, 하비불라 칸은 하자라족에게 사면을 선포했지만, 하자라족은 20세기 대부분 동안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차별에 직면했다.[119] 1933년 무함마드 나디르 샤 국왕은 압둘 칼리크 하자라라는 학생에게 암살당했다.[119]자히르 샤 통치 기간인 1945년부터 1946년까지 이브라힘 칸이 이끄는 반란이 하자라족에게만 부과된 새로운 세금에 대한 항의로 발생했다.[110] 쿠치족은 세금이 면제되고 정부 지원금도 받았지만, 분노한 반군들은 정부 관리들을 체포하고 살해했다. 중앙 정부는 군대를 파견해 해당 지역을 진압했고, 그 후 세금을 폐지했다.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동안 대부분의 하자라족 무자헤딘은 하자라자트 주변 지역에서 소련군과 전투를 벌였다. 하자라족 민족주의자와 세속 지식인으로 구성된 탄짐 나슬레 나우 하자라와 하자라자트의 이슬람주의 정당 사이에 분열이 있었다.[110] 1979년까지 하자라족 이슬람주의 그룹은 하자라자트를 소련 지원 아프가니스탄 정부로부터 해방시켰고, 1984년까지 하자라자트에서 이슬람주의의 지배는 완료되었다. 1989년 소련이 철군함에 따라 이슬람주의 그룹은 하자라 민족주의로 초점을 전환했고,[110] 이는 히즈베 와흐다트의 설립으로 이어졌다. 1992년 카불 함락과 함께 하라카트-에 이슬라미는 부르한누딘 라바니 정부와 손을 잡았고, 히즈베 와흐다트는 반대파와 연합했다. 히즈베 와흐다트는 1995년 탈레반이 도시를 점령하고 지도자인 압둘 알리 마자리를 살해하면서 카불에서 쫓겨났다. 1996년 탈레반이 카불을 점령한 후, 모든 하자라족 그룹은 북부 동맹과 연합했다. 그러나 1998년 탈레반은 하자라자트를 함락시켰다. 탈레반은 하자라자트를 고립시켜 유엔이 바미얀, 고르, 마이단 워르다크, 다이쿤디 주에 식량을 배달하는 것을 막았다.[121] 1997년, 마자르-에 샤리프의 하자라족이 탈레반에 의해 무장 해제되는 것을 거부하면서 반란이 일어났고, 이후 전투에서 600명의 탈레반 전투원이 사망했다.[122] 보복으로 탈레반은 집단 학살 정책을 채택했다. 1998년 하자라족 6,000명이 북부에서 살해되었고, 하자라족 인구에 대한 민족 청소를 수행하려는 의도였다.[123] 2001년 3월, 거대한 바미얀 석불 두 개가 파괴되었다.[124] 하자라족은 파키스탄 건국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카지 무함마드 이사는 무함마드 알리 진나의 절친한 친구였으며, 발루치스탄에 전 인도 무슬림 연맹을 설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25][126] 술탄 알리 키시트만드는 1981년부터 1990년까지 아프가니스탄 총리를 역임했다.[127] 바글란 주의 이스마일파 하자라족도 공산주의자들을 지지했고, 그들의 ''피르''인 자파르 나데리는 해당 지역에서 친공산 민병대를 이끌었다.[128] 그 후 몇 년 동안 하자라족은 심각한 탄압을 받았고, 탈레반에 의해 수많은 민족 학살, 집단 학살, 유혈 사태가 발생했다.[129] 2001년 9월 11일 공격 이후 미국, 미국 및 연합군은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했다. 10. 2. 예술/문화파이즈 무하마드 카테브(Faiz Muhammad Kateb), 아미르 코스로우 델라비(Amir Khosrow Dehlavi), 이스마엘 발키(Ismael Balkhi), 하산 폴라디(Hassan Poladi), 카짐 야즈다니(Kazim Yazdani), 알리 모하키크 나사브(Ali Mohaqiq Nasab), 캄란 미르 하자르(Kamran Mir Hazar), 바시르 아항(Basir Ahang), 사예드 아스카르 모사비(Sayed Askar Mousavi), 알리 바바 타지(Ali Baba Taj), 사예드 아부탈리브 모자파리(Sayed Abutalib Mozaffari), 라나워드 자리야브(Rahnaward Zaryab), 아지즈 로예쉬(Aziz Royesh) 등은 잘 알려진 하자라 작가 및 시인이다.![]() 많은 하자라 음악가들은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다른 국가에서도 볼 수 있는 현악기인 담부라 연주 실력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사르와르 사르코시, 다우드 사르코시, 사프다르 타와콜리, 사예드 안와르 아자드 등은 주목할 만한 하자라 음악가이자 담부라 연주자이다.[158] 특히 하자라 담부라 음악에서는 혁명적 찬가가 흔하며, 사르와르 사르코시는 이를 대중화한 최초의 가수였다. 그의 주된 메시지는 젊은 세대의 봉기와 억압에 대한 저항에 초점을 맞추었다.[189] 바이올린과 비슷하게 연주되는 전통적인 현악기인 가이착의 공명통은 보통 호두나 나무 열매로 만들어지고 줄은 금속으로 되어 있어 하자라 음악의 현악기 중 하나이다.[190] 저명한 파키스탄 음악가 누스라트 파테 알리 칸도 베흐수디 부족 출신 하자라의 후손이다. ![]() 하자라 영화 산업은 긴 역사를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오늘날 후세인 사디키(Hussain Sadiqi), 아비드 알리 나지시(Abid Ali Nazish), 샤밀라 시르자드(Shamila Shirzad), 니크바흐트 누루즈(Nikbakht Noruz) 등 유명한 배우들이 있다. 10. 3. 스포츠많은 하자라족 사람들은 축구, 배구, 레슬링, 무술, 권투, 가라테, 태권도, 유도, 우슈, 유술, 크리켓, 테니스 등 다양한 스포츠에 참여한다. 62kg급 레슬러 파흘라완 에브라힘 케드리는 20년 동안 아프가니스탄 국가대표 선수였다. 또 다른 유명한 하자라족 레슬러 와킬 후세인 알라다드(Wakil Hussain Allahdad)는 2018년 4월 22일 카불 다슈테 바르치(Dashte Barchi)에서 발생한 자살 폭탄 테러로 사망했다.[191][192] 로훌라 니크파이(Rohullah Nikpai)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 태권도에서 스페인의 세계 챔피언 후안 안토니오 라모스(Juan Antonio Ramos)를 플레이오프 결승에서 4-1로 물리치고 동메달을 획득하여 아프가니스탄 사상 첫 올림픽 메달을 안겼다. 그는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도 동메달을 획득하여 아프가니스탄을 위해 두 번째 올림픽 메달을 획득했다. 사예드 압둘 잘릴 와이즈(Sayed Abdul Jalil Waiz)는 2005년 아시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 아프가니스탄을 대표한 최초의 배드민턴 선수로, 이라크를 상대로 15-13, 15-1의 스코어로 아프가니스탄 최초의 승리를 거머쥐었다. 그는 2005년 이후 여러 국제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오스트레일리아, 필리핀, 몽골 선수들을 상대로 승리했다. 하미드 라히미(Hamid Rahimi)는 독일에 거주하는 아프가니스탄 출신 하자라족 권투 선수이다. 후세인 사디키(Hussain Sadiqi)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제작된 액션 영화에서 최고의 격투 장면 상을 수상한 하자라계 오스트레일리아인 무술가이다. 하자라족 축구 선수로는 아프가니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는 조히브 이슬람 아미리(Zohib Islam Amiri), 아프가니스탄계 핀란드인 축구 선수로 HIFK에서 활동하는 모슈타크 야쿠비(Moshtaq Yaqoubi), 덴마크 수페르리가 클럽 AGF와 오스트레일리아 국가대표팀에서 미드필더로 활동하는 하자라계 오스트레일리아인 축구 선수 무스타파 아미니(Mustafa Amini), 브리즈번 로어에서 미드필더로 활동하는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선수 라흐마트 아크바리(Rahmat Akbari)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로훌라 이크발자다, 옴란 하이더리(Omran Haydary)], 참조
[1]
뉴스
سرور دانش درصد جمعیت شیعه و هزاره را در گزارش دولت آمریکا نادرست خواند
https://www.bbc.com/[...]
2023-01-08
|